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69B1 -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69B1
KR101402169B1 KR1020130148395A KR20130148395A KR101402169B1 KR 101402169 B1 KR101402169 B1 KR 101402169B1 KR 1020130148395 A KR1020130148395 A KR 1020130148395A KR 20130148395 A KR20130148395 A KR 20130148395A KR 101402169 B1 KR101402169 B1 KR 10140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ung
power cable
coupl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4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with supports for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의해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밴드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레일(30)(32)에 양단이 용접되는 렁(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가 개방된 티홈(42)을 형성하고, 렁(40)의 측면에 사각너트(50) 삽입을 위한 너트삽입구멍(44)을 형성하며, 티홈(42)의 턱(46)에 끼워져 걸리는 돌출부(61)를 케이블결속판(60)의 상부에 형성하고, 케이블결속판(6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62)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52)를 사각너트(50)에 결합하여 케이블결속판(60)을 렁(40)의 하부에 고정하며, 렁과(40) 함께 전력케이블(36)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부(64)를 렁(40)의 폭방향과 같은 케이블결속판(60)의 전후방향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면서 서로 평행하게 일렬(列)로 형성하고, 그 보조받침부(64)가 이루는 양쪽의 열(列)이 상호 열방향으로 한 피치(pitch)씩 앞서거나 뒤서도록 어긋난 간격으로 형성하며, 결속밴드(70) 삽입을 위한 상하관통형의 밴드삽입구멍(66)을 보조받침부(64)의 좌측에 형성하고, 결속밴드(70) 고정을 위한 일방향걸림구멍(68)을 보조받침부(64)의 우측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Power cable binding apparatus of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에 의해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밴드시공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주택에는 각 세대의 전원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전력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시공되는데 특히 천장을 따라 시공되는 전력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해서 정돈된 상태로 시공되어 케이블 설치 및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설치된 행거볼트(11)(12)의 하단부에 너트(13a)(13b)를 이용해서 지지바(14)를 설치하고, 렁(15)에 의해 연결된 사이드레일(16)(17)을 지지바(14) 위에 올린 상태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 시공된 케이블 트레이(10)에 전력케이블(18)을 일정한 간격으로 포설한 다음 전력케이블(18)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결속밴드(19)를 이용해서 렁(15)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 트레이(10)에 구비된 렁(15)은 전력케이블(18)과 직교하기 때문에 결속밴드(19)를 렁(15)에 고정할 때 전력케이블(18)과 렁(15)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방향으로 고정할 수밖에 없어 전력케이블(18)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결속밴드(19)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밀리면서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결속밴드(19)가 사선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결속밴드(19)에 의한 결속력이 전력케이블(18)의 국부에 집중되면서 전력케이블(18)의 절연피복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렁(15)이 직선형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결속밴드(19) 체결시 결속밴드(19)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부분이 없으므로, 결속밴드(19)가 렁(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전력케이블(18)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안전에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국내특허등록 제 10-1216994호(명칭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25)(26)에 렁(20)을 트러스구조로 설치하고, 결속밴드(도시않됨) 체결을 위한 묶음턱(21)(22)을 렁(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계단형태로 형성한 후 결속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21a)(22a)을 묶음턱(21)(22) 끝부분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력케이블의 하부를 받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전력케이블의 하부가 결속밴드의 압박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결속밴드를 한바퀴 감아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렁(20)에 형성하는 묶음턱(21)(22) 및 이탈방지턱(21a)(22a)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시 원가 상승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전력케이블이 결속밴드에 의해 한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속밴드에 의해 전력케이블의 절연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속밴드가 렁에서 움직이면서 전력케이블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속밴드 압박에 의해 작용되는 힘에 의해 전력케이블의 하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속밴드의 체결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레일에 양단이 용접되는 렁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가 개방된 티홈을 형성하고, 렁의 측면에 사각너트 삽입을 위한 너트삽입구멍을 형성하며, 티홈의 턱에 끼워져 걸리는 돌출부를 케이블결속판의 상부에 형성하고, 케이블결속판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를 사각너트에 결합하여 케이블결속판을 렁의 하부에 고정하며, 렁과 함께 전력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부를 렁의 폭방향과 같은 케이블결속판의 전후방향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면서 서로 평행하게 일렬로 형성하고, 그 보조받침부가 이루는 양쪽의 열이 상호 열방향으로 한 피치씩 앞서거나 뒤서도록 어긋난 간격으로 형성하며, 결속밴드 삽입을 위한 상하관통형의 밴드삽입구멍을 보조받침부의 좌측에 형성하고, 결속밴드 고정을 위한 일방향걸림구멍을 보조받침부의 우측에 형성하여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렁에 포설된 전력케이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속밴드를 묶을 수 있기 때문에 결속밴드의 체결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력케이블이 결속밴드에 의해 한쪽으로 편중되게 밀려서 휘거나 자리를 이탈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전력케이블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결속밴드가 전력케이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결속밴드에 의한 체결력이 전력케이블의 절연피복에 고르게 분포하여 절연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결속판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받침부에 의해 전력케이블의 하부지지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케이블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보조받침부이 중앙에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케이블이 결속밴드에 의해 압박될 때 보조받침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전력케이블을 받치는 렁과 보조받침부가 균일한 지지력을 갖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케이블의 지지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렁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삽입구멍에 의해 렁이 사이드레일에 용접된 상태에서 사각너트를 렁의 안쪽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렁의 하부에 형성된 턱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케이블결속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결속판을 렁의 하부에 고정할 때 위치결정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밴드를 삽입하기 위한 밴드삽입구멍과 결속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일방향걸림구멍이 보조받침부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받침부와 함께 전력케이블에 강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결속판에 형성된 보조받침부가 열방향으로 한 피치(pitch)씩 앞서거나 뒤서도록 어긋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밴드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결속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결속밴드 간에 겹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케이블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에 전력케이블이 결속밴드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다른 종래기술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결속밴드가 케이블결속판의 밴드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각너트가 렁에 형성된 너트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30)(32)에 양단이 용접되는 렁(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가 개방된 티홈(42)을 형성한다.
또, 렁(40)의 양단이 사이드레일(30)(32)에 미리 용접된 경우 사각너트(50)를 티홈(42)을 통해 집어넣을 수 없기 때문에 렁(40)의 측면에 사각너트(50) 삽입을 위한 너트삽입구멍(44)을 형성하여 렁(40)의 안쪽에 사각너트(50)를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너트삽입구멍(44)의 크기는 사각너트(5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사각너트(50) 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장방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티홈(42)의 턱(46)에 끼워져 걸리는 돌출부(61)을 케이블결속판(60)의 상부에 형성하고, 케이블결속판(6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구멍(62)를 통해 삽입되는 볼트(52)를 렁(40) 안쪽에 위치된 사각너트(50)에 결합하여 케이블결속판(60)을 렁(40)의 하부에 고정한다.
또한, 렁과(40) 함께 전력케이블(36)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부(64)를 렁(40)의 폭방향과 같은 케이블결속판(60)의 전후방향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면서 서로 평행하게 일렬(列)로 형성하고, 그 보조받침부(64)가 이루는 양쪽의 열(列)이 상호 열방향으로 한 피치(pitch)씩 앞서거나 뒤서도록 어긋난 간격으로 형성하며, 결속밴드(70) 삽입을 위한 상하관통형의 밴드삽입구멍(66)을 보조받침부(64)의 좌측에 형성하고, 결속밴드(70) 고정을 위한 일방향걸림구멍(68)을 보조받침부(64)의 우측에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보조받침부(64)는 중앙에 절개홈(63)을 두어 좌우로 분할하여 역(逆) "L"자 모양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며, 상부에는 전력케이블(36)이 얹히는 반원형의 받침면(65)을 형성하고, 전력케이블(36)이 얹힐 때 상하방향의 탄성을 갖도록 중간부분에 잘록한 허리부(67)를 형성한다.
상기 일방향걸림구멍(68)에는 결속밴드(70)에 형성된 일방향성 톱니(72)에 걸리는 탄성걸림편(69)을 형성하며, 결속밴드(70)가 밴드삽입구멍(66)에 삽입된 후 결속밴드(70)의 한쪽 단부가 케이블결속판(60)에 걸리도록 결속밴드(70)의 한쪽 단부에 머리부(74)가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6은 결속밴드(70)의 삽입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10 도시된 바와 같이 렁(40)의 양단이 사이드레일(30)(32)에 용접된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40)의 측면에 형성된 너트삽입구멍(44)을 통해 사각너트(50)를 집어넣은 다음 사각너트(50)를 렁(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체결할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케이블결속판(6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61)가 티홈(42)의 턱(46)에 걸리도록 끼운 상태에서 케이블결속판(60)에 형성된 체결구멍(62)을 통해 볼트(52)를 삽입하여 사각너트(50)에 결합하게 되면, 케이블결속판(60)에 렁(40)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후 전력케이블(36)을 렁(40)의 위로 포설한 다음 전력케이블(36)을 고정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밴드(70)의 삽입부(76)를 상측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밴드(70)의 삽입부(76)를 보조받침부(64)의 좌측에 형성된 밴드삽입구멍(66)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시킨 다음 렁(40)에 얹힌 전력케이블(36)을 역(逆) "U"자 모양으로 감싼 후 결속밴드(70)의 삽입부(76)를 보조받침부(64)의 우측에 형성된 일방향걸림구멍(68)으로 삽입하여 아래쪽으로 인출하여 당기게 되면, 결속밴드(70)에 형성된 머리부(74)가 케이블결속판(60)에 걸리면서 전력케이블(36)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또, 일방향걸림구멍(68)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걸림편(69)에 결속밴드(70)에 형성된 톱니(72)가 걸리면서 결속밴드(70)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전력케이블(36)이 결속밴드(70)에 의해 압박을 받을 때 하부에 위치된 보조받침부(64)가 탄성을 갖고 아래쪽으로 약간 변형되면서 렁(40)과 보조받침부(64)가 전력케이블(36)을 균일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보조받침부(64)가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면, 잘록한 허리부(67)가 휘면서 보조받침부(64)가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보조받침부(64)를 좌우로 분할하는 중앙의 절개홈(63)은 보조받침부(64)에 형성된 받침면(65)이 전력케이블(36)에 좀 더 밀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결속판(60)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받침부(64)가 이루는 양쪽의 열(列)이 상호 열방향으로 한 피치(pitch)씩 앞서거나 뒤서도록 어긋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밴드(70)가 서로 간섭하거나 겹치면서 전력케이블(36)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30,32 : 사이드레일 36 : 전력케이블
40 : 렁 42 : 티홈
44 : 너트삽입구멍 46 : 턱
50 : 사각너트 52 : 볼트
60 : 케이블결속판 61 : 돌출부
62 : 체결구멍 63 : 절개홈
64 : 보조받침부 65 : 받침면
66 : 밴드삽입구멍 67 : 허리부
68 : 일방향걸림구멍 69 : 탄성걸림편
70 : 결속밴드 72 : 톱니
74 : 머리부 76 : 삽입부

Claims (1)

  1. 사이드레일(30)(32)에 양단이 용접되는 렁(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가 개방된 티홈(42)을 형성하고, 렁(40)의 측면에 사각너트(50) 삽입을 위한 너트삽입구멍(44)을 형성하며, 티홈(42)의 턱(46)에 끼워져 걸리는 돌출부(61)를 케이블결속판(60)의 상부에 형성하고, 케이블결속판(6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62)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52)를 사각너트(50)에 결합하여 케이블결속판(60)을 렁(40)의 하부에 고정하며, 렁과(40) 함께 전력케이블(36)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받침부(64)를 렁(40)의 폭방향과 같은 케이블결속판(60)의 전후방향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서로 평행하게 일렬(列)로 형성하고, 그 보조받침부(64)가 이루는 양쪽의 열(列)이 상호 열방향으로 한 피치(pitch)씩 앞서거나 뒤서도록 어긋난 간격으로 형성하며, 결속밴드(70) 삽입을 위한 상하관통형의 밴드삽입구멍(66)을 보조받침부(64)의 좌측에 형성하고, 결속밴드(70) 고정을 위한 일방향걸림구멍(68)을 보조받침부(64)의 우측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130148395A 2013-12-02 2013-12-02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1402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95A KR101402169B1 (ko) 2013-12-02 2013-12-02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95A KR101402169B1 (ko) 2013-12-02 2013-12-02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169B1 true KR101402169B1 (ko) 2014-06-03

Family

ID=5113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95A KR101402169B1 (ko) 2013-12-02 2013-12-02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6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62B1 (ko) 2015-06-10 2016-01-2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KR101601823B1 (ko) 2015-10-27 2016-03-09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5867B1 (ko) 2020-04-14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7023B1 (ko)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347556B1 (ko) 2021-05-28 2022-01-06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배전용 케이블 결속장치
KR102488203B1 (ko) 2021-12-09 2023-01-16 (주)건축사사무소 테마공간 건축용 전력케이블 결속장치
KR102498489B1 (ko) 2022-06-03 2023-02-09 민영석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2505984B1 (ko) *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505986B1 (ko)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KR102513106B1 (ko) 2022-05-25 2023-03-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결속장치
KR102523005B1 (ko) 2022-08-31 2023-04-18 원광전력 주식회사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16B1 (ko) 2006-10-25 2007-02-16 (주)미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케이블트레이용 받침구
KR20120016785A (ko) * 2010-08-17 2012-0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로스 케이블 트레이용 케이블받침대
KR101143877B1 (ko)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16B1 (ko) 2006-10-25 2007-02-16 (주)미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케이블트레이용 받침구
KR20120016785A (ko) * 2010-08-17 2012-0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로스 케이블 트레이용 케이블받침대
KR101143877B1 (ko)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62B1 (ko) 2015-06-10 2016-01-2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KR101601823B1 (ko) 2015-10-27 2016-03-09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5867B1 (ko) 2020-04-14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7023B1 (ko)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347556B1 (ko) 2021-05-28 2022-01-06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배전용 케이블 결속장치
KR102488203B1 (ko) 2021-12-09 2023-01-16 (주)건축사사무소 테마공간 건축용 전력케이블 결속장치
KR102505984B1 (ko) *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505986B1 (ko)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KR102513106B1 (ko) 2022-05-25 2023-03-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결속장치
KR102498489B1 (ko) 2022-06-03 2023-02-09 민영석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2523005B1 (ko) 2022-08-31 2023-04-18 원광전력 주식회사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169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1216994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JP6347602B2 (ja) ソーラーモジュールを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けシステム
KR101587162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AU2004304409B2 (en) Accessory for lifting and bonding wire cable trays
US869529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licing solar panel racks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US8826613B1 (en) Utility trench system components
US10177708B2 (en) Wire tensioning system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120211609A1 (en) Cable Support and Methods of Supporting Cables
KR101231150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클램프
JP2017520696A (ja) ソーラパネルの機械的コネクタ及びフレーム
EP1746697A1 (en)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a box to a wire cable tray
US20170261127A1 (en) Dispenser for Cable Support and Method
KR101792233B1 (ko) 행거 클램핑 장치
KR20100010501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전반 배선용 연결 트레이
WO201610290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KR100873877B1 (ko) 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062860B1 (ko) 송전 및 배전 케이블 트레이 장치
JP6057122B2 (ja) 床材の固定構造及び床暖房装置
KR101616728B1 (ko)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KR101129395B1 (ko) 고압선의 처짐 방지 장치
GB2500223A (en) Cable or wire support comprising arrays of alternately facing hooks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