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571B1 -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571B1
KR102356571B1 KR1020210101252A KR20210101252A KR102356571B1 KR 102356571 B1 KR102356571 B1 KR 102356571B1 KR 1020210101252 A KR1020210101252 A KR 1020210101252A KR 20210101252 A KR20210101252 A KR 20210101252A KR 102356571 B1 KR102356571 B1 KR 10235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ynchronization
terminal
content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석
유슬기
박홍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핑고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핑고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핑고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10101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은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을 분류하여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로부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각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FILE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본 발명은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동기화 동작을 수동으로 관리하게 지원하고, 작업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일 동기화기술이란, 둘 이상의 위치에 있는 파일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단방향은 물론 양방향의 동기화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방향 동기화는 동기화가 단방향으로만 진행되는 것으로 변경은 한 곳에서만 수행된다. 이에 반해 양방향 동기화는 파일이 양방향으로 복사되어 서로 대응하는 두 곳에서 파일의 동기화가 유지된다.
또한, 백업 기술은 전산장비의 고장이나 다른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여,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복사해 두는 행위를 말한다. 대형 컴퓨터를 운영하는 대부분의 사업체에서는 백업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한다. 자동 백업 기술은, 실시간 및 미리 정해놓은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데이터를 백업하는 기술로, 백업 된 데이터는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연결해서 온전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최근, 로컬 PC에서 작업한 파일(또는 문서, 이하 파일)을 중앙 서버의 데이터 저장소(storage)로 집중시켜 저장·관리하기 위하여, 중앙 서버와 로컬 PC 사이의 파일 송수신을 통한 파일 동기화 기술 사용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로컬 PC가 동일한 파일에 접근하여 파일을 변경한 경우, 해당 중앙 서버의 동기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의 삭제실수로 인한 리스크가 있고, 변경된 파일이 모두에게 공유되지 않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유되는 작업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로 분리시켜 개별적으로 관리하게 하여, 동기화 동작을 수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작업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파일 공유 장치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은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을 분류하여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로부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각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각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간의 동기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중 어느 하나를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를 백업 파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저장 DB에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백업 파일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중 상기 상기 프로젝트 편집파일을 전송한 해당 단말에 백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특정 파일에 대한 이미지열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요청받을 때,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이미지 파일들 중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기설정된 합성 순서대로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동작, 업로드 동작 및 이미지파일 열기 동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업로드 경로는 저장 DB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경로를 의미하고, 상기 다운로드 경로는 각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경로를 의미하며,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는 상기 저장 DB와 상기 각 단말에 저장된 트리구조의 폴더들과 파일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에서 파일 별로 동기화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상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은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을 분류하여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로부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파일 관리부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각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각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고, 상기 각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는 요청응답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간의 동기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중 어느 하나를 동기화 파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를 백업 파일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동기화 파일을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백업 파일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중 상기 동기화 파일을 전송한 해당 단말에 백업시키는 파일 처리부 및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특정 파일에 대한 이미지열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요청받을 때,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하고, 상기 모든 이미지 파일들 중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기설정된 합성 순서대로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이미지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공유되는 작업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로 분리시켜 개별적으로 관리하게 하여, 동기화 동작을 수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파일 공유 장치들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동기화 트래픽을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3a는 도 1의 동기화 처리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파일에 대한 예시이다.
도 5는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가 텍스쳐 파일을 학습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1의 이미지정보 제공부가 텍스쳐 파일을 학습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동기화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9는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한 도면과 후술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형태들 중 바람직한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외의 여러 상이한 형태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상이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100)은 등록부(110), 파일 관리부(120) 및 동기화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등록부(110)는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10_1~10_N)을 제1 내지 제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 분류하고, 이를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 동작, 업로드 동작 및 이미지파일 열기 동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고, 프로젝트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단말들(10_1~10_N) 각각은 컨텐츠에 대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등록부(110)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를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파일 관리부(120)는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예컨대, 10_1~10_3)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201, 202)를 입력받을 때,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203)를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각 단말(예컨대, 10_1~10_3)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업로드 경로(201)는 저장 DB(300)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경로를 의미하고, 다운로드 경로(202)는 각 단말(예컨대, 10_1)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파일트리(203)는 컨텐츠의 프로젝트 단위로 생성된 트리구조의 폴더들과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일 관리부(120)는 프로젝트 파일트리(203)에서 파일 별로 동기화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프로젝트 파일트리(203)에서 제공하는 파일별 색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흰색 파일의 상태 정보는 다운로드 및 업로드 경로에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회색 파일의 상태 정보는 업로드 경로에만 파일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파란색 파일의 상태 정보는 다운로드 경로에만 파일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붉은색 파일의 상태 정보는 업로드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이 최신 파일인 상태를 의미하고, 녹색 파일의 상태 정보는 다운로드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이 최신 파일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 처리부(130)는 각 단말(예컨대, 10_1~10_3)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요청받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동기화 동작을 수동으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동기화 신호는 각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동작정보, 업로드 동작정보 및 열기 동작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동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 동작정보는 파일트리에서 다운로드할 파일 정보와 다운로드 시 설정되는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동기화 처리부(1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a는 도 1의 동기화 처리부(1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134)가 제공하는 파일에 대한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동기화 처리부(130)는 요청응답부(131), 결정부(132) 및 파일 처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요청응답부(131)는 각 단말(예컨대, 10_1~10_3) 중 제1 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요청응답부(131)는 각 단말(예컨대, 10_1~10_3) 중 제2 단말(예컨대, 10_2)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정부(132)는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간의 동기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중 어느 하나를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를 백업 파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일 처리부(133)는 결정부(132)를 통해 결정되는 프로젝트 편집파일을 저장 DB(300)에 업데이트시키고, 결정부(132)를 통해 결정되는 백업 파일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중 상기 동기화 파일을 전송한 해당 단말에 백업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부(120)가 제2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을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결정할 때, 파일처리부(130)는 저장 DB(300)에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을 업데이트시키고, 제2 단말에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을 백업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처리부(130)는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특정 파일에 대한 이미지열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로부터 요청받을 때,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모든 이미지 파일들 중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기설정된 합성 순서대로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은 하나의 프로젝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미지 편집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경 이미지 파일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화면 정보이고, 레퍼런스 파일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정보이며, 텍스쳐 파일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와 배경화면에 대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134)의 텍스쳐 파일을 학습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134)가 텍스쳐 파일을 학습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인공 신경망(500)을 이용하여, 텍스쳐 파일을 학습할 수 있다.
먼저,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복수의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들을 입력으로 하여 인공 신경망(5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텍스쳐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편집 요소들을 출력으로 하여 인공 신경망(50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는 배경에 캐릭터가 합쳐진 화면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텍스쳐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편집 요소들은 밝기, 콘트라스트(contrast), 색상(color), 명도(brightness), 채도(chroma, hue), 포화도(saturation), 휘도(luminance), 선예도(sharpness), 색조(tint)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및 색 온도(color temperature), RGB픽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 신경망(500)은 특징 추출 신경망(510)과 분류 신경망(520)을 포함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징 추출 신경망(510)은 복수의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들 각각을 캐릭터 객체 정보와 배경 객체 정보에 따라, 복수의 배경 이미지 요소들과 복수의 캐릭터 이미지 요소들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경 이미지 요소는 배경객체에 대한 픽셀정보이고, 캐릭터 이미지 요소는 캐릭터객체에 대한 픽셀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 추출 신경망(510)은 입력 신호를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을 차례로 쌓아 진행한다. 컨볼루션 계층은 컨볼루션 연산, 컨볼루션 필터 및 활성 함수를 포함하고 있다. 컨볼루션 필터의 계산은 대상 입력의 행렬 크기에 따라 조절되나 일반적으로 9X9 행렬을 사용한다. 활성 함수는 일반적으로 ReLU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 및 tanh 함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풀링 계층은 입력의 행렬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특정 영역의 픽셀을 묶어 대표값을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풀링 계층의 연산에는 일반적으로 평균값이나 최대값을 많이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해당 연산은 정방 행렬을 사용하여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9X9 행렬을 사용한다.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은 해당 입력이 차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번갈아 반복 진행된다.
이때, 분류 신경망(520)은 특징 추출 신경망(510)을 통해 분리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 요소들과 복수의 캐릭터 이미지 요소들을 기설정된 입력 뉴런에 합성 이미지마다 분류하여 입력하고, 이미지 편집요소에 해당하는 출력 뉴런의 발화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쳐 파일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신경망(520)이 해당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들에 대한 텍스쳐 파일을 추정함에 있어,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이 적용된 최종 이미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분류 신경망(520)은 은닉층과 출력층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인공 신경망(500)은 일반적으로 5개 이상의 은닉층을 포함하며, 각 은닉층의 노드는 80개로 지정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그 이상으로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은닉층의 활성 함수는 ReLU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 및 tanh 함수 등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500)의 출력층 노드는 총 50개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 신경망(500)의 출력은 50개의 출력층 노드 중 상위 25개의 출력층 노드는 제1 학습패턴신호를 지시할 수 있고, 하위 25개의 출력층 노드는 상위 25개의 출력층 노드는 제2 학습패턴신호를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상위 25개의 출력층 노드와 하위 25개의 출력층 노드를 대응시키는 방식은 상위 n번째 출력층 노드와 하위 n번째 출력층 노드를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전체에서 n번째 출력층 노드가 전체에서 25+n번째 출력층 노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1번째 출력층 노드는 26번째 출력층 노드에 대응하며, 2번째 출력층 노드는 27번째 출력층 노드에 대응하며, 25번째 출력층 노드는 50번째 출력층 노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학습패턴신호는 그 유형에 대응하는 신호 정보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공 신경망(500)의 50개의 출력층 노드 중 출력값이 없는 출력층 노드는 숫자 '0'을 그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위 25개의 출력층 노드 중에 이 숫자 '0'이 포함되는 노드들은 해당되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향후 뉴럴 네트워크의 연산 시에 연산에서 배제될 수 있다. 만일 분류된 문제의 유형이 25개인 경우, 남은 문제는 미리 생성한 출력값이 모두 처리된 후 자동으로 이어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500)은 사용자가 인공 신경망(500)에 따른 텍스쳐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편집 요소들이 잘못 추정된 것을 발견하는 경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수동 입력값들을 통해 재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수동 입력값들은 복수의 편집 요소들과 기설정된 임계치값들 간의 오차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며, 경우에 따라 델타를 이용하는 SGD나 배치 방식 혹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따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수동 입력값들에 의해 인공 신경망(500)은 기존의 가중치를 수정하여 학습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 모멘텀을 사용할 수 있다. 오차의 계산에는 비용 함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비용 함수로서 Cross Entropy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마다 분류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 요소들과 복수의 캐릭터 이미지 요소들에 대해 학습되는 인공 신경망(500)을 이용하여, 텍스쳐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편집 요소들을 추정함으로써, 텍스쳐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미지정보 제공부(134)가 텍스쳐 파일을 학습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뉴럴 네트워크(600)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복수의 배경 이미지 요소와 복수의 캐릭터 이미지 요소 및 저장 DB(300)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보조 추정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뉴럴 네트워크(60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추정값은 저장 DB(300) 내에 저장되고, 텍스쳐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편집 요소들을 평가한 사용자 평가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출력값은 텍스쳐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편집 요소들에 대한 수치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뉴럴 네트워크(600)의 입력은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의 복수의 배경 이미지 요소와 복수의 캐릭터 이미지 요소를 포함하는 1행 50열의 매트릭스, 보조 추정값의 1행 500열의 매트릭스가 합쳐진 총 1행 550열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서, 뉴럴 네트워크(600)의 입력이 되는 입력층 노드는 총 550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출력층 노드는 5개의 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캐릭터배경 합성 이미지의 복수의 배경 이미지 요소와 복수의 캐릭터 이미지 요소 및 보조 추정값에 대해 학습하는 뉴럴 네트워크(600)을 이용하여, 복수의 편집 요소들에 대한 수치값을 추정함으로써, 텍스쳐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c 및 도 7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100)은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10_1~10_N)을 제1 내지 제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분류하고, 이를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100)은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예컨대, 10_1~10_3)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301, 302)를 입력받을 때,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203)를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각 단말(예컨대, 10_1~10_3)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S130 단계에서,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100)은 각 단말(예컨대, 10_1~10_3)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요청받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동기화 처리부(13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4c,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동기화 처리부(130)는 각 단말(예컨대, 10_1~10_3) 중 제1 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S220 단계에서, 동기화 처리부(130)는 각 단말(예컨대, 10_1~10_3) 중 제2 단말(예컨대, 10_2)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S230 단계에서, 동기화 처리부(130)는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간의 동기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중 어느 하나를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를 백업 파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S240 단계에서, 동기화 처리부(130)는 프로젝트 편집파일을 저장 DB(300)에 업데이트시키고, 백업 파일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중 프로젝트 편집파일을 전송한 해당 단말에 백업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이미지정보 제공부(134)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4c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로부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이미지 파일들 중 특정 파일에 대한 수동 이미지열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수동 이미지열기 신호는 복수의 단말들(10_1~10_N) 중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로부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200)을 통해 수동으로 입력받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그런 다음, S320 단계에서,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이미지 파일들 중 배경 이미지 파일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S330 단계에서, 배경 이미지 파일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배경 이미지 파일을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를 통해 제공받은 배경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340 단계에서,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레퍼런스 파일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S350 단계에서, 레퍼런스 파일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레퍼런스 파일을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를 통해 제공받은 레퍼런스 파일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에 캐릭터가 합쳐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360 단계에서,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텍스쳐 파일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할 수 있다.
이후, S370 단계에서, 텍스쳐 파일이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는 텍스쳐 파일을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단말(예컨대, 10_1)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정보 제공부(134)를 통해 제공받은 텍스쳐 파일에 기초하여, 배경에 캐릭터가 합쳐진 화면에 색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
110: 등록부
120: 파일 관리부
130: 동기화 처리부

Claims (5)

  1. 등록부, 파일 관리부 및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의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등록부가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을 분류하여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파일 관리부가 상기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로부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각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각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각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각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간의 동기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중 어느 하나를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를 백업 파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프로젝트 편집파일을 저장 DB에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백업 파일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중 상기 프로젝트 편집파일을 전송한 해당 단말에 백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특정 파일에 대한 이미지열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요청받을 때,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모든 이미지 파일들 중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기설정된 합성 순서대로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동작, 업로드 동작 및 이미지파일 열기 동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업로드 경로는 상기 저장 DB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경로를 의미하고, 상기 다운로드 경로는 각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주소경로를 의미하며,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는 상기 저장 DB와 상기 각 단말에 저장된 트리구조의 폴더들과 파일들을 포함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 관리부가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에서 파일 별로 동기화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상기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5. 컨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는 동기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을 분류하여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으로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동기화 네트워크 그룹 내 각 단말로부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로젝트 파일트리를 상기 각 단말에 제공하는 파일 관리부;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각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편집 파일마다 업데이트 동작과 백업 동작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각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 제1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고, 상기 각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 편집 파일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요청받는 요청응답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간의 동기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편집 파일 중 어느 하나를 동기화 파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를 백업 파일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동기화 파일을 프로젝트 편집파일로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백업 파일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중 상기 동기화 파일을 전송한 해당 단말에 백업시키는 파일 처리부; 및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특정 파일에 대한 이미지열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요청받을 때, 상기 프로젝트 파일트리의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의 다운로드 경로에 위치하는 지를 탐색하고, 상기 모든 이미지 파일들 중 배경 이미지 파일, 레퍼런스 파일 및 텍스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기설정된 합성 순서대로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이미지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시스템.





KR1020210101252A 2021-08-02 2021-08-02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35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52A KR102356571B1 (ko) 2021-08-02 2021-08-02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52A KR102356571B1 (ko) 2021-08-02 2021-08-02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571B1 true KR102356571B1 (ko) 2022-02-09

Family

ID=8026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252A KR102356571B1 (ko) 2021-08-02 2021-08-02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571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176A (ko) * 2001-06-20 2001-08-22 안성민 인터넷 사이트의 컨텐츠 자료를 개인용 정보 처리기로오토 싱크하는 싱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자료동기화 방법
KR20020033275A (ko) * 2000-10-30 2002-05-06 정정호 로컬 단말기와 서버간에 데이터 파일을 동기화시키는동기화 푸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7674A (ko) * 2003-08-01 2005-02-23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네트웍 환경에서의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KR100810368B1 (ko) * 2006-07-10 2008-03-07 주식회사 한글과 컴퓨터 그룹 내 문서에 대한 유출 방지 및 접근 제어 시스템
US20100121818A1 (en) * 2008-11-07 2010-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File Synchronization
KR20100066735A (ko) * 2008-12-10 2010-06-18 주식회사 지세미 이동저장장치를 이용한 자동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325547A1 (en) * 2009-06-18 2010-12-23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ultimedia Editing Projects
JP4814590B2 (ja) * 2004-09-03 2011-11-16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マートクライアントの同期
KR20120072979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파일 백업 장치 및 방법
KR20130052310A (ko) * 2011-11-11 2013-05-22 (주)나무소프트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KR20150052421A (ko) * 2013-11-04 2015-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클라우드 장치
KR20160025282A (ko) * 2014-08-27 2016-03-08 김창걸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동기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0687A (ko) * 2015-03-10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mi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프로젝트 파일 동기화 시스템
KR101711203B1 (ko) * 2016-04-05 2017-03-02 김현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1039B1 (ko) * 2016-06-02 2017-11-2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계획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위한 임무컴퓨터 장치 및 복수 개의 임무컴퓨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US20180107455A1 (en) * 2015-12-29 2018-04-19 Eyelead Software SA Real-time collaborative development in a live programming system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275A (ko) * 2000-10-30 2002-05-06 정정호 로컬 단말기와 서버간에 데이터 파일을 동기화시키는동기화 푸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79176A (ko) * 2001-06-20 2001-08-22 안성민 인터넷 사이트의 컨텐츠 자료를 개인용 정보 처리기로오토 싱크하는 싱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자료동기화 방법
KR20050017674A (ko) * 2003-08-01 2005-02-23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네트웍 환경에서의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JP4814590B2 (ja) * 2004-09-03 2011-11-16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マートクライアントの同期
KR100810368B1 (ko) * 2006-07-10 2008-03-07 주식회사 한글과 컴퓨터 그룹 내 문서에 대한 유출 방지 및 접근 제어 시스템
US20100121818A1 (en) * 2008-11-07 2010-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File Synchronization
KR20100066735A (ko) * 2008-12-10 2010-06-18 주식회사 지세미 이동저장장치를 이용한 자동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325547A1 (en) * 2009-06-18 2010-12-23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ultimedia Editing Projects
KR20120072979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파일 백업 장치 및 방법
KR20130052310A (ko) * 2011-11-11 2013-05-22 (주)나무소프트 복수 유저 및 복수 단말 환경에서의 파일 동기화 방법
KR20150052421A (ko) * 2013-11-04 2015-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클라우드 장치
KR20160025282A (ko) * 2014-08-27 2016-03-08 김창걸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동기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0687A (ko) * 2015-03-10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mi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프로젝트 파일 동기화 시스템
US20180107455A1 (en) * 2015-12-29 2018-04-19 Eyelead Software SA Real-time collaborative development in a live programming system
KR101711203B1 (ko) * 2016-04-05 2017-03-02 김현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1039B1 (ko) * 2016-06-02 2017-11-2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계획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위한 임무컴퓨터 장치 및 복수 개의 임무컴퓨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7826A1 (en) Determining colors of objects in digital images
US10535141B2 (en) Differentiable jaccard loss approximation for train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JP5797789B2 (ja) 準複製画像検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2529026B (zh) 提供ai模型的方法、ai平台、计算设备及存储介质
EP1552437B1 (en) Information extraction using an object based semantic network
US20120155759A1 (en) Establishing clusters of user preferences for image enhancement
KR102310598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US8417047B2 (en) Noise suppression in low light images
CN111737800A (zh) 图元选择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614778A (zh) 图像分析系统及使用该图像分析系统的方法
US20220277574A1 (en) Image classification using color profiles
KR102310600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추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10083735B (zh) 图像筛选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56571B1 (ko) 다자간의 파일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US10637735B2 (en) Pattern-based migration of workloads
GB2454213A (en) Analyzing a Plurality of Stored Images to Allow Searching
JPH04205626A (ja) 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WO2023155783A1 (zh) 模型调整与业务处理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13947B1 (ko) 트래킹 아이디 부여 및 검수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56914B1 (ko) 메타데이터 자동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110525A (ja) 画像検索方法及び画像検索装置
GB2463545A (en) Rule creation for an apparatus including a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CMDB)
CN111767225B (zh) 一种云计算环境下第三方软件测试系统及方法
US112169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tion of user-provided images
GB2585971A (en) Classifying colors of objects in digital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