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784B1 -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784B1
KR101396784B1 KR1020120004362A KR20120004362A KR101396784B1 KR 101396784 B1 KR101396784 B1 KR 101396784B1 KR 1020120004362 A KR1020120004362 A KR 1020120004362A KR 20120004362 A KR20120004362 A KR 20120004362A KR 101396784 B1 KR101396784 B1 KR 10139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radish
preserved
preserved fl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638A (ko
Inventor
채은주
Original Assignee
채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은주 filed Critical 채은주
Priority to KR102012000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7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실록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수성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생화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COATING COMPOSITION FOR PRESERVED FLOWER, PRESERVED FLOWER TREATED WITH THE SAME AND PRODUCTION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생화에 도포함으로써 보다 장기 보존이 가능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화는 개화되지 않은 생태에서 수확되고 유통 단계에서는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최적의 보존 상태로 신속히 공급되지만, 길어도 일주일 정도면 시들어 버려 상품성을 잃게 된다. 또한 꽃의 종류에 따라 그 개화 시기나 수확 시기가 달라 계절에 상관없이 일년 내내 생화를 감상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생화를 자연 건조하거나 실리카겔 등 건조제를 이용하여 인공 건조함으로써 관상용으로 만든 소위 드라이플라워(Dry Flower)가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건조 과정에서 색상이나 상태가 잘 보존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탈수, 탈색, 착색, 건조 등의 단계를 거쳐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게 된 소위 프리저브드 플라워(Preserved Flower)가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의 일 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자외선 및 고온, 다습, 저온 등의 자연 환경에 장기간 노출이 되면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특성상 고유의 색들이 변하게 된다. 즉, 이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경우에도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유기 용매에 PVC, 우레탄,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적절히 희석한 용액에 건조시킨 꽃을 침적시켜 코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합성 수지의 종류 및 함량, 실험예 등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0034호(2008.03.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25457호(1999.04.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고유의 색과 상태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이 가능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실록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수성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들을 구성 단위로 하는 중합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실록산, 메틸페닐 실록산, 디페닐 실록산 및 메틸페닐메톡시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들을 구성 단위로 하는 중합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메틸페닐메톡시 실록산 중합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은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생화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화에 도포하기 전에, 선택한 생화를 탈수 및 탈색시키는 단계, 탈수 및 탈색된 생화를 착색하는 단계, 착색된 생화를 세정하는 단계 및 세정된 생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생화에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및 고온, 다습, 저온 등의 자연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고유의 색과 상태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실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로 코팅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실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의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는 특기하지 않는 한 질량%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리저브드 플라워로 제작할 생화를 선택하고, 탈수 및 탈색, 착색, 세정, 건조시키는 단계는 기존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S110~S150). 구체적으로, 우선 프리저브드 플라워로 제작할 생화를 선택한다(S110). 여기에서 생화는 장미, 국화, 안개꽃, 카네이션, 튤립, 해바라기 등 각종 관상용 화훼식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에 따라 장기 보존이 가능한 식물이라면, 꽃에 한정되지 않고 난, 야자, 떡갈나무, 고무 나무 등의 관엽식물도 모두 포함한다.
이어서 선택한 생화를 알코올 등이 포함된 용액에 침적시켜 탈수 및 탈색시킨다(S120). 상기 용액은 생화 본래의 색을 탈색시키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30~70질량%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탄올과 에탄올을 질량비로 6:4 내지 8:2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생화의 조직 등에 보습 효과를 주기 위해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등의 폴리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침적 시간은 24시간 내지 2주일이며, 바람직하게는 24~72시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36시간이다. 생화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상기 용액의 성분 및 침적 시간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수 및 탈색된 생화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자연 염료나 인공 염료가 포함된 용액에 침적시켜 착색시킨다(S130). 침적 시간은 12~72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24~36시간이다. 여러 가지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생화에 착색되는 색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착색된 생화는 상기 탈수 및 탈색 단계(S120)와 착색 단계(S130)에서 사용한 용액을 적절히 희석한 용액으로 세정할 수 있다(S140). 다만, 세정 시간은 5~30분, 바람직하게는 5~10분이다. 세정 시간이 너무 짧으면 세정이 제대로 되지 않고, 반대로 너무 길면 탈색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세정된 생화는 자연 건조나 건조기를 이용한 인공 건조를 통해 건조시킨다(S150). 자연 건조의 경우 건조 시간은 1~3일이고, 바람직하게는 1~2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기에 적합한 상태라면 건조 시간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S120~S150의 각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장기 보존이 가능한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제조 가능하다면, 일부 단계를 생략 또는 반복하거나, 순서를 바꾸더라도 무관하다. 또한, 탈수 및 탈색 단계(S120)와 착색 단계(S130)를 하나로 합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탈수 및 탈색, 착색, 세정, 건조 단계를 거친 생화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로 도포한다(S160).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경우 생화에 착색된 염료의 탈색을 방지하여 보다 장기간 뚜렷한 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내수성, 내후성, 탄력성 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생화의 상태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수성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용액 중합, 유화 중합, 분산 중합 등 공지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생성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중합 반응의 조건도 통상의 조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양은 전체 코팅용 조성물에 대해 1~50질량%,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질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예를 들면, 디메틸 실록산, 메틸페닐 실록산, 디페닐 실록산, 메틸페닐메톡시 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공지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생성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중합 반응의 조건도 통상의 조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메틸페닐메톡시 실록산 중합체이며, 실록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코팅용 조성물에 대해 1~50질량%,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질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성 액상 매체는 물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메틸 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성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디메틸 에테르이며, 수용성 유기 용매의 양은 전체 수성 액상 매체에 대해 1~90질량%, 바람직하게는 5~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이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발수제, 발유제, 형광제, 건조속도 조정제, 가교제, 막 제조 보조제, 상용화제, 계면활성제, 동결 방지제, 점도 조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소포제, 미끄럼성 조정제, 대전 방지제, 친수화제, 항균제, 방부제, 방충제, 방향제, 난연제, 색조 조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스프레이법, 침적법, 페인팅법, 플라즈마 처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코팅용 조성물의 양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또는 실록산 화합물로 0.05~50g/m2, 바람직하게는 0.1~25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g/m2이다. 도포는 1회 실시하여도 되지만 복수 회로 나누어 실시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로 도포를 하면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완성된다(S170).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적어도 1년 이상, 바람직하게는 3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년 이상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관상용으로 상품화하기에 아주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팅용 조성물로 도포한 후에도 필요에 따라 투명한 밀폐 용기 등에 보관하여 외부 환경에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더 장기간 보존할 수도 있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실제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로 코팅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실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비해 본 발명의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추가로 코팅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외관상으로도 보다 생동감 있고 뚜렷한 색을 가지며, 생화의 상태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제조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질량%, 에틸아크릴레이트 15질량%, 톨루엔 50질량%, 메틸에틸케톤 10질량%,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질량%, 이온 교환수 잔량을 4구 플라스크 내에서 교반 용해하고, 60℃에서 6시간 반응시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코팅용 조성물 1).
제조예 2
디메틸 메틸페닐메톡시 실록산 중합체 20질량%, 톨루엔 20질량%, 크실렌 10질량%, 아세톤 5질량%, 디메틸 에테르 25질량%, 라우릴퍼옥시드 1질량%, 이온 교환수 잔량을 4구 플라스크 내에서 교반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코팅용 조성물 2).
제조예 3
에틸아크릴레이트 15질량%,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질량%, 톨루엔 50질량%, 메틸에틸케톤 10질량%,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질량%, 이온 교환수 잔량을 4구 플라스크 내에서 교반 용해하고, 60℃에서 6시간 반응시켜 에틸아크릴레이트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코팅용 조성물 3).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
실시예 1
생화로 장미를 선택하고 메탄올과 에탄올의 질량비가 7:3인 혼합한 용액 500ml에 24시간 침적시켜 장미를 탈수 및 탈색시켰다. 상기 탈수 및 탈색된 장미를 메탄올 500ml에 붉은색 염료 3g을 넣은 용액에 침적시켜 장미를 착색한 후, 메탄올 500ml에 프리필렌글리콜 500ml를 혼합 희석한 용액에 5분간 침적시켜 세정하였다. 상기 세정된 생화를 24시간 밀폐된 공간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생화를 스프레이법에 의해 상기 코팅용 조성물 1을 도포하였다(프리저브드 플라워 1).
실시예 2
상기 코팅용 조성물 2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프리저브드 플라워 2).
실시예 3
상기 코팅용 조성물 3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프리저브드 플라워 3).
실시예 4
상기 코팅용 조성물 1 및 2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프리저브드 플라워 4).
실시예 5
상기 코팅용 조성물 1 및 3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프리저브드 플라워 5).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실험예)
실험예 1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장기간 보존 가능 여부를 단시간에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1을 60~80℃ 건조기에서 6시간 건조 후, 500ml 물 속에 침적시켰다. 침적 후 1분, 5분, 10분, 15분이 경과한 후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상태를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로 평가하였다. 염료 탈색 및 젖음 현상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도를 %로 나타냈으며, 탄성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탄성의 정도를 강, 중, 약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1차 실험 후 상온에서 10일 후의 상태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험예 2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2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실험예 3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3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경과
시간
평가 프리저브드
플라워 1
프리저브드
플라워 2
프리저브드
플라워 3

1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5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의 정도

10분
1) 염료 탈색 유무 탈색(3%미만) 탈색(5%미만)
2) 젖음 현상 유무 젖음(7%미만) 젖음(10%미만)
3) 탄성 변화 유무 탄성(중) 탄성(중)

15분
1) 염료 탈색 유무 탈색(3%미만) 탈색(5%미만)
2) 젖음 현상 유무 젖음(7%미만) 젖음(10%미만)
3) 탄성 변화 유무 탄성(중) 탄성(중)

10일

수분 및 탄성 평가
수분 약간 함유,
부드러운 탄성 유지
수분 없이 코팅 유지, 부드러운 탄성 유지 수분 변화 없음, 부드러운 탄성 유지
실험예 4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4를 사용하고, 침적 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60분, 90분, 120분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 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험예 5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 5를 사용하고, 침적 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60분, 90분, 120분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 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경과
시간
평가 프리저브드 플라워 4 프리저브드 플라워 5

5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10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15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20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25분
1) 염료 탈색 유무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60분
1) 염료 탈색 유무 탈색(1%미만)
2) 젖음 현상 유무
3) 탄성 변화 유무

90분
1) 염료 탈색 유무 탈색(5%미만)
2) 젖음 현상 유무 젖음(1%미만)
3) 탄성 변화 유무

120분
1) 염료 탈색 유무 탈색(5%미만)
2) 젖음 현상 유무 젖음(3%미만) 젖음(10%미만)
3) 탄성 변화 유무 탄성(중) 탄성(중강)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추가로 코팅 처리한 경우, 생화에 착색된 염료의 탈색을 방지하여 보다 장기간 뚜렷한 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내수성, 내후성, 탄력성 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생화의 상태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실록산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로 비교 실험을 해 보았으나, 상기와 같은 만족할 만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적어도 1년 이상, 바람직하게는 3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년 이상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관상용으로 상품화하기에 아주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팅용 조성물로 도포한 후에도 필요에 따라 투명한 밀폐 용기 등에 보관하여 외부 환경에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더 장기간 보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에 균등한 것들을 포함한다.

Claims (9)

  1. (i)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및 디메틸 메틸페닐메톡시 실록산 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ii)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및 에틸아크릴레이트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와, 수성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의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을 생화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생화에 도포하기 전에, 선택한 생화를 탈수 및 탈색시키는 단계, 탈수 및 탈색된 생화를 착색하는 단계, 착색된 생화를 세정하는 단계 및 세정된 생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
  9. 제 7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플라워.
KR1020120004362A 2012-01-13 2012-01-13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62A KR101396784B1 (ko) 2012-01-13 2012-01-13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62A KR101396784B1 (ko) 2012-01-13 2012-01-13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38A KR20130083638A (ko) 2013-07-23
KR101396784B1 true KR101396784B1 (ko) 2014-05-20

Family

ID=4899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62A KR101396784B1 (ko) 2012-01-13 2012-01-13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54A (ko)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엠바디텍 패럴린을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1098B (zh) * 2015-01-29 2016-09-14 宁波远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丰润饱满保鲜花的制备方法
CN109820783A (zh) * 2019-03-22 2019-05-31 云南省农业科学院花卉研究所 一种植物花瓣的脱色方法
KR102476841B1 (ko) * 2021-07-12 2022-12-09 이동언 꽃송이 및 줄기가 그대로 이루어진 생화를 이용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프리저브드 플라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0896A1 (ja) * 2007-11-07 2009-05-14 Yoshihisa Sakamoto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加工液
KR100970868B1 (ko) 2010-04-12 2010-07-16 주식회사 월드매직켐 생화 꽃잎의 보존방법 및 그 안료 조성물
KR20100090524A (ko) * 2009-02-06 2010-08-16 김건영 식물의 꽃잎 분사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꽃잎 코팅방법과 이에 의해 코팅된 식물의 꽃잎
JP2011116924A (ja) 2009-12-02 2011-06-16 Axtos:Kk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用塗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0896A1 (ja) * 2007-11-07 2009-05-14 Yoshihisa Sakamoto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加工液
KR20100090524A (ko) * 2009-02-06 2010-08-16 김건영 식물의 꽃잎 분사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꽃잎 코팅방법과 이에 의해 코팅된 식물의 꽃잎
JP2011116924A (ja) 2009-12-02 2011-06-16 Axtos:Kk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用塗料
KR100970868B1 (ko) 2010-04-12 2010-07-16 주식회사 월드매직켐 생화 꽃잎의 보존방법 및 그 안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54A (ko)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엠바디텍 패럴린을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38A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2537A (en) Long-life cut flowers and method of treatment for obtaining such flowers
KR101396784B1 (ko) 프리저브드 플라워 코팅용 조성물, 이를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 방법
US4278715A (en) Preservation of green plant tissues
US20070111891A1 (en) Process for producing artificial flower with natural plant and finishing agent for use therein
CN101925298B (zh) 由易变色的花卉类制造不变色的干燥花卉类的方法
KR101836173B1 (ko) 꽃잎의 떨어짐이 방지되는 국화 보존화 제조 방법
KR101638590B1 (ko) 프리저브드 플라워 또는 드라이 플라워 코팅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제
KR100982134B1 (ko) 식물의 꽃잎 분사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꽃잎 코팅방법과 이에 의해 코팅된 식물의 꽃잎
US4349580A (en) Process and solution for preserving green plant tissues
KR100970868B1 (ko) 생화 꽃잎의 보존방법 및 그 안료 조성물
WO2008156261A2 (en) Dye composition for petal of flower, dyeing method for petal of flower using the same and flower with petal dyed thereby
KR10207681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장식용 육상 이끼 대체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02053A (zh) 一种造景苔藓标本制作工艺
KR100512585B1 (ko)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KR102089166B1 (ko) 프리저브드 꽃잎을 포함하는 동물 형상의 인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1909B1 (ko) 보존기간이 길며 온도/광량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야광꽃을제조하는 방법
KR101714452B1 (ko) 생화착색보존용 액상처리제 및 생화착색보존처리방법
KR102140443B1 (ko) 패럴린을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제조 방법
KR100631885B1 (ko) 과일 봉지
KR101115845B1 (ko) 펄 코팅된 생화의 제조 방법
KR101904475B1 (ko) 보존화 제조용 보존액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 제조방법
US20090119801A1 (en) Method for preserving cut flowers, cut flower preservation k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cut flowers, and processed cut flowers
JP2005082583A (ja) 植物保存用液状組成物
KR101097756B1 (ko) 온도 및 광질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보존화의 제조 방법
JP2946305B2 (ja) 装飾用天然植物の処理剤及び処理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