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15B1 -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15B1
KR101402115B1 KR1020110117694A KR20110117694A KR101402115B1 KR 101402115 B1 KR101402115 B1 KR 101402115B1 KR 1020110117694 A KR1020110117694 A KR 1020110117694A KR 20110117694 A KR20110117694 A KR 20110117694A KR 101402115 B1 KR101402115 B1 KR 10140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erver
time
termin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310A (ko
Inventor
우종현
Original Assignee
(주)나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무소프트 filed Critical (주)나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1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06F16/166File name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Abstract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는 없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는 있는, 신규 생성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신규 생성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규 생성 파일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 서버의 해당 파일 동기 영역으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있는 신규 생성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신규 생성 파일과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FILE SYNCRONIZATION METHOD FOR MULTI USER AND MULTI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에서의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동기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가 많아지면서,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사에서는 사내 PC를, 출장 중에는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을, 귀가 후에는 댁 내 P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복수 단말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위 복수 단말 간 동기화가 불가능하였으므로, 웹 하드나 그룹웨어를 통해서 전자 파일 등과 같은 자료를 업로드하거나 USB와 같은 외장 기기를 이용하여 자료를 보관함으로써, 장소에 무관하게 자료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위와 같은 복수 단말 환경 하에서 어느 한 단말 내에 저장된 자료를 다른 단말에서도 그 장소와 무관하게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간 동기화를 목표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시장은 향후 엄청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단말 간 동기화 기술은 진정한 동기화라기보다는 단순히 어느 한 쪽 단말의 내용을 다른 한 쪽 단말로 백업(backup)하는 정도의 수준 밖에 못 미치고 있다.
또한 단순 백업 또는 복사 중심의 동기를 넘어서 동기할 파일의 최신성을 중심으로 파일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서버에서 별도의 사용자 목록 및 이력관리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파일 서버 및 데이터관리 서버와 같은 단순한 저장을 위한 서버 보다 복잡한 관리 구조를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어떤 클라이언트가 어떤 파일을 가지고 나갔는지를 관리해야 하거나, 현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버로 등록되는 파일이 도중에 변경된 파일인지 아닌지 등을 관리해야 하는 등의 서버 부하 및 복잡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으로 급속히 변화해가는 상황에서 서버의 부담이나 변경없이, 복수 사용자 간의 자료를 동기화하기 위한 적합한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 파일을 동기화 시킴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파일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 파일 서버를 기준으로 파일 동기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는 없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는 있는, 신규 생성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신규 생성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규 생성 파일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 서버의 해당 파일 동기 영역으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있는 신규 생성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신규 생성 파일과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 측에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간을, 상기 파일 서버의 서버 시간과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 측에서, 상기 파일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보가 기록된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규 생성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관리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보가 기록된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 그리고 상기 파일 관리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보가 기록된 메타 데이터 모두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의 차이에 해당하는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관리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보가 기록된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로드된 신규 생성 파일을,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서,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다운로드된 파일과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는 있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는 없는 파일로서, 다운로드 대상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운로드 대상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 대상 파일을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으로 다운로드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다운로드된 파일과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다운로드 대상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로서, 해당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와 일치하는 메타 데이터가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 측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로서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와 일치하는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상기 다운로드 대상 파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는 있고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는 없는 파일로서, 삭제 대상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삭제 대상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삭제 대상 파일에 대한 삭제를 상기 파일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대상 파일에 대한 상기 파일 서버에서의 삭제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파일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보를 기록해둔 메타 데이터에서 해당 삭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삭제 대상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로서, 해당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와 일치하는 메타 데이터가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 측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로서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와 일치하는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를 상기 삭제 대상 파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과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과,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기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이후이고,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단말 파일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파일을 상기 서버 파일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대체된 파일에 관련된 메타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기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이후이고,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단말 파일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 파일보다 최신 버전인 서버 파일이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 상기 단말 파일을 상기 서버 파일로 대체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 현재 실행 중인 상기 단말 파일을 새 이름으로 저장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기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이후이고,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단말 파일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 파일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상기 단말 파일의 파일명을 미리 지정된 형식에 따라 종전 파일명과 다르게 자동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서버 파일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의 파일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과 상기 단말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파일의 파일명을 미리 지정된 형식에 따라 종전 파일명과 다르게 자동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서버 파일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의 파일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을 상기 파일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이 업로드되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이 업로드되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과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기술로서,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 파일을 동기화 시킴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파일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 파일 서버를 기준으로 파일 동기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파일 서버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동기 폴더에 위치한 파일 목록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의 파일 목록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동기화 방법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내에서 동작되는 동기화 에이전트에 대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동기화 방법에 따른 상황별 동기화 시나리오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설명]
도 1은 파일 서버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서버 간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파일 서버(10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121, 122, 123)과 유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 서버(100) 및 각 클라이언트 단말(121, 122, 123)은 종래의 컴퓨터의 일반적인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부는 컴퓨터의 일반적인 구성부를 활용하거나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등으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명확히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파일 서버(100)에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파일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면, 그 명칭과 별도 기능에 상관없이 해당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도 2a 및 도 2b의 설명]
본 명세서를 통해 도 3 이하의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방법에 관한 구체적 예시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체적 예시는 본 발명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다른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도 2a는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동기 폴더에 위치한 파일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파일 목록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한가지 예로 들면, 복수 유저의 파일을 동기 시켜야하는 서버가 동기하려는 클라이언트 별로 별도의 관리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도 아래의 두 가지 기능을 갖춘 클라이언트 에이전트(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화 에이전트를 의미함)가 일반적인 파일 서버에 접근하면 파일에 대해서 동기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기능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기능은, 첫째, 클라이언트에 새로 파일이 생성되고 해당 파일이 서버에 전송되면, 서버의 저장된 파일 시간으로 클라이언트에 있는 파일의 시간을 재설정(갱신)하는 것과, 둘째, 서버의 저장된 파일시간으로 클라이언트에 별도의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여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때, 클라이언트에는 서버와 동기화될 폴더(예를 들어, 후술할 파일 동기 영역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음, 도 2a 참조)와 클라이언트와 동기화 서버측 폴더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있고, 서버에는 클라이언트의 동기화될 폴더와 대응할 서버 폴더 혹은 서버 디렉토리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파일 서버에 별도의 관리 기능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될 동기화 에이전트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방법이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일 서버에 이를 위한 별도의 관리 기능이 부가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과 협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파일 서버를 중심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을 것임을 먼저 명확히 해두기로 한다.
최초 클라이언트의 동기화 에이전트가 구동되면 클라이언트 내 동기화될 폴더 내 파일정보와 서버 폴더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폴더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없지만 클라이언트 동기 폴더에 파일이 있다면 해당 파일이 신규로 생성된 것으로 간주하고 서버에 올릴 수 있다. 다른 구현 방식으로는 서버 내 동기될 폴더의 파일 목록과 클라이언트 내 동기될 폴더의 파일 목록을 비교하여 클라이언트 내 동기 폴더에 파일이 있고 클라이언트 내 서버 폴더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없으며, 서버 폴더에 없는 파일은 서버에 새로 파일이 올라온 것으로 간주하고 서버에 파일을 전송한다. 서버에 파일이 전송된 이후, 서버의 파일 시간을 클라이언트가 받아서 클라이언트내 동기 폴더 내에 존재하는 해당 파일의 시간(생성시간, 수정시간, 엑세스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서버의 파일 시간으로 바꾸며, 클라이언트 내 메타 데이터 내의 해당 갱신된 파일에 대한 이름과 시간 등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도 2b의 메타 데이터 참조).
또 다른 구현된 방식에 대해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A와 B등 각각 다른 클라이언트에 파일이 동기화 되어 있을 경우 A에서 파일을 지운다면 A클라이언트의 동기화 에이전트는 서버의 동기된 공간에 저장된 파일의 목록과 클라이언트 내 저장된 서버에 대한 메타 데이터 목록을 참조하여 서버에 새로운 파일이 올라온 것이 아니라 A단말기에서 파일이 지워진 것을 인식하여 서버에 파일 삭제 요청을 실시하고, 서버에서 파일이 지워진 결과를 받게 되면 A클라이언트에서 관리 중이던 클라이언트 내의 메타 데이터 중에서 해당 파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B 단말기의 동기화 에이전트가 서버의 동기될 폴더의 파일 목록과 클라이언트 내 존재하는 서버에 대한 메타데이터 또는 클라이언트 내 존재하는 동기 폴더 내 파일목록을 비교하여 B단말기에만 존재하는 파일을 삭제하고 클라이언트내 존재하는 서버에 대한 메타 데이터 내용 중 삭제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서버가 일반적인 파일 서버가 아닌 EDMS 또는 KMS의 경우 파일의 생성자, 권한자, 권한등급, 보안레벨 등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동기 폴더 내 저장된 파일에 대한 관리 수준을 서버 동기 폴더에 대한 메타 정보를 기준으로 제3의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와 클라이언트 내 존재하는 파일의 목록을 요청할 때 단순히 파일명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파일의 경우 파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여 암호화 값이 서버에 설정되어 있다면 클라이언트는 제3의 암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폴더의 다운로드와 함께 암호화 하도록 호출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면 클라이언트에 저장될 서버 동기 폴더에 대한 메타 데이터는 동기 폴더 내에 존재하는 파일 또는 폴더별로 서버 폴더의 상위 폴더정보, 파일명, 파일생성시간, 파일수정시간, 파일접근시간, 파일에 대한 권한, 파일에 대한 보안등급, 서버에서 관리하는 파일의 일련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설명]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동기화 방법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내에서 동작되는 동기화 에이전트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에이전트(300)는, 송수신부(310), 시간 일치부(320), 데이터 비교부(330), 동기화 처리부(340), 파일명 변경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에이전트(30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파일 서버(100)와의 관계에서 각종 데이터 및 통신 관련 요청/응답 신호 등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시간 일치부(320)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파일 서버(100)에 접속되었을 때,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간을 파일 서버(100)의 시간으로, 즉 서버 시간 기준으로, 일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만, 이러한 시간 일치부(320)는 필수 구성요소라기 보다 임의 선택적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데이터 비교부(330), 동기화 처리부(340), 파일명 변경부(350) 의 구체적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도 4 이하의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동기화 방법을, 도 4 이하의 첨부 도면들에 따른 개개의 동기화 상황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동기화 방법에 따른 상황별 동기화 시나리오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집중을 위해, 도 4 내지 도 8의 클라이언트 1, 클라이언트 2, 클라이언트 3은 서로 다른 유저(user)가 사용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도 4 내지 도 6은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 해당한다. 물론,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1 ~ 클라이언트 3 모두가 동일 사용자의 각기 다른 단말인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도 아래 설명에서의 동일 원리가 그대로 적용될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동기화 방법이 적용되는 시점(즉, 동기화 시점)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클라이언트 단말이 파일 서버에 접속(또는 접속 인증)되는 시점에만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접속 시점과 접속 해제 시점에만 동기화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이벤트(파일 저장 이벤트, 파일 삭제/파일명 변경 등과 같은 파일 변경 이벤트 등)가 발생된 경우에만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방식들 중 2개 이상이 혼용된 형태로 동기화 시점이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기화 시점에 대한 별다른 제약을 두지는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파일 서버에 접속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그 단말의 시간을 파일 서버의 서버 시간으로 자동(강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동기화 에이전트(300)의 시간 일치부(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시간 일치는, 동기화 처리시의 파일 간 시간 비교(즉, 파일의 생성 또는/및 수정 시점의 선후 판단)을 위한 하나의 방법에 불과하며, 필수불가결하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일 간 시간 비교시, 파일 서버에서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서버-클라이언트 간 시간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적용 및 구현에 문제가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 상 양자의 시간은 일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설명]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각 단계 별로, 각각의 적용 상황 및 이때의 본 발명의 적용 원리를 설명한다. 도 4에서, 양괄호 "()" 내에 기재된 시간은,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도 5 내지 도 6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단계 S101
현재, 파일 서버에 클라이언트 1 및 클라이언트 2가 온라인 접속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2는 미접속(즉, 오프라인 상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때, 클라이언트 1에서 신규 파일인 "a.Doc" 파일을 생성한 경우(파일 생성 시간은 09:59:57 임)를 가정한다.
전술한 상황에서의 파일 동기화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동기화 시점에, 클라이언트 1의 파일 동기 영역에 저장된 파일 목록과, 파일 서버의 파일 동기 영역에 저장된 파일 목록 간을 비교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방법으로는, 서버-클라이언트 간 동기 영역에 있는 파일 목록의 비교는, 파일 서버에 저장된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을 받아와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 파일 목록과 비교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으로는, 서버-클라이언트 간 동기 영역에 있는 파일 목록의 비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 파일 목록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앞서 설명한 도 2b 참조, 즉,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에 저장된(존재하는)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있는 파일)를 비교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2개 방법 이외에도,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 그리고 상기 메타 데이터 모두를 비교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과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 내의 파일 목록의 차이에 해당하는 파일 목록을 먼저 선별한 후, 그 선별된 파일 목록과 상기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설명에서, 파일 목록의 비교에 있어서 동일 파일 여부는, 물론 여러 가지 기준이 적용될 수도 있지만, 해당 파일의 파일명과 확장자에 기초하여, 파일명 및 확장자가 모두 일치하면 동일 파일이고 그 중 어느 하나라도 상이하면 다른 파일로 판단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동기화가 필요한 대상 파일을 확인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즉, 파일명 및 확장자가 동일한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동기화(파일 갱신을 포함하여)가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에서는 후술될 바와 같이 서버-클라이언트 간 파일 시간 비교 과정이 전제될 것이다.
전술한 비교 방법을 적용한다면, "a.Doc" 파일은 클라이언트 1에서 신규 생성된 것이므로, 파일 서버의 파일 동기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일 것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에만 존재하는 신규의 단말 파일인 경우는, 그 신규 단말 파일(즉, 본 예에서는, "a.Doc" 파일)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파일 서버로(보다 정확하게는 파일 서버의 해당 파일 동기 영역으로) 업로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파일 서버에 신규 저장된 "a.Doc" 파일이 도 4의 참조번호 F01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업로드된 이후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화 에이전트(도 3의 300 참조)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상기 신규 단말 파일의 파일 시간을, 그 업로드 파일의 파일 시간(즉, 서버에 저장된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본 예에서는, 10:00 임)으로 변경하고, 그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해당 파일과 관련하여 기록한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이는 도 2b와 같은 형태로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 측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1에 저장되는 "a.Doc" 파일을 최종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 4의 참조번호 F11에 해당된다.
단계 S102
클라이언트 1에서 신규 생성된 "a.Doc" 파일이 파일 서버로 업로드된 이후에는, 파일 서버와 이에 접속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인 클라이언트 3 간의 동기화도 수행된다. 이는 클라이언트 3과 파일 서버 간에 미리 지정되어 있는 주기에 따른 동기화 시점에 수행된다. 그 과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클라이언트 3의 파일 동기 영역과, 파일 서버의 파일 동기 영역 간의 파일 목록 비교가 수행된다. 이는 전술한 방법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 서버에 저장된 "a.Doc" 파일(연관 메타 데이터는 10:00 기록된 것임)이 클라이언트 3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임이 확인된다.
즉, 이는 클라이언트 3에는 없고 파일 서버에만 있는 파일에 해당되므로, 이러한 케이스에서, 클라이언트 3은 그 "a.Doc"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클라이언트 3(보다 정확하게는 클라이언트 3에 설치된 동기화 에이전트(도 3이 300 참조))은 수신된 "a.Doc" 파일을 해당 파일 동기 영역에 저장하고, 이와 함께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이는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의미함)으로 다운로드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변경한다. 그리고 그 파일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해당 파일과 관련하여 기록한다[도 4의 참조번호 F31 참조].
상술한 단계 S102에서와 같은 과정은, 해당 시점에, 파일 서버와 접속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이 더 있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에서도 동일한 동기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a.Doc" 파일은 최초 생성한 클라이언트 1 이외에, 해당 시점에 파일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 단말이 클라이언트 3 뿐인 바, 클라이언트 3에 대해서만 동기화 과정이 수행된 것이다.
단계 S111
앞선 과정까지의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3에서 "a.Doc" 파일에 관한 파일 수정을 하였다고 가정한다. 파일 수정(최종 수정 시간(Last modification time)은 10:09:57임) 후, 수정된 파일이 저장되면,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3에서의 파일 수정 내역은 전체 시스템을 통해 반영(동기화)되게 된다. 이의 동기화 과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할 수 있다.
먼저, 해당 동기화 시점에, 클라이언트 3과 파일 서버 간 파일 목록 비교 과정을 수행한다. 그 비교 결과, 양자에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그 각각의 파일 시간 간을 비교한다.
현재, 클라이언트 3의 "a.Doc"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은 10:09:57이므로, 이는 해당 파일에 연관 저장된 메타 데이터의 시간인 10:00(도 4의 F31 참조) 이후이며, 또한 동일 파일로서 파일 서버에 저장된 "a.Doc"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이 당시에는 종전 업로드 완료 시간인 10:00 일 것임) 이후인 케이스에 해당한다. 즉, 이와 같은 케이스는, 클라이언트 3에서 파일 수정한 내용이 파일 서버에 반영(동기화)되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파일 서버에 저장된 "a.Doc" 파일(도 4의 F01 참조)은 클라이언트 3에서 수정된 파일로 대체되어야 한다. 이때 파일 대체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3에서 파일 수정된 "a.Doc" 파일은 파일 서버로 업로드되며, 이 경우 파일 서버는 업로드된 파일로 종전 파일(F01)을 대체한다. 이와 같이 대체된 파일이 곧 도 4의 참조번호 F02에 해당된다. 또한 그 대체 시점(즉, 클라이언트 3 -> 파일 서버로의 업로드 완료 시점, 도 4의 예에서는 10:10 임)이 곧 해당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Last modification time)이 된다.
이 경우, 이러한 최종 수정 시간(즉, 10:10)으로 단말 내의 해당 파일의 파일 시간을 변경하고, 또한 그 최종 수정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해당 파일과 관련하여 기록(갱신)한다. 이러한 동기화 과정에 의할 때, 클라이언트 3에는 도 4의 F32, 파일 서버에는 도 4의 F02에 상응하는 파일이 각각 최종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클라이언트 3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단계 S112 및 단계 S113
상술한 과정에 따라, 파일 서버에 도 4의 F02에 상응하는 파일이 저장되면, 이는 다시 클라이언트 1과 클라이언트 2로 동기화 된다. 현 시점에, 클라이언트 2가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12는,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2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양자 간 목록 비교에 의하면, 도 4의 F02에 해당하는 "a.Doc" 파일(메타 데이터는 10:10 인 것)은 클라이언트 2에 부존재하는 파일이므로, 전술한 단계 S102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동기화된다[도 4의 F21 참조].
단계 S113은,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1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양자 간 목록 비교에 의하면,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양자에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그 각각의 파일 시간 간을 비교한다.
현재, 파일 서버의 "a.Doc"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은 10:10 이고, 이에 대응되는 동일 파일인 클라이언트 1의 파일(도 4의 F11 참조)에 연관된 메타 데이터의 기록 시간은 10:00 이다. 즉, 서버 측 파일이 단말 측 파일 보다 더 이후에 생성된 최신 파일이므로, 클라이언트 1에서, 도 4의 F11에 해당하는 파일은 도 4의 F12과 같이 대체되어야 한다. 이때, 대체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까지를 거치면, 클라이언트 1에는 도 4의 F12에 해당하는 파일이 최종 저장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단계 S121
앞선 단계까지의 동기화가 완료된 이후, 클라이언트 2에서, 도 4의 F21에 해당하는 파일을 수정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2에서의 최종 파일 수정 시간은 10:19:57 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해당 동기화 시점에, 전술한 단계 S111에서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클라이언트 2와 파일 서버 간 파일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과정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때, 서버 측으로의 수정된 파일의 업로드 완료 시점(즉, 서버 저장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은 10:20 인 것으로 가정하면, 클라이언트 2에서는 도 4의 F22에 해당하는 "a.Doc" 파일이 최종 저장된 상태가 된다. 이의 메타 데이터에는 10:20 이 기록된다. 그리고 파일 서버에는 도 4의 F03에 해당하는 파일이 최종 저장된 상태가 된다.
단계 S123
전술한 단계의 동기화 과정 이후에는,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1 간의 동기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때의 동기화 시점에 클라이언트 1에서도 종전 파일(도 4의 F12 파일)에 대한 파일 수정 작업이 계속 중인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당 동기화 시점에, 동일 파일에 대한 파일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 2에서의 파일 수정 내용과 클라이언트 1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파일 수정 내용 중 어느 하나만을 존치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유저 간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클라이언트 2에서 수정 처리 완료되어 서버로 저장된 파일(즉, 도 4의 F03 파일)을 클라이언트 1 쪽으로 우선 동기화를 시킬 수 있다[도 4의 F14 파일 참조]. 그리고 이후, 클라이언트 1에서 F12 파일에 대한 파일 수정이 완료되면, 해당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 후[도 4의 F15 파일 참조], 원래 명칭의 파일은 삭제 처리할 수 있다[도 4의 F14 파일 참조]. 이때, 파일명 변경은 클라이언트 1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미리 지정된 형식에 따라 도 2의 동기화 에이전트(300)의 파일명 변경부(350)에 의해 자동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위와 같은 케이스는, 동기화 과정에서, 2개 이상의 파일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어느 한 쪽만을 선택하는 것은 문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그 동기화 시점에 충돌이 나는 2개 이상의 파일을 모두 저장해둘 수 있는 방법으로서 파일명 변경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즉, 해당 파일의 동기화가 필요한 시점이기는 하지만, 그 파일 자체도 유저에 의해 내용이 수정되고 있거나 열람되고 있는 경우(즉, 해당 파일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충돌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들이 필요한데, 도 4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변경 저장하는 방식이 도시되고 있다.
위와 같은 파일 간 충돌 케이스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은 구체적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설명에 앞서 먼저 명확히 한다. 이를 설명하면, 현재 열려있는 파일 서버에서 먼저 갱신되어 파일이 클라이언트로 내려오려고 하나, 클라이언트에는 현재 열려있기 때문에 파일이 수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가 열려 있는 파일에 대해서 최종 수정을 마친후 저장하면 동기화 에이전트가 서버와 동기를 시도하게 된다. 이때는, 서버에 있는 파일의 시간과 메타데이터의 파일 시간이 다르므로(서버가 최신임), 사용자가 방금 저장한 파일이 누군가에 의해서 갱신되었다는 것으로 간주하고, 현재 저장한 파일을 리네임하여(일 예로, 조건 파일명_생성시간_생성자.확장자 등) 이를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이후 서버에 저장된 파일시간을 기준으로 로컬 파일의 시간과 메타 데이터의 시간을 갱신한다. 그리고 서버에서 최신에 저장된 파일이 다운로드되고, 다운로드된 파일의 시간과 메타데이터의 시간을 다시 서버의 시간으로 맞추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파일 간 충돌이 발생하는 케이스로서, 서버에 최신 파일이 클라이언트 단말 측으로 다운로드(동기화)되어야 하는 시점에, 해당 파일과 동일한 파일명 및 확장자의 파일에 대하여 열람 등의 실행을 하고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파일 간 충돌 케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서버-클라이언트 양쪽에 1차 동기화 처리된 동일 파일(파일 시간도 동일한)이 존재하다가, 클라이언트 2에 의해 해당 파일이 갱신되어 서버 측에 이러한 갱신 사항이 반영(동기화)되었고, 또한 원 클라이언트인 클라이언트 1 쪽에서도 오프라인 상에서 해당 파일의 갱신이 이루어진 후 다시 온라인 접속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라면, 서버에 있는 파일(이는 클라이언트 2의 갱신 사항이 반영된 것임)과 클라이언트 1에 있는 파일이 동일 파일명 및 확장자를 갖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파일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경우라면, 양쪽의 파일 시간 등을 비교하여 양 시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일 간 충돌이 발생하는 케이스에 해당한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스에도 앞서 설명한 파일명 변경 방식의 충돌 방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물론 이 또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먼저 명확히 한다. 이를 설명하면, (서버에서 동기된 이후, 오프라인 때 클라이언트 내에서 변경한 파일이 있고, 동일한 파일이 서버에서 갱신된 경우) 로그온이 되면, 클라이언트 파일 목록과 서버의 파일 목록을 비교하여(시간, 사이즈 등) 다르면, 서버의 파일의 정보와 클라이언트에 존재하는 서버폴더에 대한 메타 데이터의 시간을 비교한다. 이때, 서버에 있는 파일의 시간과 메타데이터의 파일 시간이 다른 경우(서버가 최신임), 클라이언트에서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 누군가에 의해서 갱신되었다는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파일을 리네임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이후 서버에 저장된 파일시간을 기준으로 로컬파일의 시간과 메타 데이터의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에서 최신에 저장된 파일이 내려오고, 내려온 파일의 시간과 메타데이터의 시간을 다시 서버의 시간으로 맞추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파일 간 충돌시 파일명 변경 방식이 채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 파일보다 최신 버전인 서버 파일이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 상기 단말 파일을 상기 서버 파일로 대체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 현재 실행 중인 상기 단말 파일을 새 이름으로 저장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대체하기를 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충돌되는 2개의 파일 모두를 저장하는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단계 S131 및 단계 S133
전술한 단계 S131 이후에는, 클라이언트 1에서 파일명이 변경되어 저장된 도 4의 F15 파일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1과 파일 서버 간 동기화 과정(단계 S131)과,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2 간 동기화 과정(단계 S133)이 수행된다. 위 두 과정은, 본질적으로, 전술한 단계 S111과, 단계 S112(또는 S113)과 동일한 동기화 과정이 될 것인 바,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파일 신규 생성 또는 파일 수정 케이스에서의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파일 삭제 케이스로서 2가지 상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설명]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각 단계 별로, 각각의 적용 상황 및 이때의 본 발명의 적용 원리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1 ~ 3에 모두 동일한 "a.Doc" 파일 (메타 데이터에 10:20 이 기록된 것)이 저장된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3은 오프라인 상태이고, 클라이언트 1은 온라인 접속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2가 오프라인 상태에서 해당 파일을 삭제한 후, 온라인 재접속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클라이언트 2의 재접속된 시점에, 클라이언트 2와 파일 서버 간 파일 목록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 2에는 "a.Doc"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파일 삭제는 서버 및 다른 클라이언트에 반영되어야 한다. 그 동기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클라이언트 2와 파일 서버가, 해당 동기화 시점에, 파일 목록의 비교 과정을 거친 결과, 클라이언트 2에는 없고 파일 서버에만 있는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2가지 경우의 수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로서,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을 클라이언트 2로 다운로드 해야 하는 상황인지(즉, 타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 생성된 것이어서, 클라이언트 2에도 신규 저장하여야 하는 상황인지), 아니면 제2 케이스로서, 도 5에서와 같은 파일 삭제 상황이므로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도 삭제하여야 하는 상황인지가 바로 그것이다. 이에 대한 구분은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2 케이스로 판단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 2에 해당 파일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해당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는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시간과, 파일 서버에만 존재하는 파일의 파일 최종 수정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비교 판단한다. 만일 비교 결과, 양자의 시간이 일치한다면, 이는 클라이언트 쪽에서의 파일 삭제 상황(즉, 제2 케이스)이라 볼 수 있으므로, 도 5의 단계 S141과 같이 파일 서버 측에 저장된 파일도 삭제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 내의 해당 파일과 관련된 파일 정보도 삭제 처리된다.
이후, 단계 S142 과정에 따른 동기화 과정이 수행된다. 먼저, 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1 간에 파일 목록 비교를 수행한다. 이 경우, "a.Doc" 파일은 앞선 과정에서 파일 서버에서 삭제되었으므로, 양자의 관계에서 "a.Doc" 파일은 클라이언트 1에만 있는 파일에 해당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1에 저장된 "a.Doc" 파일은 전술한 도 4의 단계 S101에서의 최초 상황에서와 달리, 연관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이는 파일의 신규 생성 케이스에 해당되지 않는다. 보다 쉽게 설명하면, 단말에만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파일에 연관된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파일의 신규 생성 케이스에 해당하지만, 연관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물론, 실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시간과 서버에서 삭제된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이 동일한 케이스여야 할 것임)는 파일의 삭제 상황과 관련된 케이스로 보게 된다. 즉, 도 5의 경우는, 클라이언트 1에만 존재하는 파일에 그와 연관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 케이스이므로, 파일 삭제 상황으로 보고 단계 S142와 같이 삭제 처리를 통한 동기화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기준에 의할 때, 상술한 제2 케이스로 판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제1 케이스(즉, 다운로드가 필요한 상황)로 판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준에 의할 때, 특정 클라이언트 쪽에서 파일을 삭제한 경우로서, 파일 자체는 물론 이와 연관된 메타 데이터까지를 삭제한 경우에는, 상술한 제2 케이스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그 클라이언트 쪽으로 다시 해당 파일이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유저가 숨김(hidden) 처리된 메타 데이터까지를 모두 삭제해버린 케이스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의 설명]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각 단계 별로, 각각의 적용 상황 및 이때의 본 발명의 적용 원리를 설명한다. 도 6의 경우에도 클라이언트 3에서의 동일 파일인 "a.Doc" 파일의 삭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특수한 케이스에 해당하므로 별도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3에서 "a.Doc" 파일(메타 데이터에 10:20 기록된 것)을 오프라인 상에서 삭제하였다. 그러나 그 사이, 클라이언트 1과 클라이언트 2 그리고 파일 서버 간에는, 클라이언트 1에서의 해당 파일의 파일 수정에 따른 동기화 과정(도 6의 단계 S311, S313)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후, 클라이언트 3이 온라인 접속되면, 클라이언트 3과 파일 서버 간 동기화가 수행될 것이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는, "a.Doc" 파일이 파일 서버에만 있는 상황이지만, 클라이언트 3에 그와 연관된 메타 데이터는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 삭제 상황으로 판단될 것이다. 그러나 도 6의 경우는, 파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최종 수정 시간이, 클라이언트 3에서 삭제된 파일과 연관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시간과 불일치하는 케이스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양 시간이 불일치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3에서의 파일 삭제를 파일 서버 또는 타 클라이언트로 반영(동기화)하는 것은,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서버 측 파일이 더 최신인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도 6의 경우, 클라이언트 3의 파일 삭제를 서버 및 타 클라이언트로 반영하지 않고, 반대로 서버 측에 존재하는 최신 파일을 클라이언트 3 쪽으로 다운로드하여 동기화시키고 있는 것이다[도 6의 단계 S312 참조].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과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 존재하는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과,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존재하는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상기 파일 시간은 상기 단말 파일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시간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기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이후이고,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단말 파일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상기 단말 파일보다 최신 버전인 서버 파일이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 상기 단말 파일을 상기 서버 파일로 대체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 현재 실행 중인 상기 단말 파일을 새 이름으로 저장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
  12.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과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 존재하는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과,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존재하는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상기 파일 시간은 상기 단말 파일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시간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기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이후이고,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단말 파일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 파일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단말 파일의 파일명을 미리 지정된 형식에 따라 종전 파일명과 다르게 자동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서버 파일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의 파일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
  13. 클라이언트 단말과 파일 서버 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파일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과 상기 파일 서버에 접속된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기 영역에 동일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파일 서버의 동기 영역에 존재하는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과, 상기 동일 파일로서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존재하는 단말 파일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파일 시간- 상기 파일 시간은 상기 단말 파일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시간임-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시간 비교 결과,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과 상기 단말 파일의 파일 시간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파일의 파일명을 미리 지정된 형식에 따라 종전 파일명과 다르게 자동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서버 파일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서버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파일 서버의 파일 시간을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을 상기 파일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접속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이 업로드되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시간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이 업로드되어 상기 파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 시간을 상기 파일명 변경된 단말 파일과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파일 동기화 방법.
KR1020110117694A 2011-11-11 2011-11-11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KR10140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694A KR101402115B1 (ko) 2011-11-11 2011-11-11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694A KR101402115B1 (ko) 2011-11-11 2011-11-11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10A KR20130052310A (ko) 2013-05-22
KR101402115B1 true KR101402115B1 (ko) 2014-06-02

Family

ID=4866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694A KR101402115B1 (ko) 2011-11-11 2011-11-11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26B1 (ko) * 2014-03-13 2015-06-16 (주)유니콘 정보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 공유기 간 폴더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인터넷 공유기
KR101698274B1 (ko) * 2015-09-03 2017-0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1715765B1 (ko) * 2016-08-08 2017-03-27 이승호 플랜트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56571B1 (ko) * 2021-08-02 2022-02-09 주식회사 핑고엔터테인먼트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N116610634B (zh) * 2023-07-19 2023-09-26 南京中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网盘终端的文件同步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309A (ja) * 2001-02-26 2002-09-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共有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KR20040056639A (ko) * 2002-12-24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동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데이터동기화 및 갱신 충돌 해결 방법
KR20080107339A (ko) * 2008-11-17 2008-12-10 우용태 복수의 이벤트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타구조체를 이용한 데이타동기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한 데이타 백업솔루션
KR2010006797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 저장된 컨텐츠 파일의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309A (ja) * 2001-02-26 2002-09-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共有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KR20040056639A (ko) * 2002-12-24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동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데이터동기화 및 갱신 충돌 해결 방법
KR20080107339A (ko) * 2008-11-17 2008-12-10 우용태 복수의 이벤트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타구조체를 이용한 데이타동기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한 데이타 백업솔루션
KR2010006797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 저장된 컨텐츠 파일의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10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9129A1 (en) Linking of content between installations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0929427B2 (en) Selective synchronization of content items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0951702B2 (en) Synchronized content library
US10387451B2 (en) Synchronization system for multiple client devices
US20170249328A1 (en) A Method, Cloud Synchronization Function Means and File System for Handling Files and Directories in a Cloud Storage Service
RU2425415C2 (ru) Обновление и репликация ресурсов
US9697225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file
KR101402115B1 (ko)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CN102355503A (zh) 客户端资源管理方法、资源管理装置及系统、云服务器
AU2014290721B2 (en) Light installer
KR20040077566A (ko) 피어 컴퓨팅 장치 사이에서 공유된 데이터를 동기화하는방법 및 시스템
US2015022760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ynchroniz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068826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字档案异构电子文件云灾备系统
CN104919451A (zh) 用于与在线存储系统的数据同步的应用编程接口
KR20100067976A (ko) 분산 저장된 컨텐츠 파일의 동기화 방법
US20110258160A1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s for synchroniz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s
US201001066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synchronization
JP2010266933A (ja) ドキュメント管理プログラム、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ドキュメント管理方法
CN104092740A (zh) 应用数据同步方法和装置
KR101178280B1 (ko)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9990378B2 (en) Opportunistic clearing of sync states associated with a database
US20150163326A1 (en) Approaches for remotely unzipping content
CN103581262A (zh) 一种主备数据同步方法、装置和系统
US20170091253A1 (en) Interrupted synchronization detection and recovery
CN116610634B (zh) 一种网盘终端的文件同步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