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278B1 -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 Google Patents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278B1
KR101400278B1 KR1020120101713A KR20120101713A KR101400278B1 KR 101400278 B1 KR101400278 B1 KR 101400278B1 KR 1020120101713 A KR1020120101713 A KR 1020120101713A KR 20120101713 A KR20120101713 A KR 20120101713A KR 101400278 B1 KR101400278 B1 KR 101400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od
coupled
bracke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174A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2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주위에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용접부에 용이하게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는 일측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어 내부에 외부와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후드부와, 일단부가 지지부에 결합되어 후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후드부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과 후드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Blast Workhood}
본 발명은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 주위에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용접부에 용이하게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되는 금속 구조물의 용접부는 별도의 보호 피막이 없으므로 쉽게 부식되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부식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부에 도장작업을 해야 한다. 도장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미리 용접부의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나 녹 등을 제거하여 그 표면부를 깨끗하게 해야 하는데, 이때 블라스팅(blasting) 작업을 할 수 있다.
블라스팅은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모래나 강구 또는 이 혼합물을 용접부의 표면에 고속으로 분사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블라스팅 작업을 통해, 구조물의 표면에 붙어있던 이물질이나 녹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블라스팅 작업을 하면, 고속으로 분사된 연마재나 표면에 묻어 있던 이물질 등이 사방으로 비산된다. 이로 인해 작업환경이 더러워지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는 밀폐된 작업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세하게는 구조물 주위에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용접부에 용이하게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는, 일 측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어 내부에 외부와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후드부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드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개구된 주머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거나 분할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압축 가능하며 일 측에 만입부가 형성된 홀더와,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후드부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만입부에 삽입되는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후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굴절된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일 측에 상기 지지부의 면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공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부를 감싸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봉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만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후드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가 개구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모서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 주위에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블라스팅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외측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후드의 모서리부에 지지프레임을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지프레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3의 지지프레임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과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지프레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블라스팅 작업이 필요한 구조물(2)의 외측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은 분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내부에 외부와 밀폐되는 작업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다. 작업공간(15)은 밀폐되어 있어, 블라스팅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고속으로 분사된 연마재 등은 작업공간(15)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이러한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구조물(2)의 외측을 감싸는 후드부(10)와 후드부(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40)이 삽입되는 결합부(30)로 구성된다.
후드부(10)는 구조물(2)의 외측을 둘러 싸 블라스팅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이 비산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후드부(10)는 작업으로 인해 발생한 이물질이나 연마재 등이 투과될 수 없는 천막 또는 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후드부(10)는 천막 또는 비닐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이물질이나 연마재 등이 투과되지 않는 또 다른 재질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후드부(10)는 적어도 일 측에 절개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는 후드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후드부(10)는 절개부(14)를 중심으로 좌우로 펼쳐질 수 있다. 후드부(10)는 절개부(14)를 개방하여 구조물(2)의 외측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후드부(10)는 구조물(2)을 둘러싼 후, 절개부(14)의 일 측에 설치된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내부에 작업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다.
후드부(10)는 지지부(11)와 지지부(11)로부터 연장되는 모서리부(12)와 모서리부(12)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부(13)를 포함한다.
지지부(11)는 사각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형태로, 후드부(10)의 일 측에 형성된다. 지지부(11)는 구조물(2)의 상부에 밀착되어, 후드부(10)를 구조물(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11)와 구조물(2) 사이에는 밀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는 지지부(11)와 구조물(2)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지지부(11)가 구조물(2)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1)에는 다수개의 제 1 끼움홈(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끼움홈(20)은 제 1 고정벨트(22)가 통과하는 홈이며, 제 1 고정벨트(22)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벨트(22)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끼움홈(20)에 제 1 고정벨트(22)를 통과시키고, 제 1 고정벨트(22)를 당김으로써 지지부(11)를 조일 수 있다. 제 1 고정벨트(22)의 일 측에는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체결수단은 벨크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수단은 벨크로 형태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 1 고정벨트(22)를 조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고정벨트(22)는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부(11)에 조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1)는 제 1 고정벨트(22)에 의해 조여지면서 구조물(2)의 상부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지지부(11)의 중앙부(도시되지 않음)는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구조물(2)을 수용할 수 있다. 지지부(11)에 수용된 구조물(2)의 일단부는 지지부(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1)의 측하방으로는 모서리부(12)가 형성된다. 즉, 모서리부(12)는 지지부(11)로부터 경사지게 확장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모서리부(12)는 지지부(11)의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모서리부(12)와 마주보는 모서리부(12)가 연결되어 형성된 경사면에는 투광창(16)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투광창(16)을 통해 외부에서 후드(1) 내부의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투광창(16)은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모서리부(12)의 하방으로는 수직부(13)가 형성된다. 수직부(13)는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부(12)가 연결되어 형성된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면이다. 수직부(13)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부(13)에는 삽입구(18)와 조작구(17)가 설치될 수 있다. 블라스터(19)는 삽입구(18)를 통해 작업공간(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조작구(17)에 블라스터(19)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손을 넣어 블라스터(19)를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투광창(16), 삽입구(18) 및 조작구(17)를 통해 후드(1) 내부 공간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다. 후드부(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창(16)과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18)와 적어도 두 개의 조작구(17)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직부(13)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제 2 끼움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끼움홈(21)은 제 2 고정벨트(23)가 통과하는 홈이며, 제 2 고정벨트(23)는 제 1 고정벨트(22)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끼움홈(21)에 제 2 고정벨트(23)를 통과시키고, 제 2 고정벨트(23)를 당김으로써 수직부(13)의 하단을 조일 수 있다. 제 2 고정벨트(23)에 일 측에도 체결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에 의해 제 2 고정벨트(23)는 조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수직부(13)의 하단은 제 2 고정벨트(23)에 의해 조여지면서 구조물(2)의 하부에 밀착되고, 후드부(10)의 내부에는 밀폐된 작업공간(15)이 형성된다.
지지부(11)로부터 연장된 모서리부(12)의 하단에는 결합부(30)가 결합된다. 결합부(30)는 지지프레임(40)과 후드부(1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지지프레임(4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에 지지프레임(40)의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지지프레임(40)과 후드부(10)는 결합되고, 후드부(10)는 처지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주머니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머니부는 지지프레임(40)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 측이 지지부(11)를 향하여 개구되고 타 측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는 주머니부 형태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프레임(40)과 결합하여 후드부(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결합부(30)는 모서리부(12)의 하단에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30)는 모서리부(12)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부(30)는 모서리부(12)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결합부(30)가 모서리부(12)의 일 측을 덮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40)은 후드부(10)를 고정시켜, 후드부(10)가 처지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장치이다. 후드부(10)는 지지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에 일정한 작업공간(15)을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지지프레임(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프레임(4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거나 분할이 가능한 구조로 모서리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0)은 지지부(11)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41)과, 지지브라켓(41)에 탄성 결합되는 홀더(50)와 홀더(50)에 삽입되는 연결봉(46)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41)은 지지부(11)에 결합되며, 지지프레임(40)을 지지한다. 지지브라켓(41)은 두 개의 지지판(42)과 지지판(42)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지지봉(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42)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납작한 판 형태의 부재이다. 지지판(42)은 지지프레임(40)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지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지지판(42)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측이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판(42)의 접합부(도시되지 않음)는 지지부(11)의 모서리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판(42)이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판(42)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지지판(42)는 힌지로 결합되거나 나사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봉(44)은 환봉형태의 부재로서, 가벼우면서도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44)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봉(44)은 중공형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지지봉(44)은 용접 결합된 두 개의 지지판(42)의 접합부의 외측에 평행하게 결합된다. 지지봉(44)은 지지판(42)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서리부(12)를 따라 굴절되어 형성된다. 즉, 지지봉(44)의 일단부는 지지판(42)의 접합부에 완전히 고정되고, 타단부는 모서리부(12)와 평행하게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지지봉(44)의 일 측에는 장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장공(45)은 지지부(11)의 면을 따라 지지봉(44)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 1 고정벨트(22)는 장공(45)을 통과한다. 제 1 고정벨트(22)는 지지봉(44)에 형성된 장공(45)과 지지부(11)에 형성된 제 1 끼움홈(20)을 통과하여 지지부(11)를 둘러쌀 수 있다. 제 1 고정벨트(22)는 지지부(11)를 둘러싸고, 지지브라켓(41)을 지지부(11)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브라켓(41)이 지지부(11)에 고정되어 지지프레임(40)을 지지함으로써, 후드부(10)는 고정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봉(44)의 하부에는 홀더(50)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봉(44)과 홀더(50)는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봉(44)과 홀더(50)는 나사로 체결될 수도 있다. 홀더(50)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 탄성력에 의해 압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홀더(50)와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은 연결봉(46)의 전체 길이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50)와 결합부(30) 사이에 연결봉(46)을 개재하기 위해서 홀더(50)는 압축될 수 있다. 홀더(50)는 원통부재(51)와 탄성부재(52) 및 삽입봉(53)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재(51)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부재로서,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55)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만입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재(51)의 일 측에 형성된 만입부(54)에 연결봉(46)의 일단부를 삽입시키고, 연결봉(46)의 타단부를 결합부(30)에 결합시킴으로써 후드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원통부재(51)의 외측으로는 탄성부재(52)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52)는 스프링과 같이 압축 또는 이완하며 홀더(5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부재이다. 탄성부재(52)의 내부에는 삽입봉(53)이 수용될 수 있다.
삽입봉(53)은 일 측이 지지봉(44)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원통부재(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봉(53)은 탄성부재(52)가 압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원통부재(51)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삽입봉(53)의 일 측은 확장되어 있어 원통부재(51)에 형성된 걸림부(55)에 걸려 슬라이딩 이동 시 삽입봉(53)이 원통부재(5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봉(46)은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일정한 길이의 봉으로서, 가볍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46)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공형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봉(46)은 내부가 꽉 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봉(46)은 필요에 따라 지지프레임(4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연결봉(46)은 일 측이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수용되고, 타 측은 결합부(30)에 의해 후드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46)은 홀더(50)와 결합부(30)에 결합되어 처져있는 후드부(10)를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후드부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도 3의 지지프레임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후드부(1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후드부(10)를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거나 분할이 가능한 구조로, 필요에 따라 연결봉(46)을 탈부착할 수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블라스팅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지지부(11)를 구조물(2)에 고정시키고, 구조물(2)의 외측에 후드부(10)를 둘러 싸 내부에 작업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후드부(10)는 모서리부(12)가 고정되지 않아 처져있게 된다.
지지부(11)의 모서리에는 용접 결합된 두 개의 지지판(42)이 결합된다. 이 때, 지지부(11)의 모서리와 지지판(42)의 접합부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접합부에는 지지봉(44)이 결합되며, 지지봉(44)은 지지판(42)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서리부(12)를 따라 굴절되어 형성된다. 지지봉(44)의 일 측에는 지지부(11)의 면을 따라 장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44)의 하부에는 홀더(50)의 삽입봉(53)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삽입봉(53)의 일 측은 지지봉(44)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원통부재(51)의 내부에 삽입된다. 원통부재(51)에 형성된 걸림부(55)에 삽입봉(53)의 확장된 부분이 걸림으로써 삽입봉(53)은 원통부재(5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된 삽입봉(53)의 외측으로는 탄성부재(52)가 설치된다.
탄성부재(52)가 이완된 경우,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된다. 원통부재(51)의 내부에는 삽입봉(53)이 돌출된 만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부(12)의 하단에는 결합부(30)가 결합된다. 결합부(30)의 일 측은 지지부(11)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결합부(30)의 내부에는 연결봉(46)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46)이 홀더(50)와 결합부(3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모서리부(12)는 고정되지 않고 처져있게 된다. 홀더(50)와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은 연결봉(46)의 전체 길이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지지브라켓(41)은 지지부(1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연결봉(46)의 일단부가 결합부(30)에 의해 후드부(10)와 결합된다. 연결봉(46)의 타단부를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삽입하기 위해서 탄성부재(52)를 압축시킨다.
탄성부재(52)가 압축된 경우,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된다.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된 삽입봉(53)의 길이만큼 홀더(50)와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은 넓어진다. 모서리부(12)는 결합부(30)에 결합된 연결봉(46)에 의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c를 참조하면, 연결봉(46)의 일단부를 결합부(30)와 결합시키고, 탄성부재(52)를 압축시켜 홀더(50)와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홀더(50)와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을 넓힌 후 연결봉(46)의 타단부를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삽입시킨다. 이 때, 원통부재(51)의 내부에서 연결봉(46)의 일 측과 삽입봉(53)의 일 측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연결봉(46)이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삽입되면, 탄성부재(52)는 다시 이완되고,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된다. 원통부재(51)의 걸림부(55)에 삽입봉(53)의 확장된 부분이 걸림으로써 삽입봉(53)이 원통부재(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통부재(51)와 결합부(30) 사이에 연결봉(46)이 결합되면, 모서리부(12)는 팽팽하게 고정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한다. 모서리부(12)가 고정되면, 후드부(10)의 내부에는 블라스팅 작업을 위한 밀폐된 작업공간(15)이 형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홀더(50)가 연결봉(46)의 일 측에 결합된 경우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홀더(50)가 지지브라켓(41)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신, 연결봉(46)의 일 측에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1)에는 지지브라켓(41)이 결합되고, 지지브라켓(41)은 용접 결합된 두 개의 지지판(42)과 지지봉(44)을 포함한다. 지지판(42)의 접합부에는 지지봉(44)이 결합되며, 지지봉(44)은 지지판(42)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서리부(12)를 따라 굴절되어 형성된다. 지지봉(44)의 일 측에는 장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46)의 일 측에는 홀더(50)가 결합될 수 있다. 홀더(50)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력에 의해 압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홀더(50)는 원통부재(51)와 탄성부재(52), 삽입봉(53)로 구성된다. 원통부재(51)의 일 측에는 만입부(54)가 형성된다.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지지봉(44)의 일단부를 삽입시키고, 결합부(30)와 연결봉(46)을 결합시켜 모서리부(12)를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52)는 원통부재(51)의 외측에 설치되고, 탄성부재(52)의 내부에는 삽입봉(53)이 수용될 수 있다. 삽입봉(53)의 일 측은 연결봉(46)에 결합되고, 타 측은 원통부재(51)의 내부에 삽입된다. 삽입봉(53)은 탄성부재(52)가 압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원통부재(5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삽입봉(53)의 일 측은 확장되어 있어 원통부재(51)의 걸림부(55)에 걸려 슬라이딩 이동 시 원통부재(5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지지봉(44)과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은 연결봉(46)가 홀더(50)가 결합된 길이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다.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지지봉(44)을 삽입하기 위해서 탄성부재(52)를 압축시킨다.
탄성부재(52)가 압축된 경우,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된다.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된 삽입봉(53)의 길이만큼 지지봉(44)과 결합부(30) 사이의 간격은 넓어진다. 지지봉(44)이 원통부재(51)의 만입부(54)에 삽입되면, 탄성부재(52)는 다시 이완된다. 이 때,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된다.
홀더(50)에 지지봉(44)이 삽입되고, 결합부(30)에 연결봉(46)이 결합되면, 모서리부(12)는 팽팽하게 고정된다. 모서리부(12)가 고정되면, 후드부(1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에 밀폐된 작업공간(15)이 형성된다.
이하 도 6a와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과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a와 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결봉(46)을 포함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지지부(11)에는 지지브라켓(41)이 결합되고, 지지브라켓(41)은 두 개의 지지판(42)과 지지봉(44)을 포함한다. 두 개의 지지판(42)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42)이 힌지 결합되는 경우, 지지판(42)의 힌지축(43)은 지지부(11)의 모서리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지지판(42)이 힌지로 결합되면, 두 개의 지지판(42)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펴져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2)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42)은 다각형 형상의 구조물(2)이나 원형 형상의 구조물(2)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판(42)의 힌지축(43)의 외측에는 지지봉(44)이 결합되며, 지지봉(44)은 지지판(42)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서리부(12)를 따라 굴절되어 형성된다. 지지봉(44)은 모서리부(12)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지지봉(44)의 일 측은 연결봉(46)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봉(44)의 하부에는 내부에 홀더(50)가 수용될 수 있다. 홀더(50)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 압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41)을 지지부(11)에 고정시키고, 결합부(30)에 연결봉(46)을 결합하여 후드부(10)를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브라켓(41)과 연결봉(46)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40)의 길이는 모서리부(12)의 길이보다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50)는 원통부재(51)와 탄성부재(52), 삽입봉(53)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2)는 원통부재(51)의 외측에 설치되고, 탄성부재(52)의 내부에는 삽입봉(53)이 수용된다. 삽입봉(53)의 일 측은 연결봉(46)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원통부재(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봉(53)은 탄성부재(52)가 압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원통부재(5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원통부재(5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브라켓(41)은 지지부(11)에 결합되고, 연결봉(46)의 일 측을 결합부(30)에 결합시키기 위해 탄성부재(52)를 압축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52)가 압축된 경우,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된다. 원통부재(51)의 내부로 수용된 삽입봉(53)의 길이만큼 지지프레임(4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연결봉(46)의 일 측을 결합부(30)에 결합시키면, 탄성부재(52)는 다시 이완되고, 삽입봉(53)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홀더(50)의 외부로 돌출된다.
지지브라켓(41)이 지지부(11)에 고정되고, 결합부(30)에 연결봉(46)의 일 측이 결합되면, 모서리부(12)는 팽팽하게 고정된다. 모서리부(12)가 고정되면, 후드부(10)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구조물(2)에 부착되어 밀폐된 작업공간(15)을 형성하고, 블라스팅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1)는 블라스팅 장치(60)에 연결되어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블라스팅 장치(60)는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연마재를 공급하고, 작업 후에는 연마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블라스팅 장치(60)는 블라스팅 탱크(61), 배출호스(62), 흡입호스(63), 집진장치(64)로 구성될 수 있다.
블라스팅 탱크(61)는 블라스터(19)에 연마재를 압송하여 후드(1) 내부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라스팅 탱크(61)는 배출호스(63)에 의해 회수된 연마재와 분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블라스팅 탱크(61)는 집진장치(64)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는다. 집진장치(64)는 블라스팅 탱크(61)에 흡입호스(63)로 연결되며, 연마재 및 분진의 흡입에 필요한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블라스팅 작업이 끝나면 배출호스(62)에 의해 연마재와 분진은 회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2. 구조물
3. 밀폐부재
10. 후드부 11. 지지부
12. 모서리부 13. 수직부
14. 절개부 15. 작업공간
16. 투광창 17. 조작구
18. 삽입구 19. 블라스터
20. 제 1끼움홈 21. 제 2끼움홈
22. 제 1고정벨트 23. 제 2고정벨트
30. 결합부
40. 지지프레임 41. 지지브라켓
42. 지지판 43. 힌지축
44. 지지봉 45. 장공
46. 연결봉
50. 홀더 51. 원통부재
52. 탄성부재 53. 삽입봉
54. 만입부 55. 걸림부
60. 블라스팅장치 61. 블라스팅탱크
62. 배출호스 63. 흡입호스
64. 집진장치

Claims (9)

  1. 일 측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어 내부에 외부와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후드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드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개구된 주머니부를 포함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거나 분할 가능한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압축 가능하며 일 측에 만입부가 형성된 홀더; 및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후드부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만입부에 삽입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후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굴절된 지지봉을 포함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일 측에 상기 지지부의 면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공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부를 감싸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봉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만입부에 삽입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및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에의해 상기 후드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9. 일 측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어 내부에 외부와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후드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드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후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드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가 개구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KR1020120101713A 2012-09-13 2012-09-13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KR101400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13A KR101400278B1 (ko) 2012-09-13 2012-09-13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13A KR101400278B1 (ko) 2012-09-13 2012-09-13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74A KR20140035174A (ko) 2014-03-21
KR101400278B1 true KR101400278B1 (ko) 2014-05-27

Family

ID=5064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713A KR101400278B1 (ko) 2012-09-13 2012-09-13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2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237A (ja) * 1994-04-04 1995-10-24 Sankyu Inc 大型構造物の遮蔽装置
KR20110088291A (ko) * 2010-01-28 2011-08-03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백호우의 작업기
JP2012135852A (ja) * 2010-12-27 2012-07-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ブラスト用防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237A (ja) * 1994-04-04 1995-10-24 Sankyu Inc 大型構造物の遮蔽装置
KR20110088291A (ko) * 2010-01-28 2011-08-03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백호우의 작업기
JP2012135852A (ja) * 2010-12-27 2012-07-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ブラスト用防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74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2802C2 (ru)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содержащих пыль газов и инжекционное сопло для указанного рукавного фильтра
KR0149400B1 (ko) 필터장치
US20060213546A1 (en) Erectable tent
US8556683B2 (en) Containment barrier for use with surface treatment
US20050044660A1 (en) Accessory assembly for vacuum cleaners
KR101400278B1 (ko) 블라스트 작업용 후드
US20060150590A1 (en) Collection device with self sealing retention system
EP0030565B1 (en) Replacing port structure for replaceable component in shield box
US4014672A (en) Gas filter tube locking apparatus
AU622747B2 (en) Apparatus for use in and a method of removing asbestos
US3978547A (en) Brake housing cleaner
KR100935679B1 (ko) 배관에 뿜칠된 석면 제거용 투명 박스장치와 이를 이용한 석면 제거 방법
US20200290099A1 (en) Enclosure for containment of material
JP2007203259A (ja) 除塵機
JP2017006842A (ja) フィルタの取付構造、並びにフィルタの取付方法および取外し方法
JP2013094691A (ja) 集塵機用フィルタ装置、集塵機、フィルタ交換方法
KR20140005451U (ko) 먼지 비산 방지용 간이 커버
CN107755249B (zh) 一种多功能的鸡精筛料装置
KR101497391B1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1868951B1 (ko) 이물질 수거용 백 거치 구조가 구비된 산업용 진공 청소기
US20160362854A1 (en) Particulate containment control for structured support beams
CN214513405U (zh) 一种轻物质收集器
US1098291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collecting fluid from wall-mounted appliances
CN212470848U (zh) 防护装置
KR101662793B1 (ko)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