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138B1 -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138B1
KR101398138B1 KR1020070047728A KR20070047728A KR101398138B1 KR 101398138 B1 KR101398138 B1 KR 101398138B1 KR 1020070047728 A KR1020070047728 A KR 1020070047728A KR 20070047728 A KR20070047728 A KR 20070047728A KR 101398138 B1 KR101398138 B1 KR 10139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external input
lever
terminal body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235A (ko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3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바디와;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는 외부 입력부와;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며, 외부 입력부의 기계적인 구동이 잠기도록 작동되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과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 및/또는 내부에 위치되는 입력부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외부 입력부가 잠긴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 입력부의 무분별한 물리적인 작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외부 입력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입력장치, 잠금장치, 휴대 단말기, 레버

Description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OUTER KEY LOC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장치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외부 입력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외부 입력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2a에 도시된 외부 입력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배면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2a에 도시된 외부 입력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외부 입력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외부 입력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 단말기 100 ... 제1 바디
101 ... 구멍 102 ... 가이드
110 ... 표시부 120 ... 음향 출력부
130 ... 검출부 200 ... 제 2 바디
210 ... 입력부 220 ... 음향 출력부
300 ... 외부 입력부 301 ... 외부 입력부 바디
303 ... 가이드 홈 310 ... 베이스
320 ... 회전체 321,324 ... 걸림부
311,322,411,422 ... 자력부재 323 ... 회전 가이드
330 ... 실행버튼 400 ...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
410 ... 레버 420 ... 작동체
421 ... 걸림돌기 423 ... 브레이크 패드
440 ... 이송축
본 발명은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내장된 기능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들은 휴대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에 의해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단순히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전기적인 신호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외부 입력부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과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과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 및/또는 내부에 위치되는 입력부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 입력부가 잠긴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이 잠기도록 하므로 외부 입력부의 무분별한 물리적인 작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외부 입력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바디와;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는 외부 입력부와;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며, 외부 입력부의 기계적인 구동이 잠기도록 작동되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입력부는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는 레버와; 레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체와; 작동체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입력부는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로 구성되고, 횔 타입의 외부 입력부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의 걸림돌기가 맞물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는 레버와; 레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체와; 작동체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입력부는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로 구성되고, 횔 타입의 외부 입력부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의 자력부재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자력부재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는 레버와; 레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체와; 작동체의 단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입력부는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로 구 성되고, 횔 타입의 외부 입력부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의 브레이크 패드가 접하게 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레버는 단말기의 어느 일 바디의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고, 레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체는 바디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막대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레버는 단말기의 어느 일 바디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작동체는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에 의해 지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외부 입력부 및/또는 내부 입력부의 전기적인 입력신호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칭부는 자력부재와 자력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는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전류가 차단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휠 타입의 외부 입력장치에 대하여 구동되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리적인 구동이 가해지는 외부 입력부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표시부(110)와 음향 출력부(120) 및 외부 입력부(300)를 포함하는 제 1 바디(100)와 상기 제 1 바디(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본적인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210) 및 음향 입력부(220)를 포함하는 제 2 바디(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느 일 바디(도시 상에서는 제 1 바디)에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순하게 입력부(210) 및 외부 입력부(30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입력신호를 차단하도록 작동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물리적인(기계적인) 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입력부(210) 및 외부 입력부(30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입력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잠금 수단은 별도의 잠금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물리적인(기계적인) 작동만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트 타입의 휴대 단말기(10) 를 예로 하여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타입(bar-type), 폴더 타입(folder-type), 스위블 타입(swivel-typ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일 실시예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바디(100)의 폭(도시상에서 가로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작동체(420)가 레버(410)에 의해 외부 입력부(300)에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41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의 안정성을 위하여 제 1 바디(100)의 양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구성의 단순화를 위하여 제 1 바디(100)의 어느 일 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외부 입력부(30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를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제 1 바디(10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레버(410)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410)의 어느 일 위치에는 구멍(101)을 통해 상기 제 1 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바디(10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작동체(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체(420)는 막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체(42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바디(100)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상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버(410)는 상기 작동체(420)의 양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체(420)의 작동(이동상태)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작동체(420)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가 제 1 바디(100)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부(300)의 위치에 이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버(410)는 상기 작동체(420)의 일 단부에 결합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체(420)의 일 위치에는 상기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상기 막대 구조의 작동체(420)가 상기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와 접하는 부분에 미끄럼 방지수단(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423)이 구비될 수도 있고, 걸림돌기(421) 또는 자력부재(42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는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송축하기 위하여 회로가 구성되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일으키게 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작동체(420)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 제한 수단으로 걸림돌기(421)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421) 와 맞물리게 되는 걸림부(321)가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레버(410)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체(420)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와 접하는 위치와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해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를 작동하는 경우, 레버(4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체(420)에 구비되는 걸림돌기(421)는 상기 회전체(320)에 형성되는 걸림부(321)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회전이 제한된다. 즉, 상기 작동에 의해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구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에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410)의 일 영역에 자력부재(4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자력부재(4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검출부(130)의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의 작동은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레버(410)에 구비되는 자력부재(411)의 위치를 상기 검출부(130)가 검출하여 외부 입력부(30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130)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레버(410)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므로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작동과 함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함께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자력부 재(411)와 검출부(130)의 위치는 상기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레버(410)가 스위치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는 기구(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체(420)가 막대 구조를 가지는 경우 그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가이드(10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102)는 상기 작동체(420)의 이동시 작동위치에서 작동체(420)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입력부는 레버 타입(예를 들어 조이스틱와 같은 구조)의 구조 또는 신호의 발생을 위하여 기계적인 구동을 하게 되는 외부 입력부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도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를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구성에 대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개략적으로 하고, 변형된 실시예의 구성 및 이와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 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상기 도 3a의 실시에에서와 같이 제 1 바디(10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레버(410)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410)의 어느 일 위치에는 구멍(101)을 통해 상기 제 1 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바디(10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작동체(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체(420)는 막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작동체(42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바디(100)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상응하도록 구비되거나,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가 제 1 바디(100)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부(300)의 위치에 이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체(420)의 일 위치에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작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자력부재(42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자력부재(322)가 배열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레버(410)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체(420)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와 접하는 위치와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는데, 상기 작동체(420)에 구비되는 자력부재(422)가 상기 회전체(320)에 구비되는 다른 자력부재(322)와 접하게 되고, 상기 두 자력부재(322,422)의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회전이 제한된다. 즉, 상기 작동에 의해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구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에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의 작동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레버(410)에 구비되는 자력부재(411)의 위치를 상기 검출부(130)가 검출하여 외부 입력부(30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130)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레버(410)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므로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작동과 함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함께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상기 자력부재(411)와 검출부(130)의 위치는 상기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레버(410)가 스위치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는 기구(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체(420)가 막대 구조를 가지는 경우 그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가이드(10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102)는 상기 작동체(420)의 이동시 작동위치에서 작동체(420)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 다.
상기 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입력부는 레버 타입(예를 들어 조이스틱와 같은 구조)의 구조 또는 신호의 발생을 위하여 기계적인 구동을 하게 되는 외부 입력부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막대 구조를 가지는 작동체(420)의 일 위치에는 이하 설명되는 도 4c의 브레이크 패드(423)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레버(410)에서 연장되는 막대 구조의 작동체(420)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작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게 되며,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320)와 접하게 되고,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체(320)의 기계적인 구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에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설명된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입력부(300)와 인접한 상기 제 1 바디(100)의 전면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레버(410)에 의해 외부 입력부(300)에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작동체(420)가 상기 레버(410)의 일 위치에서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기 레버(410)는 제 1 바디(100)에 형성된 구멍(10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로 상기 레버(410)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420)의 일 단부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체(420)의 일 단부가 상기 회전체(320)의 기계적인 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를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고,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송축하기 위하여 회로가 구성되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일으키게 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체(420)의 일 위치에는 상기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와 접하는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에 미끄럼 방지수단(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423)이 구비될 수도 있고, 걸림돌기(421) 또는 자력부재(42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에 걸림돌기(421)가 구비되는 구성의 예는 기본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구조적인 차이에 대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에는 상기 걸림돌기(421)와 맞물리게 되는 걸림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레버(410)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체(420)는 그 단부가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와 접하는 위치와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해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를 작동하는 경우, 레버(4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체(420)에 구비되는 걸림돌기(421)는 상기 회전체(320)에 형성되는 걸림부(321)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회전이 제한된다. 즉, 상기 작동에 의해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구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에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레버(410)의 일 영역에 자력부재(4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자력부재(4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검출부(130)의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의 작 동은 도 3a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작동과 함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함께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부재(411)와 검출부(130)의 위치는 상기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레버(410)가 스위치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는 기구(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입력부는 레버 타입(예를 들어 조이스틱와 같은 구조)의 구조 또는 신호의 발생을 위하여 기계적인 구동을 하게 되는 외부 입력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c에는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도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휠 타입의 외부 입력부(300)를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구성은 상기 설명된 도 4b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개략적으로 하고, 변형된 실시예의 구성 및 이와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도 4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부(300)와 인접한 상기 제 1 바디(100)의 전면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레버(410)에 의해 외부 입력부(300)에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작동체(420)가 상기 레버(410)의 일 위치에서 연장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에는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회전체(320)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브레이크 패드(42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423)는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체(320)의 기계적인 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의 레버(410)에는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레버(410)의 일 영역에 자력부재(4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자력부재(4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검출부(130)의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입력부(300)의 기계적인 작동과 함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함께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부재(411)와 검출부(130)의 위치는 상기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레버(410)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레버(410)가 스위치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는 기구(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입력부는 레버 타입(예를 들어 조이스틱와 같은 구조)의 구조 또는 신호의 발생을 위하여 기계적인 구동을 하게 되는 외부 입력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 4c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상기 브레이 크 패드(423) 대신에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자력부재(422)를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체(320)에도 상기 도 3d의 실시예와 같은 복수개의 자력부재(322)를 구비되도록 하여 도 3d의 실시예와 같이 자력부재의 인력에 의해 회전체(320)의 기계적인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외의 전기적인 신호의 제한 또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a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입렵부 잠금장치(400)는 외부 입력부(300)의 내부에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회로부가 구성되는 베이스(310)와 회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310)와 회전체(320)는 외부 입력부 바디(301)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외부 입력부 바디(301)는 상기 베이스(310)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부 위치에는 회전체(320)가 외부 입력부 바디(301)의 가이드 홈에(30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320)는 일 면이 상기 외부 입력부 바디(301)의 일 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303)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부(323)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회전체(32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3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320)의 회전구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310)와 상기 회전 체(320)에는 각각 걸림부(313,324)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313,324)가 서로 맞물리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310)를 상하 방향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즉, 잠금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부 바디(301)의 수용부(302)에 구비되는 구동부(430)와 상기 구동부(430)에는 상기 베이스(3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송체(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는 구동부(430)가 모터로 구성되고, 이송체(440)는 스크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잠금장치(400)의 제어는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입력부(예를 들어 입력버튼)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b에는 도 5a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서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의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입렵부 잠금장치(400)는 도 5a의 실시예와 같이 외부 입력부(300)의 내부에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부 입력부(300)는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회로부가 구성되는 베이스(310)와 회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310)와 회전체(320)는 외부 입력부 바디(301)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외부 입력부 바디(301)는 상기 베이스(310)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부 위치에는 회전체(320)가 외부 입력부 바디(301)의 가이드 홈에(30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320)는 일 면이 상기 외부 입력부 바디(301)의 일 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303)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부(323)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회전체(32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3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320)의 회전구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310)와 상기 회전체(320)에는 각각 걸림부(313,324)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313,324)가 서로 맞물리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310)를 상하 방향의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즉, 잠금장치)은 일 단부에 자력부재(422)가 구비되며, 구멍(101)을 통해 일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410)에 연결되는 작동체(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422)가 구비된 작동체(420)의 단부는 상기 외부 입력부 바디(301)의 구멍(301a)을 통해 상기 베이스(310)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1)의 단부에는 상기 작동체(420)의 단부에 구비되는 자력부재(422)와 작용하게 되는 다른 자력부재(3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311)는 작동체(420)의 단부에 구비되는 자력부재(422)와 베이스(311)의 단부에 구비되는 자력부재(311)의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310)는 안정된 상하 이동을 위해 상기 수용부(302)에 구비된 이송 가이드(4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30은 선택된 작동모드의 수행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 등의 작동을 위한 실행버튼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과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의 물리적인 작동과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 및/또는 내부에 위치되는 입력부의 전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외부 입력부가 잠긴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 입력부의 무분별한 물리적인 작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외부 입력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걸림부를 구비하는 외부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입력부의 기계적인 구동을 제한하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는 작동체; 및
    상기 작동체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조작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부에 맞물려 상기 외부 입력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력부재를 구비하는 외부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입력부의 기계적인 구동을 제한하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는 작동체; 및
    상기 작동체에 구비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조작시, 상기 자력부재는 상기 복수의 자력부재 중 하나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외부 입력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입력부의 기계적인 구동을 제한하는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는 작동체; 및
    상기 작동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조작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외부 입력부에 접촉하여 상기 외부 입력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고,
    상기 작동체는 막대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조작시 상기 작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부 잠금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부의 전기적인 입력신호의 발생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레버에 설치되는 자력부재;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에 설치되는 상기 자력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삭제
KR1020070047728A 2007-05-16 2007-05-16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KR10139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28A KR101398138B1 (ko) 2007-05-16 2007-05-16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28A KR101398138B1 (ko) 2007-05-16 2007-05-16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35A KR20080101235A (ko) 2008-11-21
KR101398138B1 true KR101398138B1 (ko) 2014-05-20

Family

ID=4028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28A KR101398138B1 (ko) 2007-05-16 2007-05-16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1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56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홀드키 및 그 홀드키를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56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홀드키 및 그 홀드키를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35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6983B1 (en) Pointing device
US7211760B2 (en) Membrane switch
US7821500B2 (en) Inductive joystick
KR20090103185A (ko) 이동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619892B1 (ko) 스위치 조립체
US7151226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100811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1398138B1 (ko) 외부 키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CN102349125A (zh) 一种用于设备的按键
US20190145513A1 (en) Shift device
JP2009170196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678672B2 (ja) 折り畳み型情報機器
KR20070010561A (ko) 홀드키 및 그 홀드키를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0990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KR100747860B1 (ko) 엔코더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를 갖는 다방향 키 어셈블리
JP2002358155A (ja) 入力装置
JP2014072073A (ja) 発電スイッチ装置
JP3764351B2 (ja) 回路遮断器
KR20070029465A (ko) 자기저항 센서와 자석을 이용한 스위치
JP2006202527A (ja) 押釦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3061008A (ja) エレベータ用のドアの開閉確認装置
JP2005197038A (ja) 指紋認証機能付スイッチ
JP5359528B2 (ja) 操作ボタン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100663675B1 (ko) 미디어 재생 장치
JP5072821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