KR101402985B1 -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985B1
KR101402985B1 KR1020080014144A KR20080014144A KR101402985B1 KR 101402985 B1 KR101402985 B1 KR 101402985B1 KR 1020080014144 A KR1020080014144 A KR 1020080014144A KR 20080014144 A KR20080014144 A KR 20080014144A KR 101402985 B1 KR101402985 B1 KR 10140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y
mobility anchor
local mobility
domai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876A (ko
Inventor
나지현
문정모
이상호
박수창
이의신
김상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5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 제어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으며 접속한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IPv6 프로토콜만을 사용하는 단말이, 추가적인 기능 요구 없이 프록시 도메인간에 이동할 경우,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동성 제어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은 단말에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로컬 이동성 앵커들간의 보안 연계만으로 프록시 모바일 IP 메시지의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14144
도메인, 핸드오프, 이동성 관리, LMA, 로컬 이동성 앵커

Description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Method for handover between proxy domains}
본 발명은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이동성 제어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은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프로토콜인 프록시 이동 IP(Proxy Mobile IP)을 사용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프록시 이동 IP는 프록시 도메인 내에서 이동성 프로토콜이 없는 단말에 이동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프록시 도메인간의 이동시에는 이동 IP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프록시 도메인간의 이동시 이동 IP를 사용하면, 단말이 이동 IP 프로토콜을 수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프록시 도메인에는 해당 단말에 대하여 프록시 이동 IP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이동 IP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록시 도메인간에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인 제1 프록시 도메인에서 제2 프록시 도메인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은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인증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인증부로부터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에 대한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가 포함된 접속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로 프록시 바인딩 갱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락하면,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과의 터널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제1 프록시 도메인에서 제2 프록시 도메인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은 제1 인증부,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및 제1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를,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은 제2 인증부,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및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2 인증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부로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 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1 인증부로부터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 정보를 포함한 접속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인증부는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 정보 및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 정보를 포함한 접속 허가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로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에 대한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는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와의 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는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와의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제1 프록시 도메인에서 제2 프록시 도메인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가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이면,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 내에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프록시 바인딩을 갱신하고 그에 대한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대한 바인딩 정보 및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접속한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IPv6 프로토콜만을 사용하는 단말이 추가적인 기능 요구 없이 프록시 도메인간에 이동할 경우,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제1 도메 인(100)과 제2 도메인(200)이 인터넷 백본(Internet backbone)(30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500)이 제1 도메인(100)으로부터 제2 도메인(200)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도메인은 프록시 도메인이며,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130, 230), 로컬 이동성 앵커(120, 220) 및 인증부(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110, 210)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제1 도메인(100)에 위치한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130)는 pMAG(previous Mobile Access Gateway)(130), 로컬 이동성 앵커(120)는 LMAh(home Local Mobility Anchor)(120), 인증부(110)는 AAAh(home AAA)(110)라 지칭한다. 그리고 제2 도메인(200)에 위치한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230)는 nMAG(new MAG)(230), 로컬 이동성 앵커(220)는 LMAv(Visited LMA)(220), 인증부(210)는 AAAv(visited AAA)(210)라고 지칭한다.
pMAG(130)는 이동성 프로토콜이 없는 단말(500)이 초기 접속한 이동 접속 게이트웨로 MAGh(130)라고도 표시하고, nMAG(230)는 단말(500)이 도메인 이동에 의해 새로 접속한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MAGv(230)로도 표시한다. MAG(130, 230)는 접속 요청 메시지,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 및 라우터 방송 메시지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LMA(120, 220)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LMA(120, 220)와의 양방향 터널을 생성한다. 여기서 각각의 메시지는 하기 도 2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LMA(120, 220)는 단말(500)이 접속한 LMA 주소 정보를 토대로 프록시 바인딩을 갱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MAG(130, 230)로 전달하여, LMA와 MAG간에 터널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AAA(110, 210)는 단말(5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을 위한 프로토콜은 RADIUS(Remote Access Dial-in User Service) 또는 다이아미터(Diameter) 등의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이 완료된 단말(500)에 대해서는 LMAh(120)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수락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500)로 하여금 해당 도메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도메인간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500)은 먼저 L2 계층에서의 연결(L2 attachment)에 의해 제1 도메인(110)에 접속하며, 이때 제1 도메인(110)에 위치한 MAGh(130)에 접속된다(S105). MAGh(130)는 자신에게 접속된 단말(5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AAAh(110)에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구체적으로 MAGh(130)는 단말(500)에 대한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정보를 토대로 AAAh(110)에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NAI는 단말(500)이 제1 도메인(100)에 할당되어 있는 다수의 IP 주소 중 어느 하나의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로, 이에 대한 사항은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 과정은 단말(500)이 접속한 망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MAG과 AAA간의 인증 프로토콜은 RADIUS(Remote Access Dial-in User Service) 또는 다이아미터(Diameter)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RADIU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500)과 AAAh(110) 사이에 어떠한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MAGh(130)와 AAAh(110) 간의 접속 요청 메시지는 여러번 송수신될 수 있다. AAAh(110)가 단말(5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면, 접속 수락 메시지를 MAGh(130)로 전달한다(S120). 이때, 접속 수락 메시지에는, 제1 도메인(100)에 위치한 다수의 MAGh 중 단말(500)이 접속 가능한 MAGh(130)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AAAh(110)로부터 접속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MAGh는 접속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소 정보에 해당하는 LMAh(120)로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PBU(Proxy Binding Update) message)를 전송한다(S130). 여기서 바인딩 갱신 메시지는 CN(Correspondent Node)(400)과 LMAh(120)에 단말(500)의 IP 주소를 알리기 위해 전송하는 것이다. LMAh(120)는 MAGh(130)에 대한 정보, 단말(500)의 NAI 정보등을 저장하여 프록시 바인딩을 갱신한 후,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PBA(Proxy Binding Acknowledgement) message)를 MAGh(130)로 전송한다(S140).
여기서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는 다음 표 1과 같은 이동성 옵션 정보를 포함한다.
옵션 이름
(Option Name)
타입
(Type)
길이
(Length)
정의
(Decription)
LMAh address unsigned char 16 LMAh의 IPv6 혹은 IPv4 주소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MAGh(130)는 단말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정보가 포함된 라우터 방송 메시지를 단말(500)로 전송한다(S150). 여기서 단말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정보는 단말(500)에 대한 NAI 정보를 토대로, 단말(500)이 제1 도메인(100)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대한 정보이다. 단말(500)은 네트워크 프리픽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도메인(100)에 접속하여 CN(Correspondent Node)(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LMAh(120)와 MAGh(130)사이에 양방향 터널이 생성된다(S160). 데이터 패킷은 단말(500)과 MAGh(130)간에는 호스트 라우팅(Host routing)에 의해 전송되며, MAGh(130)와 LMAh (120)간에는 양방향 터널에 의해 전송된다(S170).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 제1 도메인(100)에 접속된 단말이 CN(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제2 도메인(200)으로 이동하여(S180)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500)은 상기 S110 단계 및 S120 단계의 절차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새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500)이 접속한 도메인이 제1 도메인(100)으로부터 제2 도메인(200)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단말(500)과 AAAh(110) 사이에 송수신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 및 접속 수락 메시지는 AAAv(210)를 경유한다.
다시 말해, 제2 도메인(200)으로 이동한 단말(500)은 자신이 접속한 MAGv(230)를 통해 제2 도메인(200)에 위치한 AAAv(210)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S190), AAAv(210)는 단말(500)이 최초 접속한 제1 도메인(100)의 AAAh(110)로 해당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195). 여기서 AAAv(210)와 AAAh(110)간에는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메시지가 송수신된다. 단말(500)의 인증이 끝남과 동시에 AAAh(110)는 접속 수락 메시지에 LMAh(120)의 주소 정보를 담아 AAAv(210)로 전달하면(S200) AAAv(210)에는 단말(500)에 대한 LMAh(120)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AAAv(210)는 LMAv(220)가 위치한 도메인 내의 LMA 주소를 LMAv 주소로 할당하여 MAGv(230)에 전송한다(S210).
여기서 접속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을 인증할 때, 인증 프로토콜에 추가되는 AVP는 다음 표 2와 같다.
AVP 이름
(AVP Name)
타입
(Type)
길이
(Length)
정의
(Decription)
LMAh Address IP address 16 Home LMA의 IPv6 또는 IPv4 주소
LMAv Address IP address 16 Visited LMA의 IPv6 또는 IPv4 주소
MAGv(230)는 LMAh(130)의 정보를 알게 되어, LMAh 정보를 포함하는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LMAv(220)로 전송하고(S220), LMAv(220)는 LMAh(110)로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 LMAh(110)는 LMAv(220)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해당 프록시 바인딩을 갱신하고, 갱신이 완료되면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LMAv(220)로 전송한다(S240).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LMAv(220)가 해당 메시지를 MAGv(230)로 전송하면(S250), LMAh(120)와 LMAv(230)사이 그리고 LMAv(220)와 MAGv(230)사이에 터널이 생성된다(S260, S270). 이와 같이 터널이 생성되면, 단말(500)은 MAGh(230)와는 호스트 라우팅을 수행하며 MAGh(130)와 LMAv(120)사이, LMAv(220)와 LMAh(120) 사이에는 양방향 터널을 사용하여 CN(400)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S280).
다음은 LMA가 도메인간에 이동하는 단말에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MA에서 프록시 도메인으로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메인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MA를 LMAh와 LMAv로 구분하였으나, 도 3에서는 별도로 LMAh와 LMAv가 구분되지 않은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LMAh의 경우 기존 프록시 이동 IP의 LMA에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한, MAG에 대한 정보가 LMA 정보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홈 망인 제1 도메인(100)에 위치한 LMAh(120)는 자신의 LMAh(120) 정보 뿐만 아니라 방문 망인 제2 도메인(200)의 MAGv(230) 정보와 LMAv(220) 정보를 모두 저장한다. 이때, LMAh(120)는 MAGv(230)의 정보와 LMAv(220)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LMAh(120)의 입장에서는 MAGv(230)의 정보와 LMAv(220)의 정보를 동일하게 여겨 저장한다. 여기서 LMAv(220)는 프록시 이동 IP의 LMA 기능과 MAG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500)이 해당 도메인에 접속함과 동시에 LMA는 바인딩 캐쉬 목록을 초기화 하고(S300), MAG 혹은 LMAv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대기 상태인 LMA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가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인지,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만약 LMA가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MAG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면(S330), LMA는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에 LMAh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1).
S33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에 LMAh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를 수신한 LMA는 자신이 LMAv임을 확인하여 LMAv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LMAh 옵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생성하고(S332), 생성한 메시지를 LMAh로 전송한다(S333). 그리고 LMAv는 단말에 대한 바인딩 정보 및 LMAh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334).
그러나 S33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에 LMA 정보가 없는 경우, LMA은 자신이 LMAh임을 확인하여 LMAh로 동작한다. 이때 LMAh로의 동작은 프록시 이동 IPv6에서 미리 정의한 것과 같다.
다시말해 LMAh로의 동작으로는 단말에 대한 홈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할당하고(S335), 단말에 대한 바인딩 캐쉬 정보를 갱신한다(S336). 그리고 MAG와의 양방향 터널 설정한 후(S337)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송신한 MAG로 전송(S338)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상기 S310 단계에 따라 대기하면서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면(S320), 이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LMA가 LMAv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LMA는 LMAv로 동작할 것을 인식하여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바인딩 정보가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21).
만약 바인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MAG로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전달하고(S322), LMAh와의 터널을 생상한다(S323). 그리고 LMAh 및 MAG 정보가 포함된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S324), MAG와의 양방향 터널을 설정한다(S325). 이 외에도 LMAh와의 양방향 터널도 생성한다(S325).
그러나 S32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바인딩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삭제한다. 그리고 다음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도메인간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MA에서 프록시 도메인으로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8)

  1. 제1 프록시 도메인에서 제2 프록시 도메인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인증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인증부로부터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에 대한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가 포함된 접속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포함한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에서,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확인하면,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에서,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와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에서,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와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인증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에 대한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로 전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이,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포함한 접속 완료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 정보를 토대로 프록시 바인딩을 갱신하고,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로 라우터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4. 제1 프록시 도메인에서 제2 프록시 도메인으로 이동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록시 도메인은 제1 인증부,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및 제1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를, 상기 제2 프록시 도메인은 제2 인증부,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및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2 인증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부로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1 인증부로부터 수신한 접속 허가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에 대한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에 대한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포함한 접속 허가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를 통해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가 상기 제1 로컬 이동성 앵커와 양방향 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가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와 양방향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로컬 이동성 앵커가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바인딩 정보가 이미 저장된 바인딩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바인딩 정보가 이미 저장된 바인딩 정보이면, 상기 제2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인딩 정보가 이미 저장된 바인딩 정보가 아니면,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6. 로컬 이동성 앵커에서 도메인간 이동하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에 로컬 이동성 앵커 주소를 나타내는 이동성 옵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에 상기 이동성 옵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로컬 이동성 앵커가 상기 단말이 초기 접속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에 상기 이동성 옵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로컬 이동성 앵커가 상기 단말이 이동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이동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성 옵션 정보를 토대로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상기 단말이 초기 접속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초기 접속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부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초기 접속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 및 상기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와 각각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초기 접속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홈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바인딩 캐쉬 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와의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이동한 도메인의 로컬 이동성 앵커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바인딩 정보가 이미 저장된 바인딩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바인딩 정보가 이미 저장된 바인딩 정보이면, 상기 이동 접속 게이트웨이로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인딩 정보가 이미 저장된 바인딩 정보가 아니면, 상기 프록시 바인딩 갱신 완료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 지원 방법.
KR1020080014144A 2007-11-27 2008-02-15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KR101402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683 2007-11-27
KR20070121683 2007-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876A KR20090054876A (ko) 2009-06-01
KR101402985B1 true KR101402985B1 (ko) 2014-06-09

Family

ID=4098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44A KR101402985B1 (ko) 2007-11-27 2008-02-15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51B1 (ko) * 2009-06-22 2011-09-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록시 모바일 IPv6 기반 네트워크상에서 이동 단말 간 통신 경로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368469B1 (ko) * 2009-12-09 2014-0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1598109B1 (ko) * 2015-09-24 2016-02-26 국방과학연구소 견고한 분산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128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ap 도메인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JP2007074180A (ja) * 2005-09-06 2007-03-22 Bb Mobile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式
KR20070061296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락시 모바일 ip를 위한 빠른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128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ap 도메인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JP2007074180A (ja) * 2005-09-06 2007-03-22 Bb Mobile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式
KR20070061296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락시 모바일 ip를 위한 빠른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876A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7433B2 (ja) 無線通信管理方法及び無線通信管理サーバ
JP4289030B2 (ja) 移動管理方法および移動端末
JP4551331B2 (ja) 動的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動的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US9516495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PMIPv6 route optimization protocol
CN101578839B (zh) 用于在外地代理转交地址模式下实现代理移动ip的方法和装置
US82243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ff of mobile n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EP195408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entering and leaving idle mode
CN102224721A (zh) 向访问网络链接或移交时的安全隧道建立
JPWO2008105176A1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モバイルノード、代理ノード及び管理ノード
TW200405705A (en) A method and system for a low-overhea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in the internet protocol layer
WO2010029464A1 (en) Efficient routing between a mobile node in a proxy mobile ip network and a correspondent node
JP2006080930A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ルータ、及び移動体端末
KR101520317B1 (ko) 모바일 노드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JP4613926B2 (ja) 移動体通信網と公衆網間で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WO2007058024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コアネットワーク、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収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WO2010000174A1 (zh) 移动节点的注册、通信、切换方法及装置
RU2522683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я и обслуживающий узел поддержки gprs
KR101402985B1 (ko) 도메인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KR100915513B1 (ko) 프락시 모바일 IPv6에서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패킷버퍼링 장치 및 방법
US9148826B2 (en) Handover method and mobile terminal and home agent used in the method
KR101466889B1 (ko) 모바일 아이피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세션 식별자를검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632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BASED ON FLOW IN PMIPv6
KR10088574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MIPv6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및 장치
CN100596242C (zh) 转发报文的方法、系统和锚点设备
JP3573098B2 (ja) 移動網における移動端末管理システム、アクセスルータ、移動端末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