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386B1 -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386B1
KR101400386B1 KR1020100107314A KR20100107314A KR101400386B1 KR 101400386 B1 KR101400386 B1 KR 101400386B1 KR 1020100107314 A KR1020100107314 A KR 1020100107314A KR 20100107314 A KR20100107314 A KR 20100107314A KR 101400386 B1 KR101400386 B1 KR 10140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light emitting
lay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654A (ko
Inventor
오형윤
박성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386B1/ko
Priority to DE102011123066.5A priority patent/DE102011123066B3/de
Priority to DE102011123058.4A priority patent/DE102011123058B3/de
Priority to DE102011054855.6A priority patent/DE102011054855B4/de
Priority to US13/283,774 priority patent/US9045471B2/en
Priority to CN201110356188.XA priority patent/CN102558175B/zh
Publication of KR2012004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386B1/ko
Priority to US14/698,531 priority patent/US92405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two or thre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7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more than three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며, X1, X2, X3, Y1, Y2, Y3, Z1, Z2, Z3 각각은 탄소(C) 또는 질소(N)에서 선택되며, R1, R2, R3 각각은 수소(H), 불소(F), 염소(Cl),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방향족(aromatic) 화합물, 알킬 실릴(alkyl silyl) 화합물, 아릴 실릴(aryl silyl) 화합물, 알콕시 (alkoxy) 화합물, 아릴옥시(aryloxy) 화합물, alkyl phosphoryl기, alkyl sulfuryl기, aryl sulfuryl기, alkyl amino기, aryl amino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57324795-pat00021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Phosphorescent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물질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플라스틱 같은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동 전압 및 소모 전력 등에서 장점을 갖는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양극(anode)과, 양극 상에 순차로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IL:hole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EML: 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음극(cathod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광물질층에는 필요에 따라 도펀트(dopant)를 첨가한다. 예를 들어, 적색(green) 발광층은, 4,4′-N,N′-dicarbazolbiphenyl (CBP)를 30nm 내지 60nm의 두께로 증착하며 불순물(dopant)로는 Bis(2-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iridium(III) (Ir(phq)2acac)이 약 5~10% 도핑된다.
최근에는 발광물질층에 형광 물질보다 인광 물질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형광 물질의 경우 발광물질층에서 형성되는 엑시톤 중에 약 25%의 단일항만이 빛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75%의 삼중항은 대부분 열로 소실되는 반면, 인광 물질은 단일항과 삼중항 모두를 빛으로 전환 시키는 발광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광 도펀트(dopant)는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중심부에 Ir, Pt, Eu와 같은 무거운 원소(heavy atom)를 포함하며 삼중항에서 단일항으로의 전자 전이 확률이 높다.
하지만 이러한 도펀트는 농도 소광 현상으로 급격한 효율감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발광물질층을 구성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펀트보다 열안정성 및 삼중항 에너지가 높은 호스트 물질과 함께 발광층을 이루게 된다.
인광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 프로세스를 간단히 살펴 보면,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홀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에서 만나게 되고, 호스트에서 형성된 단일항 엑시톤은 도펀트의 단일항 또는 삼중항으로 에너지 전이가 일어나며, 삼중항 엑시톤은 도펀트의 삼중항으로 에너지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 도펀트의 단일항으로 전이된 엑시톤은 다시 도펀트의 삼중항으로 전이되기 때문에, 모든 엑시톤의 종착지는 도펀트의 삼중항 준위이다. 이렇게 형성된 엑시톤은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되며 빛을 발생한다.
이때, 도펀트로의 효율적인 에너지 전이를 위해 호스트 물질의 삼중항 에너지는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반드시 커야만 한다. 하지만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호스트 물질로 널리 사용되는 CBP의 경우 삼중항 에너지가 2.6eV 이므로 잘 알려진 FIrpic (iridum-bis(4,6-difluorophenylpyridinato-N,C2)-picolinate) 인광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작기 때문에, 호스트 물질에서 도펀트로의 에너지 역 전이현상이 발생하여 효율이 떨어진다. 특히 저온에서 효율 감소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삼중항 에너지가 2.6eV이상이면서 열안정성이 우수한 신규 인광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발광물질층 앞과 뒤에 인접한 정공 수송층 또는 전자 수송층의 삼중항 에너지가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작을 경우는 도펀트 또는 호스트에서 이들 층으로 에너지 역 전이가 발생하여 효율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따라서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뿐만 아니라 정공/전자 수송층 물질의 삼중항 에너지도 인광 소자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삼중항 에너지가 2.6eV 이상인 인광 물질을 제공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저하 문제를 방지하고자 한다. 특히, 호스트 물질의 삼중항 에너지를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높게 함으로써, 발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정공 수송층 또는 전자 수송층에 이용할 수 있으며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인광 물질을 제공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며, X1, Y1, Z1 중 하나와 X2, Y2, Z2 중 하나는 질소(N)이고, 이들 중 나머지와 X3, Y3, Z3는 비치환된 탄소(C)이며, R1, R2, R3 각각은 수소(H), 불소(F), 염소(Cl),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방향족(aromatic) 화합물, 알킬 실릴(alkyl silyl) 화합물, 아릴 실릴(aryl silyl) 화합물, 알콕시 (alkoxy) 화합물, 아릴옥시(aryloxy) 화합물, 알킬 설퍼릴(alkyl sulfuryl)기, 아릴 설퍼릴(aryl sulfuryl)기, 알킬 아미노(alkyl amino)기, 아릴 아미노(aryl amino)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1
상기 지방족 화합물은 C1~C20의 알킬(alkyl)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방향족 그룹 물질은 페닐(phenyl), 나프틸(naphthyl), 바이페닐(biphenyl), 터페닐(terphenyl), 페난스렌닐(phenanthrenyl)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물질층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며, X1, Y1, Z1 중 하나와 X2, Y2, Z2 중 하나는 질소(N)이고, 이들 중 나머지와 X3, Y3, Z3는 비치환된 탄소(C)이며, R1, R2, R3 각각은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방향족(aromatic) 화합물, 알킬 실릴(alkyl silyl) 화합물, 아릴 실릴(aryl silyl) 화합물, 알콕시 (alkoxy) 화합물, 아릴옥시(aryloxy) 화합물, 알킬 설퍼릴(alkyl sulfuryl)기, 아릴 설퍼릴(aryl sulfuryl)기, 알킬 아미노(alkyl amino)기, 아릴 아미노(aryl amino)기 중에서 선택되는 호스트 물질과, 상기 호스트 물질보다 작은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2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과; 상기 정공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과; 상기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과; 상기 전자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전자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호스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은 2.8eV이상의 삼중항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은 발광물질층에 이용되며 도펀트의보다 큰 삼중항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발광 효율의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8eV이상의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을 정공 수송층 또는 전자 수송층에 이용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광물질은 용해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코팅 공정에 의해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호스트 물질인 CBP의 PL 스펙트럼이다.
도 2a 및 2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의 UV 스펙트럼 및 PL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의 구조 및 그 합성예와,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광 물질은 tri-phenyl amine의 meta 위치에 carboline기 또는 carbazole기가 치환된 구조이며,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된다.
화학식1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3
상기 화학식1에서 X1, X2, X3, Y1, Y2, Y3, Z1, Z2, Z3 각각은 탄소(C) 또는 질소(N)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X1=Y1=Z1=C인 경우 carbazole기이다. 또한, 예를 들어, X1=N, Y1=Z1=C인 경우 α-carbolin이며, Y1=N, X1=Z1=C인 경우 β-carbolin이고, Z1=N, X1=Y1=C인 경우 γ-carbolin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1에서 R1, R2, R3 각각은 수소(H), 불소(F), 염소(Cl),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방향족(aromatic) 화합물, 알킬 실릴(alkyl silyl) 화합물, 아릴 실릴(aryl silyl) 화합물, 알콕시 (alkoxy) 화합물, 아릴옥시(aryloxy) 화합물, alkyl phosphoryl기, alkyl sulfuryl기, aryl sulfuryl기, alkyl amino기, aryl amino기 중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족 화합물은 C1~C20의 아릴(aryl), C1~C20의 알킬(alkyl)일 수 있고, 상기 방향족 그룹 물질은 페닐(phenyl), 나프틸(naphthyl), 바이페닐(biphenyl), 터페닐(terphenyl), 페난스렌닐(phenanthreny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된 인광물질은 아래 화학식2로 표시된 물질 중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4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5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6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7
상기 화학식2 중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8
로 표시된 3,3’,3”-(N-carbazolyl)-triphenylamine (mTCTA로 약칭)은 아래 제 1 합성예에 의해 얻어진다.
제 1 합성예
1. 3,3’,3”-(N-carbazolyl)-triphenylamine의 합성
3,3’,3”-(N-carbazolyl)-triphenylamine은 아래 반응식1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1
Figure 112010070738864-pat00009
구체적으로, 100ml 이구 플라스크(two neck flask)에 3-(N-carbazolyl)benzenamine 1.5g (5.8mmole), N-(3-bromophenyl)-α-carbazole 4.0g (12.3mmole)과 Toluene 50ml, Sodium t-butoxide 2.2g (23mmole), Pd2(dba)3 0.3g (0.3mmole), tris-t-butylphosphine 0.4g (2mmole)을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종결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Toluene을 제거한 후 Methanol 100ml에서 침전을 얻었다. Methylencholride:Hexane =1:3 전개 용매를 이용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흰색 가루(white powder) 3.2g (수율 77%)을 얻었다.
상기 화학식2 중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0
로 표시된 3,3’-di(N-α-carbolinyl)-3"- (N-carbazolyl)-triphenylamine (mDACTA로 약칭)은 아래 제 2 합성예에 의해 얻어진다.
제 2 합성예
1. N-(3-bromophenyl)-α-carboline의 합성
N-(3-bromophenyl)-α-carboline은 아래 반응식2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2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1
구체적으로, 250ml 이구 플라스크에 α-carboline 7.3g (43.4mmol), 3-iodo-bromobenzene 13.6g (48mole) CuI 0.58g, 1,2-yclohexyldiamine 0.68g, K3PO4 18.4g 과 Dioxane 100ml를 넣고 12시간 환류시켰다. 필터하여 여과된 용액을 감압 증류하고 MC(methylene chloride)용매에 녹여 Silica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고체 8.4g을 얻었으며 수율은 60%였다.
2. 3,3’-di(N-α-carbolinyl)-3"- (N-carbazolyl)-triphenylamine의 합성
3,3’-di(N-α-carbolinyl)-3"- (N-carbazolyl)-triphenylamine은 아래 반응식3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3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2
구체적으로, 100ml 이구 플라스크에 3-(N-carbazolyl)benzenamine 1.5g (5.8mmole), N-(3-bromophenyl)-α-carboline 4.0g (12.3mmole)과 Toluene 50ml, , Sodium t-butoxide 2.2g (23mmole), Pd2(dba)3 0.3g (0.3mmole), tris-t-butylphosphine 0.4g (2mmole)을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종결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Toluene을 제거한 후 Methanol 100ml를 넣고 0도씨로 냉각 후 즉시 필터하여 침전을 얻었다. Acetone: hexane=1:2로 전개 용매로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흰색 가루 3.4g (수율 81%)을 얻었다.
상기 화학식2 중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3
로 표시된 3,3’-di(N-γ-carbolinyl)-3"-(N-carbazolyl)-triphenylamine (mDGCTA로 약칭)은 아래 제 3 합성예에 의해 얻어진다.
제 3 합성예
1. N-(3-bromophenyl)-γ-carboline의 합성
N-(3-bromophenyl)-γ-carboline은 아래 반응식4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4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4
구체적으로, 250ml 이구 플라스크에 γ-carboline 4g (23.8mmol), 4-iodo-bromobenzene 8.1g (28.5mole) CuI 0.58g, 1,2-cyclohexyldiamine 0.68g, K3PO4 12.6g 과 Dioxane 100ml를 넣고 12시간 환류시켰다. 필터하여 여과된 용액을 감압 증류하고 ethylacetate(EA)용매에 녹여 silica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고체 5.0g을 얻었으며 수율은 86%였다.
2. 3,3’-di(N-γ-carbolinyl)-3"-(N-carbazolyl)-triphenylamine의 합성
3,3’-di(N-γ-carbolinyl)-3"-(N-carbazolyl)-triphenylamine은 아래 반응식5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5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5
구체적으로, 100ml 이구 플라스크에 3-(N-carbazolyl)benzenamine 1.5g (5.8mmole), N-(3-bromophenyl)-γ-carboline 4.0g (12.3mmole)과 Toluene 50ml, , Sodium t-butoxide 2.2g (23mmole), Pd2(dba)3 0.15g, 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0.2g을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종결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Toluene을 제거한 후 Methanol 100ml를 넣어 침전을 얻었다. THF(tetrahydrofuran) 전개 용매로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흰색 가루 2.2g (수율 53%)을 얻었다.
상기 화학식2 중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6
로 표시된 3,3’,3”-(N-a-carbolinyl)-triphenylamine (mTATA로 약칭)은 아래 제 4 합성예에 의해 얻어진다.
제 4 합성예
1. N-(3-bromophenyl)-α-carboline의 합성
N-(3-bromophenyl)-α-carboline은 아래 반응식6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6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7
구체적으로, 250ml 이구 플라스크에 α-carboline 7.3g (43.4mmol), 3-iodo-bromobenzene 13.6g (48mole) CuI 0.58g, 1,2-yclohexyldiamine 0.68g, K3PO4 18.4g 과 Dioxane 100ml를 넣고 12시간 환류시켰다. 필터하여 여과된 용액을 감압 증류하고 MC(methylene chloride)용매에 녹여 Silica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고체 8.4g을 얻었으며 수율은 60%였다.
2. 3,3’,3”-(N-α-carbolinyl)-triphenylamine의 합성
3,3’,3”-(N-α-carbolinyl)-triphenylamine 은 아래 반응식7에 의해 얻어진다.
반응식7
Figure 112010070738864-pat00018
구체적으로, 100ml 이구 플라스크에 3-(N-α-carbolinyll)benzenamine 1.5g (5.8mmole), N-(3-bromophenyl)-α-carboline 4.0g (12.3mmole)과 Toluene 50ml, , Sodium t-butoxide 2.2g (23mmole), Pd2(dba)3 0.3g (0.3mmole), tris-t-butylphosphine 0.4g (2mmole)을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종결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Toluene을 제거한 후 Methanol 100ml를 넣고 0도씨 냉각 후 즉시 필터하여 침전을 얻었다. Acetone: hexane=1:2로 전개 용매를 바꾸어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흰색 가루 3.5g (수율 84%)을 얻었다.
전술한 합성예에 의해 얻어진 인광물질에 대하여 UV 흡수 스펙트럼과 저온(77K)에서의 PL(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도 2a 및 2b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2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은 2.8eV이상의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 발광물질층의 호스트 물질로 이용되는 CBP보다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가지며, 또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인 2.7eV보다 크기 때문에, 호스트 물질에서 도펀트로의 에너지 역 전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은 도펀트보다 큰 삼중항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정공 수송층 또는 전자 수송층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도펀트에서 정공 수송층 또는 전자 수송층으로의 에너지 역 전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광물질은 용해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코팅 공정에 의해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종래 인광물질, 예를 들면 CBP는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증착 공정에 의해서 소자를 제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은 용해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용액 상태에서 코팅 공정에 의해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자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인광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기판(미도시)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미도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E)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E)는 양극 역할을 하는 제 1 전극(110), 음극 역할을 하는 제 2 전극(13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110, 130)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전극(11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전극(13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낮은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N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120)은 적색, 녹색, 청색은 유기발광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발광층(120)은 발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중층 구조 즉, 제 1 전극(1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TL) (121),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IL) (122),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123),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124)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1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광물질층(123), 상기 정공 수송층(122) 및 전자 수송층(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된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물질층(123)이 본 발명의 인광 물질을 호스트 물질로 포함할 경우, 도펀트가 약 1~10wt% 첨가된다. 이때, 상기 인광 물질은 도펀트보다 큰 2.8eV이상의 삼중항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호스트 물질에서 도펀트로의 에너지 역 전이현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펀트는 Firpic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정공 수송층(122) 또는 전자 수송층(124)이 본 발명의 인광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광 물질은 발광물질층(123)의 도펀트보다 큰 2.8eV이상의 삼중항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도펀트로의 에너지 역 전이현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에너지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인광물질은 용해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코팅 공정에 의해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자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 1 전극
120: 유기발광층
121: 정공주입층
122: 정공수송층
123: 발광물질층
124: 전자수송층
125: 전자주입층
130: 제 2 전극

Claims (5)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며, X1, Y1, Z1 중 하나와 X2, Y2, Z2 중 하나는 질소(N)이고, 이들 중 나머지와 X3, Y3, Z3는 탄화수소(CH)이며, R1, R2, R3 각각은 수소(H), 불소(F), 염소(Cl),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방향족(aromatic) 화합물, 알킬 실릴(alkyl silyl) 화합물, 아릴 실릴(aryl silyl) 화합물, 알콕시 (alkoxy) 화합물, 아릴옥시(aryloxy) 화합물, 알킬 설퍼릴(alkyl sulfuryl)기, 아릴 설퍼릴(aryl sulfuryl)기, 알킬 아미노(alkyl amino)기, 아릴 아미노(aryl amino)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화학식
    Figure 112013115895939-pat0001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화합물은 C1~C20의 알킬(alkyl)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그룹 물질은 페닐(phenyl), 나프틸(naphthyl), 바이페닐(biphenyl), 터페닐(terphenyl), 페난스렌닐(phenanthrenyl)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4.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물질층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며, X1, Y1, Z1 중 하나와 X2, Y2, Z2 중 하나는 질소(N)이고, 이들 중 나머지와 X3, Y3, Z3는 탄화수소(CH)이며, R1, R2, R3 각각은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방향족(aromatic) 화합물, 알킬 실릴(alkyl silyl) 화합물, 아릴 실릴(aryl silyl) 화합물, 알콕시 (alkoxy) 화합물, 아릴옥시(aryloxy) 화합물, 알킬 설퍼릴(alkyl sulfuryl)기, 아릴 설퍼릴(aryl sulfuryl)기, 알킬 아미노(alkyl amino)기, 아릴 아미노(aryl amino)기 중에서 선택되는 호스트 물질과, 상기 호스트 물질보다 작은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도펀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화학식
    Figure 112013115895939-pat0002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과;
    상기 정공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과;
    상기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과;
    상기 전자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전자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호스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100107314A 2010-10-28 2010-10-29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KR10140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314A KR101400386B1 (ko) 2010-10-29 2010-10-29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DE102011123066.5A DE102011123066B3 (de) 2010-10-28 2011-10-27 Phosphoreszierende Verbindung und diese verwend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DE102011123058.4A DE102011123058B3 (de) 2010-10-28 2011-10-27 Phosphoreszierende Verbindung und diese verwend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DE102011054855.6A DE102011054855B4 (de) 2010-10-28 2011-10-27 Phosphoreszierende Verbindung und diese verwend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US13/283,774 US9045471B2 (en) 2010-10-28 2011-10-28 Phosphor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CN201110356188.XA CN102558175B (zh) 2010-10-28 2011-10-28 磷光化合物和使用它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14/698,531 US9240559B2 (en) 2010-10-28 2015-04-28 Phosphor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314A KR101400386B1 (ko) 2010-10-29 2010-10-29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54A KR20120045654A (ko) 2012-05-09
KR101400386B1 true KR101400386B1 (ko) 2014-05-27

Family

ID=4626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314A KR101400386B1 (ko) 2010-10-28 2010-10-29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3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276A (ko) * 2005-12-12 2008-09-17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m-카르바졸릴페닐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276A (ko) * 2005-12-12 2008-09-17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m-카르바졸릴페닐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54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5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2-아자트리페닐렌 물질
KR101996649B1 (ko) 피렌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32463B1 (ko) 아민 유도체, 유기 발광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EP3135676A1 (en) Electroluminescent organic compounds for organic electric elements and electronic devices
EP2492987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130110934A (ko) 유기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3596967A (zh) 杂配位铱碳烯络合物及使用其的发光装置
KR102081595B1 (ko) 인광 호스트 물질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10016044A (ko) 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94789B1 (ko) 유기발광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KR20100069360A (ko) 전자 수송-주입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20116884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28503B1 (ko) 인광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EP1619230B1 (en) Red light emitting compound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them
Chang et al. Naphthyl or pyrenyl substituted 2-phenylcarbazoles as hole transporting material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R20140070360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정공 수송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112257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00388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KR101922050B1 (ko)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30015370A (ko) 인광 물질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9209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KR101400386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KR10140038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KR101779914B1 (ko) 나프탈렌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33361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