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566B1 -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 Google Patents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566B1
KR101399566B1 KR1020130162766A KR20130162766A KR101399566B1 KR 101399566 B1 KR101399566 B1 KR 101399566B1 KR 1020130162766 A KR1020130162766 A KR 1020130162766A KR 20130162766 A KR20130162766 A KR 20130162766A KR 101399566 B1 KR101399566 B1 KR 10139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dth
width adjusting
adjusting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섭
Original Assignee
이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섭 filed Critical 이장섭
Priority to KR102013016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을 요철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의 폭을 조절하거나 이동용 바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용 바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수화물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는, 프레임의 일측으로 한쌍의 이동용 바퀴와, 수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판이 구비되어 수화물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는 이 측면 프레임의 거리폭(L1)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폭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이로 인하여 한쌍의 이동용 바퀴의 거리폭(L2)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Multipurpose handcar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을 요철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의 폭을 조절하거나 이동용 바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용 바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수화물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화물을 보다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수레를 이용한다. 수화물은 농산물, 수산물, 가전제품, 의류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면, 이로 인한 손수레는 농가, 어촌, 농수산물 공판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화물은 종류가 다양함으로써 그 중량은 저중에서 고중량까지 다양한 무게의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크기(부피) 또한 다양하다.
이러한 손수레에 대한 종래기술에는 첨부된 특허문헌들과 같이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10과 같이 일반적인 손수레는 수직프레임(1a)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화물(W)을 적재하는 적재판(2b)과, 상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c)로 이루어진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하측에 구비되어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용 바퀴(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손수레는 이동용 바퀴(2)의 크기가 작아 요철구간을 이용할 경우 심한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요철에 이동용 바퀴(2)가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요철구간에서는 사용에 매우 힘든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용 바퀴(2)의 크기를 키우는 경우 이동용 바퀴(2)가 받침프레임(2b)의 양측의 상부로 돌출되게 되어 적재되어 운반되는 수화물(W)과 이동용 바퀴(2) 사이에 간섭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운반되는 수화물(W)의 크기에 대한 제약현상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제약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기가 큰 수화물(W)을 적재가능하도록 한쌍의 이동용 바퀴(2)의 거리폭을 키우는 경우에는 작은 수화물(W)을 적재하여 작은 통로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상에 제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24369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3562 (KR)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617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을 요철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목적 손수레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고중량의 수화물을 요철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바퀴의 크기를 키움에 있어, 커지는 이동용 바퀴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화물에 대한 간섭현상을 제거하여 크기(부피)가 큰 수화물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이동용 바퀴의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중량의 수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목적 손수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는, 프레임의 일측으로 한쌍의 이동용 바퀴와, 수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판이 구비되어 수화물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는 이 측면 프레임의 거리폭(L1)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폭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이로 인하여 한쌍의 이동용 바퀴의 거리폭(L2)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폭조절수단은, 한쌍의 측면 프레임에 직교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프레임은 중공인 관으로 이루어진 제1 가로프레임과, 제1 가로프레임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가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장치는 제1 가로프레임에 형성된 제1 핀홀과, 제2 가로프레임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핀홀과,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는, 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용 바퀴의 거리폭 조절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의 적재가 가능하고, 이동용 바퀴의 크기를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동용 바퀴의 크기를 키울 수 있음으로써 요철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수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용 바퀴의 거리폭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수화물을 적재판에 적재한 후 좁은 통로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정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프레임 폭을 확장시킨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개략도로, 수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정면개략도로써, 프레임 폭을 축소 및 확장시킨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프레임 폭조절수단의 부분 상세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프레임 폭조절수단의 부분 상세 단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인 것으로, 바퀴용 폭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의 부분 정면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바퀴용 폭조절수단의 부분 단면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 중 바퀴용 폭조절수단의 고정구에 대한 상세단면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인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바퀴용 폭조절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단면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인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바퀴용 폭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단면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인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적재판과 파렛트(pallet)에 대한 상세 사시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인 다목적 손수레의 구성 중 적재판과 파렛트(pallet)를 이용한 적재과정과 이송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종래에 사용 중에 있는 손수레에 대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는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을 요철구간이 있는 구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바퀴의 크기(직경)를 크게 하되, 커진 이동용 바퀴로 인하여 적재되는 수화물의 크기나, 좁은 이동 통로에 대한 제약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 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A)의 구성은 크게,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강성을 가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4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직교되게 설치되어 수화물(W)을 적재하는 받침판(20)과, 상기 프레임(10)의 중간 부분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용 바퀴(30)와, 상기 프레임(10)의 폭을 조절하는 프레임 폭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4와 같이 프레임 폭조절수단(50)으로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측면프레임(11)과, 상기 측면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가로프레임(13)으로 구성되며, 첨부된 도면 1과 2와 같이 측면프레임(11)의 사이에는 구조적 안정과 또는 후설되는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이 안정되게 더 구비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1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로프레임(13)은 도 5와 같이 4각형의 각관으로 이루어지나, 원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3)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가로프레임(13a)과, 제1 가로프레임(13a)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가로프레임(13b)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폭조절수단(50)은 한쌍의 가로프레임(13)의 거리폭(L1)을 조절하여 프레임(10)의 폭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도 5와 같이 한쌍의 측면 프레임(11)에 직교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프레임(13)과, 상기 가로프레임(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프레임(13)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관으로 이루어진 제1 가로프레임(13a)과, 제1 가로프레임(13a)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가로프레임(1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장치(14)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프레임(13)을 고정하는 장치로, 제1 가로프레임(13a)에 형성된 제1 핀홀(14a)과, 제2 가로프레임(13b)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핀홀(14b)과, 상기 제1 핀홀(14a)과 제2 핀홀(14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14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핀홀(14a)는 제2 핀홀(14b)의 이격거리(b)와 상이한 이격거리(a)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복수의 제1 핀홀(14a)은 이격거리(a)를 가지며, 다수의 제2 핀홀(14b)은 이격거리(a)와 상이한 이격거리(b)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가로프레임(13)을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프레임 폭조절수단(50)은, 도 4의 (a)와 같이 폭이 좁은 수화물(W)이나 (b)와 같이 폭이 넓은 수화물(W)처럼 적재되는 수화물(W)에 따라서 프레임(10)의 폭, 즉 측면프레임(11)의 거리폭(L1)을 조절함으로써 한쌍의 이동용 바퀴(30)의 거리폭(L2)이 조절되도록 하여, 이동용 바퀴(30)와 적재되는 수화물(W)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간섭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W)의 적재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인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A)는 프레임 폭조절수단(50)과 별도로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프레임(10)의 폭의 변화없이 이동용 바퀴(30)의 거리폭(L2)만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W)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 8과 도 9와 같이 상기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이동용 바퀴(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일단에 베어링(B)이 설치되는 폭조절용 축(61)과, 상기 보조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폭조절용 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62a)이 구비된 위치고정용 브라켓(62)과, 상기 위치고정용 브라켓(62)의 일측에 설치되어 폭조절용 축(61)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구(63)를 포함하며, 폭조절용 축(61)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고자 측면프레임(11)에 설치되는 보조브라켓(6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고정용 브라켓(62)과 보조브라켓(65)의 상호간의 위치는 서로 바뀔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폭조절용 축(61)은 보통 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폭조절용 축(61)에는 다수개의 고정용 홈(61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용 홈(61a)에는 고정구(63)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63)는 위치고정용 브라켓(62)에 구비되어 폭조절용 축(61)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도 9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의 (a)와 같이 고정구(63)는 폭조절용 축(61)에 형성된 고정용 홈(61a)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나사축(63-1)과, 상기 고정나사축(63-1)이 설치되는 위치고정용 브라켓(62)에 구비된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6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의 (b)와 같이 고정구(63)는 폭조절용 축(61)에 형성된 고정용 홈(61a)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봉(63-3)과, 상기 고정봉(63-3)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3-4)과, 상기 스프링(63-4)을 보호하는 보호캡(63-5)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10과 같이 상기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이동용 바퀴(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일단에 베어링(B)이 설치되는 다수의 핀홀(61b)이 형성된 폭조절용 축(61')과, 상기 보조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폭조절용 축(61')이 관통되는 관통홀(62a)이 구비된 위치고정용 브라켓(62)과, 상기 핀홀(61b)에 삽입되어 폭조절용 축(6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64)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11과 같이 상기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이동용 바퀴(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일단에 베어링(B)이 설치되는 다수의 핀홀(61b)이 형성된 폭조절용 나사축(61")과, 상기 보조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폭조절용 축(61")이 관통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관통홀(62b)이 구비된 위치고정용 브라켓(62')과, 상기 핀홀(61b)에 삽입되어 폭조절용 나사축(6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64)으로 구성된다. 상기 폭조절용 나사축(61")의 베어링(B)이 구비되는 단부에는 폭조절용 나사축(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홈과 같은 회전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폭이 좁은 수화물(W)이나 폭이 넓은 수화물(W)처럼 적재되는 수화물(W)에 따라서 한쌍의 이동용 바퀴(30)의 거리폭(L2)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동용 바퀴(30)와 적재되는 수화물(W)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간섭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W)의 적재가 가능하다.
상기 파렛트(70)는 적재되는 수화물(W)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판(20)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2와 같이 상기 파렛트(70)는 수화물이 적재되는 받침판(71)과, 상기 받침판(71)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다리(7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렛트(70)와 전술되어 있는 다수의 포크날(21, 22)로 구성되는 적재판(20)에 의하여 도 13과 같이 고중량의 수화물(W)을 용이하게 적재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13의 (a)와 같이 파렛트(70)에 고중량의 수화물을 적재하고, (b)와 같이 다수의 포크날(21, 22)로 이루어진 적재판(20)에 파렛트(70)를 안착시킨 후 뒤쪽으로 회전(도면상 반시계방향)시키고, (c)와 같이 이동을 시키면 된다. 또한 목적지에서 수화물을 하역하는(내려놓을) 경우에는 반대로 프레임을 세운 후 파렛트(70)에서 적재판(20)을 빼내면 하역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A)는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수화물(W)의 크기에 따라 한쌍의 이동용 바퀴(30)의 거리폭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동용 바퀴(30)의 크기를 크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동용 바퀴(30)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요철이 많은 구간에서도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A : 다목적 손수레
10 : 프레임 11 : 측면프레임
12 : 보조프레임 13 : 가로프레임
14 : 고정장치
20 : 적재판 21, 22 : 포크날
30 : 이동용 바퀴 40 : 손잡이
50 : 프레임 폭조절수단
60 : 바퀴용 폭조절수단 61, 61' : 폭조절용 축
61 " : 폭조절용 나사축 62, 62' : 위치고정용 브라켓
63 : 고정구 64 : 고정핀
70 : 파렛트

Claims (8)

  1. 프레임의 일측으로 한쌍의 이동용 바퀴와, 수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판이 구비되어 수화물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을 이루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11) 사이에는 이 측면 프레임(11)의 거리폭(L1)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폭조절수단(50)과, 한쌍의 이동용 바퀴(30)의 거리폭(L2)을 조절하는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바퀴용 폭조절수단(60)은, 이동용 바퀴(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일단에 베어링(B)이 설치되는 다수의 핀홀(61b)이 형성된 폭조절용 나사축(61")과,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폭조절용 축(61")이 관통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관통홀(62b)이 구비된 위치고정용 브라켓(62')과, 상기 핀홀(61b)에 삽입되어 폭조절용 나사축(6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6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폭조절수단(50)은,
    한쌍의 측면 프레임(11)에 직교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프레임(13)과, 상기 가로프레임(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13)은 중공인 관으로 이루어진 제1 가로프레임(13a)과, 제1 가로프레임(13a)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가로프레임(13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장치(14)는 제1 가로프레임(13a)에 형성된 제1 핀홀(14a)과, 제2 가로프레임(13b)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핀홀(14b)과, 상기 제1 핀홀(14a)과 제2 핀홀(14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14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20)은 다수의 포크날(21, 2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162766A 2013-12-24 2013-12-24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KR10139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766A KR101399566B1 (ko) 2013-12-24 2013-12-24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766A KR101399566B1 (ko) 2013-12-24 2013-12-24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566B1 true KR101399566B1 (ko) 2014-05-27

Family

ID=5089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766A KR101399566B1 (ko) 2013-12-24 2013-12-24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04B1 (ko) * 2019-01-29 2019-10-18 성 호 김 카트 탈부착식 이동형 골프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1068U (ko) * 1976-06-19 1977-12-26
JP2003265005A (ja) 2002-03-19 2003-09-24 Kanto Noki Kk 農用多目的動力運搬車
KR20100001762U (ko) * 2008-08-09 2010-02-18 우신영 바퀴의 너비조절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1068U (ko) * 1976-06-19 1977-12-26
JP2003265005A (ja) 2002-03-19 2003-09-24 Kanto Noki Kk 農用多目的動力運搬車
KR20100001762U (ko) * 2008-08-09 2010-02-18 우신영 바퀴의 너비조절장치가 구비된 핸드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04B1 (ko) * 2019-01-29 2019-10-18 성 호 김 카트 탈부착식 이동형 골프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918B2 (en) Portable cart for holding multiple trays of glasses
US10543862B1 (en) Load-bearing assembly
US9776547B2 (en) Height adjustable loading ramp
GB2582678A (en) Hand Truck
WO2005091789A2 (en) Compact cart
KR101399566B1 (ko) 프레임 폭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손수레
US6824152B1 (en) Dolly device
US11639189B2 (en) Flatbed utility cart
US20170259837A1 (en) Collapsible Cart Assembly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US10086858B2 (en) System for increasing dolly capacity
KR101253478B1 (ko) 운반대차
US20180339723A1 (en) Hand Truck Assembly
KR101385232B1 (ko) 다목적 손수레
CA3015003A1 (en) Transporting device that can be moved by hand
KR20150029307A (ko) 수화물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화물 처리대
JP6869933B2 (ja) 手押し車
US9145157B2 (en) Corner dolly skate
JP2006103516A (ja) 手押し台車
KR101399567B1 (ko) 다용도 손수레
US6719308B2 (en) Table carrier and methods
JP3201977U (ja) 手持ち兼用台車
KR101643565B1 (ko) 타이어 운반장치
JP3194428U (ja) 台車
CN219312808U (zh) 折叠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