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545B1 -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545B1
KR101177545B1 KR1020110036436A KR20110036436A KR101177545B1 KR 101177545 B1 KR101177545 B1 KR 101177545B1 KR 1020110036436 A KR1020110036436 A KR 1020110036436A KR 20110036436 A KR20110036436 A KR 20110036436A KR 101177545 B1 KR101177545 B1 KR 10117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gas
reaction vessel
active material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정
전충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옥산아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옥산아이엠티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Phosphates containing plural metal, or metal and amm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01D15/08Carbonates; Bi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반응을 위한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소성로와, 상기 소성로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양극활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공간의 상부로 공기와 반응가스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과, 상기 반응공간의 하부로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을 배기하는 가스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Heat treatment apparatus for producing high reactivity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혼합된 재료를 가열 및 반응시에 반응열의 대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합성률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전지 특성을 갖도록 한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가역적으로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양극 및 음극으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하며,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탈리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평균 방전 전위가 3.7V, 즉 4V대의 전지로서 3C이라 일컬어지는 핸드폰, 노트북, 캠코더 등에 급속도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심장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으나,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덴드라이트(dendrite)의 형성으로 인한 전지 단락에 의해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리튬 금속 대신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양극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 LiMn2O4 , LiNiO2, LiNi1-x Cox O2 (0< x< 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양극활물질 중 LiMn2O4 , LiMnO2 등의 Mn계 양극활물질은 합성하기도 쉽고, 값이 비교적 싸며, 환경에 대한 오염도 적어 매력이 있는 물질이기는 하나, 용량이 작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LiNiO2 는 위에서 언급한 양극활물질 중 가장 값이 싸며, 가장 높은 방전 용량의 전지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합성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안고 있다.
LiCoO2 는 양호한 전기 전도도와 높은 전지 전압 그리고 우수한 전극 특성을 보임에 따라, 현재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로 95% 이상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방전 평탄성이 훌륭하여 전지에 적용시 안정된 전기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LiCoO2 는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으며, 코발트(Co)를 사용함에 따라 환경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방전 커브의 모양이 "ㄱ자" 모양으로 방전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잔류 방전량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기가 힘들어 관리하는데 불리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LiCoO2 를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방법 중 하나가 LiNiO2 이다.
그러나, LiNiO2는 가격이 저렴하고 방전 용량이 큰 장점은 있으나, LiCoO2 와는 달리 방전 말기에 급격한 용량 감소(테일링(tailing) 현상)이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LiNiO2 는 충전 상태에서 열적 안정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 활물질을 전지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전지 관통 등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또한 고율에서 용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등의 충방전 속도에 따른 전기 화학적 특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된 재료를 가열 및 반응시에 열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합성률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전지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성장치 내부에서 재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반응용기에 이격부와 공기순환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수 층으로 적층하거나 다수 열 및 다수 횡으로 배열하더라도 반응열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반응을 위한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소성로와, 상기 소성로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양극활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공간의 상부로 공기와 반응가스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과, 상기 반응공간의 하부로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을 배기하는 가스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용기 일측에는, 상기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반응용기와 외면 일부가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적층되는 반응용기의 하면과 이격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 유입을 안내하는 기체유입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부는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 이격부는 각각 상기 몸체의 외면 중 2면 이상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부는 몸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유입부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이격부가 이격된 거리와 같거나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성로 일측에는 반응공간 내부로 반응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은 소성로의 반응공간 내부 벽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은 이송수단에 안착된 반응용기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공간에는 열 유동을 차단하는 격벽이 구비되어 다수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반응공간은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는, 혼합된 저가의 재료를 가열 및 반응시에 열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합성률이 높아지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우수한 전지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재료의 반응시간을 단축하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게 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비교예의 반응용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반응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반응용기의 적층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실시예의 반응용기와 비교예의 반응용기에 수용된 재료에 대한 온도 변화 및 산소 분포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표.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의 일 구성인 반응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비교예의 반응용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반응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에서 반응용기의 적층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응용기(10)는 세라믹으로 성형되어 내부에 양극활물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몸체(12) 내부에는 반응에 의해 양극활물질을 만들어내기 위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4)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용기(10)는 재료의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 첨부된 도 1의 비교예의 반응용기(1)의 다수 곳을 개선하였다.
즉, 도 1의 반응용기(1)의 경우 소성로(120) 내부에 장입시에 적층하는 경우 하측에 깔려있는 반응용기(1) 내부에는 반응을 위한 가스와 공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반응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응용기(10)에는 소성로(120) 내부의 열기가 수용공간(14)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2)의 외측 모서리에는 이격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이격부(16)는 몸체(12)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2)의 외면 중 적어도 2면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용기(10) 다수를 다수열 및 다수횡으로 배열하고 그 위에 다수 층을 적층하게 되더라도 이격부(16)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공기 및 반응가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반응용기(10)는 인접하는 반응용기(10)의 이격부(16)와 접촉함으로써 이격부(16)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서로 벌어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부(16)는 몸체(12)의 외면 중 2개의 측면만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이격부(16)의 하단부를 더 연장하여 상기 몸체(12)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한 반응용기(10)의 상당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이격부(16)는 몸체(12)의 하면 모서리부를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감쌈으로써 하측에 위치하는 몸체(12)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몸체(12)의 하면이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2)의 상단부에는 기체유입부(18)가 구비된다. 상기 기체유입부(18)는 수용공간(14) 내부로 기체의 유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12)의 상단부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도록 절제(切除)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반응용기(10)가 다수 층으로 적층되더라도 상기 기체유입부(18)를 통해 수용공간(14) 내부로 반응기체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재료의 반응률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체유입부(18)는 수용공간(14)의 용적을 고려하여 너무 하측으로 깊게 함몰되는 것은 제한되며, 한 쌍의 이격부(16)가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거나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다수개의 반응용기(10)가 종/횡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이격부(16) 사이를 통해 유동하는 기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공간(14)으로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반응용기(10)를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소성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일부를 확대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이하 '소성장치(100)'라 칭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성장치(100)는 전술한 재료를 반응용기(10)에 혼합하여 장입하고, 열을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양극활물질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재료는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LiFePO4 + 0.5 Li2CO3 + 0.5C = LiFePO4 + 0.5CO2 + 0.5CO
6Li2CO3 + 4 CO3O4+ O2 = 12Li2CO3 + 6 CO2
그리고, 상기 소성장치(100)는 반응용기(10)의 구조 개선 뿐만 아니라,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재료의 반응률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소성장치(100)는 반응공간(122)에 제공된 열기가 재료의 반응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측에서 반응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고, 하측으로 CO2 가스 및 CO 가스가 배기되도록 구성하였다.
즉, 열기로 가득찬 반응공간(122)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기체는 상측에 위치하고, 하측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기체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료의 반응시에 생성되는 CO2 가스 및 CO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반응공간(122) 내부의 하측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성장치(100)는 상측을 통해 반응공간(122) 내부로 반응기체 및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하측으로는 CO2 가스 및 CO 가스를 배기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반응공간(122)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하부의 기체를 배기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성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소성장치(100)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반응을 위한 반응공간(122)을 형성하는 소성로(120)와, 상기 소성로(120)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수단(140)과, 상기 양극활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는 반응용기(10)와, 상기 반응용기(10)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160)과, 상기 반응공간(122)의 상부로 공기와 반응가스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170)과, 상기 반응공간(122)의 하부로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을 배기하는 가스배기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성로(120)는 내부에 반응공간(122)이 형성되어 상기 반응용기(10)가 장입되며,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상기 반응용기(10)를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반응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성로(120)는 격벽(124)이 구비되어 반응공간(122)을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124)에 의해 구획된 반응공간(122)들은 서로 다른 온도 조건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소성로(120) 내부에는 상기 재료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발열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발열수단(140)은 반응공간(122) 내부에 다수로 구비되어 반응공간(122) 내부에 열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수단(140)은 전원 인가시에 발열하는 발열체를 채택하였으며, 개별적으로 발열량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서로 구획된 다수의 반응공간(122)은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열수단(140)은 반응용기(10)의 다양한 배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수단(140)은 도 4와 같이 상기 반응용기(10)가 반응공간(122)의 중앙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층으로 적재된 경우 반응용기(10) 상/하부에서 열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2열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발열수단(140)의 상측에는 이송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수단(160)은 도 5와 같이 다수의 롤러를 이격 배치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토록 함으로써 상측에 안착된 반응용기(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160) 역시 다수의 열로 배치하여 반응공간(122) 내부에 보다 많은 반응용기(10)를 장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성로(120)의 상측 및 하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기체공급수단(170) 및 가스배기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기체공급수단(170)과 가스배기수단(180)은 소성로(120) 내부에 장입된 재료의 반응률은 높이고, 열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CO2 가스 및 CO 가스의 효율적인 배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기체공급수단(170)은 상기 소성로(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반응공간(122)의 상측을 통해 하방향으로 공기 및 반응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가스배기수단(180)은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CO2 가스 및 CO 가스가 반응공간(122)의 하부로 모임에 따라 소성로(120)의 하측에서 배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기체공급수단(170)과 가스배기수단(18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기체공급수단(170)은 산소, 질소 등의 반응가스를 공급을 위한 탱크(172)와 연통하도록 연결된 급기덕트(176)와, 상기 급기덕트(176)를 따라 유동하는 반응가스를 소성로(120)로 분지하여 안내하는 분지관(177)과, 상기 소성로(120) 내부로 유입되는 반응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체공급수단(170)은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가 채택될 경우에는 풍력을 발생하는 팬조립체를 급기덕트(176)에 구비하여 소성로(120) 내부에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스배기수단(180)은 도 5와 같이 반응공간(122) 내부의 CO2 가스 및 CO 가스가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재료의 효율적인 반응을 위해 반응공간(122)의 하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게 된다.
즉, 상기 반응공간(122) 내부에서 전술한 반응식에 의해 양극활물질이 생성될 때 CO2 가스 및 CO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CO2 가스 및 CO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우며, 양극활물질 생성에 방해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배기수단(180)은 반응공간(122) 내부에서 하측에 위치한 기체를 배기함으로써 CO2 가스 및 CO 가스가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배기수단(180)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배기모터(182)와, 상기 배기모터(182)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기체의 유동을 강제하는 배기팬(184)과, 상기 배기팬(184)에 의해 유동하는 기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소성로(120)의 내부 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186)와, 상기 배기덕트(186)의 내부 일측에서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기모터(182)는 힘전달부재(183)를 통해 상기 배기팬(184)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배기팬(184)은 회전시 발생한 흡입력이 배기덕트(186)로 손실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우징(185)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85)은 배기덕트(186)의 내부와 연통하여 배기덕트(186) 내부의 기체를 하우징(185)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게 되며, 상기 배기덕트(186)는 다수로 분지되어 상기 소성로(120) 내부의 기체를 여러 곳에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배기덕트(186)의 상측으로는 배기분지관(187)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분지관(187)의 상단부는 소성로(120) 내부와 연통하게 된다.
상기 기체공급수단(170)은 상기 소성로(120)가 다수의 반응공간(122)으로 구획됨에 따라 다수로 구비하여 서로 다른 양의 기체가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가스배기수단(180)은 하우징(185) 내부로 흡입된 가스가 미리 준비된 가스처리설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성로(120)에는 적층된 반응용기(10) 내부로 열기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즐(1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노즐(190)은 소성로(120) 내부로 공기 또는 반응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소성로(120)의 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노즐(190)은 다수로 구비되어 공기 또는 반응가스가 소성로(120) 내부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190)은 기체유입부(18)와 동일한 높이 또는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상기 노즐(190)은 2층으로 적층된 반응용기(10)의 경우 상측에 위치한 반응용기(10)는 급기분지관(177)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및 반응가스를 공급받아 활발한 반응이 가능하나, 하측에 깔려 있는 반응용기(10) 내부의 재료는 충분한 공기 및 반응가스를 공급받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190)은 기체유입부(18)를 통해 수용공간(14) 내부로 공기 및 반응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체유입부(18)와 대응되는 높이 또는 조금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190)은 반응용기(10)가 2층으로 적층됨에 따라 1열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반응용기(10)가 3층 이상으로 적층시에는 상기 노즐(190)을 2열이상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노즐(19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다수의 배관(192)을 통해 공기 및 반응가스의 분사가 가능하며, 상기 배관(192)은 탱크(172)와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반응가스의 유입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의 미설명부호 30은 냉각부로서 상기 소성로(120) 내부를 이송하면서 재료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양극활물질을 냉각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냉각하도록 구성되며, 다양한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소성장치(100)를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반응용기(10) 내부에는 재료가 담겨지며, 재료가 담겨진 다수의 반응용기(10)는 도 3과 같이 다수 층으로 적층된 후 상기 반응공간(122) 내부로 장입된다.
상기 반응공간(122) 내부로 장입된 반응용기(10)는 이송수단(16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송하여 첨부된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격벽(124)은 차폐되어 서로 인접한 반응공간(122)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발열수단(140)은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하게 되며, 상기 탱크(172)는 개방되어 상기 급기덕트(176)를 통해 소성로(120) 내부에 공기 또는 반응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노즐(190)은 소성로(120)의 측면에서 내부로 공기 또는 반응가스를 공급함으로써 하측에 깔려 있는 반응용기(10)의 기체유입부(18)를 통해 수용공간(14) 내부로 공기 또는 반응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재료는 서로 다른 온도로 관리되는 소성로(120)를 거치면서 반응이 활성화되어 점차 양극활물질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반응공간(122) 내부에는 CO2 가스 및 CO 가스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배기수단(180)은 소성로(120) 내부의 CO2 가스 및 CO 가스를 흡입하여 배기함으로써 반응률의 저하를 미연에 차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소성장치(100)를 이용하되 실시예의 반응용기(10)와 비교예의 반응용기(10)를 적층하여 양극활물질을 제조할 때 효과를 대비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100)에서 실시예의 반응용기(10)와 비교예의 반응용기(10)에 수용된 재료의 온도 변화 및 산소 분포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도 8과 같이 비교예의 반응용기(1)에 담긴 재료는 1100K에 도달하는데 33분이 소요되었고, 실시예의 반응용기(10)에 담긴 재료는 1100K에 도달하는데 30분이 소요되어 3분의 시간 단축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채용된 이격부(16)와 기체유입부(18)에 의해 수용공간(14) 내부에 공기 및 반응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나타난 효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소성로(120) 내부의 산소 농도를 살펴보면, 비교예의 반응용기(1)가 채택된 경우에는 아래에 깔려있는 반응용기(1) 내부로 공기 및 반응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산소 농도가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공기 및 반응가스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좌/우 간의 농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반응용기(10)를 적층한 경우에는 하측에 깔려있는 반응용기(10) 내부에도 공기 및 반응가스의 유입이 원활하여 산소 농도가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소성로(120)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아도 비교예와 대비할 때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의 반응용기(10)와 공기 및 반응가스의 유동 경로를 채택시에 양극활물질의 반응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결과와 일맥상통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반응용기 12. 몸체
14. 수용공간 16. 이격부
18. 기체유입부 100. 소성장치
120. 소성로 122. 반응공간
124. 격벽 140. 발열수단
160. 이송수단 170. 기체공급수단
176. 급기덕트 177. 분지관
180. 가스배기수단 182. 배기모터
183. 힘전달부재 184. 배기팬
185. 하우징 186. 배기덕트
187. 배기분지관 190. 노즐
192. 배관

Claims (10)

  1.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반응을 위한 반응공간을 형성하는 소성로와,
    상기 소성로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양극활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공간의 상부로 공기와 반응가스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과,
    상기 반응공간의 하부로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을 배기하는 가스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기 일측에는,
    상기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반응용기와 외면 일부가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적층되는 반응용기의 하면과 이격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 유입을 안내하는 기체유입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 이격부는 각각 상기 몸체의 외면 중 2면 이상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몸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입부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이격부가 이격된 거리와 같거나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로 일측에는 반응공간 내부로 반응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소성로의 반응공간 내부 벽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이송수단에 안착된 반응용기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공간에는 열 유동을 차단하는 격벽이 구비되어 다수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반응공간은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KR1020110036436A 2011-04-19 2011-04-19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KR10117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36A KR101177545B1 (ko) 2011-04-19 2011-04-19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36A KR101177545B1 (ko) 2011-04-19 2011-04-19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545B1 true KR101177545B1 (ko) 2012-08-27

Family

ID=4688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436A KR101177545B1 (ko) 2011-04-19 2011-04-19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54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39B1 (ko) 2012-04-18 2014-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소성용기
US20140178827A1 (en) * 2012-12-24 2014-06-26 Yjc Co., Ltd. Fireproof container improved in circulation of heat and safety of use
WO2014149898A1 (en) * 2013-03-15 2014-09-25 Applied Materials, Inc. Complex showerhead coating apparatus with electrospray for lithium ion battery
KR101541868B1 (ko) * 2014-12-16 2015-08-06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전지용 활물질의 소성공정에서 소성용 기체를 공급하는 장치
WO2017217625A1 (ko) * 2016-06-13 2017-12-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활물질 소성용 내화갑 및 이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KR20180048522A (ko) * 2018-04-27 2018-05-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활물질 소성용 내화갑 및 이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KR20180074127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로의 급기방법 및 그 급기장치
WO2019107651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KR101993209B1 (ko) * 2018-05-25 2019-06-27 주식회사 한화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용 열처리로
WO2020130669A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용 소성로 및 이차전지 양극재의 소성 방법
KR20200079239A (ko) * 2017-09-13 2020-07-02 원준 써멀 솔루션즈 게엠베하 재료의 열적 또는 열 화학적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00077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엘 앤 에프 전극 활물질 제조용 소성 용기
WO2022163888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에스엠랩 양극활물질 제조용 도가니 및 도가니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385A (ja) 2001-02-22 2002-09-06 Ibiden Co Ltd 焼成炉、焼成炉における一酸化珪素の除去方法、及び炭化珪素製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497798B1 (ko) 2000-10-19 2005-06-28 핵융합 과학연구소장이 대표하는 일본 소성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98B1 (ko) 2000-10-19 2005-06-28 핵융합 과학연구소장이 대표하는 일본 소성로
JP2002249385A (ja) 2001-02-22 2002-09-06 Ibiden Co Ltd 焼成炉、焼成炉における一酸化珪素の除去方法、及び炭化珪素製フィルタの製造方法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4847B2 (en) 2012-04-18 2017-01-03 Samsung Sdi Co., Ltd. Firing containers
KR101402539B1 (ko) 2012-04-18 2014-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소성용기
US20140178827A1 (en) * 2012-12-24 2014-06-26 Yjc Co., Ltd. Fireproof container improved in circulation of heat and safety of use
CN103900385A (zh) * 2012-12-24 2014-07-02 外杰希有限公司 热循环和安全性提高的耐火材料容器
WO2014149898A1 (en) * 2013-03-15 2014-09-25 Applied Materials, Inc. Complex showerhead coating apparatus with electrospray for lithium ion battery
US9685655B2 (en) 2013-03-15 2017-06-20 Applied Materials, Inc. Complex showerhead coating apparatus with electrospray for lithium ion battery
KR101541868B1 (ko) * 2014-12-16 2015-08-06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전지용 활물질의 소성공정에서 소성용 기체를 공급하는 장치
US11152603B2 (en) 2016-06-13 2021-10-19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Saggar for firing activ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erial using same
WO2017217625A1 (ko) * 2016-06-13 2017-12-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활물질 소성용 내화갑 및 이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KR101901314B1 (ko) * 2016-12-23 2018-09-21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로의 급기방법 및 그 급기장치
KR20180074127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로의 급기방법 및 그 급기장치
JP7461291B2 (ja) 2017-09-13 2024-04-03 ウォンチュ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材料を熱的又は熱化学的に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US11938473B2 (en) 2017-09-13 2024-03-26 Onejoon Gmbh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or thermo-chemical treatment of material
CN111372674B (zh) * 2017-09-13 2022-11-22 元峻有限公司 用于对材料进行热处理或热化学处理的装置和方法
KR20200079239A (ko) * 2017-09-13 2020-07-02 원준 써멀 솔루션즈 게엠베하 재료의 열적 또는 열 화학적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372674A (zh) * 2017-09-13 2020-07-03 元峻有限公司 用于对材料进行热处理或热化学处理的装置和方法
JP2020535371A (ja) * 2017-09-13 2020-12-03 ウォンチュ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材料を熱的又は熱化学的に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422978B1 (ko) * 2017-09-13 2022-07-19 원준 써멀 솔루션즈 게엠베하 재료의 열적 또는 열 화학적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107651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KR20190064850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KR101994380B1 (ko) * 2017-12-01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CN111418093A (zh) * 2017-12-01 2020-07-14 株式会社Posco 二次电池正极材料烧结装置及烧结方法
KR20180048522A (ko) * 2018-04-27 2018-05-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활물질 소성용 내화갑 및 이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KR101991691B1 (ko) * 2018-04-27 2019-06-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활물질 소성용 내화갑 및 이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KR101993209B1 (ko) * 2018-05-25 2019-06-27 주식회사 한화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용 열처리로
CN113242953A (zh) * 2018-12-19 2021-08-10 株式会社Posco 用于制备二次电池正极材料的煅烧炉和二次电池正极材料的煅烧方法
JP2022514876A (ja) * 2018-12-19 2022-02-16 ポスコ 二次電池正極材製造用焼成炉および二次電池正極材の焼成方法
EP3901547A4 (en) * 2018-12-19 2022-02-16 Posco FURNACE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ND METHOD OF FIRING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MATERIAL
WO2020130669A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용 소성로 및 이차전지 양극재의 소성 방법
CN113242953B (zh) * 2018-12-19 2024-02-27 浦项控股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二次电池正极材料的煅烧炉和二次电池正极材料的煅烧方法
KR102229231B1 (ko) * 2019-06-24 2021-03-18 주식회사 엘 앤 에프 전극 활물질 제조용 소성 용기
KR20210000077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엘 앤 에프 전극 활물질 제조용 소성 용기
WO2022163888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에스엠랩 양극활물질 제조용 도가니 및 도가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545B1 (ko) 리튬 이차전지용 고효율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한 소성장치
Li et al. Constructing a low-impedance interface on a high-voltage LiNi0. 8Co0. 1Mn0. 1O2 cathode with 2, 4, 6-triphenyl boroxine as a film-forming electrolyte additive for Li-ion batteries
US11196091B2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CN103283063B (zh) 电池模块接收装置、电池模块恒温器以及包括其的蓄电系统
EP2642584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uniformity in the distribution of refrigerant
CN102315499A (zh) 电池组和车辆
CN102473902A (zh) 锂离子电池用负极及其制造方法以及锂离子电池
US9172123B2 (en) Metal/air battery with gas driven mixing
CN102064347B (zh) 具有叠层电池结构的大功率锂离子电池系统
KR101535975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EP2883269B1 (en) Controlling the location of product distribution and removal in a metal/oxygen cell
JP2013020820A (ja) 二次電池用電極の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CN105990609A (zh) 电池组
EP4204597A1 (en) Surface coated porous substrates and particl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JP2010146783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装置
KR20160015853A (ko) 리튬공기 배터리
US11721841B2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Tang et al. Interfacial Strategies Towards Highly Stable Li-metal Anode of Liquid-based Li-metal Batteries
KR101500516B1 (ko) 신규한 구조의 토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합제 코팅 장치
US9214707B2 (en) Metal/oxygen battery with precipitation zone
US11621445B2 (en) Charging/discharging device, having reduced temperature difference, for secondary battery formation process
KR102659989B1 (ko) 개선된 냉각 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CN204787781U (zh) 一种生产锂离子电池正极材料用推板炉
EP2883268B1 (en) Metal/air flow battery
KR101956559B1 (ko) 기체 순환식 소성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