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219B1 - 랙을 위한 브랭크 - Google Patents

랙을 위한 브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219B1
KR101400219B1 KR1020087024968A KR20087024968A KR101400219B1 KR 101400219 B1 KR101400219 B1 KR 101400219B1 KR 1020087024968 A KR1020087024968 A KR 1020087024968A KR 20087024968 A KR20087024968 A KR 20087024968A KR 101400219 B1 KR101400219 B1 KR 10140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rack
shelf
bla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326A (ko
Inventor
테디 크리스텐젠
Original Assignee
테디 크리스텐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4765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002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디 크리스텐젠 filed Critical 테디 크리스텐젠
Publication of KR2009000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Display Rack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선반(6; 22)을 가지는 랙(19; 21)으로 펼쳐질 수 있는 시작 플레이트(5; 21) 형태의 블랭크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다수의 세그먼트(3) 및 개구부(4) 형태의 하나 이상의 벤딩 영역(7; 9; 15; 23; 25; 30; 32)를 구비한다. 시작 플레이트는 다수의 부재(6; 8; 12; 14; 18; 22; 24; 28; 31)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부재는 벤딩 영역(7; 9; 15; 23; 25; 30; 32)을 따라 연장하는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의 나머지 측부는 자유로우며, 그에 따라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부재를 벤딩시킴으로써 랙(19; 21)이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랙은 견고하고 내구성을 가지며 긴 수명을 가진다.

Description

랙을 위한 브랭크{A BLANK FOR A RACK}
본 발명은 시작 플레이트(starting plate) 형태의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랭크는 하나 이상의 선반(shelf)을 가지는 랙으로 펼쳐질 수 있고(unfold)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s) 및 개구부(openings) 형태의 하나 이상의 벤딩 영역(bending region)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많은 수의 부재를 구비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부재의 각각은 벤딩 영역을 따라서 연장하는 측부(side)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의 다른 측부들 중 하나 이상은 자유 상태(free)이며, 상기 랙은 상기 부재들을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한 랙은 예를 들어 슈퍼마켓내의 상품과 같이 여러가지 물체를 전시하기 위한 전시용 스탠드로서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스탠드를 이용하는 회사나 점포들은 다량의 스탠드를 이용하기도 하고, 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 이외에도 보충을 위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필요가 추가적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시용 스탠드는 일반적으로 비용이 소요되는 공간을 차지한다. 그에 따라, 공간을 고려하여, 전시용 스탠드들은 평면형 상태로 규칙적으로 적층된다.
예로서, 전시용 스탠드가 특허 공보 US 4,311,100 및 WO 2004110222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그러한 전시용 스탠드는 카드보드(cardboard)의 하나의 단일형 평평한 피스(one single flat piece)으로 접힐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된 스탠드는 중요한 단점을 가지는데, 그 단점은 펼치고 다시 접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그러한 스탠드들은 붕괴에 대해서 충분한 저항을 가지지 못하고 안정적이지 못하다. 추가적으로, 카드보드는 매우 약한 재료이고, 사용시에 상당히 안정적이지 못하다. 그에 따라, 카드보드로 이루어진 전시용 스탠드는 비교적 짧은 수명만을 가질 것이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
특허 공보 WO 97/48309에는, 다수의 부재들(elements)을 제한하는(limiting) 다수의 접힘 라인(folding lines)을 가지는 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접힘 라인을 중심으로 접었을 때, 3차원적인 가구 구조물이 형성된다. 플레이트는 선반들을 가지는 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능력 및 안정성은 랙을 강화하기 위한 벤딩된 플랩(flaps) 및 부재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텅(tongues)에 의해서 얻어진다. 많은 경우에, 상기 특허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랩들이 너무 길어서 플레이트가 얇지 않다면 접힘 라인을 중심으로 그 플랩들을 손으로 벤딩하기가 불가능하였다. 선반들의 접힘 라인은 로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사용시의 선반에 영향을 미친다. 공지된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지탱가능한 랙으로 펼치고 조립하기가 곤란하다.
유사하게 복잡한 랙들이 미국 특허 제 6 378 719 B1, 독일 특허출원 제 DE 41 18 483 A1, 그리고 독일 실용신안 DE 29 806 918 U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측면은, 랙으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펼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언급한 형태의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측면은, 견고하고 안정적인 랙을 구성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언급한 형태의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측면은, 붕괴에 대한 저항을 가지며 안정적인 랙을 구성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언급한 형태의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측면은, 수명이 긴 랙을 구성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언급한 형태의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 5 측면은, 이제까지 공지된 것 보다 저렴한 랙을 구성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언급한 형태의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새롭고 독특한 본 발명은 관련 벤딩 영역에서 구속되는(restrained) 캔틸레버형 바아(cantilevered bar)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의 자체 벤딩 영역을 따라 연장하고 각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되었을 때 랙의 측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대향 측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플레이트의 여러 부재들을 단순히 벤딩시킴으로써 랙이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결과를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벤딩 영역의 세그먼트들이 영구적인 변형 상태로 형성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재들은 추가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이때, 벤딩 영역들은 충분히 강해서, 사용시에 선반에 가해지는 중량 뿐만 아니라 선반의 적절한 중량도 자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랙은 일반적인 경우 보다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는데, 이는 개별적인 접합에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또 나사와 같은 접합 수단에 비용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이다.
최종 랙이 금속과 같이 영구적인 변형부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잘 마모되지 않을 것이고 긴 수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벤딩 영역이 벤딩에 대한 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여러 벤딩 영역들의 저항 모멘트들이 벤딩 영역에 걸친 각 부재의 범위(extent)에 따라서, 즉 텅 아암의 길이 범위에 따라서 그리고 최종 랙의 목적에 따라서 달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선반 위에 놓이는 제품의 중량을 선반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선반의 벤딩 영역이 큰 저항 모멘트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선반에 포함되는 벤딩 영역은 벤딩 모멘트와 같거나 그 보다 큰 저항 모멘트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벤딩 영역은 랙을 위한 블랭크의 재료에 대해 최대로 허용된 특정 스트레인으로 나눈 소정(所定)의 최대 로드로 선반이 로딩되었을 때 상기 저항 모멘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삭제
시작 플레이트의 여러 부재들에 대해서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최종 랙에서의 그들의 기능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그에 따라, 선반 부재들은 최종 랙에서 선반이 되고, 측부 부재들은 랙의 측부가 된다. 선반의 존재 가능한 전방 엣지는 전방 엣지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존재 가능한 선반의 후방 엣지는 후방 엣지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부 경우에, 선반은 후방 엣지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시작 플레이트 상에서 선반과 동일 영역으로부터 펀칭 가공되는 후방 엣지 부재가 존재한다. 그에 따라, 후방 엣지 및 선반은 장방형 또는 V-자형 치형부(teeth)를 가지는 캠형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반이 일체형(united)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즉, 선반 상의 물체가 통과하여 낙하될 수 있는 개구부가 없는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선반은 상부(랙의 직립 위치에서 볼 때)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후방 엣지가 시작 플레이트의 비-펼침 영역(non-unfolded region)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부재들은 분할 벽들을 형성하며, 그러한 분할 벽들은 각 선반을 구획(compartment)으로 분할하거나 랙이 책꽃이로 사용될 때 책 지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랙은 다른 랙에 의해서 수직으로 확장(extend)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랙의 측부에서 벤딩 영역과 결합되는 후크와 함께 그리고 부재들이 제 1 랙의 상부 부재를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가장 낮은 선반에서의 하나 이상의 후방 엣지 부재상의 벤딩 영역이 함께 형성된다. 그에 따라, 두 개의 랙이 공구의 이용 없이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그렇게 이루어진 조립은 견고하고 안정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러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한 것이고 또한 추가적인 기능 및 이점을 설명한다.
도 1은 벤딩 영역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는 시작 플레이트의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작 플레이트로 형성된 랙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랙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시작 플레이트로 형성된 랙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5 에 각각 도시된 시작 플레이트에 의해서 형성된 두 개의 랙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벤딩된 선반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90°벤딩된 선반 부재를 구비한 도면이다.
도 11은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90° 벤딩된 전방 엣지를 구비하는 랙에서 완 전히 벤딩된 선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시작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랙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시작 플레이트로 형성된 랙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는 철로 제조된 것으로 가정하고, 시작 플레이트로 형성된 랙은 상점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진열을 위한 전시용 스탠드라고 가정한다.
도 1은 벤딩 영역(2)을 가지는 시작 플레이트의 단편(fragment; 1)을 도시하고, 도 2는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된 단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벤딩 영역은 개구부(4)에 의해서 분리된 다수의 세그먼트(3)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는 예를 들어 CNC-펀칭 머신에 의해서 펀칭 가공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벤딩은 플레이트가 철로 제조됨으로 인해서 영구적 변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동일한 이유로 그러한 벤딩은 가해질 수 있는 상당한 로드(loads)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특징을 벤딩 영역이 가질 것이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등의 다른 금속과 같은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물질이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작 플레이트가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합리적으로(reasonably) 벤딩될 수 있도록, 또한 사용 중에 받을 수 있는 힘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벤딩 영역 들의 저항 모멘트(moment of resistance)가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다.
저항 모멘트의 크기는 벤딩 영역의 폭, 세그먼트들 사이의 거리와 세그먼트들의 폭, 두께 및 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에 따라, 저항 모멘트를 결정할 때 선택하여야 하는 파라미터들이 보다 많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며, 다시 말해 평면형 상태의 전시용 스탠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때 매우 적은 공간, 예를 들어 매우 적은 저장공간(storeroom)을 점유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시작 플레이트는 다수의 벤딩 영역 및 개구부에 의해서 부재들로 분할되고,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부재들이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되었을 때 전시용 스탠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시작 플레이트는 4개의 선반 부재(6)를 구비하며, 각 선반 부재는 벤딩 영역(7)을 따라 측부(side)를 구비한다. 또한, 각 선반 부재는 벤딩 영역(9)에 의해서 전방 엣지 부재(8)와 연결된다. 펀칭된 개구부(10)는 선반 부재(6)와 전방 엣지 부재(8)를 시작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각각 분리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각 선반 부재는 4개의 선반 섹션(11)으로 분할되고, 이는 후방 엣지 부재(12)를 형성하고, 그러한 후방 엣지 부재는 3개의 후방 엣지 섹션(13)으로 분할된다.
시작 플레이트의 각 측부상에서, 측부 부재(14)는 벤딩 영역(15)을 통해서 시작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각 측부 부재(14)는 플랩(flap; 16)과 함께 형성되고, 그 플랩은 다른 측부 부재(14)의 플랩(16)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펀칭된 개구부 또는 슬릿(17)에 의해서 플레이트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플레이트는 상부 부재(18)와 함께 형성된다.
도 4는 부재들이 벤딩 라인을 중심으로 벤딩되었을 때 형성되는 전시용 스탠드(19)를 도시한다. 스탠드의 다양한 부분들이 평면 상태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즉, 플레이트에서의 대응 부재들과 같이 표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용 스탠드는 전방 엣지(8)를 가지는 4개의 선반(6), 상부(18), 그리고 플랩(16)을 가지는 측부(14)를 구비한다. 전시용 스탠드는 경사진 위치에서 표면 상에 배치되고, 이는 스탠드의 이용시에 사람들이 선반 위의 제품(도시 하지 않음)을 잘 볼 수 있게 한다. 뒤쪽을 향하는 플랩(16)은 경사진 전시용 스탠드가 뒤쪽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제 2 실시예(21)를 도시하며,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두 개의 선반 부재(22)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 선반 부재는 벤딩 영역(25)을 따른 측부를 구비한다. 또한, 각 선반 부재는 벤딩 영역(25)을 경유하여 전방 엣지 부재(24)와 연결된다. 개구부(26)는 선반 부재와 전방 엣지 부재를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각각 분리시킨다.
또한, 각 선반 부재는 4개의 선반 섹션(27)으로 분할되고, 이는 후방 엣지 부재(28)를 형성하고, 그러한 후방 엣지 부재는 3개의 후방 엣지 섹션(29)으로 분할된다.
선반 부재 및 그 선반 부재의 전방 및 후방 엣지 부재들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시작 플레이트의 제 1 실시예(5)와 동일한 방식으로 디자인되며, 도면에서 볼 때 가장 아래쪽의 각각의 후방 엣지 섹션(29)은 횡방향 벤딩 영역(20)을 구비한다.
또한, 플레이트의 각 측부는 벤딩 영역(32)을 통해서 플레이트의 나머지에 연결되는 측부 부재(31)를 구비한다. 각 측부 부재의 바닥에는 두 개의 후크(33)가 추가로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상부는 상부 부재(18)를 구비한다.
도 6은 부재들이 벤딩 라인을 중심으로 벤딩되었을 때 형성되는 전시용 스탠드(21)를 도시한다. 스탠드의 다양한 부분들이 평면 상태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즉, 플레이트에서의 대응 부재들과 같이 표시되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전시용 스탠드는 전방 엣지(24)를 가지는 두 개의 선반(22), 상부(18), 그리고 후크(33)를 가지는 측부(31)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탠드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스탠드의 제 1 실시예(19)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 주로 이용된다.
도 7에서, 두 개의 전시용 스탠드(19 및 21)가 서로 상하로 장착되어 있는데, 이때 상부 스탠드(21)의 후크(33)가 하부 스탠드(19)의 벤딩 영역(15)의 상부에 후크로 체결되며, 상기 상부 스탠드(21)의 가장 낮은 후방 엣지 섹션(29)은 후방 엣지 섹션(29)의 횡방향 벤딩 영역(30)을 통해서 하부 스탠드(19)의 상부(18)를 중심으로 벤딩된다. 이러한 작업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두 개의 스탠드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되면 하나의 높은(tall) 전시용 스탠드가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예를 들어 저장공간에서 매우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blank)를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랙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8은, 선반 부재(6) 및 선반 부재를 위한 벤딩 영역(7) 뿐만 아니라 전방 엣지 부재(8) 및 전방 엣지 부재를 위한 벤딩 영역(9)과 함께, 도 3에 도시된 플레이트(5)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9에서, 선반 부재(6)는 벤딩 영역(7)을 중심으로 벤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후방 엣지 섹션(13)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 선반 부재(6)는 최종 전시용 스탠드에서의 단부 위치까지 벤딩 영역(7)을 중심으로 새롭게 벤딩된다.
도 11에서, 전방 엣지 부재(8)는 선반 부재(6)에 관련한 단부 위치까지 벤딩 영역(9)을 중심으로 벤딩된다. 이제 선반(6)은 전시용 스탠드(19)에 형성된 전방 엣지(8) 및 후방 엣지(12)를 구비한다.
도 12 및 도 13은, 시작 플레이트로부터 펼쳐진, 시작 플레이트(34) 및 랙(35)의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랙의 선반 부재(36)는 하나의 상부(랙의 수직 위치에서 볼 때) 벤딩 영역(37)을 중심으로 선반들로 각각 펼쳐진다. 각 선반 부재의 전방 엣지(38)는 선반 부재상의 벤딩 영역(39)을 중심으로 접혀진다.
펼쳐진 선반들에 대한 후방 엣지(4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영역(40)이 선반 부재들 사이에 위치된다.
선반들 및 후방 엣지들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개구부들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그러한 펼쳐진 랙은 전술한 개구부를 통해서 밑으로 떨어질 수 있는 작은 물건들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3 실시예는 또한 펼쳐졌을 때 각 선반을 작은 칸막이(compartments)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 벽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분할 부재(41)를 포함한다. 각각의 분할 부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벤딩 영역(42)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또한, 이러한 랙은 책꽃이로서도 적합하다. 분할 벽들은, 펼쳐졌을 때, 책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랙은 랙의 이용에 의해서 상품을 진열하는 백화점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판매용 랙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경우에, 상품 광고를 위해서 점선으로 표시된 사인(sign)이 랙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인은 수평 홀더(43) 및 수직 홀더(44)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각 홀더는 벤딩 영역(45 및 46)을 중심으로 각각 접힐 수 있는 홀더 부재(43 및 44)로부터 형성된다. 홀더들은 대응하는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90°보다 많이 각각 벤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인을 정위치에 고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각 측부 부재(14)는 기다란(oblong) 개구부(47)를 이용하여 장착되며, 그러한 개구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구부를 잡음으로써, 랙이 용 이하게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사인은 카드 보드 또는 종이일 수 있다. 카드 보다는 자체-지지형인 반면, 종이는 너무 힘이 없어(flexible) 랙 상에서 고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한다.
한편, 예를 들어 컴퓨터 및 프린터에 의해서 선명하고 읽기 용이한 문구를 종이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인쇄된 종이가 적절한 포켓(도시 하지 않음)에 끼워질 수 있고, 이어서 그 포켓이 홀더(43 및 44)에 의해서 랙에 장착된다.
그 대신에, 도 3, 도 4 또는 도 6 에 도시된 랙의 상부 엣지로 포켓을 후크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후크를 포켓이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시작 플레이트로부터 펼쳐지는 각각의 시작 플레이트(48) 및 랙(49)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그에 따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총 7개의 좁은 선반 부재(50)의 열(rows)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선반 부재가 펼쳐졌을 때 후크와 같이 형성된 길고 좁은 선반을 형성한다.
펼쳐진 랙은 예를 들어 물품 내의 홀(hole)에 의해서 후크에 후킹되도록 디자인된 물체의 전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그러한 물체의 예로서, 나사나 패스틸(pastilles)과 같은 작은 아이템을 가지는 백(bags)을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부재(50)는 수평의 벤딩 영역(51)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실시예들에 대해서 앞서서 설명하였고 그러한 실시예들은 블랭크들 또는 시작 플레이트들의 도면으로서 도시되었으며, 다수의 펼쳐질 수 있는 부재들을 각각 구비하는 펼쳐진 전시용 스탠드 또는 랙들의 도면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부재들이 조합되어 초가적인 실시예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여러 부재들의 벤딩의 크기는 90°일 수 있고, 또 그와 상이한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각 벤딩 영역은 사용시에 예상되는 로드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하여야 하며, 동시에 큰 어려움 없이 수동으로 벤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벤딩 영역의 저항 모멘트의 크기는 각 벤딩 영역의 폭, 세그먼트들 사이의 거리, 그들의 폭 및 두께, 그리고 철 플레이트의 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3에 도시된 패턴을 가지는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전시용 스탠드를 만들었다. 약 30초가 소요되었다. 플레이트는 일반적인 철로 이루어지고 1.5 mm의 두께를 가진다.
각 선반의 벤딩 영역은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다:
벤딩 영역의 폭 3 mm
세그먼트들 사이의 간격 14 mm
각 세그먼트의 폭 3 mm
선반은 390 mm의 길이 및 130 mm의 폭을 가지며, 총 중량이 약 15 kg인 상품과 같은 물체를 지지할 수 있었다.
선반의 전방 엣지에서 약 10 kg의 힘으로 영역(region)을 잡아당김으로써, 선반은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되었다.
각 벤딩 영역의 전방 엣지는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다:
벤딩 영역의 폭 5 mm
세그먼트들 사이의 간격 52 mm
각 세그먼트의 폭 2 mm
각 측부의 벤딩 영역은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다:
벤딩 영역의 폭 5 mm
세그먼트들 사이의 간격 52 mm
각 세그먼트의 폭 2 mm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선반(6; 22; 36; 50)을 가지는 랙(19; 21; 35; 49)으로 펼쳐질 수 있는 시작 플레이트(5; 21; 34; 48) 형태의 블랭크로서,
    - 상기 플레이트(5; 21; 34; 48)는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세그먼트(3) 및 개구부(4) 형태의 하나 이상의 벤딩 영역(7; 9; 15; 23; 25; 30; 32; 37; 42; 45; 46; 51)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부재(6; 8; 12; 14; 18; 22; 24; 28; 31; 36; 38; 43; 44; 50)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부재는 벤딩 영역(7; 9; 15; 23; 25; 30; 32; 37; 42; 45; 46; 51)을 따라 연장하는 일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들의 나머지 측부들 중 하나 이상은 자유로우며(free), 그리고
    - 상기 랙(19; 21; 35; 49)은 상기 부재를 벤딩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에 있어서,
    -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은 관련 벤딩 영역에 구속된 캔틸레버형 바아로서 형성되고, 그리고
    - 상기 플레이트(5; 21)가 두 개의 대향 측부 부재(14; 31)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 측부 부재(14; 31)는,
    각각의 자체 벤딩 영역(15; 32)을 따라 연장하되, 각각의 자체 벤딩 영역(15; 32)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랙(19; 21)의 측부(14; 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14)는 상기 랙(19)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플랩(16)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부 부재(14)는 손에 끼워지는(fit) 장방형 개구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부재(31)는 상기 랙(21)을 다른 랙(19)의 측부 부재(14)에서의 벤딩 영역(15)에 후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후크(33)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선반(6; 22; 36; 50)에 속하는 벤딩 영역(7; 25; 37; 51)은 벤딩 모멘트와 같거나 그 보다 큰 저항 모멘트를 가지도록 디자인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블랭크의 재료에 대해 최대로 허용된 특정 스트레인으로 나눈 소정(所定)의 최대 로드로 선반이 로딩되었을 때 벤딩 모멘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선반 부재(36)는, 랙의 직립 위치에서 볼 때, 상부의 벤딩 영역(37)을 중심으로 선반(36)들로 각각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선반에 대한 후방 엣지(40)가 상기 선반 부재(36)들 사이에서 플레이트 영역(40)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부재(6; 22)의 섹션(11; 27)은 하나 이상의 후방 엣지 부재(12; 28)를 남기고(leave), 상기 후방 엣지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 부재(6; 22)가 벤딩 영역(7; 25)을 중심으로 벤딩되었을 때 상기 시작 플레이트(5; 21) 내의 섹션(13; 29)들로 분할되며, 상기 후방 엣지 부재는 선반(6; 22)에 대한 후방 엣지(12; 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 부재(6; 22)는 제 2 벤딩 영역(9; 25)을 통해서 전방 엣지 부재(8; 24)로 연결되고, 상기 전방 엣지 부재는 벤딩 영역(9; 25)을 중심으로 벤딩될 때 선반(6; 22)에 대한 전방 엣지(8; 2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랙(21)에 속하는 후방 엣지 부재(28) 상의 하나 이상의 후방 엣지 섹션(29)은 후방 엣지 섹션(29)이 다른 랙(19) 상의 상부 부재(18)를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벤딩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부재(6; 22; 36)에서의 벤딩 영역(7; 25; 37)은 다른 벤딩 영역(9; 15; 23; 30; 32; 42; 45; 46) 보다 큰 벤딩에 대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에서 각 선반을 보다 작은 구획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할 벽(41)으로서 분할 부재(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에서 간판용 홀더(43, 44)를 형성하기 위한 홀더(43, 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작 플레이트 형태의 블랭크.
  14. 삭제
KR1020087024968A 2006-03-13 2007-03-09 랙을 위한 브랭크 KR10140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600354A DK177390B1 (da) 2006-03-13 2006-03-13 Udgangsemne til en reol
DKPA200600354 2006-03-13
PCT/IB2007/050793 WO2007105160A2 (en) 2006-03-13 2007-03-09 A blank for a r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26A KR20090007326A (ko) 2009-01-16
KR101400219B1 true KR101400219B1 (ko) 2014-05-28

Family

ID=3847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968A KR101400219B1 (ko) 2006-03-13 2007-03-09 랙을 위한 브랭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540091B2 (ko)
EP (1) EP1996049B2 (ko)
JP (1) JP5183500B2 (ko)
KR (1) KR101400219B1 (ko)
CN (1) CN101400284B (ko)
AU (1) AU2007226186B2 (ko)
BR (1) BRPI0709385A2 (ko)
CA (1) CA2644623C (ko)
DK (3) DK177390B1 (ko)
EA (1) EA013049B1 (ko)
ES (1) ES2396564T3 (ko)
IL (1) IL194040A (ko)
MX (1) MX2008011774A (ko)
NO (1) NO20083962L (ko)
PL (1) PL1996049T5 (ko)
UA (1) UA95473C2 (ko)
WO (1) WO2007105160A2 (ko)
ZA (1) ZA2008085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4128A1 (de) 2010-11-24 2012-05-31 Liconic Ag Lageranlage für tiefe Temperaturen und Lagerkassette für Laborobjekte.
US20130292350A1 (en) * 2012-05-04 2013-11-07 Frank Trotta Unitized merchandising fixture
US8944260B2 (en) * 2013-02-19 2015-02-03 Target Brands, Inc. Free-standing display fixture
RU2017101525A (ru) * 2014-06-19 2018-07-19 Нестек С.А. Система для хранения и/или выкладки с бункером
EP3042590B1 (en) * 2015-01-09 2018-08-22 WestRock Shared Services, LLC Adjustable end cap display
US9993093B2 (en) * 2015-06-30 2018-06-12 Hallmark Cards, Incorporated Highlighter tool for greeting card display
US10105986B2 (en) 2016-08-17 2018-10-23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Foldable palette blank
USD811753S1 (en) 2016-08-17 2018-03-06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Easel formed from a blank
US9901174B1 (en) 2016-08-17 2018-02-27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Foldable easel blank
USD822107S1 (en) 2016-08-17 2018-07-03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Palette blank
US10293634B2 (en) 2016-08-17 2019-05-2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Foldable canvas blank
USD819128S1 (en) 2016-08-17 2018-05-29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Canvas blank
AU2016101738B4 (en) * 2016-09-30 2017-12-14 Andrew Burg A product display assembly
PL3541247T3 (pl) * 2016-11-21 2023-08-14 Wm. Wrigley Jr. Company Stojak ekspozycyjny produktu
AR118127A1 (es) * 2020-02-17 2021-09-22 Pablo Battilana Lámina para el armado de un estante exhibidor y estante exhibidor obteni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8821A1 (en) 1997-10-13 1999-04-22 Claus Gramstrup Rack
US6378710B1 (en) * 1999-06-14 2002-04-30 Menasha Corporation Adjustable shelf unit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9862A (en) * 1929-02-07 1930-05-27 Frank V Moore Display holder
US1983700A (en) * 1932-03-05 1934-12-11 Robert M Lackey Knocked down box
US2155190A (en) * 1937-04-08 1939-04-18 Carl Percy Inc Display device
US2649957A (en) * 1949-11-14 1953-08-25 Joseph M Gapstur Combined container and display rack
US2867048A (en) * 1955-05-02 1959-01-06 Paper Mate Mfg Co Display boxes
US2918178A (en) * 1958-04-08 1959-12-22 New Haven Board And Carton Com Display stands
JPS527816Y2 (ko) * 1972-03-01 1977-02-18
US4080907A (en) * 1977-01-21 1978-03-28 Ric Kaufman Shelf fabricated from a single sheet of thermally deformable material
US4311100A (en) 1979-10-29 1982-01-19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Multi-shelf display stand
JPS6022855Y2 (ja) * 1980-06-09 1985-07-08 慶治 田中 簡易組立式展示用トレイ
USRE32668E (en) * 1981-10-09 1988-05-17 Foldable display stand
US4493424A (en) * 1981-10-09 1985-01-15 Irving Smith Foldable display stand
US4582003A (en) * 1984-10-09 1986-04-15 Ultimate Display Corporation Folding corrugated board display shelving
DE3805255A1 (de) * 1988-02-19 1989-08-31 Siemens Ag Verpackung fuer ringfoermige elektrische bauelemente
DE9000543U1 (ko) * 1990-01-19 1990-03-22 Wellcarton R. Kersting Gmbh Und Co., 4972 Loehne, De
US5016545A (en) * 1990-05-22 1991-05-21 The Mead Corporation Adjustable display stand
DE4118483A1 (de) 1991-06-05 1992-12-10 Christian Frank Regalleichtmoebel
US5193466A (en) * 1992-04-17 1993-03-16 Diversified Advertising, Inc. Corrugated board pop up display
US5316156A (en) * 1993-01-04 1994-05-31 Land Marty W Display rack
US5315936A (en) * 1993-02-22 1994-05-31 Arrow Art Finishers, Inc. Erectable display stand
US5301800A (en) * 1993-03-05 1994-04-12 Kenney Richard E H Literature display holder and blank foldable to form same
US5669683A (en) * 1993-09-30 1997-09-23 Union Camp Corporation Display shelf assembly
US5458411A (en) * 1993-09-30 1995-10-17 Union Camp Corporation Display shelf unit
US5443168A (en) * 1994-01-05 1995-08-22 Dyment Limited Portable display stand with shelves
JP2748235B2 (ja) * 1994-04-25 1998-05-06 株式会社タナカヤ 陳列棚
US5660404A (en) * 1994-10-13 1997-08-26 Bell Packaging Corporation Mobile display base assembly
US5697506A (en) * 1995-01-18 1997-12-16 Peickert; Marlin W. Package holder for packaged foods
US5678492A (en) * 1995-04-24 1997-10-21 Klearfold, Inc. Display box with shelving formed from single panel
US5722628A (en) * 1995-06-29 1998-03-03 Menaged; David L. Collapsible variable position reading stand
US5632390A (en) * 1995-12-22 1997-05-27 Podergois; Jeffrey A. Foldable display assembly
US5826732A (en) * 1996-02-06 1998-10-27 Stone Container Corporation Collapsible point-of-purchase display apparatus
JPH09299168A (ja) * 1996-05-17 1997-11-25 Nakabayashi Kk 合成樹脂製の積重ね可能な棚台ユニット
SE9602404D0 (sv) 1996-06-18 1996-06-18 Jan Dranger Furniture device
DE29806918U1 (de) 1998-04-17 1998-07-02 Lin Tsong Yow Faltbare Metallplatte
US6145794A (en) * 1999-01-06 2000-11-14 Arrow Art Finishers, L.L.C. Support platform for mobile display stand
US6481259B1 (en) * 2000-08-17 2002-11-19 Castle, Inc. Method for precision bending of a sheet of material and slit sheet therefor
US6612669B2 (en) * 2000-12-13 2003-09-02 Menasha Corporation Collapsible shelf unit
US7007615B2 (en) * 2000-12-13 2006-03-07 Menasha Corporation Collapsible shelf unit
CN2464187Y (zh) * 2001-02-28 2001-12-12 陈峻洲 梯级状纸板陈列货架
US6715623B2 (en) * 2002-02-26 2004-04-06 Stone Container Corporation Collapsible display shelving
US6752280B2 (en) * 2002-05-08 2004-06-22 Stone Container Corporation Collapsible display shelving
GB0227195D0 (en) * 2002-11-21 2002-12-24 Simpson Print Ltd Collapsible display for retail outlet
US7252200B1 (en) * 2003-04-30 2007-08-07 Hester Thomas F Display assembly
US6871750B2 (en) * 2003-06-12 2005-03-29 Geoffrey Alan Moss Foldable stepped display stand having shelves with open sides
EP1631173A2 (en) 2003-06-12 2006-03-08 Geoffrey Alan Moss Foldable stepped display stand having shelves with open sides
US7175031B2 (en) * 2004-01-07 2007-02-13 Matthews Jason E Multiple tool holder
US7954655B2 (en) * 2004-12-07 2011-06-07 Alexander Virvo Display with folding shelves
FR2886823B1 (fr) 2005-06-08 2010-03-26 Marc Frederick Anderson Meuble a etageres
US7571820B2 (en) * 2006-05-26 2009-08-11 Applied Merchandising Concepts, Inc. Collapsible merchandising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8821A1 (en) 1997-10-13 1999-04-22 Claus Gramstrup Rack
US6378710B1 (en) * 1999-06-14 2002-04-30 Menasha Corporation Adjustable shelf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00600292Y6 (da) 2009-05-25
KR20090007326A (ko) 2009-01-16
EP1996049B2 (en) 2017-02-01
EA013049B1 (ru) 2010-02-26
PL1996049T5 (pl) 2017-12-29
US8540091B2 (en) 2013-09-24
EP1996049A2 (en) 2008-12-03
CA2644623C (en) 2014-08-19
AU2007226186A1 (en) 2007-09-20
WO2007105160A3 (en) 2007-12-13
ES2396564T3 (es) 2013-02-22
EP1996049B1 (en) 2012-09-26
JP5183500B2 (ja) 2013-04-17
WO2007105160A2 (en) 2007-09-20
DK1996049T5 (en) 2017-06-06
CN101400284B (zh) 2011-03-23
DK200600354A (da) 2007-09-14
DK1996049T3 (da) 2013-01-14
PL1996049T3 (pl) 2013-03-29
MX2008011774A (es) 2008-10-27
AU2007226186B2 (en) 2012-10-04
US20090090685A1 (en) 2009-04-09
DK200600292U3 (da) 2007-02-09
NO20083962L (no) 2008-11-21
UA95473C2 (en) 2011-08-10
IL194040A (en) 2013-05-30
DK177390B1 (da) 2013-03-04
BRPI0709385A2 (pt) 2011-07-12
EA200870351A1 (ru) 2009-02-27
DK1996049T4 (en) 2017-05-08
IL194040A0 (en) 2009-08-03
ZA200808521B (en) 2009-10-28
CN101400284A (zh) 2009-04-01
JP2009529945A (ja) 2009-08-27
CA2644623A1 (en)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219B1 (ko) 랙을 위한 브랭크
US20100181443A1 (en) Arcuate display stand
US4179138A (en) Rail strip and locking device
US5624044A (en) Customizible display apparatus with printed signage
US4226190A (en) Display rack
AU2021261931A1 (en) Sustainable a-frame floor display
US5899343A (en) Jewelry display device
US8875872B2 (en) Retail display package with foldable stand
US20080314849A1 (en) Merchandise display assembly having a crossbar base assembly
EP4331434A1 (en) Display rack
JP3156106U (ja) ディスプレイ用具
KR200234035Y1 (ko) 절첩식 진열대
JP4515997B2 (ja) 化粧品陳列用スタンドセット
US20080110842A1 (en) Merchandise display assembly having a crossbar base assembly
US20090114779A1 (en) Merchandising storage and display device
US2276795A (en) Display stand
KR20190001147U (ko) 상품 진열기구
EP0681803A1 (en) Display unit
JP2008206807A (ja) 商品陳列台
CZ12096U1 (cs) Přídavná konzola prodejního regálu
PL7217S2 (pl) Regal do ekspozycji butelek
EP1852037A1 (en) Adjustable display stand
CZ21017U1 (cs) Skládací stojan
CZ8017U1 (cs) Prodejní stojan
PL7702S2 (pl) Regal do prezentacji i sprzedazy wyrobów, zwlaszcza wyrobów spozywcz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