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539B1 - 소성용기 - Google Patents

소성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539B1
KR101402539B1 KR1020120040311A KR20120040311A KR101402539B1 KR 101402539 B1 KR101402539 B1 KR 101402539B1 KR 1020120040311 A KR1020120040311 A KR 1020120040311A KR 20120040311 A KR20120040311 A KR 20120040311A KR 101402539 B1 KR101402539 B1 KR 10140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ing
container
vessel
firing container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272A (ko
Inventor
도영훈
배명훈
정석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539B1/ko
Priority to US13/829,666 priority patent/US9534847B2/en
Publication of KR2013011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소성용기로, 상기 소성용기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 및 상기 소성용기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이격시키되 상기 이웃하는 소성용기가 서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성용기 {FIRING CONTAINER}
본 발명은 소성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의 전극활물질을 효과적으로 소성할 수 있는 소성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성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성용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데 사용되기로 한다.
통상, 전극활물질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에 의한 신뢰성 및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인자로 작용한다. 이때, 전극활물질은 소성공정을 통하여 이차전지에 적합하도록 변형시키는 데 상기 소성공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이차전지의 신뢰성 및 안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안전성의 경우에는 이차전지를 사용시 발화, 또는 폭발 등의 원인이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구성을 갖는 소성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을 효율적으로 소성할 수 있는 소성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소성용기로, 상기 소성용기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 및 상기 소성용기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이격시키되 상기 이웃하는 소성용기가 서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돌기부는 이웃하는 소성용기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외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의 모서리는 라운드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소성용기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측면에 모든 모서리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의 돌출길이는 3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는 제1 면이 개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통공부는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이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통공부와 모서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이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통공부와 소성용기의 하부변 사이에서 상기 하부변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는, 일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성용기그룹; 및 일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로 이루어지고, 기 제1 소성용기그룹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제2 소성용기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소성용기그룹은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서로 대응하도록 정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소성용기그룹은 적층되어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는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소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한 구성을 갖는 소성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을 효율적으로 소성할 수 있는 소성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가 복수개 정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소성용기가 정렬된 모습의 상면도.
도 3b는 도 1의 소성용기가 정렬된 모습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가 정렬된 모습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평면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가 복수개 정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110)는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소성용기 (110)로, 상기 소성용기 (110)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 (112); 및 상기 소성용기 (11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 (1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 (111)는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110)를 이격시키되 상기 이웃하는 소성용기 (110)가 서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소성용기 (110)가 복수개 정렬된 모습 (100)에서, 상기 돌기부 (111)는 이웃하는 소성용기 (110)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성용기 (110)는 제1 면이 개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통공부 (112)는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성용기 (110)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이고, 상기 돌기부 (111)는 상기 소성용기 (110)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통공부 (112)와 모서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소성용기 (110)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 (111)는 상기 소성용기 (110)의 외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차전지는 내부에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에 전해액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해액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호일 등을 이용한 기재에 양극활물질 또는 음극활물질을 코팅하여 제작된다. 상기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활물질은 이차전지의 용량을 비롯한 신뢰성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상기 전극활물질의 순도 및 목표상태도달여부는 이차전지에 주된 제어인자가 된다. 특히, 양극활물질은 리튬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된다. 상기 리튬은 반응성이 매우 커 폭발 또는 발화의 원인이 되어 산업재해를 유발한다. 또한, 리튬은 상온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쉽게 변질되어 하나의 배치 내에서 전극활물질의 특성이 일정하지 못하게 구현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해 왔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을 이차전지에 적합하도록 소성하는데 사용되는 소성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성용기는 전극활물질의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상기 전극활물질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활물질을 가공시에 발생할 수 있는 폭발 또는 발화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의 제조시 공정효율뿐 아니라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성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용기를 이용한 전극활물질의 경우 상기 전극활물질의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배치 내의 전극활물질을 이용하는 이차전지의 특성 또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성용기 (110)는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소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 (110)가 복수개 정렬된 모습 (100)을 참조하면, 소성용기 (11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 (111)는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110a, 110b)를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돌기부 (111)는 소성용기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110a, 110b)에서 상기 돌기부 (111)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110a, 110b)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돌기부 (111)는 소성용기 (110)의 통공부 (112)를 사이에 두고 양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 (111)의 돌출길이 (L)는 3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 (111)의 돌출길이 (L)가 3mm 미만인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문제가 된다. 즉, 상기 소성용기 내에 구비되는 전극활물질을 소성시 사용되는 가스의 유입, 또는 소성후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등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극활물질이 균일하게 소성되지 않는다. 심할경우에는 가장 내측에 위치한 소성용기에는 가스가 유입되지 못하여 전극활물질이 소성되지 않은 수 있다. 또한, 돌기부 (111)의 돌출길이 (L)가 15mm 초과인 경우에는, 전극활물질의 소성에 관여하는 가스의 유입 또는 배출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소성용기 사이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증대되어 복수개가 정렬된 소성용기가 제한요건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전극활물질을 다량으로 소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상기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소성기 내부의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가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공정비가 증가된다.
도 3a는 도 1의 소성용기가 정렬된 모습의 상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소성용기가 정렬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소성용기 (110)는 일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 (110)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성용기그룹 (A); 및 일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 (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성용기그룹 (A)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제2 소성용기그룹 (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성용기그룹 (A)과 제2 소성용기그룹 (A, B)은 상기 돌기부 (111)에 의하여 서로 대응하도록 정렬되어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소성용기그룹 (A, B)은 적층되어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X (반응물 1) + Y (반응물 2) + 산소 (가스 1) → A (생산물) + 이산화탄소 (가스 2)
이차전지의 전극활물질은 위와 같은 반응식에 따라 소성되며, 예컨대 RHK (Roller Hearth Kiln)형 소성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통상의 소성용기는 적증하지 못하고, 1단으로만 정렬하여 사용해 왔는데, 상기 소성용기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소성시 사용되거나 방출되는 가스 1 및 가스 2의 흐름이 자유롭지 못하여 공정에 문제가 된다. 또한, 상기 전극활물질을 균일하게 소성하기 위해서 소정의 부피를 갖는 소성용기를 복수개 사용해 왔는데, 이때 소성용기 사이를 정렬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해왔고, 이에 의하여 공정효율을 저하시켰다.
소성용기 (110)가 복수개 정렬된 모습 (100)을 참조하면, 소성용기 (110)에는 통공부 (11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 및 제2 소성용기그룹 (A, B)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도, 상기 통공부 (112)를 통하여 산소 등과 같은 가스 1이 자유롭게 소성용기 (1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활물질의 소성 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가스 2의 경우에도, 상기 통공부 (112)를 통하여 자유롭게 유출될 수 있으므로, 전극활물질을 용이하게 소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성용기 (110)는 돌기부 (111)에 의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공간에 의하여 가스 1 및 가스 2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전극조립체를 대량의 양을 효과적으로 소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a 내지 도 9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210)는 통공부 (212)와 상기 소성용기 (21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 (211)가 구비된다. 돌기부 (211)는 이웃하는 소성용기 (210a, 210b)를 이격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돌기부 (211)는 소성용기 (210a, 210b)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 (210)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 (211)는 상기 소성용기 (211)의 외부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 (211)는 상기 소성용기 (210)의 측면에 모든 모서리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 (211)가 사각형의 측면의 4개의 모서리에 모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웃하는 소성용기 (210a, 210b) 사이에 균일하지 않은 힘으로 정렬시켜도 상기 소성용기 (210)의 정렬이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소성용기 (210)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성용기 (210)의 크기가 소정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기부 (211)는 복수개의 소성용기 (210)의 정렬을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가 정렬된 모습의 상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310)는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 (310)가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제1 소성용기그룹 (A) 및 제2 소성용기그룹 (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소성용기그룹 (A, B)는 돌기부 (311)에 의하여 이격되어 서로 정렬된다. 이때, 상기 소성용기 (310)의 모서리 (313)는 라운드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 (310)가 라운드되어 구비되므로, 서로 정렬된 소성용기 (310)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 (S)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성용기 (310)를 통하여 가스 들의 유입 및 유출이 더 활발해지므로, 소성용기 (310)의 개수의 제약이 없으므로, 다량의 전극활물질을 용이하게 소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410)는 통공부 (412)와 돌기부 (41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돌기부 (411)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 (410)의 돌기부 (411)은 소정의 돌출길이를 갖도록 상기 소성용기 (410)의 외부에서 돌출되어 이웃하는 소성용기 (410)를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돌기부 (41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소성용기 (410)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표지를 추가하지 않고도, 전극활물질별로 해당하는 소성용기 (410)를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510)에서,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510a, 510b)는 상기 소성용기 (510)의 외면에 돌출되는 돌기부 (511)가 서로 대면하도록 정렬된다. 예컨대, 상기 돌기부 (511)는 상기 소성용기 (510)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소성용기 (510)의 깊이가 깊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소성용기 (510)를 서로 정렬시키는 데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 (510a, 510b)의 상부측을 정렬시키면 하부측이 정렬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소성용기 (510)를 적층시 소성용기의 정렬이 무너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510)는 돌기부 (511)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므로 소성용기 (510)의 깊이에 무관하게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용기 (610)는 통공부 (612)와 돌기부 (6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 (610)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이고, 상기 통공부 (612)는 개구된 제1 면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 (611)는 상기 소성용기 (610)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통공부 (612)와 소성용기 (610)의 하부변 (613) 사이에서 상기 하부변 (613)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성용기 (610)가 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소성용기 (610)의 측면측에서 돌기부 (611)를 상기 소성용기 (610)의 세로방향으로 구비시키는 데 공간적인 제약이 되어 소성용기 (610)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 (611)는 소성용기 (610)의 측면에서 상기 소성용기 (610)의 하부변 (613)에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돌기부 (611)는 소성용기 (610)가 측면측 공간에 제약없이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210, 310, 410, 510, 610: 소성용기
111, 211, 311, 411, 511, 611: 돌기부
112, 212, 612: 통공부

Claims (15)

  1. 전극활물질을 소성하는 소성용기로,
    상기 소성용기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 및
    상기 소성용기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는 서로 이웃하는 소성용기를 이격시키되 상기 이웃하는 소성용기가 서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소성용기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외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소성용기의 모서리는 라운드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공부는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소성용기의 외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는 각각 상기 통공부와 상기 모서리 사이에 구비되는 소성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이웃하는 소성용기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소성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소성용기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소성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측면에 모든 모서리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소성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모서리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소성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출길이는 3mm 내지 15mm인 소성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소성용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용기는 제1 면이 개구된 육면체이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성용기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통공부와 소성용기의 하부변 사이에서 상기 하부변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소성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용기는,
    일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성용기그룹; 및
    일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소성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성용기그룹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제2 소성용기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소성용기그룹은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서로 대응하도록 정렬되어 이격되는 소성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소성용기그룹은 적층되어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성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용기는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소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용기.
KR1020120040311A 2012-04-18 2012-04-18 소성용기 KR10140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11A KR101402539B1 (ko) 2012-04-18 2012-04-18 소성용기
US13/829,666 US9534847B2 (en) 2012-04-18 2013-03-14 Firing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11A KR101402539B1 (ko) 2012-04-18 2012-04-18 소성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72A KR20130117272A (ko) 2013-10-25
KR101402539B1 true KR101402539B1 (ko) 2014-05-30

Family

ID=4938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11A KR101402539B1 (ko) 2012-04-18 2012-04-18 소성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34847B2 (ko)
KR (1) KR101402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385A (zh) * 2012-12-24 2014-07-02 外杰希有限公司 热循环和安全性提高的耐火材料容器
CN109186266B (zh) * 2017-03-02 2021-04-30 广州市阳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式锂电池正极材料装钵用分块装置
CN107883774A (zh) * 2017-11-22 2018-04-06 江门市科恒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高温反应用匣钵
KR102067579B1 (ko) * 2018-10-19 2020-02-11 (주)포스코케미칼 이차전지 활물질 합성용 내화갑
US20240110310A1 (en) * 2021-02-01 2024-04-04 Sm Lab Co., Ltd. Crucible and crucible assembly, for preparing cathode active materi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182A (ja) 2001-12-28 2003-07-15 Tdk Corp 被焼成セラミック成形体収容搬送用さや及びそれを使用するセラミック成形体の焼成方法
KR101177545B1 (ko) 2011-04-19 2012-08-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4468A (en) * 1920-03-26 1921-07-12 Ray Y Cliff Saggar
US1566070A (en) * 1925-03-27 1925-12-15 R Thomas & Sons Company Sagger
US2369756A (en) * 1941-12-20 1945-02-20 American Steel & Wire Co Base for metallurgical furnaces and the like
US2738564A (en) * 1954-12-15 1956-03-20 Edward J Guinane Ceramic tile stackers
IT977579B (it) * 1973-01-05 1974-09-20 S I R M A Soc Italiana Refratt Supporto costituito da elementi modulari componibili in materia le refrattario per cottura di prodotti ceramici in genere particolarmente monocottura di piastrelle ceramiche
US4008997A (en) * 1975-07-14 1977-02-22 Leco Corporation Sagger
US3988107A (en) * 1975-08-12 1976-10-26 Ferro Corporation Sagger construction
US5752821A (en) * 1996-07-02 1998-05-19 Kia Motors Corporation Tray for heat treatment furnace
US5935665A (en) * 1996-10-29 1999-08-10 Magneco/Metrel, Inc. Fir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159102B1 (ko) 2008-01-16 2012-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산화물 제조용 소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8406B1 (ko) 2009-08-07 2017-06-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양극 활물질의 제작 방법
DE102009037293B4 (de) * 2009-08-14 2013-05-23 Gtd Graphit Technologie Gmbh Verbesserter Werkstückträger
CA2751934A1 (en) * 2010-09-10 2012-03-10 Alcon Industries, Inc. Furnace furniture
CN103900385A (zh) * 2012-12-24 2014-07-02 外杰希有限公司 热循环和安全性提高的耐火材料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182A (ja) 2001-12-28 2003-07-15 Tdk Corp 被焼成セラミック成形体収容搬送用さや及びそれを使用するセラミック成形体の焼成方法
KR101177545B1 (ko) 2011-04-19 2012-08-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72A (ko) 2013-10-25
US20130280667A1 (en) 2013-10-24
US9534847B2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539B1 (ko) 소성용기
CN107394063B (zh) 二次电池
CN209249548U (zh) 一种电池模块及电池包
EP2860810B1 (en) Stepped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tep unit cell
US9735408B2 (en) Secondary battery
EP2752916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US9520618B2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EP2849262B1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EP2849273B1 (en) Electrode lamina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US20150086842A1 (en) Battery pack of irregular structure
EP2766940B1 (en) Case system, battery and battery rack with improved stacking
EP2786438B1 (en) Case system, battery and battery rack with improved stacking
EP3800727A1 (en) Energy storage module
US20140227579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excellent degree of freedom in shape thereof in thickness direction, secondary cell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electrode assembly
KR101156541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07967212U (zh) 一种卷绕式电芯和电池
KR20240023075A (ko) 음극판,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6169798B2 (ja) 漏洩経路遮断用隆起部が形成されている安全ベントを含むキャップ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11713925B2 (en) Sagger for firing secondary battery 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ctive material using same
CN209249549U (zh) 一种电池包
KR102208717B1 (ko) 하부 안전 벤트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
JP7459478B2 (ja) 匣鉢および匣鉢充填物、並びにリチウム金属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KR20180048522A (ko) 리튬 이차전지 활물질 소성용 내화갑 및 이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CN106797045B (zh) 包括具有与阶梯式电极组件相对应的凸起的电池壳体的电池
US9484560B2 (en) Electric device having a round corner and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