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157B1 -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157B1
KR101398157B1 KR1020130019136A KR20130019136A KR101398157B1 KR 101398157 B1 KR101398157 B1 KR 101398157B1 KR 1020130019136 A KR1020130019136 A KR 1020130019136A KR 20130019136 A KR20130019136 A KR 20130019136A KR 101398157 B1 KR101398157 B1 KR 10139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steel material
steel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퇴경
김갑환
전영준
신은주
Original Assignee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G06K17/0012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with more than one selection steps, e.g. selection of a record carrier from a selected compartment of a compartmented stor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치되는 강재들의 속성 및 적치되는 위치인 파일들의 속성을 분석하여 적치하는 것이며, 그리하여 반출 시기가 동일한 강재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관리하고, 강재를 적치하는 중에 이동되는 크레인에 RFID 및 로드셀(Load cell)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강재의 적치 및 반출의 효율성도 높이도록 하는 RFID 및 Load 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고,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을 연산하며,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을 판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SYSTEM FOR MULTI PILING MANAGEMENT OF STEEL PLATE USING RFID AND LOADCELL}
본 발명은 강재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치되는 강재들의 속성 및 적치되는 위치인 파일들의 속성을 분석하여 적치하는 것이며, 그리하여 반출 시기가 동일한 강재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관리하고, 강재를 적치하는 중에 이동되는 크레인에 RFID 및 로드셀(Load cell)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강재의 적치 및 반출의 효율성도 높이도록 하는 RFID 및 Load 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의 관리는 콘테이너나 무거운 철재의 운반 및 적치에 관련된 것으로, 항만산업, 철강산업, 조선산업 등에서의 자재 취급과 관련된다. 특히 강재의 적치기술은 주로 선박용이나 넓은 강판 작업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무거운 하중으로 인해 대부분 상방 적치 및 반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반면 강재는 대부분 판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여러 개를 상방향으로 적치할 수 있으며, 무겁기 때문에 Gantry Crane 또는 Semi-Gantry Crane 등으로 강재를 운반하거나 적치, 반출하게 된다.
특히 크레인으로 적치, 반출하기 때문에 상방향으로만 적치 및 반출을 할 수 있어, 적치관리의 효율이 다른 물품보관시스템에 비해 낮은 효율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하여 다단으로 적치되는 강재의 관리 시스템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기술이 모색되었지만, 대부분이 작업자에 의한 수동 확인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관리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강재가 적치되는 야드는 넓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대략 가로 세로의 길이가 수십미터에서 백여미터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일하는 작업자가 일일이 하나하나 적치된 강재를 파악하면서 적치관리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마련이다.
예를 들면 상측에 적치된 강재보다 아래에 적치된 강재가 먼저 반출되어야 할 경우, 상측 강재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른 곳을 일단 옮긴 후, 아래의 강재를 반출하는 것이다. 이처럼 아직 반출되지 않을 강재를 일단 다른 곳으로 옮기는 과정을 수없이 비효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강재의 반복적인 이동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강재가 소요되므로, 동일 선박에 소요되는 많은 수의 강재들이 거의 동시에 반출될 것이다. 이처럼 동시에 반출되는 강재들은 한 곳에 모아두는게 반출관리에 효율적이지만,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한 곳에 모아두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반출 시기가 비슷한 여러 강재들은 다수 곳에서 하나하나 찾아내 반출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크레인의 이동이 빈번하게 되어 반출 시간이 오랫동안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에서 시행한 지석경제 기술혁신사업(조선IT융합혁신센터 사업)의 지원 과제(셉과제명 : 조선소 SCM 구축을 위한 다단 적치 강재 관리 시스템 개발)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재가 입고되고 반출되는 과정에서 강재의 재취급 횟수를 줄이자는 것이다. 현재 강재가 입고되고 반출되는 과정에서 적치장의 크기가 좁기 때문에 반출일자별로 강재를 한번에 선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입고되는 강재별로 같은 반출일자 파일을 두지 못하기에, 입고되는 파일을 단계별로 월별, 주별, 일자별로 선별하는 과정이 생긴다. 이 과정에서 선별 작업이 일어나기에 재취급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선별할 강재가 파일의 중간위치에 있어 선별 강재의 위에 적치된 강재를 다른 파일로 옮겨야 하는 재취급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강재의 재취급의 의사결정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기에 작업자의 판단하에 모든 걸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자의 결정에 의해 무분별한 선별이 이루어지기에 강재의 재취급 횟수를 늘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강재의 입고시, 이미 적치되어 있는 강재들 중에서 비슷한 시기에 반출되는 강재들의 속성을 분석하여, 반출 시기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시기의 강재들을 모아 적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처럼 적치되는 강재들의 하나의 단일 단위로 적치하도록 함으로써, 강재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재의 적치를 위해 이동되는 크레인의 이동좌표값을 산출하고, 이동되는 크레인의 좌표값을 RFID 센싱값으로 판별하며, 강재의 적치에 대해서 Load cell의 무게감지를 통하여 올바르게 적치되었는지를 판별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치되는 강재들을 출고일자 단위로 한 파일에 적치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강재가 섞여 있어도 출고 일자별로 나갈 수 있게 하여 강재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Pile)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는 강재파일정보분석부;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Pile)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X, Y)을 연산하는 이송좌표연산부; 및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위치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X, Y)을 판별하는 이동경로분석부를 포함하고, 크레인이 설치된 적치시스템에는, 위치감지를 위해 다수의 RFID태그 및 RFID감지센서: 및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Loadcell)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급장비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취급장비관리시스템; 상기 취급장비관리시스템으로 강재가 위치되는 파일의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전송하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 및 상기 취급장비관리시스템으로부터 크레인의 승하강 높이값(Z), 이동경로값(X, Y)을 전송받아 크레인이 이동되게 하여 강재를 적치하는 적치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적치시스템은: 종방향(Y 방향)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크레인의 이동대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종방향태그; 크레인 이동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종방향태그의 신호를 감지하는 종방향감지센서; 크레인의 이동대에서 횡방향(X 방향)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크레인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횡방향태그; 크레인 일측에 설치되어 횡방향태그의 신호를 감지하는 횡방향감지센서; 강재를 들어올리는 로드수단을 포함한 크레인; 및 크레인의 로드수단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센싱하는 로드셀(loadce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치위치결정시스템은: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 및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는 강재가 적치될 파일(Pile)의 위치정보이고, 다수의 파일은 하나의 베이(Bay)를 이루며, 파일(Pile)에 적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강재는 동일출고강재단위(SDU)로 반출되고, 상기 적치위치결정시스템은,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기 위한 이밸류에이터; 및 파일에 적치된 강재를 재배치하는 적치정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치정돈부는, 파일에 적치된 상층 강재의 정보를 리딩하여 강재의 정보에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정돈강재필터링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Pile)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는 강재파일정보분석단계;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Pile)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X, Y)을 연산하는 이송좌표연산단계; 및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X, Y)을 판별하는 이동경로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센싱한 강재의 무게와 적치 대상인 강재의 무게데이터를 비교하고, 지정된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면서 센싱한 강재의 무게와 적치 대상인 강재의 무게데이터를 비교하여 강재의 적치여부를 판별하는 강재적치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취급장비관리시스템에서 수신되는 파일지정정보가 적치위치결정시스템에 의해서 연산되는 적재위치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위치결정단계는: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강재의 입고시, 이미 적치되어 있는 강재들 중에서 비슷한 시기에 반출되는 강재들의 속성을 분석하여, 반출 시기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시기의 강재들을 모아 적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처럼 적치되는 강재들의 반출일자가 같은 강재들을 하나의 파일에 적치하게 함으로써, 강재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강재의 적치를 위해 이동되는 크레인의 이동좌표값을 산출하고, 이동되는 크레인의 좌표값을 RFID 센싱값으로 판별하며, 강재의 적치에 대해서 Load cell의 무게감지를 통하여 올바르게 적치되었는지를 판별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강재를 적치하게 되는 대상 파일들 중에서 강재의 속성과 같은 파일들을 후보 파일로 선정하고, 또한 선정된 후보 파일들 중에서 페널티 값이 가장 작은 파일을 선정하여 강재를 해당 파일에 적치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적치 강재와 관련된 대상 파일들 중에서, 강재의 속성과 다른 정도를 패널티값으로 연산하고,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적치 대상의 파일로 지정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지정된 파일에는 적치할 강재와 함께 반출되는 강재들의 모음 단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비슷한 반출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치뿐만 아니라 반출의 효율성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 의한 적치위치결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관계 구성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크레인이 설치된 적치시스템에 대한 구성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강재가 적치되는 적치 야드(Yard)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적치될 강재의 속성 및 대상이 되는 파일의 패널티값 산출에 대한 속성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재정돈할 경우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적치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세미겐트리크레인이 적용된 경우의 적치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에서 적용되는 겐트리크레인이 적용된 경우의 적치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 등에서와 같이, 강재 데이터를 입력하는 관리자단말기(11)와 연결되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으로부터 강재의 적치위치 파일지정데이터를 수신받는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크레인의 이동좌표를 분석하고 이송데이터를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부터 전송받아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적치시스템(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입고된 강재를 적치관리가 용이한 파일에 적치하고, 적치된 파일에서 강재를 들어올려 반출하는 것으로, 강재의 특성상 다단으로 적치됨으로 인해 다단의 적치시 강재의 반출이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강재의 다단적치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특히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은 강재가 적치될 파일의 지정정보를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으로부터 전송받는 것이며, 이러한 적치될 파일의 지정정보를 수신받은 후, 크레인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분석한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는,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Pile)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는 강재파일정보분석부(41)가 마련된다.
즉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으로부터 적치될 대상인 강재의 정보를 수신받고, 또한 해당 강재가 적치될 파일의 지정정보도 함께 전송받는다.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 저장된 야드(Yard, 15), 베이(Bay, 16), 파일(Pile, 17) 등의 정보를 리딩한 다음에, 강재가 입고된 위치로부터, 강재가 적치될 파일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한 데이터, 강재를 적치할 파일의 이미 적치된 파일들의 최상높이로부터 강재를 놓을 때의 놓는 하강 높이 등을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는,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Pile)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X, Y)을 연산하는 이송좌표연산부(42)가 마련된다.
즉 강재의 정보 및 지정된 파일의 정보, 이동경로, 강재를 들어올릴 때와 내려놓을 때의 승강 및 하강 높이 등의 분석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 크레인이 각 구간별 이동하게 되는 좌표값(X, Y)이라던가, 높이의 좌표값(Z) 등을 연산하게 된다.
또한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는,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X, Y)을 판별하는 이동경로분석부(43)를 포함한다. 이에 위치감지센서부에는 후술되는 다수의 RFID태그, RFID감지센서 등의 RFID 부재들, 그리고 종방향태그, 종방향감지센서, 횡방향태그, 횡방향감지센서 등 다수의 위치감지수단이 포함되어 운영될 수 있다.
즉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 의해 산출된 크레인의 이동경로좌표값(X, Y, Z)은 적치시스템(50)으로 전송되고, 적치시스템(50)의 크레인(53)이 각 구간별 이동하면서, 강재를 들어올리고 경로별로 좌표값에 따라 크레인이 이동한 후, 목적지의 파일에 강재를 하강하여 놓게 된다.
이에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이동을 감지한 위치감지신호는 다시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위치감지신호는 이동경로분석부(43)에서 분석하여, 크레인의 이동 및 적치의 상태를 판별하며, 이동 및 적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크레인 및 강재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치시스템(50)에는, 크레인이 설치된 적치시스템에는, 위치감지를 위해 다수의 RFID태그 및 RFID감지센서, 그리고 크레인에서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Loadcell) 등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적치시스템(5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강재가 적치되고 크레인이 이동하는 적치 장소는 크게 야드(Yard), 베이(Bay), 파일(Pi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야드(Yard)는 강재가 적치되는 하나의 커다란 적치 장소 전체를 말한다. 그리고 야드(Yard)는 다수의 베이(Bay)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또한 베이(Bay)는 여러 파일(Pile)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수의 파일은 하나의 베이(Bay)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파일(Pile)은 실제 강재가 놓이는 장소이며, 하나의 파일(Pile)에 다수의 강재가 상하방향으로 다단 적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는 강재가 적치될 파일(Pile)의 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적치될 강재에 대해 적치위치정보는 결국 파일의 위치정보인 것이며, 적치될 파일의 지정정보, 즉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에서 파일지정정보를 선정하는 것이고, 이러한 파일지정정보에 의해 크레인이 이동하면서 적치하는 것이다.
즉 강재를 개별 파일(Pile)에 적치되는 것으로, 강재의 적치, 이동, 재정돈 및 반출 등의 관리단위는 개별 강재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일(Pile)에 적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강재가 동일출고강재단위(SDU)로 적치, 이동, 재정돈 또는 반출됨이 좀더 효율적일 것이다.
이에 강재의 동일출고강재단위(SDU, Storage Demand Unit)는 동일 날짜에 동일 경로로 반출되는 다수의 강재 묶음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하게 반출되는 강재들이기 때문에 하나의 SDU 단위로 반출할 뿐만 아니라, 이동, 재정돈, 반출할 때 강재의 연산 기본단위로 산정하여 강재의 취급을 수행함이 보다 효율적인 것이다.
아울러 이처럼 강재가 적치되는 위치의 정의 및 강재의 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강재를 적치하고 다루는 크레인의 설비에 대해서 살펴본다.
즉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부터 크레인의 승하강 높이값(Z), 이동경로값(X, Y)을 전송받아 크레인을 이동하여 강재를 적치하는 적치시스템(50)이 마련된 것이다.
주로 RFID의 신호감지수단(RFID 태그, RFID 감지센서 등)은 수평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도 5, 도 10, 도 11 등에서와 같이, 크레인 및 이동대가 이동하는 종방향과 이동대에서 크레인이 이동하는 횡방향으로 나누어져 각각 RFID의 신호감지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적치시스템(50)에서의 신호감지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종방향(Y 방향)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크레인의 이동대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종방향태그(511)와, 그리고 크레인 이동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종방향태그(511)의 신호를 감지하는 종방향감지센서(512)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크레인(53) 및 이동대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크레인 이동대에 설치된 종방향감지센서(512)에서, 야드(Yard)에 설치된 다수의 종방향태그(511)의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어느 위치의 종방향태그를 지나는지의 감지신호를 적치시스템(50) 및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적치시스템(50) 및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등에서는 크레인 및 이동대의 종방향 이동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크레인의 이동대에서 횡방향(X 방향)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크레인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횡방향태그(521)와, 그리고 크레인 일측에 설치되어 횡방향태그(521)의 신호를 감지하는 횡방향감지센서(522)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크레인(53)이 이동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대에 설치된 다수의 횡방향태그(521)의 신호를 횡방향감지센서(522)에서 감지함으로써, 어느 위치의 횡방향태그를 지나는지의 감지신호를 적치시스템(50) 및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적치시스템(50) 및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등에서는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크레인(53)에는 강재를 들어올리는 로드수단(531)을 포함한 것으로, 크레인(53)의 로드수단(531)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센싱하는 로드셀(54, loadcell)이 마련된다.
물론 적치시스템(50)에 의하여 크레인(53) 및 로드수단(53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강재의 무게 정보에 알맞은 자장의 세기를 조절하게 되고, 강재의 적치 높이에 알맞게 로드수단(531)의 하강 및 승강의 높이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로드수단(531)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는 로드셀(54)에 의해 감지되는 것으로, 감지된 강재의 무게감지신호는 적치시스템(50) 및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 전송되어, 강재의 적치가 올바른지를 판별하게 된다.
아울러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그리고 적치시스템(50) 등에 의해 강재의 적치를 수행하는 단계별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우선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으로부터 적치될 강재의 정보, 강재가 적치될 적치위치정보로 파일이 지정된 파일지정정보를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서 수신받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치시스템(50)의 크레인을 이송시킴으로써 강재를 적치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으로, 우선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서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으로부터 강재정보, 파일지정정보를 수신받고, 강재파일정보분석부(41)에 의하여,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Pile)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는 강재파일정보분석단계(S51)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송좌표연산부(42)에 의하여,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Z),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Pile)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X, Y)을 연산하는 이송좌표연산단계(S52)를 수행한다.
또한 이동경로분석부(43)에 의하여,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X, Y)을 판별하는 이동경로분석단계(S53)를 수행한다.
아울러 이처럼 크레인에 의해 강재를 이송하고 적치하는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적치시스템(50) 등에 의해 크레인(53)의 로드셀(54, Loadcell)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 크레인(53)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강재의 무게와 적치할 강재의 무게데이터를 비교하고, 지정된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면서 감지된 무게와 적치할 강재의 무게데이터를 비교하여 강재의 적치여부를 판별하는 강재적치판별단계(S54)가 수행된다.
그리하여 강재를 들어올릴 때 센싱된 강재의 무게가 지시된 강재의 무게와 다를 경우 다시 재작업을 하던가 작업 오류의 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강재를 지정된 파일에 놓을 때에도 강재를 내려 놓음으로써 내려놓기 전과의 강재 무게 차이를 비교하여, 적치 대상의 강재인지를 판별하여 강재의 적치과정완료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놓여진 강재의 무게가 다를 경우에는 재확인의 판별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 강재가 위치되는 파일의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전송하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이 마련된다.
이러한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은 관자의 입력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치될 강재의 정보를 분석하고, 다수 파일들 중에서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지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에는, 다수 파일들 중에서 강재 속성과 관련된 적치 가능한 다수의 대상 파일을 추출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다수의 적치 대상 파일들 중에서 특정의 파일을 산정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들을 살펴보면,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가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 의하여 다수 파일들 중에서 강재의 적치가 가능한 많은 수의 파일들을 분류하게 된다.
그리고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가 마련된다.
이러한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에 의하여, 강재의 정보와 관련된 파일의 속성항목 중에서 제외항목을 선정하여 많은 수의 대상 파일들 중에서 제외시킬 수 있는 파일을 분류하는 것이다.
또한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가 마련된다.
이러한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에 의하여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이 최소 패널티값으로 갖는 파일을 선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선정된 파일이 강재를 적치할 대상 파일로 지정하는 파일지정정보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최소 패널티값과 빈 파일의 패널티값을 비교하여, 가장 최소로 갖는 패널티값을 선정하는 것으로,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이 빈 파일의 패널티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소 패널티값의 파일을 적치대상의 파일로 지정하고, 반면 빈 파일의 패널티값이 더 작은 경우에는 빈 파일을 적치대상의 파일로 지정한다.
아울러 빈 파일로 적치대상의 파일로 지정한 경우라 해도, 실제로 빈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다시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로 지정하도록 실시될 것이다.
위에서처럼 입고되는 강재 및 재배치되는 강재의 이동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또한 각 파일들에 적치된 강재들을 강재관리 및 반출관리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재정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은,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기 위한 이밸류에이터(36); 및 파일에 적치된 강재를 재배치하는 적치정돈부(39)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적치정돈부(39)는, 파일에 적치된 상층 강재의 정보를 리딩하여 강재의 정보에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정돈강재필터링데이터처리부(391)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서 수신되는 파일지정정보가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에 의해서 연산되는 적재위치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적재위치결정단계는,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S13)와,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단계(S17) 등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 및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에서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 등에서와 같이, 무거운 하중을 갖는 강재가 적치의 장소인 야드(Yard)에 적치되는 것으로, 도 6의 예시에서처럼 야드(Yard)는 세부적으로 베이(Bay)로 구분되고, 각 베이(Bay)는 다수의 파일(Pile)로 이루어져, 이러한 파일(Pile)에 다수 강재가 상방인입 및 상방인출의 방식으로 적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4, 도 5 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취급되는 강재는 판재 형태를 이루고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동에는 크레인(53)이 적용되며, 이에 크레인(53)에는 일측 이동대는 구동설비에 의해 이동작동되고, 타측 이동대는 단지 야드(Yard)의 건물이나 시설물 벽면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세비 갠트리 크레인(Semi Gantry Crane, 도 10 참조), 또는 양측 이동대에 구동이 가능한 설비를 갖춘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도 11 참조) 등이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크레인(53)이 이동되면서 강재를 입고 후 적치하고 반출하며, 재배치의 적치정돈을 수행하도록 하는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적치시스템(50), 그리고 이러한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 강재가 놓이게 될 파일(Pile)의 지정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즉 강재가 적치되는 적치위치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결정하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 및 상기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으로부터 강재가 적치될 적치위치정보를 수신받아 강재를 적치하거나 반출하는 적치시스템(50)에 적치 또는 반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등을 포함하여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이 마련된다.
이 중에서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은, 강재의 정보를 입력받는 강재입력데이터처리부(21)가 마련되어 관리자단말기(11)로부터 입력되는 강재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저장되게 한다.
물론 단순히 강재의 정보는 새롭게 입고되어 강재를 적치하게 될 경우에 강재의 정보를 입력받게 되고, 그 이전에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의 각 부재들에 대한 설치 및 운영 정보,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비상의 입력신호, 또는 정보 변경의 신호 등도 입력받게 될 것이다.
아울러 입력되는 데이터는 단순히 관리자가 직업 입력하는 데이터를 비롯하여,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과 연결되어 입력되는 다양한 데이터의 입력처리도 강재입력데이터처리부(21) 또는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적치시스템(50) 등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네트워크 접속되는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선박회사라던가 제철회사, 선박회사, 운반회사 등과 같이 협력회사들, 관련회사들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도 입력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되는 강재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강재가 적치되는 파일의 지정 정보를 산출하는 강재적치파일지정부(30)가 마련되어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지정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아울러 강재가 적치되는 파일의 지정 정보를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또는 관리자단말기(11)로 전송하는 파일지정정보전송부(23)가 마련된다.
이 중에서 상기 강재적치파일지정부(30)는,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된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 및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 등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를 분석하여 강재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적치파일정보검색부(35)가 마련되어, 강재가 적치되는 파일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파일이 지정된 정보에 의해 크레인이 이동되어 강재를 적치하는 것으로, 이에 상기 적치위치정보는 강재가 적치될 파일(Pile)의 위치정보이고, 하나의 베이(Bay)는 다수의 파일로 이루어지며, 파일(Pile)에 출고일자가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강재를 적치하여 출고일자가 같은 강재들끼리 모아 놓는다. 같은 출고일자를 가진 강재들을 하나의 단위(SDU)로 정의하고 같은 날 반출한다.
이와 함께 강재적치파일지정부(30)에는, 강재가 입고될 때 미리 강재가 적치하게 될 파일이 예약된 경우, 강재가 적치될 예약정보를 처리하는 적치예약정보처리부(32)가 마련된다. 즉 적치예약정보처리부(32)에서 입고되는 강재가 표 7에서와 같이 예약된 파일이 있는지 판별하여 해당 입고되는 강재가 적치할 예약된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로 이송하도록 강재별 파일 지정정보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 의하여 적치되는 강재가 적치될 파일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상기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에 의하여 이처럼 파일 정보 중에서 제외시킬 항목을 갖는 파일을 제거하기 위한 제외항목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처럼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 등에 의해 추출된 파일의 정보로 하여 적치파일정보검색부(35)에 의해 파일지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검색하게 됨에 있어 적치될 강재의 속성과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 범주의 속성을 갖는 강재들, 또는 SDU(동일출고강재단위, Storage Demand Unit) 등이 있는 파일이 있는지 판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재의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파일들에 적치된 강재 또는 SDU 단위별로 해당 속성정보들이 있는지 판별하게 된다.
이에 강재 또는 파일을 검색하는 데 있어서 속성의 예를 보면, 강재의 속성으로 표 6에서와 같이 강재번호, 경로(반출경로), 입고일자, 출고일자(반출일자), 높이(mm, 강재높이로 두께), 가로(mm, 직사각형 형태의 긴 쪽 방향 길이), 강재수량, 강재구분(잉여분인지 또는 특정 사용처나 보관특성이 있는지) 등의 강재 속성 예를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파일의 속성으로는 표 5에서와 같이 적재된 강재들과 관련하여, 파일번호, 선별의 단계정보(1차선별(입고시), 2차선별(재배치 정돈), 3차선별(재배치 정돈) 등), 경로(반출경로), 기간처음(예:입고일자), 기간마지막(예:출고일자, 반출일자), 높이(mm, 강재높이로 두께), 가로(mm, 직사각형 형태의 긴 쪽 방향 길이), 강재수량, 강재구분(잉여분인지 또는 특정 사용처나 보관특성이 있는지) 등의 속성 예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강재속성, 개별 파일(Pile) 등의 속성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인 것이다.
이에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서 입고되거나 재정돈으로 지정된 강재의 속성 중에서 다수 파일 중에서 선정하기 위한 강재의 속성을 설정하고 이후 해당 속성값을 갖는 파일을 추출하게 될 것이다.
즉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서는,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된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Filtering)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강재가 위치되는 적치위치가 파일 위치에 해당하도록 실시되므로, 적치위치정보는 파일지정정보로 볼 수 있다. 즉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속성 정보를 갖는 파일을 지정한 파일지정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링 속성 데이터에는 파일지정을 위해, 강재 속성 중에서 일부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 1 내지 표 4 등의 예에서는 경로, 출고일자, 강재크기 등이 있으며, 또한 이들 속성 정보들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값인 각각의 중요도값이 필터링 속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이다.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1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2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3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4
이들에 대한 예를 들면 표 1에서와 같이 강재의 속성을 갖는 파일을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각 속성들의 중요도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로 보면 표 2에서처럼 필터링속성데이터에 대해, 입고시 1차 선별 때에는 경로의 중요도는 '7', 출고일자의 중요도는 '8'로 설정하여, 경로 속성보다 출고일자 속성이 더 중요하게 처리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중요도 및 후술되는 각 속성들의 중요도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처리될 수 있고, 각각 단계별로 관리자가 별도로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표 3에서처럼 2차선별시에는 경로의 중요도가 '6', 출고일자의 중요도가 '8', 강재크기의 중요도가 '4' 등으로 설정될 수 있고, 표 4에서처럼 3차선별시에는 경로의 중요도가 '7', 출고일자의 중요도가 '8', 강재크기의 중요도가 '5'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1차선별은 입고의 절차로 파일에 적치되는 경우일 것이고, 2차 또는 3차의 선별은 재정돈으로 적치정돈시에 적용되는 경우일 것이다.
따라서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서 각 선별시마다 설정된 강재속성의 중요도가 반영되어 해당되는 강재 속성정보를 갖는 파일들을 검출하기 위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에 의하여,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예, 파일지정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콘스트레인트(Constraint)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에 의해 산출되는 콘스트레인트(Constraint) 속성 데이터는 앞서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 의해 산출된 필터링속성데이터에 의해 지정되는 파일들 중에서 제외시키는 강재의 속성 항목인 제외항목의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각의 상황에 따른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를 분석하여 강재위치정보, 즉 강재가 적치될 대상이 되는 파일을 지정한 파일지정정보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적치될 강재의 속성정보와 관련하여, 적치위치대상이 되는 파일에 이전에 적치된 강재들의 속성정보를 분석함에 있어, 적치될 강재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갖는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필터링속성데이터, 그리고 이러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근거로 추출된 파일들 중에서 제외시키게 되는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 등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에 해당되는 파일들을 검색하게 된다.
만약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에 해당되는 파일을 검색하지 못할 시에는 각 필터링속성데이터와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의 중요도 중에서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항목을 제외시키고 다시 파일 검색을 하게 된다. 만약 또 파일 검색이 되지 않을 시에는 다시 필터링속성데이터와 콘스트레인트데이터의 중요도 중에서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항목을 제외시키고 파일 검색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파일이 검색될 때까지 반복한다.
다음으로 이렇게 추출된 파일들 중에서 특정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패널티(Penalty)값을 부여하게 되며,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은 적치될 강재가 적치되기에는 부적합한 정도의 값을 나타낸다. 즉 패널티값이 크면 강재의 적치에 부적합한 정도가 크므로 패널티값이 큰 파일은 제외대상이 될 것이다.
따라서 패널티값이 제일 작은 최소패널티값을 산출하게 되고, 이후 최소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최종적으로 지정하여, 해당 강재를 적치하는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게 되며, 이처럼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기 위한 이밸류에이터(36, Evaluator)가 마련된다. 즉 이러한 이밸류에이터(36)에 의해, 앞서 지정된 여러 파일들의 속성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각 파일들의 패널티값을 산출하게 되고, 이들 파일들의 패널티값을 비교하여 최소 패널티값을 추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일의 패널티값에는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과 관련된 속성데이터를 적용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강재의 길이, 경로, Range의 변화량, 공간상의 혼잡도, 작업부하상의 혼잡도 및 이들의 환산값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속성들이나 속성값들이 연산된 값을 포함하여 패널티값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예를 보면, 표 5 및 표 6 등의 파일정보 및 적치의 강재에 대해서 도 7에서와 같이 적치될 강재의 속성정보와 적치될 강재의 속성정보에 대해 연산대상인 파일(예:파일번호 CCB3)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5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6
그리고 파일의 패널티값을 연산함에 있어, 강재의 길이, 경로, Range의 변화량, 공간상의 혼잡도, 작업부하상의 혼잡도 등의 환산값을 이용하며, 이들 속성들에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속성들의 중요도 값을 적용하여 패널티값을 연산하도록 하였다.
이에 우선 강재의 길이와 관련하여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강재길이의 패널티값(Pα) 연산에 대한 것으로, 강재길이의 패널티값 연산에서는 강재길이의 중요도 환산값과, 적치할 강재의 가로길이에 대해 적치 대상의 파일에 이미 적치된 파일들의 평균 가로 길이의 차이의 연산값을 적용한 것이다.
경로의 패널티값(Pβ)은 장치(적치)하려는 강재와 동일한 경로(예:출고 소요 거래처)가 동일한 강재(또는 동일출고강재단위(SDU))가 적치 대상의 파일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반출일자범위의 변화량의 패널티값(Pγ)은 새로이 적치될 강재의 적치 후 파일의 반출일자범위 값이 적치 대상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반출일자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아니면 기간이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패널티값이 산출된다.
공간상의 혼잡도의 패널티값(Pσ)은 파일의 높이 제한에서 강재가 쌓인 높이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파일의 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혼잡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작업부하상의 혼잡도의 패널티 값은 한 파일 당 대기하고 있는 워크 오더가 많을수록 높도록 설정했다. 즉 파일 당 대기 작업이 많을수록 작업부하상의 혼잡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 7의 예로 하여 적치될 강재 및 적치 대상의 파일에 대한 속성 항목별 패널티값(Penalty)들을 합치면 강재의 Penalty 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거쳐 다수 파일들에 대한 각각의 패널티값들을 산출한 다음에 최소의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지정된 파일에 강재가 적치되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에 최소 패널티값을 지정함에 있어서, 앞서 살펴본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 등에 의해 지정된 파일들을 대상으로 패널티값들을 산출 한 후, 대상 파일들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하여 적치되도록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적치 조건인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에 의하여 연산된 파일들의 패널티값을 비교하여,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파일들 중에서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한 파일을 지정함에 있어,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할 것인지, 아니면 강재가 적치되지 않은 빈 파일을 지정할 것인지 판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파일의 최소 패널티값과 비교하기 위해, 관리자에 의해 빈 파일의 패널티값은 미리 입력되어 설정된 상태로 실시될 것이다.
빈 파일 페널티의 값은 작업자의 설정데이터입력으로 0.1 ~ 0.9 사이의 값으로 직접 설정해줄 것이다.
이에 적치대상 파일 중에서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번호 'CCB3'의 최소 패널티값(P) = 0.240024이 된다.
그리고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빈 파일의 패널티값이 최소 페널티 값보다 크다면, 즉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에서는 대상 파일의 최소 패널티값과 빈 파일의 패널티값을 비교하여 최소 패널티값이 더 작을 경우 대상 파일을 적치대상의 파일로 지정하게 될 것이다.
반면 빈 파일의 패널티값이 작을 경우에는 빈 파일을 적치 대상파일로 지정하여 빈 파일지정정보처리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강재를 적치할 파일을 빈 파일(Pile)로 지정하는 빈파일정보처리부(38)가 마련될 것이다.
이처럼 패널티값을 연산하고 파일의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며, 최소 패널티값과 빈 파일의 패널티값을 판별하는 과정을 거쳐,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한 파일지정정보 또는 빈 파일을 지정한 빈파일지정정보로 하는 적치위치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적치위치정보(즉 파일지정정보)는 파일지정정보전송부(23)에 의해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에서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측으로 전송되고,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서는 지정된 파일의 지정정보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이동동선을 분석하고 이동 절차를 연산한 다음에 크레인이 설치된 적치시스템(50)으로 크레인의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입고된 강재의 적치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새로이 입고된 강재의 적치를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 것이며, 또한 이미 다수 파일들에 적치된 강재들에 대한 재배치 정돈에서도 위의 일련의 부재들 및 작업순서에 의해 새로이 적치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일에 적치된 강재를 재배치하는 적치정돈부(39)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적치정돈부(39)는, 파일에 적치된 상층 강재의 정보를 리딩하여 강재의 정보에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정돈강재필터링데이터처리부(39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돈강재필터링데이터처리부(391)에 의하여 다수 파일들에 적치된 강재 속성정보 및 파일들의 속성 정보를 리딩하여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추출하여, 파일의 지정과정을 수행한다.
주로 적치정돈부(39)에서는 파일에 적치된 강재 중에서 최상위층에 적치된 강재를 적치 및 이동의 대상으로 하고, 적치된 파일을 제외한 다른 파일들에 대해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산출하여, 이동이 적합한 대상 파일을 검색하게 된다.
이후의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34)에 의한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산출, 최소 패널티값 산출, 파일의 지정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적치되어 있던 강재들의 재배치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재배치의 과정은 여러 차례에 걸쳐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입고될 때 1차선별, 그리고 재배치의 과정으로 2차선별, 출고(반출) 즈음해서 3차 선별 등 3차에 걸쳐 입고과정 및 재배치 과정을 수행함을 예로 하였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적치시스템(50) 등을 포함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에 의한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의 각 단계별 수행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3 등에서와 같이 마련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이 마련되고,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는 관리자단말기(11)로부터 전송받는 것이다. 이에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10)의 적치위치결정시스템(20)에서 강재입력데이터처리부(21)에 의해, 강재의 정보를 입력받는 강재정보입력단계(S11)를 수행하는 것이다.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이러한 강재의 정보와 더불어, 파일(Pile)이라던가, 베이(Bay), 야드(Yard) 등의 정보,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및 적치시스템(50), 크레인(53) 등에 관련된 장비나 시설 정보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것이다. 야드(Yard)는 다수의 베이(Bay)로 이루어지고, 베이(Bay)는 다수의 파일(Pile)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파일(Pile)에 하나 또는 다수의 강재가 상방향으로 적치 및 반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강재의 정보는 관리자단말기(11)를 통하여 입력될 뿐만 아니라, 강재를 운반하는 운반관리자, 강재가 소요되는 선박회사의 관리자를 비롯하여 다수 관리자들의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도 저장될 것이다.
이후 입력된 시설정보 및 강재의 정보 등이 분석되고 분류되어 적치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강재적치파일지정부(30)에 의해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지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우선 강재의 입력정보 중에서 강재가 적치예약된 경우에는, 강재적치예약정보처리부(32)에 의하여, 강재가 적치될 예약정보를 처리하는 적치예약정보처리단계(S12)가 수행된다. 좀더 상세히 보면,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강재의 예약정보가 있는지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과정에서 해당 강재가 예약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에는 해당 예약정보에 따른 파일에 해당 강재가 적치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약된 파일을 지정한 정보를 이후의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측으로 전송하여 적치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관리자단말기에도 예약된 파일이 지정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예약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 7에서처럼 강재의 적치가 각 파일들 중에서 예약된 경우에, 예약된 적치 대상의 파일로 강재가 적치될 수 있게 예약된 파일지정정보를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으로 전송하게 된다.
Figure 112013016156074-pat00007
그 외의 강재들은 적치될 파일을 지정하기 위해 하기의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우선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33)에 의하여,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된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S13)가 수행된다.
즉 적치될 강재의 정보 속성과 대비하기 위한 속성을 갖는 파일들의 속성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며, 다수 속성들 중에서 중요도에 따라 중요도가 높은 속성값을 갖는 파일정보를 추출하여 적치위치정보의 필터링속성데이터로 검출하게 된다. 이에 필터링속성데이터에는 적치될 강재와 관련되어 파일들의 속성의 분류, 각 속성들의 중요도 값 등이 포함될 것이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링속성데이터들의 속성별 중요도 값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 설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링속성데이터에 의하면 다수 불특정 파일들 중에서 적치될 강재의 속성값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파일들을 추출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에서는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 등에 의해 분류된 파일들을 대상으로 하여 최소 패널티값을 가지고 적치될 파일을 분석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에 의해 하나 이상의 파일의 지정 정보가 있어야 다음 패널티값 분석과정을 수행하므로, 이와 같이 분석할 대상의 파일이 분류되었는지 판별하며, 패널티값 처리과정을 이루게 될 대상의 파일이 존재할 경우에는 패널티값과 관련된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필터링속성데이터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 등에 의해서도 해당되는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필터링속성데이터에 의해 해당되는 파일이 많이 지정될 수 있도록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강재 속성종류를 좀더 폭넓게 잡고, 중요도에 입력설정값도 조정하여(Filtering relax) 좀더 많은 수의 파일들이 지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의 제외항목을 적게하던가 또는 중요도 입력 설정값을 조정하여(constraint relax)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에 의해서 예비로 지정된 파일들을 적게 제외되도록 조정하는 과정이 더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필터링속성데이터의 산출과정에 적용될 조건 및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의 산출과정에 적용될 조건들을 일부 조정하는 과정 이후, 다시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산출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적치될 파일을 다시 산출하여 분류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정의 산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적치 대상 파일을 최종적으로 지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밸류에이터(36, Evaluator)에 의하여 앞서 분류된 적치 대상의 파일들의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는 최소패널티값산출단계(S14)가 수행된다.
이러한 파일의 패널티값의 속성으로는 강재의 길이, 경로, (적치기간의) Range의 변화량, 공간상의 혼잡도, 작업부하상의 혼잡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서 이들의 연산과정에 대한 것과 같이 파일들에 대한 패널티값이 산출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다수 파일들의 패널티값은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으로, 적치 조건인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단계(S15)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하게 되고, 다음으로 강재를 적치할 파일을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Pile)로 지정하는 최소패널티파일지정단계(S16)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최소패널티값비교부(37)에서는 빈 파일의 패널티값과 함께 파일의 최소 패널티값을 비교한 다음에 빈 파일과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의 패널티값을 비교하여,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이 빈 파일의 패널티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강재의 적치 대상 파일로 파일지정을 하게 된다.
즉 빈 파일의 패널티값이 최소 패널티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고, 이에 비교판별대상인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의 패널티값이 '0.240024'으로 되는 경우에는,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강재의 적치 대상 파일로 파일지정할 것이다.
반면 빈 파일의 패널티값이 더 작을 경우에는 빈 파일을 적치 대상의 파일로 지정하는 것으로, 빈파일정보처리부(38)에 의하여 강재를 적치할 파일을 빈 파일(Pile)로 지정하는 빈파일지정단계(S17)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빈파일지정단계(S17)를 수행중에 빈 파일이 남아있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파일 또는 빈 파일로 적치 대상의 파일이 지정된 정보는 파일지정정보전송부(23)에 의하여, 강재가 적치되는 파일의 지정 정보를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 또는 관리자단말기(11)로 전송하는 파일지정정보전송단계(S18)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후 취급장비관리시스템(40)에서는 지정된 파일의 지정정보를 수신받아, 크레인 및 적치시스템(50)의 조건에 알맞게 크레인 및 적치 과정에 대한 관리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파일에 적치된 강재를 재배치하는 적치정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적치정돈단계는, 파일에 적치된 상층 강재의 정보를 리딩하는 적치강재정보리딩단계(S31), 그리고 리딩된 상층 강재의 정보에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추출하는 강재필터링속성추출단계(S32)를 수행하여, 강재의 정보 및 파일들의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이후 앞서 설명한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S33),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산출단계, 최소패널티값산출단계(S34), 최소패널티값비교단계(S35), 최소패널티파일지정단계(S36), 빈파일지정단계(S37), 및 파일지정정보전송단계(S38)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적치정돈단계는 1단계 월별 파일 모음, 2단계 주별 파일 모음, 3단계 일별 파일 모음 중에서 정돈을 하고 싶은 단계를 선택하여 한 파일을 빈파일로 만들기 위한 작업을 실행한다. 이미 다수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을 재정돈함으로써, 다단으로 적치된 강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11 : 관리자단말기
20 : 적치위치결정시스템 21 : 강재입력데이터처리부
23 : 파일지정정보전송부
30 : 강재적치파일지정부 32 : 적치예약정보처리부
33 :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 34 :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
35 : 적치파일정보검색부 36 : 이밸류에디터
37 : 최소패널티값비교부 38 : 빈파일정보처리부
39 : 적치정돈부 391 : 정돈강재필터링데이터처리부
40 : 취급장비관리시스템 41 : 강재파일정보분석부
42 : 이송좌표연산부 43 : 이동경로분석부
50 : 적치시스템
511 : 종방향태그 512 : 종방향감지센서
521 : 횡방향태그 522 : 횡방향감지센서
53 : 크레인 531 : 로드수단
54 : 로드셀

Claims (7)

  1.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는 강재파일정보분석부;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을 연산하는 이송좌표연산부; 및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위치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을 판별하는 이동경로분석부;
    를 포함하고,
    크레인이 설치된 적치시스템에는, 위치감지를 위해 다수의 RFID태그 및 RFID감지센서: 및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급장비관리시스템.
  2. 제 1항의 취급장비관리시스템;
    상기 취급장비관리시스템으로 강재가 위치되는 파일의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전송하는 적치위치결정시스템; 및
    상기 취급장비관리시스템으로부터 크레인의 승하강 높이값, 이동경로값을 전송받아 크레인이 이동되게 하여 강재를 적치하는 적치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적치시스템은:
    종방향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크레인의 이동대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종방향태그;
    크레인 이동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종방향태그의 신호를 감지하는 종방향감지센서;
    크레인의 이동대에서 횡방향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크레인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횡방향태그;
    크레인 일측에 설치되어 횡방향태그의 신호를 감지하는 횡방향감지센서;
    강재를 들어올리는 로드수단을 포함한 크레인; 및
    크레인의 로드수단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센싱하는 로드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위치결정시스템은: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처리부;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콘스트레인트속성데이터처리부; 및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는 강재가 적치될 파일의 위치정보이고,
    다수의 파일은 하나의 베이를 이루며,
    파일에 적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강재는 동일출고강재단위로 반출되고,
    상기 적치위치결정시스템은, 최소 패널티값을 산출하기 위한 이밸류에이터; 및 파일에 적치된 강재를 재배치하는 적치정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치정돈부는, 파일에 적치된 상층 강재의 정보를 리딩하여 강재의 정보에서 필터링속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정돈강재필터링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5. 취급장비관리시스템의 강재파일정보분석부에 의하여 강재의 정보 및 강재가 적치될 위치의 파일 정보인 파일지정정보를 분석하고, 적치할 강재의 두께, 크기, 무게, 들어올릴 위치의 정보, 적치될 파일의 위치, 크레인의 이동경로,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정보 및 적치된 강재들에 의한 최상의 높이 정보를 분석하는 강재파일정보분석단계;
    이송좌표연산부에 의하여 강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 지정된 파일에 적치된 강재들의 최상위 높이에 따라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기 위해 크레인이 하강하고 승강하는 높이값, 들어올린 강재를 적치하는 파일 위치까지 크레인이 이동하는 단계별 이동경로값을 연산하는 이송좌표연산단계; 및
    이동경로분석부에 의하여 강재의 적치를 위해 지정된 파일로 크레인이 이동하는 중에 각 위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크레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값을 판별하는 이동경로분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로드셀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리는 강재의 무게를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센싱한 강재의 무게와 적치 대상인 강재의 무게데이터를 비교하고, 지정된 파일에 강재를 적치하면서 센싱한 강재의 무게와 적치 대상인 강재의 무게데이터를 비교하여 강재의 적치여부를 판별하는 강재적치판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장비관리시스템에서 수신되는 파일지정정보가 적치위치결정시스템에 의해서 연산되는 적재위치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위치결정단계는:
    적치될 강재의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적치위치정보 필터링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필터링속성데이터산출단계;
    적치될 강재의 정보와 관련되어 검출된 적치위치정보 중에서 제외항목을 포함한 콘스트레인트 속성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적치 부적합의 패널티값 중 최소 패널티값을 갖는 적치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패널티값비교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치강재관리방법.
KR1020130019136A 2013-02-22 2013-02-22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KR10139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136A KR101398157B1 (ko) 2013-02-22 2013-02-22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136A KR101398157B1 (ko) 2013-02-22 2013-02-22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157B1 true KR101398157B1 (ko) 2014-05-26

Family

ID=5089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136A KR101398157B1 (ko) 2013-02-22 2013-02-22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4006A (zh) * 2018-09-08 2019-01-04 芜湖金光汽车配件有限责任公司 一种生产线上产品质量数据实时采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88A (ko) * 2008-05-09 2009-11-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KR20100110450A (ko) * 2009-04-03 2010-10-1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1701A (ko) * 2009-06-08 2010-12-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마그네틱 크레인과 컨베이어를 이용한 실시간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8384B1 (ko) 2011-05-26 2011-1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실시간 강재 자동적치 정보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88A (ko) * 2008-05-09 2009-11-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KR20100110450A (ko) * 2009-04-03 2010-10-1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1701A (ko) * 2009-06-08 2010-12-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마그네틱 크레인과 컨베이어를 이용한 실시간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8384B1 (ko) 2011-05-26 2011-1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실시간 강재 자동적치 정보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4006A (zh) * 2018-09-08 2019-01-04 芜湖金光汽车配件有限责任公司 一种生产线上产品质量数据实时采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982B2 (en) Distribution warehouse and method for arranging different articles in an order-oriented manner by means of a reduced buffer
US11148883B2 (en) Article carrier system, order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rticle carrier system
KR20210008857A (ko) 오더 처리 방법 및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JP6296003B2 (ja) 荷役作業決定装置および荷役作業決定方法
US20210125138A1 (en) Order management apparatus, order management method, and order management program
CN111144806B (zh) 一种危险品集装箱自动配载方法
CN110733824A (zh) 基于wms系统的agv任务生成方法、agv出入库方法及存储装置
US11164274B2 (en) Article conveyance system and article conveyance method
CN113525987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轻量级物流货物分拣运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822637B (zh) 一种基于互联网的集装箱物流云管理系统
KR101398157B1 (ko) RFID와 Loadcell을 이용한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WO2024093758A1 (zh) 立体仓库的搬运调度方法及装置
KR20140105648A (ko) 다단적치강재관리시스템
KR101995632B1 (ko) 적치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lausen et al. Analysis of assignment rules in a manually operated distribution warehouse
WO2021152920A1 (ja) 荷役作業作成装置及び荷役作業作成方法
RU2793998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здания перечня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х работ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еречня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х работ
CN116573325B (zh) 一种智能仓储抓取机器人、智能仓储应用方法及仓管系统
Clausen et al. Impact of different unloading zone locations in transshipment terminals under various forklift dispatching rules
KR20240098510A (ko) 화물 자동 분류 장치 및 시스템
CN116468356A (zh) 特殊商品智能物流监控系统
CN114648149A (zh) 一种智能仓储装车出库任务分配优化方法
CN116767726A (zh) 一种应用于紧固件行业的分拣发货管理系统及其方法
CN115557273A (zh) 一种速载装置的控制方法
JP2024014335A (ja) 仕分け機システム、仕分け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