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757B1 - Remote controller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757B1
KR101396757B1 KR1020127004239A KR20127004239A KR101396757B1 KR 101396757 B1 KR101396757 B1 KR 101396757B1 KR 1020127004239 A KR1020127004239 A KR 1020127004239A KR 20127004239 A KR20127004239 A KR 20127004239A KR 101396757 B1 KR101396757 B1 KR 10139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mote controller
universal
solar
lithium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8637A (en
Inventor
요시로오 우에다
히데끼 데라우찌
유끼오 요시다
히로유끼 하시모또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6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범용 전지(33)를 사용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전지 전환 스위치(20)는, 슬라이더 스위치(20a)에 의해 단자(a)와 단자(b)가 접속되고, 단자(d)와 단자(e)가 접속된다. 마이크로컴퓨터(30)는, 단자(d)와 단자(e)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범용 전지(33)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때, 단자(a)와 단자(b)가 접속됨으로써 태양 전지(12)는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로 되고, 단자(f)가 접속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리튬 1차 전지(32)도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결과, 태양 전지(12)와 리튬 1차 전지(32)의 마이크로컴퓨터(30)에의 접속이 완전히 분리된다.When the universal battery 33 is used,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having the remot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by the slider switch 20a and the terminal d and the terminal e Are connected. The terminal d and the terminal e ar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universal battery 33. [ At this time, since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are connected, the solar cell 12 is not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and the terminal f is not connected, and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not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 As a result, the solar cell 12 and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re completely disconnected from the microcomputer 30.

Figure R1020127004239
Figure R1020127004239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 {REMOTE CONTROLLER}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조작하는 와이어리스 방식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최근,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서, 와이어리스 방식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다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remote controller of a wireless system has been widely use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이러한 종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전지에 있어서, 유효 사용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알칼리·망간 전지 등의 범용 전지가 아니라, 전류 용량을 비교적 크게 취할 수 있는 리튬 1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솔라패널(태양 전지)을 탑재하여,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서 전력의 보조를 행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lithium primary battery capable of taking a relatively large current capacity, rather than a general-purpose battery such as an alkali-manganese battery, as a method for extending the effective period of use in a battery used in such a remote controller have. In addition, there is proposed a technique in which a solar panel (solar cell) is mounted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assist power.

리튬 1차 전지와 같은 교환하는 것이 곤란한 전지를 탑재한 경우, 서비스성의 저하나 사용자의 편리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알칼리·망간 전지 등의 범용 전지도 대체 사용할 수 있게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In the case where a battery which is difficult to replace such as a lithium primary battery is mounted, a technique for replacing a general-purpose battery such as an alkaline-manganese battery with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order to suppress the serviceability and the lowering of the user's convenience has been discl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은, 휴대 전화에 있어서,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탑재해서 전력의 공급을 행하지만, 충전을 행하는 것이 곤란한 환경 하에서 알칼리 일차전지를 전용 소킷에 탑재함으로써 응급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알칼리 일차전지에 대하여, 2차 전지로부터의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technology for enabling a battery to be used in an emergency by mounting an alkaline primary battery in an exclusive sock under an environment in which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and power is supplied but charging is difficult . In addition, a diode is provided for the alkaline primary battery to prevent the reverse flow of current from the secondary battery.

특허 문헌 2는, 태양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2차 전지를 주 구동 전원으로 하고, 이 주 구동 전원인 2차 전지가 전지의 완전 소모를 일으켰을 경우, 착탈 가능한 외부 전지를 장착하고, 보조 구동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when the secondary battery which is charged by the solar battery is used as the main driving power source and the secondary battery which is the main driving power causes the exhaustion of the battery, the detachable external battery is mounted and used as the auxiliary driving source A technique related to an electronic device is disclosed.

최근, 환경 의식의 고조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전지의 유효 사용 기간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탑재한 서비스성이 높은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product with high serviceability, which is equipped with a function of extending the effective use period of the battery used in the remote cont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ene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특허 문헌 1에서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탑재하고, 충전을 행할 수 없는 환경 하에 있어서는 알칼리 1차 전지를 탑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하는 환경 하에 좌우되지 않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2차 전지의 충전 횟수에는 한계가 있으며, 충전 횟수의 한계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2차 전지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다이오드를 사용한 역류 방지 방법은, 전혀 누설이 없는 다이오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그 상태로 사용하면 충전 전류의 허용량을 오버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Patent Document 1 has a function that does not depend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and makes it possible to mount the alkaline primary battery in an environment where charging can not be performe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ged, and when the limit of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is reached, the secondary battery needs to be replaced. Further, in the backflow prevention method using a diode, there is no diode that does not leak at all, so if it is used in that state for a long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llowable amount of the charging current may be exceeded.

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2차 전지가 과방전해서 전지의 완전 소모를 일으켰을 때에, 외부 전지를 장전하고, 스위치를 사용해서 외부 전지를 회로에 접속해서 응급적으로 사용하지만, 주 구동 전원으로 태양 전지로 충전되는 2차 전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에서의 발전량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경우의 2차 전지의 과방전, 소위 전지의 완전 소모가 반드시 존재하여, 기기가 빈번히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생각된다. 이 경우, 외부 전지로 응급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빈번히 외부 전지를 접속하지 않으면 안된다.In Patent Document 2, when the secondary battery to be charged by the solar battery is overdischarged and the battery is completely consumed, the external battery is loaded, and the external battery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y using the switch, Since the secondary battery which is charged with the solar battery as the main driving power source is used, there is necessarily an over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when the power generation amount in the solar battery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that is, the so-called full consumption of the battery, It is thought that the situation becomes unusable. In this case, an external battery can be used as an emergency, but an external battery must be connected frequently.

또한, 전자 기기의 사용 빈도가 많을 경우, 태양 전지를 사용한 발전량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실내 조건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에서의 발전량이 항상 부족할 경우도 상정되고, 이 경우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즉 전자 기기의 생애에 있어서 범용 전지를 반복 교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침과 동시에 환경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로 된다. 또한, 2차 전지는 메모리 효과나, 충방전 횟수의 보장이 비교적 짧으므로 기기의 사용과 함께 외부 전지의 사용 빈도의 증가를 조장한다.Further, in a case where the frequency of use of electronic equipment is high, in an indoor condition in which a sufficient amount of power generation using solar cells can not be obtained, it is also assumed that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is always insufficient. In this case, The universal battery is repeatedly used in the life of the battery. In this way, inconvenience is caused to the user and it is not preferable to th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lso, since the guarantee of the memory effect and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s relatively short, the us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use frequency of the external battery are promoted.

또한, 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전자 기기의 사용 빈도가 적고 태양 전지의 발전량이 충분한 경우, 외부 전지를 비교적 긴 시간 장전할 필요는 없지만, 전환 스위치를 사용하는 빈도도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의 사용 환경에도 따르지만, 예를 들어, 습기가 많고, 특히 해안 지구 등 염분이 많이 존재하는 지역에 있어서는 녹 발생이 쉬워, 막상 외부 전지를 장전해서 보조적으로 사용하려고 했을 때에 접점이 녹 발생에 의해, 접점 불량으로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생각된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2,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external battery for a relatively long time whe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small and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of the solar cell is sufficient, but the frequency of using the changeover switch may be reduced. In this case, although it depends on the use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n a region where there is a lot of moisture, particularly in a region where salinity is large, such as a coastal region, rust is easily gener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lectronic devices can not be used due to contact failure due to the generation of rust.

일본 특허 제3642769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642769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32584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4-325840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전지에 있어서는, 유효 사용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알칼리·망간 전지 등의 범용 전지가 아니라, 전류 용량을 비교적 크게 취할 수 있는 리튬 1차 전지를 내장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리튬 1차 전지를 내장한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환하는 것이 곤란하여, 유효 사용 기간의 장기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고,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범용 전지를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ttery used in the remote controller, a method of incorporating a lithium primary battery capable of taking a relatively large current capacity, rather than a general-purpose battery such as an alkaline-manganese battery, have. However, in the case of incorporating a lithium primary battery,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is necessary to prolong the effective use period, and a universal battery for suppressing a decrease in user convenience can be 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pparatus need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내장 1차 전지의 유효 사용 기간의 장기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범용 전지의 대체 사용 기구를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equipped with an alternative use mechanism of a general-purpose battery while prolonging an effective use period of the built-in primary battery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리튬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와 병용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삽입 수단과, 상기 리튬 1차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전환하는 전지 전환 수단과,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이 상기 리튬 1차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전환할 때, 상기 리튬 1차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의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lithium primary battery and a solar battery for use with the lithium primary battery,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insertion means for inserting the universal battery into the remote controller; A battery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nd the solar battery to the general purpose battery; and when the battery switching means switches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nd the solar battery to the universal battery, And dis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olar cell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1차 전지와 병용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소정 동안 미 사용한 경우에 대기 모드로 이행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멈추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primary battery and a solar battery for use with the primary battery,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ans for executing control for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when used and for stopping the display of the display means when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또한, 본 발명은,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1차 전지와 병용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전지가 과방전했을 때, 상기 1차 전지가 접속된 제1 전력 공급 회로와 상기 태양 전지가 접속된 제2 전력 공급 회로를 차단하고, 상기 삽입 수단에 삽입되는 범용 전지가 접속되는 제3 전력 공급 회로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built-in primary battery and a solar battery for use with the primary battery,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insertion means for inserting the universal battery into the remote controller, The third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the universal battery inserted into the inserting means is connected is disconnected when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connected to the primary battery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connected to the solar battery are disconnected .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이 곤란한 내장의 1차 전지 대신에,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지의 완전 소모로 동작 불가의 상태로 되는 것을 회피하여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ing means for inserting a general-purpose battery is provided instead of a built-in primary battery, which is difficult to repl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coming inoperable due to the complete consumption of the battery, thereby improving serviceability.

또한, 대기 모드 시, 표시 수단의 표시를 멈추게 함으로써, 내장하는 1차 전지의 부하 전류를 경감해서 1차 전지의 유효 사용 기간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topping the display of the display means in the standby mo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current of the built-in primary battery, thereby prolonging the effective use period of the primary battery.

또한, 1차 전지와 태양 전지로부터 범용 전지로 전환할 때, 1차 전지와 태양 전지의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범용 전지로의 충전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switching from the primary cell and the solar cell to the general-purpose battery,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imary cell and the solar cell is cut off,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current to the general-purpose battery.

본 발명은, 내장 1차 전지의 유효 사용 기간의 장기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범용 전지의 대체 사용 기구를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mote controller having an alternative use mechanism for a general-purpose battery while prolonging an effective use period of the built-in primary battery.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되는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전지 소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9는 전지 전환 스위치와 주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전지 전환 스위치와 주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로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ler.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ler.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ler.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remote controller.
6 is a view showing the battery socket of the remote controller.
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a remote controller.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and its periphery.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and its surroundings.
11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 제어되는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공기 조화기(1)는, 실내기(2)와 실외기(3)를 접속 배관(4)으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실내기(2)의 도 1의 상부 우측 하부에 도시하는 하부 우측 단부에는,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러(5)로 부터의 적외선의 조작 신호를 받는 실내 송수신부(7)가 설치되어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5)는, 실내기(2)에 설치된 실내 송수신부(7)를 통해서 공기 조화기(1)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1)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an indoor unit (2) and an outdoor unit (3) via a connection pipe (4) to air condition the room. 1, an indoor transceiver 7 for receiving an infrared operation signal from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5 is provided at a lower right end portion of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indoor unit 2 shown in Fig. 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5 can operate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door transceiver 7 provided in the indoor unit 2. [

< 리모트 컨트롤러의 설명><Explanation of remote controller>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5)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2로부터 도 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리모트 컨트롤러(5)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리모트 컨트롤러(5)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리모트 컨트롤러(5)의 외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리모트 컨트롤러(5)의 측단면도이다. 도 6는 리모트 컨트롤러(5)의 전지 소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리모트 컨트롤러(5)의 송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Nex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 to FIG.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ler 5. Fig.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ler 5.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ler 5.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remote controller 5. Fig. 6 is a view showing the battery socket of the remote controller 5.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5. As shown in Fig.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는, 조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10),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화면[(LCD 모듈)(11)], 태양 전지[(솔라패널)(12)], 실내 송수신부(7)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수광 커버(13a)로 덮인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13)를 구비하고 있다.2, the remote controller 5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10 for making an operation instruc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LCD module) 11 for displaying operation contents, a solar cell [ Panel 12), and a remote controller transceiver 13 covered with a light-receiving cover 13a for bidirectionally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transceiver 7.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의 배면에는, 전지 소킷 커버(1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a battery socket cover 14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5. A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는, 배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손가락걸이부(3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emote controller 5 has a finger holding portion 34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its back surface.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는, 교환하는 것이 곤란한 전지인 리튬 1차 전지(32)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는, 전지 소킷 커버(14)에 덮인 내부에,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전지 소킷(15)과 주의 표찰(35)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remote controller 5 incorporates a lithium primary battery 32, which is a battery which is difficult to replace. The remote controller 5 is provided with a battery socket 15 for inserting a general-purpose battery and an attention tag 35 inside the cover 15 covered by the battery socket cover 14.

도 6은, 전지 소킷 커버[(14)(도 3 참조)]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한 전지 소킷(15) 내에는, 전지 접속 단자(16, 17, 18, 19)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간단하게 전지 교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전지 소킷(15) 내에는, 범용의 전지, 예를 들어 알칼리·망간 건전지가 삽입되어, 리모트 컨트롤러(5)의 전원으로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범용 전지란, 예를 들어, 단 3건전지나 단 4건전지 등, 편의점 등에서 일반적으로 구입 가능한 것이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socket cover 14 (see Fig. 3) is removed. Battery connection terminals 16, 17, 18, 19 are provided in the battery socket 15 ,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battery. A general-purpose battery, for example, an alkaline-manganese dry cell,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socket 15 so as to be supplied as a power source for the remote controller 5. [ The general-purpose battery is generally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at a convenience store such as a three-cell battery or a four-cell battery.

또한, 전지 소킷(15)의 근방에는, 전지 전환 스위치(20)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a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attery socket 15.

또한, 도 5에 도시한 주의 표찰(35)은, 전지 소킷 커버(14)를 열었을 때, 사용자에 읽혀지도록 전지 소킷(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주의 표찰(35)은, 전지 소킷(15)에 범용 전지를 삽입했을 때의 전지 전환 스위치(20)의 사용 방법과, 리튬 1차 전지(32)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범용 전지를 삽입하지 않도록 주의를 촉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범용 전지를 사용할 때의 사용 방법과 주의를 촉진시키는 수단).Further, the caution sign 35 shown in Fig. 5 is disposed in the battery socket 15 so as to be read by the user when the battery case cover 14 is opened. The sticker 35 of this state is used for inserting the universal battery in spite of the use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when the universal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socket 15 and the use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 means for promoting use of the universal battery and a method of promoting attention).

도 7은, 리모트 컨트롤러(5)의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1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5)를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13)는, 적외선 수광 소자(21),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13)의 근방에는,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 서미스터(23)를 탑재하고 있어, 수시로 리모트 컨트롤러(5)의 주변의 실온을 검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3 of the remote controller 5. As shown in Fig. Fig. 7 is a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ler 5 shown in Fig. 2 viewed from the arrow A direction.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ction 13 includes an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21 and an infrared ray emitting diode 22. [ A room temperature thermistor 23 for detecting a room temperature is mounted in the vicinity of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ction 13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around the remote controller 5 can be detected from time to time.

도 8은, 리모트 컨트롤러(5)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5)는,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30)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30)에는, 조작 버튼(10), 액정 표시 화면[(LCD 모듈)(11)], 송신 회로(31)가 접속되어 있다. Fig.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5. As shown in Fig. The remote controller 5 is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30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To the microcomputer 30, an operation button 10,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LCD module) 11, and a transmission circuit 31 are connected.

마이크로컴퓨터(30)에는, 리튬 1차 전지(32)와 태양 전지(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리튬 1차 전지(32)는, 전지 전환 스위치(20), 다이오드(41), 승압 회로(42), 승압 회로(42)와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43) 및 다이오드(44)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어,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전력을 공급한다(제1 전력 공급 회로).Power is supplied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solar cell 12 to the microcomputer 30.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2 via a diode 44 and a diode 4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the diode 41, the boosting circuit 42, (30), and supplies power to the microcomputer (30) (first power supply circuit).

또한, 송신 회로(31)는, 500mA 정도의 대전류가 흐르므로 리튬 1차 전지(32)로부터 직접 전력이 공급된다. 송신 회로(31)에 의한 리튬 1차 전지(32)의 전압 강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는 제1 전력 공급 회로에는 승압 회로(42)가 사용되고 있다.The transmission circuit 31 is supplied with power directly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because a large current of about 500 mA flows. The boost circuit 42 is used in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voltage drop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by the transmission circuit 31. [

태양 전지(12)는, 충전용의 콘덴서(51), 레귤레이터(52), 전지 전환 스위치(20), 다이오드(53)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어,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전력을 공급한다(제2 전력 공급 회로). 다이오드(44)와 다이오드(53)에 의해 다이오드 OR 회로(50)가 구성되고, 리튬 1차 전지(32) 또는 태양 전지(12) 중공급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전력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The solar cell 12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through a charging capacitor 51, a regulator 52, a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and a diode 53 to supply power to the microcomputer 30 (Second power supply circuit). The diode OR circuit 50 is constituted by the diode 44 and the diode 53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30 from the side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or the solar cell 12 having the high DC voltage .

전지 전환 스위치(20)는, 6개의 단자(a, b, c, d, e, f)를 갖고, 각 단자와, 각 단자에 접촉하는 슬라이더 스위치(20a) 사이가 녹 방지로서 유효한 금 접점으로 되어 있고, 2회로 동시에 전환 가능한 구성(2회로 2접점)으로 되어 있다.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has six terminals a, b, c, d, e, and f. The battery switch 20 has a gold contact point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slider switch 20a contacting each terminal, (Two circuits and two contacts) capable of switching at the same time.

도 8에 도시하는《통상 시; 범용 전지 미 세트》의 상태에 있어서, 전지 전환 스위치(20)는, 슬라이더 스위치(20a)에 의해 단자(b)와 단자(c)가 접속되고, 단자(e)와 단자(f)가 접속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컴퓨터(30)는, 단자(b)와 단자(c)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태양 전지(12)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지고, 단자(e)와 단자(f)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리튬 1차 전지(32)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Quot; normal time &quot; The battery switch 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 and the terminal c by the slider switch 20a and the terminal e and the terminal 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That is, since the terminal b and the terminal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icrocomputer 30 can supply electric power from the solar cell 12 and the terminal e and the terminal 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wer supply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enabled.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은, 리튬 1차 전지(32)를 주 전원으로 하고, 태양 전지(12)를 병용해서 공급된다. 또한, 통상 시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소킷(15)은 빈 상태이다.As shown in Fig. 8, the power f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5 is supplied by using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s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solar battery 12 in combination. In addition,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the battery socket 15 is empty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성은, 리모트 컨트롤러(5)를 사용하는 실내의 조도가 높아 태양 전지(12)의 발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 부하 전류의 일부, 예를 들어 대기 모드 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0)의 부하 전류를 태양 전지(12)가 부담하여, 리튬 1차 전지(32)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하지 않고, 리튬 1차 전지(32)의 전지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작용한다.Such a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indoor lighting using the remote controller 5 is high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olar cell 12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 part of the load current, for example, The load current of the solar cell 12 is burdened by the load current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battery life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extended without supplying power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

또한, 리튬 1차 전지(32)의 전지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마이크로컴퓨터(30)는, 리모트 컨트롤러(5)의 미 사용시, 즉 대기 모드 시에 있어서 액정 표시 화면(11)의 표시를 멈추고 부하 전류를 경감하는 제어를 행한다.In order to extend the battery life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the microcomputer 30 stops display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11 when the remote controller 5 is not used, i.e., in the standby mode, Is controlled.

여기서, 대기 모드로 이행하는 설정은, 예를 들어, 조작 버튼(10)의 입력이 3시간 없었을 경우 등, 미 사용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대기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대기 모드로 이행하는 설정은, 3시간에 한하지 않고, 1일, 2일, 3일 등의 일 단위, 또는 시간이나 분 단위로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요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에너지 절약 모드로 이행할 수 있으면 된다.Here, the setting to shift to the standby mode is shifted to the standby mode by detecting the unused state,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button 10 is not input for three hours. The setting for shifting to the standby mode is not limited to three hours, but may be set in units of one day, two days, three days, or in units of hours or minutes. , It is only necessary to be able to shift to the energy saving mode.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에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하여, 즉, 사람의 손이 리모트 컨트롤러(5)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하여, 감지의 유무에 의해 대기 모드의 이행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에 덮개를 설치하여, 덮개의 개폐에 의해 대기 모드의 이행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remote controller 5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that is, to detect whether or not a human hand has touched the remote controller 5, May be set. Further, a lid may b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5, and the transition of the standby mode may be set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또한, 리튬 1차 전지(32)를 주 전원으로 하고 태양 전지(12)를 병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은, 가령 방의 조도가 낮아 태양 전지(12)의 발전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모트 컨트롤러(5)가 사용 불능으로 되지 않아 공기 조화기(1)의 사용에 제한을 부여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한 실현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used as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solar battery 12 is used in combination is that even when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room is low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olar battery 12 is insufficient, Is not rendered unusable so as not to limit the use of the air conditioner 1, thereby achieving the user's convenience as much as possible.

또한, 일반적으로 리튬 1차 전지에 관해서는 소량의 충전 전류가 인정되고는 있지만, 제한이 있기 때문에 충전 전류를 가능한 한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도 8에 도시하는 회로는, 리튬 1차 전지(32)와 태양 전지(12)를 병용할 때에, 태양 전지(12)로부터 리튬 1차 전지(32)로 충전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a small amount of charge current is recognized for a lithium primary battery, but there is a limit, 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harge current as much as possible. 8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solar battery 12 are used together, the charging current flows from the solar battery 12 to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

<범용 전지를 사용할 경우의 설명>&Lt; Explanation when using a universal battery >

상기한 바와 같이, 리튬 1차 전지(32)와 태양 전지(12)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5)는, 전류 용량이 많은 리튬 1차 전지(32)를 사용해도 전지 수명은 반드시 존재한다. 사용 빈도가 상정보다 훨씬 많은 경우에 공기 조화기(1)의 수명 내에서, 리튬 1차 전지(32)가 과방전한다고 하는 것이 상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life of the remote controller 5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solar battery 12 always exists even when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having a large current capacity is used . It is assumed that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overdischarged within the life time of the air conditioner 1 when the frequency of use is much higher than expected.

그러나, 통상, 리모트 컨트롤러(5)에 내장한 리튬 1차 전지(32)의 전지 교환은 비교적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일반 사용자가 전지 교환을 행하는 것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general, replacing the battery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ncorporated in the remote controller 5 requires a relatively specialized technique, so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battery replacement by a general user.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알칼리·망간 전지 등의 범용 전지를 탑재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소킷(15)에 알칼리·망간 전지 등의 범용 전지를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범용 전지를 삽입했을 때, 전지 전환 스위치(20)의 스위치를 전환하고, 리튬 1차 전지(32)와 태양 전지(12)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범용 전지로부터의 전력 공급으로 회로의 접속을 전환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general-purpose battery such as an alkaline-manganese battery can be mounted. That is, as shown in Fig. 6, a general-purpose battery such as an alkaline-manganese battery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socket 15. Fig. When the universal battery is inserted, the switch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switched to switch the power supply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solar battery 12 to the power supply from the universal battery do.

도 9와 도 10은, 범용 전지(33)를 전지 소킷(15)에 삽입했을 때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the universal battery 33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socket 15. Fig.

도 9는, 리튬 1차 전지(32)와 태양 전지(12)가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어 있는 전지 전환 스위치(20)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9 shows the state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n which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solar cell 12 ar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Fig.

도 10은, 범용 전지(33)가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어 있는 전지 전환 스위치(20)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10 shows the state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n which the general-purpose battery 33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As shown in Fig.

도 9에 도시하는《범용 전지 세트 시》의 상태에 있어서, 전지 전환 스위치(20)는, 슬라이더 스위치(20a)에 의해 단자(b)와 단자(c)가 접속되고, 단자(e)와 단자(f)가 접속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컴퓨터(30)는, 단자(b)와 단자(c)가 접속 되어 있음으로써 태양 전지(12)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지고, 단자(e)와 단자(f)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리튬 1차 전지(32)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9,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rminal b and the terminal c are connected by the slider switch 20a and the terminal e and the terminal c are connected by the slider switch 20a, (f) are connected. That is, since the terminal b and the terminal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icrocomputer 30 can supply electric power from the solar cell 12 and the terminal e and the terminal 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wer supply from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enabled.

도 10에 도시하는《범용 전지 사용시》 상태에 있어서, 전지 전환 스위치(20)는, 전환된 슬라이더 스위치(20a)에 의해, 단자(a)와 단자(b)가 접속되고, 단자(d)와 단자(e)가 접속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컴퓨터(30)는, 단자(d)와 단자(e)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범용 전지(33)로부터의 전력 공급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제3의 전력 공급 회로). 즉, 이 경우, 단자(a)와 단자(b)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태양 전지(12)는,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단자(f)가 접속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리튬 1차 전지(32)도 마이크로컴퓨터(30)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10,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are connected by the switched slider switch 20a and the terminal d and the terminal 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erminal e is connected. That is, the terminal d and the terminal e ar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so that only the power supply from the general-purpose battery 33 is enabled (the third power supply circuit). That is, in this case, since the terminals a and b are connected, the solar cell 12 is not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and the terminal f is not connected So that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also not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0.

이 결과, 태양 전지(12)와 리튬 1차 전지(32)의 마이크로컴퓨터(30)에의 접속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된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of the solar cell 12 and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to the microcomputer 30 is completely separated.

또한, 전지 소킷(15)에 범용 전지(33)를 삽입했을 때, 태양 전지(12)와 리튬 1차 전지(32)로부터 삽입된 범용 전지(33)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전지 전환 스위치(20)를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universal battery 33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socket 15,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universal battery 33 inserted from the solar battery 12 and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 In this c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알칼리·망간 전지 등의 범용 전지(33)는, 리튬 1차 전지(32)와는 달리 충전 전류를 전혀 허용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다이오드 등에서 전류 누설을 방지해도 완전하게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범용 전지(33)를 사용할 때, 전지 전환 스위치(20)를 사용해서 리튬 1차 전지(32)와 태양 전지(12)의 회로를 완전하게 차단함으로써, 범용 전지(33)에 충전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general-purpose battery 33 such as an alkaline-manganese battery does not allow charging current at all, unlike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Therefore, leakage current can not be completely prevented even if current leakage is prevented in a diode or the lik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general-purpose battery 33 is used, the circuits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the solar cell 12 are completely cut off by using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rging current from flowing in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전지 전환 스위치(20)는, 2회로 동시에 전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리튬 1차 전지(32)에 접속하는 회로와, 태양 전지(12)에 접속하는 회로의 2회로를 동시에 전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configured to switch two circuits at the same time, whereby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witch between a circuit connected to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nd a circuit connected to the solar cell 12 Thus, erroneous oper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리튬 1차 전지(32)의 잔량이 있는 통상 시, 리모트 컨트롤러(5)에 내장되는 리튬 1차 전지(32)는, 태양 전지(12)에 의해 부하의 일부가 부담되는 동시에, 대기 모드 시에 액정 표시 화면(11)의 표시가 정지되어 소비 전류가 낮게 억제됨으로써, 지극히 장시간, 과방전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 전지(33)를 삽입해서 사용하는 기회는 지극히 장시간 경과한 후가 된다.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built in the remote controller 5 in a normal state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partially burdened by the solar battery 12, The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11 is stopped and the consumption current is suppressed to a low level, so that the usable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very long time without overdischarging. Therefore, the chance of inserting and using the general-purpose battery 33 is very long after a long time passes.

또한, 통상, 전환 스위치는 접점을 개폐함으로써, 기계적, 전기적으로 리프레쉬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리튬 1차 전지(32)의 장기 수명화가 도모되어, 전지 전환 스위치(20)를 사용하는 빈도가 지극히 낮으며, 사용되는 타이밍도 지극히 장시간 경과한 후가 되고, 접점 개폐에 의한 접점 리프레쉬를 기대할 수 없어, 접점의 녹 발생에 의한 접점 불량의 우려가 있다. 이 접점의 녹 발생은 공기중의 염분 부유가 많은 연안 지구에서는 더욱 심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는 금 접점을 전지 전환 스위치(20)에 사용해서 녹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Although the switch is usually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refresh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in this embodiment, the lifetime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requency of using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And the timing to be used is extremely long after the elapse of a long time. The contact refreshing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can not be expected, and there is a fear of the contact failure due to the rusting of the contact. The occurrence of rust of this contact point is more serious in a coastal district where there is much salt floating in the air. In this embodiment, a rust-free gold contact is used for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to prevent rust.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에 내장하는 1차 전지에 리튬 1차 전지(32)를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저렴하게 대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장의 1차 전지에 적절한 선정에 있어서, 리튬 이외의 1차 전지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using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n the primary battery built in the remote controller 5 can reduce the economical burden on the user because the capacity can be relatively reduce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a primary battery other than lithium in an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built-in primary battery.

또한, 범용 전지(33)를 사용할 때, 전력 공급 회로를 전환하는 전지 전환 스위치(20)의 사용 방법을 기재한 주의 표찰(35)을 전지 소킷(15) 내에 수납해 둠으로써, 사용자에 사용 방법을 정확하게 전하고, 리튬 1차 전지(32)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실수로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리튬 1차 전지(32)의 과방전 후에 범용 전지를 사용할 때, 주의 표찰(35)에 전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지 전환 스위치(20)의 사용 방법을 기재해 둠으로써, 조작을 정확하게 행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When the universal battery 33 is used, the attention tag 35 describing the use method of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circuit is stored in the battery socket 15, And prevents insertion of the universal battery by mistake even though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is in a usable state. In addition, when the general-purpose battery is used after overdischarging of the lithium primary battery 32, a description is given of how to use the battery change-over switch 20 for switching the battery to the warning stick 35. Thus, Can be urged.

도 11은 비교예로서 전원 전환 스위치(20)와 범용 전지(33)를 삽입하는 전지 소킷(15)을 갖지 않는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1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wer switch 20 and the battery socket 15 for inserting the general-purpose battery 33 are not provided as a comparative example.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환이 곤란한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있어도, 사용자가 간단하게 전지 교환(범용 전지)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서비스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계속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유효 사용 기간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a primary battery which is difficult to replace is incorporated,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can simply replace the battery (universal battery) is added, thereby improving serviceability and enabling continuous use of the remote controller As a result, the effective use period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prolonged.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내장하는 1차 전지의 유효 사용 기간의 장기화를 도모하고, 또한 전지 교환을 가능하게 해서 서비스성을 향상시켜, 지구 환경을 고려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 the effective life period of the primary battery built in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prolonged, battery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serviceability can be improved, and a remote controller in consider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can be constructed.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3 : 실외기
4 : 접속 배관
5 : 리모트 컨트롤러
7 : 실내 송수신부
10 : 조작 버튼
11 : 액정 표시 화면(LCD 모듈 : 표시 수단)
12 : 태양 전지(솔라패널)
13 :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
15 : 전지 소킷(삽입 수단)
16, 17, 18, 19 : 전지 접속 단자
20 : 전지 전환 스위치(전환 수단)
21 : 적외선 수광 소자
22 :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23 : 실온 서미스터
30 : 마이크로컴퓨터(제어 수단)
31 : 송신 회로
32 : 리튬 1차 전지
33 : 범용 전지
35 : 주의 표찰
41, 43, 44, 53 : 다이오드
42 : 승압 회로
50 : 다이오드 OR 회로
51 : 콘덴서
52 : 레귤레이터
1: Air conditioner
2: indoor unit
3: outdoor unit
4: Connection piping
5: Remote controller
7: indoor transmission /
10: Operation button
11: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LCD module: display means)
12: Solar Cell (Solar Panel)
13: remote controller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5: Battery socket (insertion means)
16, 17, 18, 19: Battery connection terminal
20: Battery changeover switch (switching means)
21: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22: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23: Room temperature thermistor
30: Microcomputer (control means)
31: Transmission circuit
32: Lithium primary battery
33: Universal Battery
35: Attention tag
41, 43, 44, 53: diodes
42: Booster circuit
50: Diode OR circuit
51: Condenser
52: Regulator

Claims (12)

리튬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리튬 1차 전지와 병용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삽입 수단과,
상기 리튬 1차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전환하는 전지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이 상기 리튬 1차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전환할 때, 상기 리튬 1차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의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lithium primary battery and a solar battery which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lithium primary battery,
Insertion means for inserting the universal battery into the remote controller,
And battery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nd the solar battery to the universal battery,
Wherein said battery switching means blocks connection between said lithium primary battery and said solar cell when said lithium primary battery and said solar battery are switched to said general-purpos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단은, 상기 범용 전지를 삽입할 수 있는 전지 소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ng means is a battery socket capable of inserting the universal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은, 상기 리튬 1차 전지와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전환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switching means is a switch for switching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nd the solar battery to the universal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은, 상기 리튬 1차 전지가 접속되는 제1 전력 공급 회로와 태양 전지가 접속되는 제2 전력 공급 회로를, 상기 범용 전지가 접속되는 제3 전력 공급 회로로 전환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solar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battery switching means comprises a first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said lithium primary battery is connected and a second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a solar battery is connected to a third power supply circuit Wherein the switch is a switch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은, 상기 리튬 1차 전지가 접속되는 제1 전력 공급 회로와, 상기 태양 전지가 접속되는 제2 전력 공급 회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2회로 2접점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solar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switching means is a two-circuit two-contact switch for simultaneously disconnecting a first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the lithium primary battery is connected and a second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the solar cell is connected Features a remote controller.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소킷의 근방에, 상기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switch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attery socke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은, 상기 삽입 수단에 상기 범용 전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리튬 1차 전지와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6.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attery switching means switches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nd the solar battery to the universal battery when the universal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means Features a remote control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환 수단은, 상기 삽입 수단에 상기 범용 전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리튬 1차 전지와 상기 태양 전지를, 상기 범용 전지로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remote controller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battery switching means forcibly switches the lithium primary battery and the solar battery to the universal battery when the universal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mean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단에 상기 범용 전지가 삽입될 때, 상기 범용 전지를 사용할 때의 사용 방법과 주의를 촉구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urging the user to use the universal battery when the universal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means.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1차 전지와 병용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소정 동안 미 사용인 경우에 대기 모드로 이행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멈추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built-in primary battery and a solar battery for use with the primary battery,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control to shift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o stop the display of the display means when the standby mode is shifted to the standby mode.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접점에 금 접점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switch uses a gold contact for the contact. 1차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1차 전지와 병용하는 태양 전지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범용 전지를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전지가 과방전했을 때, 상기 1차 전지가 접속된 제1 전력 공급 회로와 상기 태양 전지가 접속된 제2 전력 공급 회로를 차단하고, 상기 삽입 수단에 삽입되는 범용 전지가 접속되는 제3 전력 공급 회로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built-in primary battery and a solar battery for use with the primary battery,
And insertion means for inserting the universal battery into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when the primary battery is overdischarged,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the primary battery is connected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the solar battery is connected are cut off, and the third power supply circuit to which the universal battery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KR1020127004239A 2009-09-09 2010-02-19 Remote controller KR1013967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08565 2009-09-09
JP2009208565A JP5135309B2 (en) 2009-09-09 2009-09-09 Remote controller
PCT/JP2010/052529 WO2011030574A1 (en) 2009-09-09 2010-02-19 Remote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637A KR20120048637A (en) 2012-05-15
KR101396757B1 true KR101396757B1 (en) 2014-05-16

Family

ID=4373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239A KR101396757B1 (en) 2009-09-09 2010-02-19 Remote controll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35309B2 (en)
KR (1) KR101396757B1 (en)
CN (1) CN102474676B (en)
TW (1) TWI459682B (en)
WO (1) WO20110305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5026A (en) * 2010-12-07 2012-06-28 Rhythm Watch Co Ltd Power supply device employing solar battery
JP2013243463A (en) * 2012-05-18 2013-12-05 Daikin Ind Ltd Wireless remote controller
JP6767929B2 (en) * 2017-05-26 2020-10-1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Control unit and electric furniture
JP6982502B2 (en) * 2018-01-11 2021-12-17 Fdk株式会社 Terminal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016A (en) * 1992-03-17 1993-10-20 이헌조 Remote control position detection circuit by differentiation of illuminance
KR19980026910A (en) * 1996-10-12 1998-07-15 석은숙 Remote control power supply
KR20000003258A (en) * 1998-06-26 2000-01-15 전주범 Remote controller having inner charging device
KR20050123278A (en) * 2004-06-24 2005-12-29 공상혁 Remote control of used a solar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039U (en) * 1984-02-17 1985-09-07 株式会社東芝 power supply
JP2627300B2 (en) * 1988-03-14 1997-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Power supply circuit
CN2100109U (en) * 1990-09-08 1992-04-01 王兆荣 Double-power driven fan-type sunshade hat
JPH04325840A (en) * 1991-04-26 1992-11-16 Sharp Corp Battery driven electronic appliance
JPH0511750U (en) * 1991-07-22 1993-02-12 ソニー株式会社 Electronic equipment
US5387858A (en) * 1992-02-27 1995-02-07 Academy Of Applied Science Energy-conserving multiple power source and method for battery-operated products
JP3156404B2 (en) * 1992-12-14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Transceiver
JPH07240968A (en) * 1994-02-25 1995-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ireless remote controller
CN2535728Y (en) * 2002-03-28 2003-02-12 徐跃进 Solar telecontroller
US7111967B2 (en) * 2004-08-26 2006-09-26 Terry Dennis T Hub light
CN101106286A (en) * 2006-09-20 2008-01-16 梁月华 Remote controller for solar charging appliance
CN201017333Y (en) * 2006-12-27 2008-02-06 白世藻 Solar long distance RF IC card
CN201117102Y (en) * 2007-11-14 2008-09-17 中国华录集团有限公司 Remote controller employing solar energy to supplying pow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016A (en) * 1992-03-17 1993-10-20 이헌조 Remote control position detection circuit by differentiation of illuminance
KR19980026910A (en) * 1996-10-12 1998-07-15 석은숙 Remote control power supply
KR20000003258A (en) * 1998-06-26 2000-01-15 전주범 Remote controller having inner charging device
KR20050123278A (en) * 2004-06-24 2005-12-29 공상혁 Remote control of used a solar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4676B (en) 2015-10-14
JP5135309B2 (en) 2013-02-06
CN102474676A (en) 2012-05-23
JP2011061467A (en) 2011-03-24
WO2011030574A1 (en) 2011-03-17
TW201119183A (en) 2011-06-01
KR20120048637A (en) 2012-05-15
TWI459682B (en) 201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3270A1 (en) Power supply unit
US10536008B2 (en)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torage systems control method
JP6516101B2 (en) Battery storage device
US20090265570A1 (en)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769317B (en) Control circuit, battery with control circuit and battery control method
KR101396757B1 (en) Remote controller
US20190326774A1 (en) Portable solar power management system
JP5084117B2 (en) Pack batteries and electrical equipment
EP35986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of energy storage device and re-operating same
KR100646240B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5288435B2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1391077B1 (en) Remote controller
JP7014659B2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an external module, and a wearable terminal including it.
US9312719B2 (en) Energy store and energy storage system
JP5845408B2 (en) Photovoltaic power supply system
CN106300496B (en) The cell connecting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557915B2 (en) Mobile measuring device with a power supply module and process for power supply
CN101728847A (en) Multifunction power supply
JP7163518B2 (en) power system
CN219627946U (en) Solar lighting device powered by double batteries
CN219285543U (en) Dimming glass with outage continuous working function and refrigerator applying dimming glass
WO2013054688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display system
CN212462872U (en) Power supply equipment
JP2008052915A (en) Battery-driven apparatus
JP2013090346A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