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069B1 -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069B1
KR101397069B1 KR1020120119910A KR20120119910A KR101397069B1 KR 101397069 B1 KR101397069 B1 KR 101397069B1 KR 1020120119910 A KR1020120119910 A KR 1020120119910A KR 20120119910 A KR20120119910 A KR 20120119910A KR 101397069 B1 KR101397069 B1 KR 10139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of
space
lower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682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filed Critical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Priority to KR102012011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6/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 F03G6/001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having photovoltaic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버려지는 수자원 및 에너지자원 등을 도로 공간의 활용을 통해 최대한 획득할 수 있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는, 도로의 공간을 활용하여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도로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부; 상기 지붕부에 구비되는 발전부; 및 상기 지붕부의 빗물이 모이도록 상기 도로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저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resources acquiring apparatus of utilizing road space}
본 발명은 수자원 및 에너지자원을 획득할 수 있는 자원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도와 인도로 구분되며, 이 중 차도는 다시 고속도로와 국도 등으로 세분된다. 특히, 차도 중 주거 지역에 인접한 곳에는 자동차 소음을 막기 위한 차음 벽, 차음 지붕 등과 같은 차음 장치가 설치된다.
이 중, 차음 지붕은 주거 지역으로 전달되는 자동차 소음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태양광, 비 또는 눈 등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음 지붕은 도로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 기둥 및 우측 기둥과, 그리고 좌측 기둥 및 우측 기둥에 지지되어 실질적으로 도로 소음, 태양광, 비 또는 눈 등을 차단하는 지붕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차음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인 수자원이 도로의 하수 시설을 통해 그대로 버려지는 실정이다. 나아가, 차음 지붕의 기둥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이 충격으로 인해 차음 지붕 전체가 붕괴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자원은, 인간 생활 및 경제 생산에 이용되는 것으로, 에너지자원, 수자원, 식량 자원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에너지자원을 얻기 위한 발전 설비는 별도의 매입된 터에 건설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설비인 경우에는 태양광량이 많은 지역에 건설되어야 하고 풍력 발전 설비인 경우에는 바람이 많은 지역에 건설되어야 하는 등 지역 선택에 따른 제약이 클 수 있고, 또한 지가(地價) 상승으로 토지 매입 비용이 발전 설비의 건축 비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태양광 또는 풍력 발전 설비의 보급이 더딘 실정이며, 이에 따라 에너지자원이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수자원인 빗물이 대부분이 하수 시설을 통해 그대로 버려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버려지는 수자원 및 에너지자원 등을 도로 공간의 활용을 통해 최대한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려지는 수자원 및 에너지자원 등을 도로 공간의 활용을 통해 최대한 획득할 수 있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전체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는, 도로의 공간을 활용하여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도로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부; 상기 지붕부에 구비되는 발전부; 및 상기 지붕부의 빗물이 모이도록 상기 도로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저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부는 태양광 발전기, 태양열 발전기 또는 풍력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지붕부 중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붕부는 어느 한 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 및 제2 기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 사이에는 배전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은 상기 발전부 또는 기존 발전소에서 생성된 전력이 상기 배전 케이블을 통해 주변 주택으로 배전되도록 전봇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 기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기둥은 지면에 직접 구비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부재; 및 상기 도로 위의 차량이 상기 하부 부재에 충돌시 상기 상부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을 상기 하부 부재에 고정하는 제1 고정구;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을 상기 상부 부재에 고정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하부 부재에 충돌시 상기 연결 브라켓이 찢어지면서 상기 상부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각각은 H 빔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은, 상기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부 부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신호등, 가로등, 도로 안내판, 도로 차단바 또는 CCTV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공 용지에 해당하는 도로 공간에 발전 시설이 설치되므로 건설비를 최소활 수 있다. 나아가, 확 트여 있어 태양광량 및 풍량이 비교적 우수한 고속 도로에 태양광 발전기, 태양열 발전기 또는 풍력 발전기가 구비될 경우, 에너지자원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붕 위에 설치된 발전 시설에서 생성된 전력뿐만 아니라 기존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제1 및 제2 기둥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배전 케이블을 통해 도로를 따라 인접한 각 주거 지역(오지나 시골의 주거 지역 포함)으로 배전할 수 있으므로, 전봇대 등 배전시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로의 주변에 저수 시설이 구비되므로, 지붕 위로 떨어지는 빗물을 모아 농업용수, 공업용수 또는 산불 진화수 등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우천시에는 도로를 따라 강이 생기는 효과가 있어 도로 공간을 활용할 경우 보다 많은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로 공간에 지붕이 구비되므로, 4계절 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눈, 비가 올 경우 차량 사고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로 공간에 지붕이 구비되므로, 폭설 시 염화칼슘 사용으로 인한 도로 및 차량 파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는 도로에 설치될 신호등, 가로등, 도로 안내판, 도로 차단바 또는 CCTV 등의 기둥 구조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도로 보수시 또는 교통 사고시에 안전을 위한 안내판 등을 지지부 중 해당 지점에 위치한 기둥에 설치하면 되므로 지지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유닛을 통해 기둥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분리되는 2단 구조를 가지므로, 도로 위의 차량이 하부 부재에 충돌하더라도 상부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자원 획득 장치 전체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중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부의 하부 부재가 트럭의 충돌에 의해 휘어지면서 연결 밴드가 찢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와, 지붕부(120)와, 발전부(130)와, 그리고 저수부(14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의 재질, 형상, 두께 및 기둥(110) 사이의 간격 등은 지붕부(120)의 하중, 적설량 및 바람의 세기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10)으로 철강 재질의 빔이나 콘크리트 재질의 원통형의 말뚝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둥(210)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덜 나가면서도 강도가 강한 H 빔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둥(110)으로 제1 및 제2 기둥(110a)(110b)을 포함할 수 경우, 제1 및 제2 기둥(110a)(110b) 사이에는 배전 케이블(150)이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 기둥(110a)(110b)은 후술할 발전부(130) 또는 기존 발전소(미도시)에서 생성된 전력이 배전 케이블(150)을 통해 주변 주택(20)으로 배전되도록 전봇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기둥(110) 사이의 공간으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기둥(110)에는 도로 안내판(160), 신호등(미도시), 가로등(미도시), 도로 차단바(미도시) 또는 CCTV(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기둥(110)은 도로(10)에 설치될 도로 안내판(160), 신호등, 가로등, 도로 차단바 또는 CCTV 등의 기둥 구조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도로(10) 보수시 또는 교통 사고시에 안전을 위한 안내판(160) 등을 복수개의 기둥(110) 중 해당 지점에 위치한 기둥에 설치하면 되므로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지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개의 프레임(121)과 복수개의 지붕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121)은 상술한 복수개의 기둥(110)에 의해 지지되어 복수개의 지붕재(1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지붕부는 평평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술할 집수로(142)에 빗물이 원활하게 집수되도록 집수로 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프레임(121)으로 강도가 있는 철강 재질의 빔이 사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지붕재(122)로는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반투명의 수지 재질인 넥산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지붕재 중 일부 지붕재에는 후술할 집열판이나 태양 전지판이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지붕재 아래의 도로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붕부(120)는 제1 프레임에 제1 지붕재의 우측부와 제2 지붕재의 좌측부가 올려진 상태에서 제1 지붕재의 우측부와 제2 지붕재의 좌측부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새지 못하도록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연결바는 제1 지붕재의 우측부와 제2 지붕재의 좌측부 모두에 걸쳐진 후 볼트를 통해 제1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도로(10)의 공간에 지붕부(120)가 설치되므로, 4계절 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눈, 비가 올 경우 차량 사고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로(10)의 공간에 지붕이 구비되므로, 폭설 시 염화칼슘 사용으로 인한 도로 및 차량 파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발전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12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발전부(130)가 태양광 발전기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태양전지판(131)이 지붕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개의 태양전지판(131)은 그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지붕재(122)에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거나, 두 개 이상의 지붕재에 태양 전지판 하나가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거나, 또한 하나의 지붕재에 두 개 이상의 태양 전지판이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태양전지판(131)은 빛에 의해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발전부(130)가 태양열 발전기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집열판(132)이 지붕부(120)에 위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개의 집열판(132)은 그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지붕재(122)에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거나, 두 개 이상의 지붕재에 집열판 하나가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거나, 또한 하나의 지붕재에 두 개 이상의 집열판이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집열판(132)은 태양열을 모으기 위해 물이 흐르는 복수개의 세관(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다. 태양열에 의해 물이 데워지면 그 증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또한, 발전부(130)가 풍력 발전기(133)인 경우에는 풍력 발전기의 폴(pole)(133a)은 지붕부(120) 중 지지부(110)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풍력 발전기(133)의 폴(133a)이 지붕재(122) 중에서도 기둥(110a)이 있는 곳에 설치되므로, 기둥(110a)에 의해 풍력 발전기(133)의 하중이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풍력 발전기(133)는 블레이드(133b)의 회전에 의해 본체(133c)에 내설된 로터(미도시)와 스테이터(미도시) 사이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 발전기와 태양열 발전기가 함께 지붕부(120)에 설치될 경우, 일예로, 태양전지판(131)과 집열판(132)은 서로 번갈아 위치되도록 지붕부(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측에는 태양전지판(131)만 타측에는 집열판(132)만 집중적으로 위치되도록 지붕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판(131)과 집열판(132)은 수직봉(130a)을 통해 지붕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태양전지판(131)과 집열판(132)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을 향해 경사지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공공 용지에 해당하는 도로(10)의 공간에 발전부(130)가 설치되므로 건설비를 최소활 수 있다. 나아가, 확 트여 있어 태양광량 및 풍량이 비교적 우수한 고속 도로에 태양광 발전기의 태양전지판(131), 태양열 발전기의 집열판(132) 또는 풍력 발전기(133)가 구비될 경우, 에너지자원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미 설명된 도면 부호 "11"은 중앙 분리대를 가리킨다.
저수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120)의 빗물이 모이도록 도로(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다. 일예로, 저수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의 좌측 지면 또는/및 우측 지면에 설치되는 저수 시설(141)과, 지붕부(120)의 가장자리에 도로(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채널 형상의 집수로(142)와, 그리고 집수로(142)와 저수 시설(141)을 연결하는 연결관(14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저수 시설(141)에 채워진 빗물인 수자원은 배수로(144)나 펌프(미도시)를 통해 주변에 있는 논(30)으로 공급되어 농업용수로 이용되거나, 주변 공장(미도시)으로 공급되어 공업용수로 이용되거나, 또는 산물 진화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100) 중 지지부(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중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지지부의 하부 부재가 트럭의 충돌에 의해 휘어지면서 연결 밴드가 찢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가 도로(10)에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므로, 차량(1)과의 충돌 가능성에 항시 노출된 상태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가 차량(1)과 충돌하더라도 자원 획득 장치(100)의 다른 부분에는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복수개의 기둥(110) 각각은 2단 분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기둥(11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직접 구비되는 하부 부재(111)와, 하부 부재(11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부재(112)와, 그리고 도로(10) 위의 차량(1)이 하부 부재(111)에 충돌시 상부 부재(112)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도록 상부 및 하부 부재(112)(111)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부 및 하부 부재(112)(111)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상부 및 하부 말뚝(112)(111)이 각각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H" 형상의 상부 및 하부 H빔(212)(211)이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연결 유닛(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부재(112)(111)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113a)과, 연결 브라켓(113a)을 하부 부재(111)에 고정하는 제1 고정구(113b)와, 그리고 연결 브라켓(113a)을 상부 부재(112)에 고정하는 제2 고정구(113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이 하부 부재(111)에 충돌할 경우 연결 브라켓(113a)이 찢어지면서 상부 부재(112)로 전달되는 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상부 및 하부 말뚝(112)(111)이 사용될 경우 연결 브라켓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밴드(113a)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H빔(212)(211)이 사용될 경우 연결 브라켓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판(213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돌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충돌 감지 센서에 의해 충돌이 예상되는 차량(1)이 발견되면 자동으로 연결 유닛(113)을 해제시켜 하부 부재(111)가 상부 부재(112)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복수개의 기둥(110) 각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부 부재(111)의 외면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충격 흡수부(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채워진 플라스틱 통일 수 있으며, 하부 부재(111)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격 흡수부(114)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이 하부 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22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지붕부(220)의 형상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지붕부(220)는 위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프레임(221) 및 지붕재(222)는 위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눈이나 빗물이 지붕부에 쌓이거나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지붕부의 형상들뿐만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래로 뾰족한 알파벳 "V"자 형상 또는 위로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설량이 많은 지역에는 위로 뾰쪽한 형상의 프레임(미도시)을 사용하여 지붕부(미도시)가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공 용지에 해당하는 도로 공간에 발전부(130)가 설치되므로 건설비를 최소활 수 있다. 나아가, 확 트여 있어 태양광량 및 풍량이 비교적 우수한 고속 도로(10)에 태양광 발전기, 태양열 발전기 또는 풍력 발전기가 구비될 경우, 에너지자원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붕부(120) 위에 설치된 발전부(130)에서 생성된 전력뿐만 아니라 기존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제1 및 제2 기둥(110a)(110b)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배전 케이블(150)을 통해 도로(10)를 따라 인접한 주변 주택(20)(오지나 시골의 주택 포함)으로 배전할 수 있으므로, 전봇대 등 배전시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로(10)의 주변에 저수 시설(141)이 구비되므로, 지붕부(120) 위로 떨어지는 빗물을 모아 농업용수, 공업용수 또는 산불 진화수 등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우천시에는 도로(10)를 따라 강이 생기는 효과가 있어 도로 공간을 활용할 경우 보다 많은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로 공간에 지붕부(120)가 구비되므로, 4계절 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눈, 비가 올 경우 차량 사고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로 공간에 지붕부(120)가 구비되므로, 폭설 시 염화칼슘 사용으로 인한 도로 및 차량 파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110)는 도로(10)에 설치될 도로 안내판(160), 신호등, 가로등, 도로 차단바 또는 CCTV 등의 기둥 구조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도로 보수시 또는 교통 사고시에 안전을 위한 안내판(160) 등을 지지부(110) 중 해당 지점에 위치한 기둥(110a)에 설치하면 되므로 지지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유닛(113)을 통해 기둥(110)이 상부 부재(112)와 하부 부재(111)로 분리되는 2단 구조를 가지므로, 도로(10) 위의 차량(1)이 하부 부재(111)에 충돌하더라도 상부 부재(112)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자원 획득 장치(100) 전체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차량 10: 도로
20: 주변 주택 30: 주변 논
100: 자원 획득 장치 110: 지지부
110a: 제1 기둥 110b: 제2 기둥
111: 하부 부재 112: 상부 부재
113: 연결 유닛 113a: 연결 밴드
113b: 제1 고정구 113c: 제2 고정구
114: 충격 흡수부 120, 220: 지붕부
121, 221: 프레임 122, 222: 지붕재
130: 발전부 131: 태양전지판
132: 집열판 133: 풍력 발전기
140: 저수부 141: 저수 시설
142: 집수로 143: 연결관
144: 배수로 150: 배전 케이블
160: 도로 안내판

Claims (11)

  1. 도로의 공간을 활용하여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로,
    상기 도로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부;
    상기 지붕부에 구비되는 발전부; 및
    상기 지붕부의 빗물이 모이도록 상기 도로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은,
    지면에 직접 구비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부재; 및
    상기 도로 위의 차량이 상기 하부 부재에 충돌시 상기 상부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발전부는 태양광 발전기, 태양열 발전기 또는 풍력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지붕부 중 상기 지지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지붕부는 평평한 형상을 갖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지붕부는 어느 한 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제2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 사이에는 배전 케이블이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은 상기 발전부 또는 기존 발전소에서 생성된 전력이 상기 배전 케이블을 통해 주변 주택으로 배전되도록 전봇대 역할을 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을 상기 하부 부재에 고정하는 제1 고정구;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을 상기 상부 부재에 고정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하부 부재에 충돌시 상기 연결 브라켓이 찢어지면서 상기 상부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각각은 H빔인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기둥은
    상기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부 부재의 외면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에는 신호등, 가로등, 도로 안내판, 도로 차단바 또는 CCTV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KR1020120119910A 2012-10-26 2012-10-26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KR10139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10A KR101397069B1 (ko) 2012-10-26 2012-10-26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10A KR101397069B1 (ko) 2012-10-26 2012-10-26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82A KR20140053682A (ko) 2014-05-08
KR101397069B1 true KR101397069B1 (ko) 2014-05-20

Family

ID=5088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10A KR101397069B1 (ko) 2012-10-26 2012-10-26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545B1 (ko) * 2019-05-28 2020-10-26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생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85B1 (ko) * 2019-05-23 2019-09-24 동병길 태양광 발전을 갖는 개조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27U (ko) * 2008-10-09 2008-10-29 홍도식 그린 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형 버스 정류장 부스
KR100900553B1 (ko) 2008-07-01 2009-06-02 동양건설(주) 교통표지판 지주
KR20100131132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보행도로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553B1 (ko) 2008-07-01 2009-06-02 동양건설(주) 교통표지판 지주
KR20080005027U (ko) * 2008-10-09 2008-10-29 홍도식 그린 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형 버스 정류장 부스
KR20100131132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보행도로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545B1 (ko) * 2019-05-28 2020-10-26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생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82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3718B2 (en) Arcuate-winged solar canopy assembly
KR101761468B1 (ko)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교통안내표시 시스템
GB2526269A (en) Solar-collector roofing assembly
KR20130078850A (ko) 쌓인 눈 제거를 위한 히터 및 교통관련 센서를 설치한 도로 및 철로의 측면 개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115560B1 (ko) 태양광 발전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CN103856151B (zh) 长廊式道路风光能复合电站
US20180003156A1 (en) Power producing walls
KR101145104B1 (ko) 저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 블럭
KR101397069B1 (ko) 도로 공간을 활용한 자원 획득 장치
US20120045314A1 (en) Road With Inlayed Wind Harnessing Technology
KR20110011384A (ko) 도로설치형 슬라이딩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CN102587301B (zh) 双层柔性防风网
KR101256396B1 (ko) 도로에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
KR20110000847U (ko) 태양전지모듈을 장착한 자동차 도로 중앙분리대
KR20140030645A (ko) 태양광 발전판을 이용한 인삼밭 해가림시설
CN202323787U (zh) 高速公路太阳能遮雪板
CN108809215A (zh) 在高速公路上方架设光伏电池板发电方案
KR101328188B1 (ko) 풍력유도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CN202970029U (zh) 一种光伏车棚
CN206174538U (zh) 一种太阳能道路综合廊道
DE102010009698B4 (de) Mit Solarmodulen bestückte Lärmschutzwand
CN212316772U (zh) 一种绿化环保的城市道路交通防护栏
TWM561364U (zh) 高架型太陽能發電設施的支撐裝置
JP2016023419A (ja) 支柱支持構造体
CN218027379U (zh) 一种多功能防撞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