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860B1 - 장식용 조립탁자 - Google Patents

장식용 조립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860B1
KR101402860B1 KR1020120035090A KR20120035090A KR101402860B1 KR 101402860 B1 KR101402860 B1 KR 101402860B1 KR 1020120035090 A KR1020120035090 A KR 1020120035090A KR 20120035090 A KR20120035090 A KR 20120035090A KR 101402860 B1 KR101402860 B1 KR 10140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ssembly
wooden
unitary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593A (ko
Inventor
심용식
이광만
Original Assignee
이광만
심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만, 심용식 filed Critical 이광만
Priority to KR102012003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8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붙임이나 고정하는 작업 없이 개별로 조각되는 목재들을 조립하여 목재형 조립탁자를 제공함과 아울러, 목재형 조립탁자 내에 조명을 구비하여 목재 틈새 사이로 비치는 조명의 효과를 표현하여 장식미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조로 조각되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호 끼워 맞추어져 격자 형태로 조립되기 위한 각각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과;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상부를 이루기 위한 상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정면 및 후면을 이루기 위한 전.후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좌우측면을 이루기 위한 측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박스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판 조립부재 및 측판 조립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박스형태의 조립탁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의 조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 사이에 상기 조립탁자의 내부가 보이도록 간격 틈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수개의 단위 목조 조각들을 조합하여 각각 하나의 조립판을 제공하고, 각 조립판들을 붙임이나 별도의 고정구 없이 연결, 조립하여 견고한 탁자를 이루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조립탁자{Sectional table}
본 발명은 장식용 조립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붙임이나 고정하는 작업 없이 개별로 조각되는 목재들을 조립하여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함과 아울러, 장식용 조립탁자 내에 조명을 구비하여 목재 틈새 사이로 비치는 조명의 효과를 표현하여 장식 미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교, 탁자, 의자, 그리고 물품을 진열하는 진열대 등은 목재를 상호 조립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때 목재는 각형(예를 들어, 사각기둥 등)이나 원기둥 등의 형상을 가지며, 주로 힘을 지지하는 프레임(frame)의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목재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못이나 나사 등의 금속 고정구를 통해 결합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금속 고정구는 녹이 쉽게 들고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목재 제품의 내구성 및 외관성 등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목재 상호간을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돌기와 홈을 통한 끼움 맞춤 방식이 주로 선호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목재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목재에는 조립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목재에는 조립홈을 형성하여 끼움 조립하고 있다.
이때, 조립돌기와 조립홈은 끼움 맞춤 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조립돌기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조립홈은 조립돌기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의 단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구조는 목재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흔들림이 쉽게 발생하여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수분 증발 등에 의해 조립돌기가 수축되거나 조립홈이 팽창되어, 조립돌기와 조립홈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하고 고정력이 저하되어 견고한 조립구조를 도모하지는 못하였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2677 Y1 2006.07.24 KR 공개특허공보 10-2011-0101969 A 2011.09.16
본 발명의 목적은 수개의 단위 목조 조각들을 조합하여 각각 하나의 조립판을 제공하고, 각 조립판들을 붙임이나 별도의 고정구 없이 연결, 조립하여 견고한 하나의 탁자를 이루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탁자를 구성하는 목조 조각에 창틀과 같은 구멍과 목조 조각들 사이에 간격 틈을 이루도록 하여, 조립탁자의 안쪽에서 조명을 비추어 목조의 구멍과 간격 틈으로 조명 빛을 표출되도록 하여 실내장식미를 줄 수 있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탁자를 이루는 목조 프레임에 전통 창의 형상을 구조적, 입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입체적이면서도 전통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조 조각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탁자의 특성상 발생하는 뒤틀림을 막고 견고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조로 조각되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호 끼워 맞추어져 격자 형태로 조립되기 위한 각각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과;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상부를 이루기 위한 상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정면 및 후면을 이루기 위한 전·후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좌우측면을 이루기 위한 측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박스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판 조립부재 및 측판 조립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박스형태의 조립탁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의 조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 사이에 상기 조립탁자의 내부가 보이도록 간격 틈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조각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양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조각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돌출되어 조립을 위한 경사 돌기 및 직각 돌기와; 상기 연결홈의 각 내면에 일체로 양측으로 경사각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직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경사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은, 길이방향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은, 길이방향의 길이가 짧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의 길이방향 각 일면에 순차적으로 크거나 작도록 관통되어 상기 조립탁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에 의해 조명 빛이 조립상자의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빛 투과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본 발명은, 목조로 조각되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호 끼워 맞추어져 격자 형태로 조립되기 위한 각각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과;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상부를 이루기 위한 상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정면 및 후면를 이루기 위한 전·후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좌우측면을 이루기 위한 측판 조립부재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박스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판 조립부재 및 측판 조립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박스형태의 조립탁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의 조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단위 목조유닛들 사이에 상기 조립탁자의 내부가 보이도록 간격 틈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수개의 단위 목조 조각들을 조합하여 각각 하나의 조립판을 제공하고, 각 조립판들을 붙임이나 별도의 고정구 없이 연결, 조립하여 견고한 탁자를 이루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탁자를 구성하는 목조 조각에 창틀과 같은 구멍과 목조 조각들 사이에 간격 틈을 이루도록 하여, 조립탁자의 안쪽에서 조명을 비추어 목조의 구멍과 간격 틈으로 조명 빛을 표출되도록 하여 실내장식미를 줄 수 있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탁자를 이루는 목조 프레임에 전통 창의 형상을 구조적, 입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입체적이면서도 전통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조 조각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탁자의 특성상 발생하는 뒤틀림을 막고 견고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상판 조립부재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상판 조립부재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판 조립부재의 단위 목조유닛들의 정면, 측면, 평면의 조합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도 4의 상판 조립부재의 단위 목조유닛들의 조립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전·후판 조립부재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전·후판 조립부재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전.후판 조립부재의 단위 목조유닛들의 정면, 측면, 평면의 조합을 보인 상태도,
도 10은 도 7의 전·후판 조립부재의 단위 목조유닛들의 조립을 보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측판 조립부재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측판 조립부재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측판 조립부재의 단위 목조유닛들의 정면, 측면, 평면의 조합을 보인 상태도,
도 14는 도 11의 측판 조립부재의 단위 목조유닛들의 조립을 보인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사용상태도로서, 조립탁자에 빛 투과공을 더 구비한 것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조립탁자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용 조립탁자는 조립탁자(100)와; 상기 조립탁자(100)를 구성하는 상판 조립부재(110), 전·후판 조립부재(120)(120') 및 측판 조립부재(130)(130')와; 상기 조립탁자(100)의 내부 안쪽 바닥에 설치되는 보조 조립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 조립부재(110)와, 전.후판 조립부재(120)(120') 및 측판 조립부재(130)(130') 및 보조 조립부재(140)는 각각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10A, 20A, 30A, 40A, 50A, 60B, 70B)들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은, 일정 길이방향의 몸체(1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조각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12)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양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조각되는 조립돌기(13)(14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20A)은,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조각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30A)은,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일측 길이방향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32)과;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돌출되어 조립을 위한 경사 돌기(33)(34) 및 직각 돌기(35)(36)와; 상기 연결홈(32)의 각 내면에 일체로 양측으로 경사각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37)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40A)은,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일측 길이방향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42)과; 상기 몸체(4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직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43)(44)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50A)은,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52)과; 상기 몸체(5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경사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53)(54)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60B)은, 길이방향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62)(63)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목조유닛(70B)은, 길이방향의 길이가 짧은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홈(72)(73); 상기 몸체(71)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74)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용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 20A, 60B)들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조립탁자(100)의 상부를 이루는 상판 조립부재(1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 조립부재(110)의 조립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의 몸체(11)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연결홈(12)의 상측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60B)의 몸체(61)의 양측 전후면 중 한 곳의 조립 연결홈(62)(63)을,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의 조립 연결홈(12)에 상호 밀착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목조유닛(20A)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과 단위 목조 유닛(60B)의 조립 후에, 상기 상판 조립부재(110)의 측면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60B)의 몸체(61)의 양측 전후면 중 한 곳의 조립 연결홈(62)(63)의 안쪽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20A)에 형성된 조립 연결홈(22)을 상호 밀착시켜 조립을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용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 30A, 70B)들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조립탁자(100)의 정면 및 후면을 이루는 전.후판 조립부재(120)(1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판 조립부재(120)(120')의 조립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의 몸체(11)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연결홈(12)의 상측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70B)의 몸체(71)의 양측 전후면 중 한 곳의 조립 연결홈(72)(73)에 의해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의 조립 연결홈(12)에 상호 밀착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목조유닛(30A)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과 단위 목조 유닛(70B)의 조립 후에, 상기 단위 목조유닛(70B)의 몸체(71)의 양측 전후면 중 한 곳의 조립 연결홈(72)(73)의 안쪽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30A)에 형성된 조립 연결홈(32)을 상호 밀착시켜 조립을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용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40A, 50A, 70B)들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조립탁자(100)의 좌우측면을 이루는 측판 조립부재(130)(13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 조립부재(130)(130')의 조립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40A)의 몸체(41)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연결홈(42)의 상측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70B)의 몸체(71)의 양측 전후면 중 한 곳의 조립 연결홈(72)(73)에 의해 상기 단위 목조유닛(40A)의 조립 연결홈(42)에 상호 밀착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목조유닛(50A)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40A)과 단위 목조 유닛(70B)의 조립 후에, 상기 단위 목조유닛(70B)의 몸체(71)의 양측 전후면 중 한 곳의 조립 연결홈(72)(73)의 안쪽으로, 상기 단위 목조유닛(50A)에 형성된 조립 연결홈(52)을 상호 밀착시켜 조립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탁자의 상판 조립부재(110)와, 상기 전·후판 조립부재(120)(120') 및 측판 조립부재(130)(130')의 상호 연결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 조립부재(110)와 전·후판 조립부재(120)(120')의 조립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의 몸체(1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양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조각되는 조립돌기(13)(14)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30A)의 몸체(3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돌출되어 조립을 위한 경사 돌기(33)(34) 및 직각 돌기(35)(36) 및 상기 연결홈(32)의 각 내면에 일체로 양측으로 경사각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37)을 상호 밀착하도록 끼움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전.후판 조립부재(120)(120')와 측판 조립부재(130)(130')의 조립은,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의 몸체(1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양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조각되는 조립돌기(13)(14)와,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40A)의 몸체(4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직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43)(44)에 상호 밀착하도록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용 조립탁자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60B)의 대칭되는 조합으로 조립되어 조립탁자(100)의 바닥판 또는 보강판을 위한 보조 조립부재(14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탁자(100)는, 상기 상판 조립부재(110)와, 전.후판 조립부재(120)(120') 및 측판 조립부재(130)(130')의 각 조립에 의해 조립탁자(10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 20A, 30A, 40A, 50A, 60B, 70B)들의 조립으로 조립탁자(100)의 상부와, 전·후면 및 측면에 다수개의 간격 틈(150)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립탁자(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미도시)에 의해 조립탁자(100)의 간격 틈(150)을 통과하는 조명 빛으로 조립탁자(100)의 장식미를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15를 참조하면, 단위 목조유닛(10A,20A,30A,40A,50A,60B,70B)들의 길이방향 각 일면에 순차적으로 크거나 작도록 관통되어 상기 조립탁자(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에 의해 조명 빛이 조립탁자(100)의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빛 투과공(16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A, 20A, 30A, 40A, 50A, 60B, 70 : 단위 목조유닛
11, 21, 31, 41, 51, 61, 71 : 몸체
12, 22, 32, 42, 52, 62, 63, 72,73 : 조립 연결홈
13, 14 : 조립돌기
33, 34 : 경사 돌기
35, 36 : 직각 돌기
37, 43, 44, 53, 54, 74 : 쐐기홈
100 : 조립탁자 110 : 상판 조립부재
120, 120' : 전·후판 연결부재 130, 130' : 측판 연결부재
140 : 보조 연결부재 150 : 간격 틈
160 : 빛 투과공

Claims (8)

  1.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호 끼워 맞추어져 격자 형태로 조립되기 위한 여러 개의 단위 목조유닛(10A,20A,30A,40A,50A,60B,70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 목조유닛 중 일부 단위 목조유닛(10A)(20A)(60B)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상부를 이루기 위한 상판 조립부재(110)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 중 일부 단위 목조유닛(10A)(30A)(70B)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정면 및 후면을 이루기 위한 전·후판 조립부재(120)(120')와;
    상기 단위 목조유닛 중 일부 단위 목조유닛(40A)(50A)(70B)의 조합으로 조립되어 좌우측면을 이루기 위한 측판 조립부재(130)(130')를 포함하여 박스형태의 조립탁자(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탁자(100)는,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20A,30A,40A,50A,60B,70B)들의 조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단위 목조유닛(10A,20A,30A,50A,60B,70B)들 사이에 상기 조립탁자(100)의 내부가 보이도록 간격 틈(150)을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목조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상기 조립탁자(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에 의해 조명 빛이 상기 조립탁자(100)의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는 빛 투과공(16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10A)은,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조각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12)과;
    상기 몸체(1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양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조각되는 조립돌기(13)(14)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30A)은,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일측 길이방향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32)과;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돌출되어 조립을 위한 경사 돌기(33)(34) 및 직각 돌기(35)(36)와;
    상기 조립 연결홈(32)의 각 내면에 일체로 양측으로 경사각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37)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40A)은,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일측 길이방향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42)과;
    상기 몸체(4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직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43)(44)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50A)은,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52)과;
    상기 몸체(51)의 길이방향 양측끝단부에 경사각으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53)(54)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60B)은,
    길이방향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62)(63)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목조유닛(70B)은,
    길이방향의 길이가 짧은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양측 전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 연결홈(72)(73);
    상기 몸체(71)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조각되는 조립을 위한 쐐기홈(74)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탁자.
  8. 삭제
KR1020120035090A 2012-04-04 2012-04-04 장식용 조립탁자 KR10140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90A KR101402860B1 (ko) 2012-04-04 2012-04-04 장식용 조립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90A KR101402860B1 (ko) 2012-04-04 2012-04-04 장식용 조립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93A KR20130112593A (ko) 2013-10-14
KR101402860B1 true KR101402860B1 (ko) 2014-06-27

Family

ID=4963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90A KR101402860B1 (ko) 2012-04-04 2012-04-04 장식용 조립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301B1 (ko) * 2017-04-05 2018-01-08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구조
KR101816300B1 (ko) * 2017-04-05 2018-01-30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34B1 (ko) * 1996-09-25 1999-06-15 김용춘 조립식 가구
JP2001149195A (ja) * 1999-11-30 2001-06-05 Suzuki Shiyoufuudou:Kk 組立式構造物用ユニット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34B1 (ko) * 1996-09-25 1999-06-15 김용춘 조립식 가구
JP2001149195A (ja) * 1999-11-30 2001-06-05 Suzuki Shiyoufuudou:Kk 組立式構造物用ユニット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93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285098B6 (sk) Usporiadanie profilov na montáž výstavných alebo predajných zariadení
JP2020513261A (ja) 引出し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JP2011526499A (ja) 壁要素
KR20110101969A (ko) 목재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제품
KR101402860B1 (ko) 장식용 조립탁자
JP2013518621A (ja) 引出し収納部
JP2008119407A (ja) 袖付きデスク装置
US11771225B2 (en) Articles with one or more viewable objects therein
KR101848083B1 (ko) 중간대를 구비한 중공문짝
JP2010022864A (ja) テーブル用脚装置及びテーブル
JP2007146505A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等のパネル
JP4145543B2 (ja) 商品陳列棚における支柱構造
JP6178260B2 (ja) 組立式デスク
JP3105615U (ja) フレームのジョイント構造
JP2018146034A (ja) 組立構造体および什器
KR102376346B1 (ko) 프레임 연결구
JP2011185040A (ja) 引戸装置
KR200382219Y1 (ko) 가구용 백-플레이트 결합구조
JP2018102468A (ja) 棚板の固定構造および棚板の施工方法
CN212415235U (zh) 一种柜体围脚
KR20090011062U (ko) 가구용 패널의 코너 마감부재
KR20130064343A (ko) 경량화 및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욕실용의 거울조립체
JP3217169U (ja) インテリア用品
JP6638156B2 (ja) 天板付き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