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274B1 -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274B1
KR101698274B1 KR1020150125163A KR20150125163A KR101698274B1 KR 101698274 B1 KR101698274 B1 KR 101698274B1 KR 1020150125163 A KR1020150125163 A KR 1020150125163A KR 20150125163 A KR20150125163 A KR 20150125163A KR 101698274 B1 KR101698274 B1 KR 101698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data
client device
downloaded
synchroniz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이명환
이승주
윤여창
공신조
윤장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274B1/ko
Priority to EP16184970.8A priority patent/EP3139336A1/en
Priority to CN201610798292.7A priority patent/CN106506582B/zh
Priority to US15/254,256 priority patent/US102373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2Program synchronisation; Mutual exclusion, e.g. by means of semaph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4S40/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개시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기초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초로,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ING OF ENERG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데이터 동기화 동작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은 정보통신(ICT) 기술과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상업용 빌딩, 사업장(공장), 주택, 사회 인프라(전력망, 교통망 등)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 흐름과 사용의 시각화 및 최적화를 위한 통합 에너지관리 솔루션을 말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전력과 같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량과 생산하는 생산량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의 합리적 사용을 위해 에너지와 관련된 설비 및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발전 시스템 및 송변전 시스템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이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적용 대상에 따라 HEMS(Home EMS), BEMS(Building EMS), FEMS(Factory EMS), CEMS(City/Community EMS) 등이 있으며, 여기서 HEMS는 주택 전용, BEMS는 빌딩 전용, FEMS는 공장 전용이며, CEMS는 이들을 포함한 지역 전체 전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이다.
그리고 국내 전력 계통을 총괄하는 급전 자동화 시스템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며, 전체 전력공급 계통에 대한 상시 정보 수집 및 부하주파수 감시를 통해서 계통에 연계된 발전 설비의 운전을 최적으로 제어하고, 전력계통의 효율적인 관리로 경제급전을 수행하는 대규모 전력 계통 제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급전 자동화 시스템은 시스템 특성상 전체계통에 1개의 시스템이 구축되며, 국내에는 국내전력 계통을 총괄하는 중앙 EMS, 제주지역 계통을 관할하는 제주 EMS가 있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각각의 적용 대상은 다르지만, 전력 등 에너지의 흐름(에너지 사용과 자가 생산)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과 설비ㅇ기기 등에 대한 제어(Control)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한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사용자 또는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기라고 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 동작이 필수적이며, 운영이 정지되지 않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특성상,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 동작은 매우 제한적으로만 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같은 전력 분야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일방적인 자동 동기 방식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주기나 업데이트 자동 실행을 사용자에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관성 있는 운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 대상 및 동작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동기화 동작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 동작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된, 동작 중인 서버인 액티브 서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액티브 서버가 복수이면, 복수의 액티브 서버에 대한 서버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서버 목록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액티브 서버 중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의 동기화 대상 데이터에 대한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동기화 대상 데이터에 대한 목록을 기초로, 다운로드할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대상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동기화 대상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중 다운로드를 위한 쓰레드 풀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쓰레드 풀을 기초로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를 기초로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가 제1 레벨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가 제2 레벨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가 제3 레벨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실행 파일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상기 제1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모니터링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상기 제2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설정 파일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상기 제3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확인창에 대한 확인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불능을 알리는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 및 동기화 대상에 따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어서, 동기화 동작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10)은 에너지 관리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에너지 사용을 계측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에너지와 관련된 설비,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모니터링 시스템(110), 제어 시스템(120), 에너지 분석 시스템(130), 데이터 시스템(140), 통신 시스템(15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에너지 사용 설비 및 기기의 에너지 사용량을 계측하여, 집계 및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센서, 밸브, 계측기, 설비 운영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에너지 사용량을 포함한 다양한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전력 계통의 전력 생산, 전력 전송 및 전력 생산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20)은 모니터링 시스템(110)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와 관련된 설비,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20)은 모니터링 시스템(110)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사용 현황과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사용량이 정상치 또는 예측치보다 일정 기준 이상 편차가 발생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시스템(120)은 감지된 편차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이를 알리는 알람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 시스템(120)은 전력 계통과 관련된 설비, 기기등을 제어할 수 있고, 전력 계통과 관련되어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사용 현황과 흐름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시스템(120)은 전력 사용량이 정상치 또는 예측치보다 일정 기준 이상 편차가 발생하는지 감시하고, 감지된 편차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이를 알리는 알람 동작할 수 있다.
에너지 분석 시스템(130)은 모니터링 시스템(110)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별 에너지 사용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분석 시스템(130)은 분석된 에너지 사용 형태를 기초로, 일정 기간 후의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데이터 시스템(140)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시스템(140)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백업할 수도 있다. 데이터 시스템(140)은 복수의 저장 장치로 구성될 수 있어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1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와 백업 데이터를 서로 다른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50)은 에너지 관리 장치(100)을 구성하는 구성 간에 통신하도록 할 수 있고,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다른 기기 또는 다른 시스템 간에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150)은 에너지 관리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모니터링 시스템(110), 제어 시스템(120), 에너지 분석 시스템(130), 데이터 시스템(140) 및 통신 시스템(150)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버(serv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시스템(110), 제어 시스템(120), 에너지 분석 시스템(130), 데이터 시스템(140) 및 통신 시스템(150) 각각은 대응하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110), 제어 시스템(120), 에너지 분석 시스템(130), 데이터 시스템(140) 및 통신 시스템(150)은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10)을 운용하는 사용자 또는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에게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에너지 관리 장치(100)로부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입력을 입력받고, 입력을 에너지 관리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관리 시스템(10)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에너지 관리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제어 모듈(210), 통신 모듈(220), 메모리(230), 입력 모듈(240),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에너지 관리 장치(100) 간에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220)은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통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30)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 모듈(240)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0)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1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10), 에너지 관리 장치(100)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대한 설명을 기초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동기화 대상이 되는 액티브 서버를 확인한다(S11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통신 모듈(220)을 통해 에너지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에너지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 중 동작 중인 서버인 액티브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확인된 액티브 서버가 복수인지 판단하고(S120), 확인된 액티브 서버가 복수이면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한다(S13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확인된 액티브 서버가 복수인지 판단하고, 복수의 액티브 서버가 확인된 경우에 확인된 복수의 액티브 서버에 대한 서버 목록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획득된 서버 목록을 기초로 복수의 액티브 서버 중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210)은 정해진 룰(Rule)을 기초로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룰은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 대상, 동기화 파일의 종류 등과 같이 동기화 동작의 종류에 대응하는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모듈(210)은 확인된 액티브 서버가 하나이면, 상술한 동기화 대상 서버 결정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동기화 대상 서버의 지원 프로토콜을 확인한다(S140).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 대상 서버로 결정된 액티브 서버의 지원 프로토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서버의 지원 프로토콜은 접속 프로토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원 프로토콜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s Layer), FTP(File Transfer Protocol)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결정된 액티브 서버가 지원하는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동기화 대상을 확인할 수 있다(S15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의 업데이트 데이터, 동기화 대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동기화 대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210)은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의 업데이트 데이터, 동기화 대상 데이터 등의 최신 버전에 대한 목록을 획득하고, 획득된 목록을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 중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획득된 목록의 버전보다 이전 버전인 데이터를 동기화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확인된 동기화 대상에 대하여 다중 다운로드를 위한 쓰레드 풀(Thread Pool)을 구성한다(S160).
상세하게, 확인된 동기화 대상 서버에 접속하는 개별 쓰레드를 구성하고 다중 다운로드를 위하여 상기 개별 쓰레드를 그룹화하여 쓰레드 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구성된 쓰레드 풀에 따라
동기화 대상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시간이 최소 시간이 되는 다운로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대상 서버는 복수의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 대상인 복수의 서버 각각에 대한 서버 접속에 대한 쓰레드 풀을 구성하고, 확인된 동기화 대상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최소 시간이 되는 다운로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구성된 쓰레드 풀에 따라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S17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구성된 쓰레드 풀을 기초로, 통신 모듈(220)을 통해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구성된 쓰레드 풀을 기초로, 복수의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복수의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저장하고, 동기화 동작을 준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전 데이터를 메모리(230)에 백업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기초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한다(S19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기화 데이터의 종류를 기초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중요도에 따라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도 있고, 동기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가 제1 레벨이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작 중인 실행 파일이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210)은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 상태가 일정 기준에 해당하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인 실행 파일을 동기화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가 제2 레벨이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확인 없이는 동기화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가 제2 레벨이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모니터링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이면, 사용자의 확인 없이는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가 제3 레벨이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설정 파일이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설정 파일이어도, 동작 중인 실행 파일과 관련된 설정 파일이면,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이 전체 계통 또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10)에 대한 알람(Alarm) 동작이면, 동작 중요도를 최상위 레벨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동기화 가능 여부 판단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기화 데이터의 종류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기화 가능 여부 판단에 따른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동기화 가능 여부 판단에 따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한다(S20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입력 모듈(240)을 통해 동기화 동작 입력을 입력받으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할 때, 동기화 데이터의 종류 및 동기화 동작 실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 동작에 대한 입력을 입력받지 못하면,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에 따라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하는 주기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고,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하는 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 수행 후,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재가동이 필요하면, 일정 조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200)를 재가동할 수도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불능을 알리는 알람 동작을 수행한다(S210).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지 않고, 동작 중요도에 따라 동기화 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 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람창을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동기화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람창을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10)은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에 따라 동기화 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창을 표시하는 주기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동기화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람창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고, 동기화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람창을 표시하는 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기재된 실시 예들은 설명된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0: 에너지 관리 장치
110: 모니터링 시스템 120: 제어 시스템
130: 에너지 분석시스템 140: 데이터 시스템
150: 통신 시스템
200: 클라이언트 장치
210: 제어 모듈 220: 통신 모듈
230: 메모리 240: 입력 모듈
25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0)

  1.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상태가 동기화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를 기초로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중요도는
    상기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실행 파일인지 여부, 상기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모니터링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설정 파일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된, 동작 중인 서버인 액티브 서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액티브 서버가 복수이면, 복수의 액티브 서버에 대한 서버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서버 목록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액티브 서버 중 동기화 대상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기화 대상 서버의 동기화 대상 데이터에 대한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동기화 대상 데이터에 대한 목록을 기초로, 다운로드할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대상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동기화 대상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중 다운로드를 위한 쓰레드 풀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쓰레드 풀을 기초로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가 제1 레벨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가 제2 레벨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동작 중요도가 제3 레벨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를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실행 파일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상기 제1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모니터링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상기 제2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설정 파일이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의 동작 중요도를 상기 제3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동기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동작 실행에 대한 확인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확인창에 대한 확인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가 동기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기화 데이터의 동기화 불능을 알리는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클라이언트 장치의 동기화 방법.
KR1020150125163A 2015-09-03 2015-09-03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169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63A KR101698274B1 (ko) 2015-09-03 2015-09-03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EP16184970.8A EP3139336A1 (en) 2015-09-03 2016-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ing of energy management system
CN201610798292.7A CN106506582B (zh) 2015-09-03 2016-08-31 用于能量管理系统的数据同步的设备和方法
US15/254,256 US10237345B2 (en) 2015-09-03 2016-09-01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ing of energ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63A KR101698274B1 (ko) 2015-09-03 2015-09-03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274B1 true KR101698274B1 (ko) 2017-02-01

Family

ID=5678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163A KR101698274B1 (ko) 2015-09-03 2015-09-03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37345B2 (ko)
EP (1) EP3139336A1 (ko)
KR (1) KR101698274B1 (ko)
CN (1) CN106506582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668A (ko) * 2006-04-19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10081867A (ko) * 2008-10-21 2011-07-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항상 준비된 클라이언트/서버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20130052310A (ko) * 2011-11-11 2013-05-22 (주)나무소프트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807A (ja) 1998-10-02 2000-04-21 Nec Corp ローカルデータベース遅延更新システム及びローカルデータベース遅延更新方法
JP4430296B2 (ja) 2002-12-24 2010-03-10 あいおい損害保険株式会社 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
US7233843B2 (en) * 2003-08-08 2007-06-19 Electric Power Group, Llc Real-time performanc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100809426B1 (ko) 2005-12-07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ms의 망 관리 방법
CN1976275A (zh) * 2006-12-15 2007-06-06 深圳市戴文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同步的系统及方法
JP4987019B2 (ja) 2009-01-22 2012-07-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攻撃トラヒック検出方法および攻撃トラヒック検出装置
US8626344B2 (en)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688826B2 (en) * 2009-11-30 2014-04-01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with intelligent pushing management
US8635373B1 (en) * 2012-09-22 2014-01-21 Nest Labs, Inc. Subscription-Notification mechanisms for synchronization of distributed states
JP6022977B2 (ja) 2013-03-21 2016-11-09 京セラ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CN104780211B (zh) * 2015-04-13 2016-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668A (ko) * 2006-04-19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10081867A (ko) * 2008-10-21 2011-07-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항상 준비된 클라이언트/서버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20130052310A (ko) * 2011-11-11 2013-05-22 (주)나무소프트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5년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07.15.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37345B2 (en) 2019-03-19
CN106506582B (zh) 2019-06-04
EP3139336A1 (en) 2017-03-08
CN106506582A (zh) 2017-03-15
US20170070569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422B1 (en) Industrial controller system and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related thereto
US11665223B1 (en) Automated network discovery for industrial controller systems
US10067482B2 (en) Menu and firmware management for equipment
EP2960841A1 (en) Industrial automation node and method
US11131972B2 (en) Performance optimization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9933772B2 (en) Analyzing SCADA systems
EP3422639A2 (en) Performanc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dustrial system deployed on cloud
CN107209490A (zh) 供在工业控制环境中使用的控制层应用的供应
JP2019101970A (ja) 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異常要因推定プログラム
CN111625410A (zh) 信息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698274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CN11083058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264403B1 (ko) 분산제어 시스템을 위한 통합 알티유 장치
US10810334B2 (en) Application store test environment
US20190155360A1 (en) Mid-cycle electricity outage monitoring system
Vidakis et al. Environmental monitoring through embedded system and sensors
US20190129387A1 (en) Slicing and merging production events
US20150365303A1 (en) Analyzing scada systems
CN113886665A (zh) 自动化运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WO2016117079A1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設定ファイル生成支援装置
Mateoiu et al. OPC-UA based small-scale monitoring and control solution for android devices case study for water treatment plants
EP3039819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lay protection apparatus
JP7246002B2 (ja) 制御ユニットおよび制御システム
Collados et al. Evolution of SAM in an enhanced model for monitoring WLCG services
KR102534295B1 (ko) Hmi 장치 및 hmi 장치의 데이터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