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213B1 -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213B1
KR101398213B1 KR1020130032547A KR20130032547A KR101398213B1 KR 101398213 B1 KR101398213 B1 KR 101398213B1 KR 1020130032547 A KR1020130032547 A KR 1020130032547A KR 20130032547 A KR20130032547 A KR 20130032547A KR 101398213 B1 KR101398213 B1 KR 10139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oupled
handle
hin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랑
Original Assignee
화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06Fee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가압시 회전가압부와 철침가압부가 상호 연동되면서 수납체를 회전시키면서 손잡이를 재차 가압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서류를 철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본불량을 방지하는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이플러{stapler}
본 발명은,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가압시 회전안내부와 철침가압부가 상호 연동되어 수납체를 회전시키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서류를 철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본불량을 방지하는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플러(Stapler)는 'ㄷ'자형태의 가느다란 철침(스테이플)으로 서류를 철하여 상기 서류를 하나의 묶음으로 제본하기 위한 기구로서, 상기 스테이플러는 사무용 또는 작업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스테이플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1a)이 고정된 받침대(1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1)에 힌지(12a)로 결합되어 철침을 저장하는 철침저장통(12)이 구비되며, 상기 철침저장통(12)에 힌지로 결합되어 철침을 가압하는 가압손잡이(13)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이플러는 서류 제본시 가압손잡이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손잡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으로만 철침을 제본하므로 가압손잡이의 가압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여성이나 노약자 또는 나이가 어릴 경우에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서류 제본시 철침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의 가압시 회전안내부와 철침가압부가 상호 연동되어 수납체를 회전시키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서류를 철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본불량을 방지하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지지편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힌지로 결합되어 내부에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수납체와;
상기 받침대와 수납체 사이에 결합되는 복원체와;
상기 지지편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압부에 의해 회전하는 철침가압부와;
상기 철침가압부에 안내축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되어 철침을 가압하는 푸셔와;
상기 철침가압부와 지지편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손잡이의 작동으로 철침가압부를 가압하는 회전가압부와;
상기 회전가압부에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어핀이 회전가압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 가압시 회전가압부와 철침가압부가 수납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재차 가압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서류를 철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본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테이플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작동부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스테이플러(100)는, 지지편(111)이 형성되는 받침대(110)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110)에 힌지로 결합되어 내부에 카트리지(121)가 장착되는 수납체(120)가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110)와 수납체(120) 사이에 결합되는 복원체(13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편(111)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압부(160)에 의해 회전하는 철침가압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철침가압부(140)에 안내축(151)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되어 철침을 가압하는 푸셔(150)가 구성되고, 상기 철침가압부(140)와 지지편(111)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손잡이(170)의 작동으로 철침가압부(140)를 가압하는 회전가압부(160)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가압부(160)에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어핀(171)이 회전가압부(160)를 상부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손잡이(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납체(120)는, 상기 받침대(110)의 지지편(111)에 고정되는 수납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몸체(12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122)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몸체(121) 내부에 장착되어 철침을 저장하는 카트리지(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철침가압부(140)는, 상기 받침대(110)의 지지편(111)에 힌지로 결합되는 가압몸체(141)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몸체(14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안내장공(142)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몸체(141)와 수납체(120) 사이에 장착되어 가압몸체(141)가 탄력있게 회전 및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체(1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전가압부(160)는, 상기 철침가압부(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받침대(110)의 지지편(111)과 손잡이(170)에 힌지로 결합되는 회전몸체(16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161)의 선단부와 철침가압부(140)의 상부측에 힌지로 고정되어 회전몸체(161)의 회전시 철침가압부(14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가압부재(162)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체(120)에 카트리지(121)를 수납 및 개방시키는 작동부(18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180)는, 상기 수납체(120)에 장착되는 작동봉(181)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봉(181)과 수납체(120)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82)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체(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작동공간(18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공간(183)에 결합되어 작동봉(181)을 고정시키는 고정봉(184)이 구비되며, 상기 카트리지(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봉(184)에 고정되는 고정후크(18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70)의 회전복귀시 제어핀(171)이 접촉되어 손잡이(17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편(111)에 요입되는 제어홈(19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0)에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111) 내부에 수납체(120)를 결합시키되 수납몸체(121)의 단부가 지지편(111)에 힌지(122)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납체(120)의 하부에는 철침을 저장하는 카트리지(123)가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 수납체(120)의 상부에는 철침가압부(140)를 위치시켜 결합하되 가압몸체(141)에 각각 형성된 안내장공(142) 내부에 푸셔(150)를 위치시킨 후 안내축(151)을 안내장공(142)으로 결합하여 푸셔(150)가 안내장공(142)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푸셔(150)가 결합된 가압몸체(141)를 지지편(111) 내부에 수직으로 끼우되 푸셔(150)가 수납몸체(121)의 선단부로 결합되도록 하고 가압몸체(141)의 통공(141')은 지지편(111)의 통공(111')과 동일선상이 되게 한 후 힌지(141-1)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가압몸체(141)와 수납몸체(121) 사이에는 가압몸체(141)를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함과 동시에 최초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체(143)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철침가압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압부(160)의 회전몸체(161)에 가압부재(162)를 힌지(162-2)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가압부재(162)의 통공(162')을 철침가압부(140)의 통공(141")과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힌지(162-1)로 결합한다.
상기 회전가압부(160)의 가압부재(162)가 가압몸체(14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압부(160)를 감싸도록 손잡이(170)를 위치시키되 손잡이(170)의 통공(170")과 지지편(111)의 통공(111")과 회전몸체(161)의 통공(161')을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힌지(161-1)를 결합한다.
상기 손잡이(170)의 고정공(170')에는 제어핀(171)을 결합하되 제어핀(171)이 회전몸체(161)의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수납체(120)로부터 카트리지(123)를 용이하게 개방 및 수납할 수 있도록 작동부(180)를 장착하게 되는데, 먼저, 작동봉(181)에 스프링(18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작동봉(181)의 하단부를 수납몸체(12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결합시킨 후 작동봉(181)의 하단부를 작동공간(183)과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수납몸체(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동공간(183)을 통해 고정봉(184)을 결합하게 되면 작동봉(181)은 고정봉(184)에 의해 결합되고 고정봉(184)은 작동공간(183) 내에서만 이동하면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70)의 회전복귀시 제어핀(171)이 접촉되면서 손잡이(17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편(111)의 상단부 양쪽에 제어홈(190)을 요입형성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70)를 가압하게 되면 손잡이(170)가 힌지(161-1)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어핀(171)이 회전몸체(161)의 하부를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회전몸체(161)와 힌지(162-2)로 결합된 가압부재(162)는 회전몸체(161)의 회전으로 철침가압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철침가압부(140)는, 철침가압부(140)와 수납체(120) 사이에 결합된 탄성체(143)의 탄력이 회전가압부(160)가 가압하는 가압력보다 크므로 철침가압부(140)와 수납체(120)가 힌지(141-1)와 힌지(122)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여 복원체(130)가 압축되면서 수납체(120)가 받침대(110) 측으로 완전히 회전하게 된다.
상기 철침가압부(140)는 가압몸체(141)의 회전시 회전된 반경만큼 푸셔(150)의 안내축(151)이 안내장공(142) 내에서 이동하여 안내장공(142) 일측에 안내축(151)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70)를 더 세게 가압하게 되면, 손잡이(170)의 제어핀(171)이 회전가압부(160)를 더욱더 들어올림과 동시에 가압부재(162)는 철침가압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철침가압부(140)의 가압몸체(141)가 힌지(141-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탄성체(143)가 탄력적으로 압축되며, 안내축(151)이 안내장공(142) 내에서 일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푸셔(150)는 카트리지(12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철침을 가압하여 서류를 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류를 철한 후, 손잡이(170)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받침대(110)와 수납체(120) 사이에 결합된 복원체(130)가 복원되면서 수납체(120)가 힌지(122)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체(120)와 철침가압부(140) 사이에 결합된 탄성체(143)의 복원력에 의해 수납체(120) 측으로 회전되어 있던 철침가압부(140)의 가압몸체(141)가 힌지(141-1)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가압상태의 푸셔(150)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철침가압부에 힌지(162-1)로 결합된 가압부재(162)는, 가압몸체(141)가 상부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몸체(161)의 단부를 상부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161)는 힌지(16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몸체(161)의 하단부가 손잡이(170)의 제어핀(171)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고, 제어핀(171)은 지지편(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어홈(190)에 접촉되어 동작이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23)에 철침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동봉(181)을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면 작동봉(181)은 스프링(182)의 탄력에 의해 작동공간(183)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고정봉(184)에 고정되어 있던 고정후크(185)의 고정력이 해제되면서 수납몸체(121)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121')의 탄력에 의해 카트리지(123)가 이동하면서 수납체(120)로부터 개방되어 철침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123)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체(120) 내부에 수납시킬 경우, 먼저 카트리지(123)를 수납체(12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수납몸체(121) 내부의 스프링(121')이 신장되면서 카트리지(123)에 형성된 고정후크(185)가 고정봉(184)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고정봉(184)은 작동봉(181)에 결합된 스프링(182)의 탄력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고정후크(185)가 고정봉(184)을 지나게 되면 작동봉(181)은 스프링(182)의 탄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고정봉(184)에 고정후크(185)가 걸리게 되면서 카트리지(123)가 수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스테이플러 110: 받침대
111: 지지편 120: 수납체
121: 수납몸체 122: 힌지
123: 카트리지 130: 복원체
140: 철침가압부 141: 가압몸체
142: 안내장공 143: 탄성체
150: 푸셔 160: 회전가압부
161: 회전몸체 162: 가압부재
170: 손잡이 171: 제어핀
180: 작동부 181: 작동봉
182: 스프링 183: 작동공간
184: 고정봉 185: 고정후크
190: 제어홈

Claims (7)

  1. 지지편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힌지로 결합되어 내부에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수납체와;
    상기 받침대와 수납체 사이에 결합되는 복원체와;
    상기 지지편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압부에 의해 회전하는 철침가압부와;
    상기 철침가압부에 안내축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되어 철침을 가압하는 푸셔와;
    상기 철침가압부와 지지편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손잡이의 작동으로 철침가압부를 가압하는 회전가압부와;
    상기 회전가압부에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어핀이 회전가압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체는,
    상기 받침대의 지지편에 고정되는 수납몸체와;
    상기 수납몸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와;
    상기 수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철침을 저장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철침가압부는,
    상기 받침대의 지지편에 힌지로 결합되는 가압몸체와;
    상기 가압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안내장공과;
    상기 가압몸체와 수납체 사이에 장착되어 가압몸체가 탄력있게 회전 및 복원 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가압부는,
    상기 철침가압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받침대의 지지편과 손잡이에 힌지로 결합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선단부와 철침가압부의 상부측에 힌지로 고정되어 회전몸체의 회전시 철침가압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에 카트리지를 수납 및 개방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작동부는,
    상기 수납체에 장착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과 수납체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납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작동공간과;
    상기 작동공간에 결합되어 작동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봉과;
    상기 카트리지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봉에 고정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복귀시 제어핀이 접촉되어 손잡이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편에 요입되는 제어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KR1020130032547A 2013-03-27 2013-03-27 스테이플러 KR10139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547A KR101398213B1 (ko) 2013-03-27 2013-03-27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547A KR101398213B1 (ko) 2013-03-27 2013-03-27 스테이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213B1 true KR101398213B1 (ko) 2014-05-27

Family

ID=5089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547A KR101398213B1 (ko) 2013-03-27 2013-03-27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2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378U (ko) * 1976-09-20 1978-04-15
JPS60131374U (ja) * 1984-02-15 1985-09-03 プラス株式会社 ステ−プラ−
JPH01114282U (ko) * 1988-01-24 1989-08-01
JPH03123119U (ko) * 1990-03-27 1991-12-16
JP2007175835A (ja) * 2005-12-28 2007-07-12 Plus Stationery Corp ステープラー
KR200440913Y1 (ko) * 2007-01-12 2008-07-08 화신공업주식회사 스테플러
JP2009160696A (ja) * 2008-01-08 2009-07-23 Kokuyo Co Ltd ステープラ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378U (ko) * 1976-09-20 1978-04-15
JPS60131374U (ja) * 1984-02-15 1985-09-03 プラス株式会社 ステ−プラ−
JPH01114282U (ko) * 1988-01-24 1989-08-01
JPH03123119U (ko) * 1990-03-27 1991-12-16
JP2007175835A (ja) * 2005-12-28 2007-07-12 Plus Stationery Corp ステープラー
KR200440913Y1 (ko) * 2007-01-12 2008-07-08 화신공업주식회사 스테플러
JP2009160696A (ja) * 2008-01-08 2009-07-23 Kokuyo Co Ltd ステープラ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3672B (zh) 光纤切割器
WO2019131170A1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WO2019131171A1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5828718B2 (ja) 針板着脱機構および該針板着脱機構を備えたミシン
CN102125403A (zh) 用于手持且配备有特定控制装置的烹饪制备家电设备
KR101398213B1 (ko) 스테이플러
US2227826A (en) Stapling machine
CN103302638B (zh) 独立触发的打钉枪
KR101346511B1 (ko) 이중 스테이플러
CN203776964U (zh) 医用吻合器
JPH0994366A (ja) 押え切断装置
CN208143877U (zh) 推草机
CN102047815A (zh) 修枝剪
KR200437715Y1 (ko) 간이서랍의 개폐 장치
CN211808547U (zh) 一种自动装订机
JPH0683952B2 (ja) コードレス研摩機
CN207824681U (zh) 指纹锁锁具面板修整磨削夹具
CN105599508B (zh) 一种自动进笔之削笔机
WO2019131172A1 (ja) 開閉体の開閉機構
CN201571365U (zh) 修枝剪
TW201726441A (zh) 自動進筆之削筆機
KR200440913Y1 (ko) 스테플러
KR101059790B1 (ko) 펀칭기 겸용 스템플러
CN104440789A (zh) 可压孔订书机
CN216020509U (zh) 一种胶囊饮品机放包及脱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