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331B1 -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331B1
KR101398331B1 KR1020130069153A KR20130069153A KR101398331B1 KR 101398331 B1 KR101398331 B1 KR 101398331B1 KR 1020130069153 A KR1020130069153 A KR 1020130069153A KR 20130069153 A KR20130069153 A KR 20130069153A KR 101398331 B1 KR101398331 B1 KR 10139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rtition wall
door
ma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형
이재곤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3006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가변적인 공중 화장실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분할하는 분할벽체에 문을 설치하여 여자화장실이 붐비는 경우 남자화장실의 일부를 여자화장실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가변형 화장실은,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 및 이동 가능한 칸막이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문이 개방되어 상기 분할벽체에 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Description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TOILET OF VARIABLE MEN'S AND LADIES' ROOM AND METHOD CONTROLLING THEROF}
본 발명은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가변적인 공중 화장실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분할하는 분할벽체에 문을 설치하여 여자화장실이 붐비는 경우 남자화장실의 일부를 여자화장실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운집하게 되는 장소에는 복수의 좌변기 또는 복수의 좌변기와 소변기들이 설치된 공중 화장실이 제공되어서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지하철역이나 터미널, 공원, 사무용 빌딩 등은 물론, 특히 도로 휴게소 등 사람들이 많이 유동하거나 머무르게 되는 장소에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하여 공중 화장실이 다수 제공되어 있다.
공중 화장실들은 일반 가정집의 화장실과는 달리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구분되어 운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남자화장실의 경우 대변의 용무를 주로 보게 되는 밀폐된 공간 속의 좌변기와, 간단히 소변의 용무만 볼 수 있는 개방된 소변기가 구분되게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여자화장실의 경우 대변과 소변의 용무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밀폐된 공간 속의 좌변기들만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명절이나 휴가철 등 교통 성수기간에는 많은 사람들이 고속도로나 일반 간선도로의 휴게소에 설치된 공중 화장실에 몰리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실이 극심하게 혼잡해질 우려가 있다.
남자화장실의 경우 같은 크기의 공간이라도 개방된 소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 여자화장실에 비하여 더 많은 변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남자 이용 고객이 더 많으나 휴일이나 명절 등 교통 성수기간에는 여자 이용 고객의 수가 남자 이용 고객의 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혼잡 문제는 여자화장실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다.
특히, 여성들의 평균 화장실 이용시간은 남성에 비하여 훨씬 길며 좌변기 이용의 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 이용 고객이 급증으로 인하여 여자화장실이 부족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성 이용 고객을 위한 공중 화장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공중 화장실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한 비용과 공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추가 설치에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남녀 구분이 없는 공용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하여 남녀간의 대기시간에 차이가 나는 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이성이 사용한 화장실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에 심한 불편함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남자 이용 고객이 여자 이용 고객보다 더 많은 상황에서는 굳이 여자화장실의 변기 수를 늘릴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남자화장실의 변기를 더 늘릴 필요성도 있었다.
나아가, 심야시간 등 화장실의 여유가 많은 경우에도 넓은 공중 화장실에 계속 전력을 공급하여 화장실을 가동시키는 것은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으며 화장실의 관리에도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공중 화장실의 이용 고객의 수요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1993-2228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분할하는 분할벽체에 문을 설치하여 여자화장실이 붐비는 경우 남자화장실의 일부를 여자화장실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할벽체를 개방하고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함으로써 여자화장실에 구비되는 변기칸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남자화장실에 구비되는 변기칸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변기칸의 일부를 폐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가변형 화장실은,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 및 이동 가능한 칸막이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문이 개방되어 상기 분할벽체에 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남자화장실의 벽면 또는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 및 이동 가능한 칸막이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문이 개방되어 상기 분할벽체에 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남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여자화장실의 벽면 또는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벽의 적어도 하나는 미닫이 문 또는 여닫이 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자화장실 및 상기 남자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자화장실 및 상기 남자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과 상기 칸막이벽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상기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이 서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의 위치 정보, 상기 화장실의 사용 가부 정보 및 상기 화장실의 이용 대기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의 실내를 밝히는 조명부, 상기 화장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부의 조도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가변형 화장실은,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을 포함하되, 상기 문은 여닫이 문으로 형성되고, 상기 문이 개방되어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개방된 문이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을 포함하되, 상기 문은 여닫이 문으로 형성되고, 상기 문이 개방되어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남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개방된 문이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칸막이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남자화장실 및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상기 칸막이벽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의 실내를 밝히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칸막이벽에 의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된 공간을 밝히는 상기 조명부를 소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가변형 화장실의 제어방법은, 센서부가 상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조건을 만족하는 단계, 알람부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벽체의 일부에 설치된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이 서로 분할되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분할하는 분할벽체에 문을 설치하여 여자화장실이 붐비는 경우 남자화장실의 일부를 여자화장실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할벽체를 개방하고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함으로써 여자화장실에 구비되는 변기칸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남자화장실에 구비되는 변기칸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변기칸의 일부를 폐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가변형 화장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종래 공중 화장실은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명절이나 휴가철 등의 교통 성수기간에는 도로 휴게소의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 고객이 남성 고객보다 훨씬 더 증가하게 되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시간도 길어지게 되어 큰 불편과 혼잡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공중 화장실이 설치된 공간이 남성이 훨씬 많은 경우에는 여자화장실은 한적한 반면 남자화장실은 붐비게 되어 이용 고객들의 불편과 혼잡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공중 화장실의 이용 고객이 적어지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의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여자화장실과 남자화장실의 변기칸을 사용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의 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변형 화장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변형 화장실(10)은 통신부(100), 입력부(200), 센서부(300), 출력부(400), 메모리(500),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700), 전원 공급부(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가변형 화장실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00)는 가변형 화장실(10)과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가변형 화장실(10)과 가변형 화장실(1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0)는 유무선 인터넷 모듈(130), 근거리 통신 모듈(140) 및 위치정보 모듈(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인터넷 모듈(130)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가변형 화장실(10) 구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4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50)은 가변형 화장실(1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00)는 비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카메라(210)와 오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220), 사용자 입력부(2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5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210)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카메라(210)는 가변형 화장실(10)의 남자화장실의 출입구 측과 여자화장실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이용 현황의 변화나 방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마이크(22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22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가변형 화장실(10)의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형 화장실(10)의 변기칸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와 이용 대기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300)는 가변형 화장실(10)의 사용 상태, 가변형 화장실(10)의 위치, 가변형 화장실(10)의 실내 및 실내의 조도, 사용자 사용 유무 등과 같이 가변형 화장실(1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가변형 화장실(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특히, 센서부(300)는 가변형 화장실(10)의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적외선 센서와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의 반사를 이용하는 레이더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는 대략 36 ~ 37 ℃ 의 체온을 갖는 사람의 신체가 대략 9 ~ 10 ㎛ 의 피크를 갖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이용하여 신체로부터 방사되는 미세한 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유무를 판단하며, 레이더 센서는 대략 2.4 ~ 24 GHz 대역의 마이크로파의 송신 및 반사 파형을 비교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또한, 센서부(300)는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60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부(40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410), 음향 출력 모듈(420), 알람부(430), 조명부(4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0)는 가변형 화장실(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형 화장실에서 어느 한 변기칸이 사용 중인 경우 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가변형 화장실(10)의 출입문 측에 설치되어 화장실의 이용 대기 인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4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형 화장실(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형 화장실(10)의 복수의 변기칸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부(41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420)은 통신부(1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20)은 가변형 화장실(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경보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2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30)는 가변형 화장실(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가변형 화장실(1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남자화장실 또는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 인원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 되는 경우 등이 있다. 알람부(430)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10)나 음성 출력 모듈(420)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10) 및 음성출력모듈(420)은 알람부(430)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조명부(440)는 가변형 화장실(10)의 실내를 밝히는 장치로서, 가변형 화장실(10)의 구조나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440)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작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기칸 상에 설치된 조명부(440)는 변기칸에 사용자가 들어온 경우에만 점등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화장실(10)의 실외 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조명부(440)의 조도를 높이도록 제어될 수 있고, 반대로 가변형 화장실(10)의 실외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 조명부(440)의 조도를 낮추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500)는 제어부(7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0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50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5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형 화장실(1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600)는 가변형 화장실(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60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가변형 화장실(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가변형 화장실(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60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controller)(700)는 통상적으로 가변형 화장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분할벽체에 설치된 문의 개폐, 칸막이벽을 이용한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분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조명부(440)의 조도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800)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70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500)에 저장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시한 구성을 구비한 가변형 화장실의 설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 평상시의 구조이며, 도 2b 및 도 2c는 여성 고객이 증가하는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변형 화장실(10)은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 외벽(20), 화장실 출입문(22a, 22b), 분할벽체(24), 문(26), 변기(30), 변기칸(40), 칸막이벽(5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가변형 화장실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의 설치 구조를 살펴본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가변형 화장실(10)은 외벽(20)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이용 고객의 성별에 따라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로 구획되어 진다. 그리고,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을 위하여 일반인이 사용하는 화장실에 비하여 공간이 넓고 크게 형성되어 있는 장애인용 화장실(16)이 별도로 구획되어 질 수 있다.
외벽(20)에는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 각각으로 이용객이 출입할 수 있는 화장실 출입문(22a, 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장실 출입문(22a, 22b)에는 각각 화장실 출입문(22a, 22b)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 화장실 출입문을 잠그기 위한 화장실 출입문 잠금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벽(20)에는 LED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부(440)와 환기를 위한 환기구,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변기칸(40)이 설치되어 있고, 각 변기칸(40)에는 변기(30)가 설치되어 있어 이용객이 용무를 볼 수 있다. 또한,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고 거울이 구비되어 있어 용모를 가다듬을 수 있는 세면대(38)가 설치될 수 있다.
남자화장실(12)의 경우 대변의 용무를 주로 보게 되는 밀폐된 공간 속의 좌변기(32)와 수세식 변기(34), 간단히 소변의 용무만 볼 수 있는 개방된 소변기(36)가 구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자화장실(14)의 경우 대변과 소변의 용무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밀폐된 공간 속의 좌변기(32)와 수세식 변기(34)가 구분되게 설치될 수 있다.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은 분할벽체(24)에 의하여 서로 분할되며, 분할벽체(24)의 적어도 일부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문(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26)은 사람이 충분히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문(26)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 문(26)을 잠그기 위한 잠금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칸막이벽(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문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와 같이, 제 1 칸막이벽(51)은 외벽과 같은 재질로 남자화장실(12)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 칸막이벽(51)의 양 측면에 미닫이 문의 구조로 제 2 칸막이벽(52)과 제 3 칸막이벽(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칸막이벽(52)과 제 3 칸막이벽(53)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와 잠금을 위한 잠금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평상시 구조는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구획하는 분할벽체(24)에 문(26)이 폐쇄된 채로 잠겨져 있으며, 제 1 칸막이벽(51) 양측에 구비된 제 2 칸막이벽(52)과 제 3 칸막이벽(53)은 개방되어 있다.
많은 이용객이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는 도중 문(26)이 개방되는 경우 큰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하는 고객이 임의로 문(26)을 개방하지 못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화장실을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하면 여성의 신체구조나 행동패턴에 비추어 여성의 화장실 이용시간이 남성에 비하여 훨씬 길기 때문에 여자화장실(14)이 남자화장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붐비게 된다. 또한, 남자화장실(12)의 소변기(36)는 좁은 공간만 차지하므로,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같은 면적을 갖도록 분할하는 경우 남자화장실(12)에 배치된 변기의 수가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화장실 이용 고객이 많은 시간에는 남자화장실(12)은 비교적 순환이 빨라 혼잡이 덜 한데 비하여, 여자화장실(14)은 이용을 위하여 대기하는 다수의 인원이 긴 줄을 이루어 인산인해를 이루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같은 면적으로 분할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불합리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남녀 동반으로 유동하는 고객이 많은 상황에서 여성 이용객의 화장실 이용을 동반 남성이 기다리다 보면 혼잡과 불편을 더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여성 고객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분할벽체(24)에 설치된 문(26)을 개방하고, 미닫이 문 구조로 형성된 제 2 칸막이벽(52)과 제 3 칸막이벽(53)을 폐쇄하여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된 변기칸(40) 중 적어도 하나가 여자화장실(14)에 속하도록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서로 분할시킬 수 있다.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되었던 변기칸(40)의 일부가 여자화장실(14)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제공되게 되므로, 종래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에서 여자화장실이 너무 붐비고 혼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칸막이벽(50)을 조정하여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 고객의 수요에 대응하여 여자화장실(14)에 추가되는 변기칸(40)의 수를 변경할 수 있는 실시례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제 2 칸막이벽(52)을 여닫이 문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2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2 칸막이벽(52)을 90˚ 개방하면, 여자화장실(14)에 추가되는 변기칸(40)의 수를 도 2b 보다 두 개 줄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제 2 칸막이벽(52)을 180˚ 개방하면, 여자화장실(14)에 추가되는 변기칸(40)의 수가 도 2b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도 2a의 구조로 화장실을 이용하다가,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 고객이 일정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도 2c의 구조로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할 수 있고, 여성 고객의 인원이 그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에는 도 2b의 구조로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하게 하여 본 발명의 가변형 화장실(10)을 상황에 따라 알맞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의 구조를 갖는 가변형 화장실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가변형 화장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의 화장실 출입문(22a, 22b)에 설치되는 센서부(300)가 남자화장실(12) 및 여자화장실(14) 중 적어도 하나의 출입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화장실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검출한다(S100).
다음으로, 상기 검출된 여자화장실(14)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상기 검출된 여자화장실(14)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여자화장실(14)에 이용 고객이 많이 들어와 여자화장실(14)의 변기칸(40)이 부족하다는 의미가 되므로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되었던 변기칸(40)의 일부가 여자화장실(14)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게 된다.
반대로, 검출된 여자화장실(14)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적은 경우에는, 여자화장실(14)을 이용하는 고객이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별도의 프로세스가 더 진행되지 않으며, 센서부(300)가 출입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단계가 계속하여 진행된다.
만약 검출된 여자화장실(14)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알람부(430)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보를 한다(S300).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분할하는 분할벽체(24)에 설치된 문(26)이 많은 사용자이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는 도중에 개방되는 경우 큰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이에 대비를 하도록 통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경보를 울리게 되며, 관리자가 분할벽체(24)의 문(26)을 개방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하여 관리자에게도 경보를 울리게 된다.
그 후 문(26)이 개방되고, 칸막이벽(50)을 이용하여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된 변기칸(40) 중 적어도 하나가 여자화장실(14)에 속하도록 남자화장실(12)과 상기 여자화장실(14)을 서로 분할하게 된다(S400).
한편,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 평상시의 구조이고, 도 4b는 여성 고객이 증가하는 경우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4c는 남성 고객이 증가하는 경우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4d는 화장실 이용 고객이 적은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변형 화장실(10)은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 외벽(20), 화장실 출입문(22a, 22b), 분할벽체(24), 문(26), 변기(30), 변기칸(40), 칸막이벽(5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가변형 화장실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d의 설치 구조를 살펴본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가변형 화장실(10)의 다른 일 실시례는 외벽(20)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이용 고객의 성별에 따라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로 구획되어 지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 위한 장애인용 화장실(16)이 별도로 구획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화물차나 장거리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세면 및 샤워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샤워장(17) 및 탈의실(18)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워장(17) 및 탈의실(18)은 소규모 시설로 운영되며 4 ㎡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샤워장(17) 및 탈의실(18)은 지리적 위치, 노선 특성, 이용형태 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아 전용 화장실(19)을 별도로 더 설치할 수 있다. 유아 전용 화장실(19)에는 유아용 좌변기와 성인용 좌변기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의 생리현상을 해소하고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이다.
외벽(20)에는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 각각으로 이용객이 출입할 수 있는 화장실 출입문(22a, 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장실 출입문(22a, 22b)에는 각각 화장실 출입문(22a, 22b)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 화장실 출입문(22a, 22b)을 잠그기 위한 화장실 출입문 잠금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벽(20)에는 LED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부(440)와 환기를 위한 환기구,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변기칸(40)이 설치되어 있고, 각 변기칸(40)에는 변기(30)가 설치되어 있어 이용객이 용무를 볼 수 있다. 또한,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고 거울이 구비되어 있어 용모를 가다듬을 수 있는 세면대(38)가 설치될 수 있다.
남자화장실(12)의 경우 좌변기(32)와 수세식 변기(34), 소변기(36)가 구분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여자화장실(14)의 경우 좌변기(32)와 수세식 변기(34)가 구분되게 설치될 수 있다.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은 분할벽체(24)에 의하여 서로 분할되며, 분할벽체(24)의 적어도 일부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문(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26)은 남자화장실(12) 측으로 개방되어 열릴 수도 있으며, 여자화장실(14) 측으로 개방되어 열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문(26)이 개방되면, 상기 문(26)과 만나는 변기칸(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26)은 사람이 충분히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너비를 가질 수 있고, 문(26)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 문(26)을 잠그기 위한 잠금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하는 고객이 임의로 문(26)을 개방하지 못하도록 설치된다.
칸막이벽(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문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와 같이, 칸막이벽(50)은 여자화장실(14)에 구비된 변기칸(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여닫이 문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가변형 화장실의 평상시 구조는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구획하는 분할벽체(24)에 문(26)이 폐쇄된 채로 잠겨져 있으며, 칸막이벽(50)은 변기칸(40)의 일측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여성 고객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분할벽체(24)에 설치된 문(26)을 남자화장실(12) 측으로 개방하고, 상기 개방된 문(26)을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된 변기칸(40)의 일부에 고정하여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된 변기칸(40) 중 적어도 하나가 여자화장실(14)에 속하도록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서로 분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남자화장실(12)에 구비되었던 변기칸(40)의 일부가 여자화장실(14)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제공되게 되므로, 종래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에서 여자화장실이 너무 붐비고 혼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남성이 많은 환경에 설치된 화장실의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할벽체(24)에 설치된 문(26)을 여자화장실(14) 측으로 개방하고, 상기 개방된 문(26)을 여자화장실(14)에 구비된 변기칸(40)의 일부에 고정하여 여자화장실(14)에 구비된 변기칸(40) 중 적어도 하나가 남자화장실(12)에 속하도록 남자화장실(12)과 여자화장실(14)을 서로 분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심야시간 등 화장실의 여유가 많은 경우에는, 도 4d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할벽체(24)에 설치된 문(26)을 남자화장실(12) 측으로 개방하고, 칸막이벽(50)을 열어 남자화장실 및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벽(50)에 의하여 폐쇄된 공간을 밝히는 조명부(440)를 소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4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700)를 이용하여 칸막이벽(50)에 의하여 폐쇄된 공간의 조명부(440)가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도 4a의 구조로 화장실을 이용하다가,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 고객이 일정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도 4b의 구조로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할 수 있고, 화장실을 이용하는 남성 고객이 일정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도 4c의 구조로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화장실을 이용하는 고객이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는 도 4d의 구조로 가변형 화장실(10)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변형 화장실(10)을 상황에 따라 알맞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펴본 본 발명의 가변형 화장실에 의하면, 여자화장실이 부족하여 화장실에 줄서서 대기하는 시간이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고, 여자화장실을 증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사비에 대비하였을 때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으며, 공사기간도 크게 단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심야시간대 등의 이용자가 많이 없는 상황에서는 최소 공간만 운영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상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
    상기 남자화장실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칸막이벽;
    상기 제 1 칸막이벽의 일측에 설치되고, 여닫이 문으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칸막이벽;
    상기 제 1 칸막이벽의 타측에 설치되고, 미닫이 문으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제 3 칸막이벽;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센싱하여 상기 여자화장실 및 상기 남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여자화장실 및 상기 남자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부;
    상기 화장실의 실내를 밝히는 조명부;
    상기 화장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부;
    상기 문, 상기 제 2 칸막이벽, 상기 제 3 칸막이벽 및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장실의 위치 정보, 상기 화장실의 사용 가부 정보 및 상기 화장실의 이용 대기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분할벽체에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조도센서부가 감지한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칸막이벽 및 상기 제 3 칸막이벽과 관련된 제 1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변기칸이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하며,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제 2 칸막이벽 및 상기 제 3 칸막이벽이 상기 남자화장실의 벽면 또는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칸막이벽 및 상기 제 3 칸막이벽을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칸막이벽은 기 설정된 각도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변기칸의 수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화장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남자화장실과 복수의 변기칸을 구비한 여자화장실이 분할벽체에 의하여 서로 분할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한 문;
    이동 가능한 칸막이벽;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센싱하여 상기 여자화장실 및 상기 남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여자화장실 및 상기 남자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알람부;
    상기 화장실의 실내를 밝히는 조명부;
    상기 화장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부;
    상기 문과 상기 칸막이벽의 동작 및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장실의 위치 정보, 상기 화장실의 사용 가부 정보 및 상기 화장실의 이용 대기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문은, 여닫이 문으로 형성되고, 상기 남자화장실 및 상기 여자화장실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센서부가 감지한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가 변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과 관련된 제 1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여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하고,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문을 상기 남자화장실 방향으로 개방하여 상기 남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남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과 관련된 제 2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남자화장실에 속하도록 상기 남자화장실과 상기 여자화장실을 서로 분할하고, 상기 제 2 동작은 상기 문을 상기 여자화장실 방향으로 개방하여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의 일부에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남자화장실 및 상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칸막이벽이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개방된 상기 문과 이동된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남자화장실 및 상기 여자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칸 중 적어도 하나를 막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화장실.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따른 가변형 화장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여자화장실의 이용 대기자의 인원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이용 대기자가 기 설정된 인원보다 많은 조건을 만족하는 단계;
    상기 알람부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화장실의 제어방법.
KR1020130069153A 2013-06-17 2013-06-17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KR10139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53A KR101398331B1 (ko) 2013-06-17 2013-06-17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53A KR101398331B1 (ko) 2013-06-17 2013-06-17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331B1 true KR101398331B1 (ko) 2014-05-23

Family

ID=5089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53A KR101398331B1 (ko) 2013-06-17 2013-06-17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3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808A (zh) * 2015-08-12 2015-12-02 四川工业科技学院 一种男女共享马桶间
KR101854719B1 (ko) * 2017-11-29 2018-05-0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가림막 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CN112183211A (zh) * 2020-08-31 2021-01-05 安徽天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用智慧服务区厕所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853A (ja) * 1992-02-14 1993-08-31 Toto Ltd トイレの間仕切り構造
JPH07259356A (ja) * 1994-03-18 1995-10-09 Fujita Corp フレキシブルパターン・トイレ
KR100681392B1 (ko) * 2006-11-29 2007-02-09 필컴퍼니주식회사 무선보안과 관제 기능을 갖는 조명제어장치
KR100812591B1 (ko) * 2006-11-23 2008-03-13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공중 화장실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853A (ja) * 1992-02-14 1993-08-31 Toto Ltd トイレの間仕切り構造
JPH07259356A (ja) * 1994-03-18 1995-10-09 Fujita Corp フレキシブルパターン・トイレ
KR100812591B1 (ko) * 2006-11-23 2008-03-13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공중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0681392B1 (ko) * 2006-11-29 2007-02-09 필컴퍼니주식회사 무선보안과 관제 기능을 갖는 조명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808A (zh) * 2015-08-12 2015-12-02 四川工业科技学院 一种男女共享马桶间
KR101854719B1 (ko) * 2017-11-29 2018-05-0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가림막 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CN112183211A (zh) * 2020-08-31 2021-01-05 安徽天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用智慧服务区厕所系统
CN112183211B (zh) * 2020-08-31 2022-09-20 安徽天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用智慧服务区厕所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5952B2 (en) Conducting and guiding individuals safely
KR101398331B1 (ko) 남녀 가변형 화장실 및 그 제어방법
US10657842B2 (en) Navigation system
US20220191984A1 (en) Facility occupancy detection with thermal grid sensor
JP6223951B2 (ja) 個室管理システム
US20020007510A1 (en) Smart bathroom fixtures and systems
JP7234581B2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7251100B2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US20180293877A1 (en) Network-based facility maintenance
JP2017152029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JP6258910B2 (ja) 個室管理システム
US20210243575A1 (en) Changing Places
JP2020053070A (ja) 要介護者見守り支援システム
JP2017212003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KR102299476B1 (ko) 화장실 종합관리 시스템
KR100454762B1 (ko) 공공화장실의 종합관리 시스템
KR102443723B1 (ko)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JP6548847B1 (ja) 空室管理装置及び多目的トイレ
JP3234444U (ja) トレーラーハウス型ペット専用の宿泊・滞在施設。
JP2005351022A (ja) トイレ構造及び施設構造
CA2357681A1 (en) Smart bathroom fixtures and systems
CN211403486U (zh) 一种公共卫生间管理系统
JP6942506B2 (ja) 活動量推定システム
TWM502071U (zh) 一種空間使用管理系統
CA2364080A1 (en) Infrared sensor operated fixtures, or infrared sens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