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31B1 -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 Google Patents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31B1
KR101395931B1 KR1020130076023A KR20130076023A KR101395931B1 KR 101395931 B1 KR101395931 B1 KR 101395931B1 KR 1020130076023 A KR1020130076023 A KR 1020130076023A KR 20130076023 A KR20130076023 A KR 20130076023A KR 101395931 B1 KR101395931 B1 KR 10139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emergency
line
val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태
박해식
윤계천
Original Assignee
윤계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계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계천
Priority to KR102013007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5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Abstract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은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차단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유압작동기에 공급되는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개폐블럭과,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비상정지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비상정지블럭과,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구동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개폐블럭을 통과한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동블럭 중 적어도 비상정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TEST BLOCK OF OIL LEAKAGE TEST FOR TURBINE VALVE ACTUATOR}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의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량의 조절을 위해 터빈 증기변의 개도 조절이나 개폐를 위한 유압작동기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때, 터빈 증기변에 장착되는 유압작동기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유압작동기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 기과, 증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터빈과,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와, 터빈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의 동작에 따라 터빈 증기변이 구동되어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거나 터빈의 트립 시에 증기를 차단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5344호 (2006. 02. 20. 등록, 발명의 명칭 : 유압밸브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의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량의 조절을 위해 터빈 증기변의 개도 조절이나 개폐를 위한 유압작동기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때, 터빈 증기변에 장착되는 유압작동기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유압작동기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은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차단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작동기에 공급되는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개폐블럭; 상기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비상정지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비상정지블럭; 및 상기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구동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블럭을 통과한 상기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동블럭; 중 적어도 상기 비상정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비상정지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비상정지바디부; 상기 시험유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비상정지바디부에 형성되는 매뉴얼부;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비상정지밸브를 연결하는 개폐동작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동작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1비상유로; 상기 시험유를 상기 비상정지바디부에 공급하는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과 상기 제1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2비상유로; 상기 매뉴얼부에 연결되어 상기 매뉴얼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가 이송되는 제3비상유로; 및 상기 유압작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덤프부로 상기 시험유를 공급하는 덤프급유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3비상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덤프부에 전달하는 제1연결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제1비상유로와 상기 제2비상유로를 연결하거나 상기 매뉴얼부와 상기 제2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4비상유로와, 상기 매뉴얼부와 상기 제3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5비상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덤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비상정지밸브 측으로 전달하는 덤프배유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덤프배유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6비상유로; 및 상기 비상정지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더미배유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7비상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제6비상유로와 상기 제7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8비상유로; 및 상기 제8비상유로와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9비상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에는, 상기 매뉴얼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는 매뉴얼밸브; 상기 제3비상유로와 상기 제1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조절라인; 상기 조절라인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라인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상기 제2비상유로와 상기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을 연결하는 라인연결포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3비상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3비상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블럭은, 상기 차단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개폐바디부; 일측은 상기 시험유를 상기 개폐바디부에 공급하는 시험유신호라인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유압전달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개폐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개폐유로; 및 상기 제1개폐유로에 연결되는 제2개폐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블럭은, 상기 개폐동작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개폐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블럭에는, 상기 제2개폐유로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유로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상기 조절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밸브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시험유회수라인이 연결되는 라인연결포트; 및 상기 개폐동작라인 또는 상기 제3개폐유로를 폐쇄하는 블랭킹포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블럭은, 상기 구동밸브 중 서보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1구동블럭과, 상기 구동밸브 중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2구동블럭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블럭은, 상기 서보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1구동바디부; 상기 제1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유압전달라인에 연결되는 제1구동유로; 상기 제1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에서 상기 유압작동기로 공급하는 작동라인에 연결되는 제2구동유로; 및 상기 제2구동유로에 연결되는 제4구동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1구동더미부와, 상기 덤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 측으로 전달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2구동더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블럭은, 상기 작동라인과 상기 제2구동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구동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블럭에는, 상기 제1구동유로와 상기 제2구동유로를 연결하는 조절라인; 및 상기 조절라인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라인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가 포함되고, 상기 제4구동유로 또는 상기 조절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4구동유로 또는 상기 조절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블럭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2구동바디부;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유압전달라인에 연결되는 제1결합유로;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에서 상기 유압작동기로 공급하는 작동라인에 연결되는 제5결합유로와 제6결합유로; 및 상기 제5결합유로와 상기 제6결합유로에 연결되는 제7결합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1결합더미부와, 상기 덤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 측으로 전달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2결합더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블럭은, 상기 유압전달라인과 상기 제1결합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유로; 상기 제1결합유로 또는 상기 제2결합유로에 연결되는 제3결합유로; 및 상기 작동라인과 상기 제5결합유로와 상기 제6결합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4결합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블럭에는, 상기 제1결합유로와 상기 제4결합유로를 연결하는 조절라인; 및 상기 조절라인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라인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유로와 상기 제7결합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3결합유로와 상기 제7결합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은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의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량의 조절을 위해 터빈 증기변의 개도 조절이나 개폐를 위한 유압작동기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때, 터빈 증기변에 장착되는 유압작동기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유압작동기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전소의 정기 보수나 점검 시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가 정지된 상황에서도 이동식 시험기를 통해 유압작동기가 터빈 증기변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유압작동기의 상태를 시험하거나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에서 유압작동기를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정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에 유압작동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기의 상태를 시험하거나 점검할 수 있으므로, 시험 또는 점검에 대한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유압작동기의 시험 또는 점검 후에 정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과의 정밀도 향상과 정비 품질 향상으로 인해 정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발전소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에서 유압작동기를 분리하기 전에 사전 고장진단 및 성능검사를 통해 정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실질적인 사전 예방보전 기능으로 발전 정비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고,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 정비인력이 실질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정비에 대한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 또는 점검의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교체 또는 수리 등의 고장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정비 시간을 단축함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의 정지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록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세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유는 구동밸브(140)와, 비상정지밸브(150)와, 차단밸브(1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유체를 의미하고, 시험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이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기(100)에 공급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의 정지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100)는 실린더(110)와, 피스톤(120)과, 덤프부(130)를 포함한다.
실린더(110)는 작동유가 공급된다. 실린더(110)에는 작동유가 수용되는 실린더유압실(111)이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110)에는 실린더유압실(111)과 연통되는 유압작동유로(113)가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20)은 실린더유압실(111)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실린더(1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덤프부(130)는 유압작동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덤프부(130)는 공급되는 작동유에 따라 실린더유압실(111)이 개폐됨으로써, 유압작동기(100)에서 피스톤(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덤프부(130)는 덤프캡(131)과, 배유실(136)과, 덤프시트(137)를 포함하고, 덤프유압유로(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덤프캡(131)은 작동유가 수용되는 덤프유압실(132)이 형성되도록 실린더(110)에 결합된다. 덤프유압실(132)은 실린더유압실(111)과 연통된다. 비상시에는 배유실(136)과 실린더유압실(111)과 덤프유압실(132)이 연통되어 작동유가 급속히 배출되도록 한다. 덤프시트(137)는 덤프유압실(13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함에 따라 실린더유압실(111)과 배유실(136)의 개폐 동작을 조절한다.
덤프유압유로(134)는 덤프유압실(132)과 연통되어 덤프유압실(132)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유압작동기(100)에는 구동밸브(140)와 비상정지밸브(150)와 차단밸브(160)가 연결된다.
구동밸브(140)는 실린더(110)의 실린더유압실(111)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 여부를 선택한다. 구동밸브(140)는 유압작동기(100)의 동작 방식에 따라 서보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비상정지밸브(150)는 덤프부(130)의 덤프유압실(132)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 여부를 선택한다. 비상정지밸브(150)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차단밸브(160)는 비상정지밸브(150)의 개폐동작에 따라 구동밸브(140)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 여부를 선택한다. 차단밸브(160)는 셧오프밸브(shut-off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신호라인(101)은 차단밸브(160)에 연결되어 작동유를 공급하고, 유압전달라인(102)은 구동밸브(140)와 차단밸브(160)를 연결하며, 작동라인(103)은 구동밸브(140)와 유압작동기(100)의 실린더유압실(111)을 연결하여 구동밸브(140)에서 유압작동기(100)로 작동유를 공급한다.
또한, 비상정지신호라인(104)은 비상정지밸브(150)에 연결되어 작동유를 공급하고, 개폐동작라인(105)은 비상정지밸브(150)와 차단밸브(160)를 연결하며, 덤프급유라인(106)은 비상정지밸브(150)와 덤프부(130)의 덤프유압실(132)을 연결하여 덤프부(130)의 덤프유압실(132)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또한, 덤프배유라인(107)은 덤프부(130)의 배유실(136)과 비상정지밸브(150)를 연결하여 배유실(136)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를 비상정지밸브(15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더미배유라인(108)은 덤프부(130)의 배유실(136)과 구동밸브(140)를 연결하여 배유실(136)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를 구동밸브(14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더미배유라인(108)은 비상정지밸브(150)와 구동밸브(140)를 연결한다.
또한, 시스템배유라인(107-1)은 덤프부(130)의 배유실(136)에 연결되어 배유실(136)로 배출되는 작동유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위치센서(109)는 실린더(110)에 구비되어 피스톤(1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피스톤(120)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유압작동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압작동기(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유압신호라인(101)과 비상정지신호라인(104)에 유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비상정지밸브(150)가 여자되면 작동유는 덤프유압실(132)에 공급됨은 물론 차단밸브(160)를 개방시킨다. 이때, 차단밸브(160)를 통과한 작동유는 구동밸브(140)에 인가되고 구동밸브(140)가 작동함으로써, 실린더유압실(111)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유압작동기(100)의 피스톤(120)이 움직인다.
이러한 유압작동기(100)를 터빈 증기변에서 분리하지 않고, 유압작동기(100)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이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에 공급되는 시험유는 이동식 시험기에서 유압을 발생시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록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은 개폐블럭(200)과 비상정지블럭(300)과 구동블럭(400) 중 적어도 비상정지블럭(300)을 포함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상정지블럭(300)과 개폐블럭(200)과 구동블럭(400)의 순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시험유신호라인(171)은 개폐블럭(200)에 연결되어 시험유를 공급하고, 유압전달라인(102)은 구동밸브(140)와 차단밸브(160)를 연결하거나 구동블럭(400)과 개폐블럭(200)을 연결하거나 구동밸브(140)와 개폐블럭(200)을 연결하거나 구동블럭(400)과 차단밸브(160)를 연결하며, 작동라인(103)은 구동밸브(140)와 유압작동기(100)의 실린더유압실(111)을 연결하거나 구동블럭(400)과 유압작동기(100)의 실린더유압실(111)을 연결하여 구동밸브(140) 또는 구동블럭(400)에서 유압작동기(100)로 시험유를 공급한다.
또한,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은 비상정지블럭(300)에 연결되어 시험유를 공급하고, 개폐동작라인(105)은 비상정지밸브(150)와 차단밸브(160)를 연결하거나 비상정지블럭(300)과 개폐블럭(200)을 연결하거나 비상정지밸브(150)와 개폐블럭(200)을 연결하거나 비상정지블럭(300)과 차단밸브(160)를 연결한다.
또한, 덤프배유라인(107)은 덤프부(130)의 배유실(136)과 비상정지밸브(150)를 연결하거나 배유실(136)과 비상정지블럭(300)을 연결하여 배유실(136)에서 배출되는 시험유를 비상정지밸브(150) 측 또는 비상정지블럭(30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더미배유라인(108)은 덤프부(130)의 배유실(136)과 구동밸브(140)를 연결하거나 배유실(136)과 구동블럭(400)을 연결하여 배유실(136)에서 배출되는 시험유를 구동밸브(140) 측 또는 구동블럭(400) 측으로 전달한다. 더불어 더미배유라인(108)은 비상정지밸브(150)와 구동밸브(140)를 연결하거나 비상정지블럭(300)과 구동블럭(400)을 연결하거나 비상정지밸브(150)와 구동블럭(400)을 연결하거나 비상정지블럭(300)과 구동밸브(140)를 연결한다.
또한, 시스템배유라인(107-1)은 덤프부(130)의 배유실(136)에 연결되어 배유실(136)로 배출되는 시험유를 회수할 수 있다.
비상정지블럭(300)은 유압작동기(100)에 결합되는 비상정지밸브(150) 자리에 결합되고,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세 계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정지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비상정지블럭(300)은 비상정지바디부(301)와, 매뉴얼부(310)와, 제1비상유로(331)와, 제2비상유로(332)와, 제3비상유로(333)와, 제1연결유로(341)를 포함한다.
비상정지바디부(301)는 비상정지밸브(150) 자리에 결합된다. 여기서, 비상정지바디부(301)에는 체결공(501)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비상정지바디부(301)를 비상정지밸브(150) 자리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매뉴얼부(310)는 시험유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된다. 매뉴얼부(310)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함몰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비상유로(331)와 제2비상유로(332)와 제3비상유로(333)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상유로(331)는 개폐동작라인(105)이 연결되고, 개폐동작라인(105)과 매뉴얼부(310)를 연결한다. 제1비상유로(331)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1비상연결부(311)에서 관통 형성되어 매뉴얼부(310)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비상유로(332)는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과 매뉴얼부(310)를 연결하거나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과 제1비상유로(331)를 연결한다. 제2비상유로(332)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2비상연결부(312)에서 관통 형성되어 매뉴얼부(310) 또는 제1비상유로(331)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3비상유로(333)는 매뉴얼부(310)에 연결되어 매뉴얼부(310)에서 배출되는 시험유가 이송된다. 제3비상유로(333)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3비상연결부(313)에서 관통 형성되어 매뉴얼부(310)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연결유로(341)는 덤프부(130)로 시험유를 공급하는 덤프급유라인(106)에 연결되어 제3비상유로(333)에서 배출되는 시험유를 덤프부(130)의 덤프유압실(132)에 전달한다. 제1연결유로(341)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321)에서 관통 형성되어 덤프급유라인(106)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정지블럭(300)은 제4비상유로(334)와 제5비상유로(3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비상유로(334)는 제1비상유로(331)와 제2비상유로(332)를 연결하거나 매뉴얼부(310)와 제2비상유로(332)를 연결한다. 제4비상유로(334)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4비상연결부(314)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비상유로(331)와 제2비상유로(332)에 연통되도록 하거나 매뉴얼부(310)와 제2비상유로(332)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5비상유로(335)는 매뉴얼부(310)와 제3비상유로(333)를 연결한다. 제5비상유로(335)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5비상연결부(315)에서 관통 형성되어 매뉴얼부(310)와 제3비상유로(333)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정지블럭(300)은 제6비상유로(336)와 제7비상유로(3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비상유로(336)는 덤프배유라인(107)에 연결되고 더미배유라인(108)과 매뉴얼부(310)를 연결한다. 제6비상유로(336)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6비상연결부(316)에서 관통 형성되어 매뉴얼부(310)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7비상유로(337)는 비상정지밸브(150)와 구동밸브(140)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108)에 연결되고, 더미배유라인(108)과 매뉴얼부(310)를 연결한다. 제7비상유로(337)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7비상연결부(317)에서 관통 형성되어 매뉴얼부(310)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비상정지블럭(300)은 제8비상유로(338)와 제9비상유로(3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8비상유로(338)는 제6비상유로(336)와 제7비상유로(337)를 연결한다. 제8비상유로(338)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8비상연결부(318)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6비상유로(336)와 제7비상유로(337)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9비상유로(339)는 제8비상유로(338)와 매뉴얼부(310)를 연결한다. 제9비상유로(339)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9비상연결부(319)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8비상유로(338)와 매뉴얼부(310)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정지블럭(300)은 제2연결유로(342)와, 제3연결유로(343)와, 제4연결유로(344) 중 적어도 제2연결유로(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유로(342)는 덤프급유라인(106)과 제1연결유로(341)를 연결한다. 제2연결유로(342)는 비상정지블럭(300)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322)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연결유로(341)와 연통되고, 제2연결부에 덤프급유라인(106)이 결합된다.
제3연결유로(343)와 제4연결유로(344)는 각각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41)와 제1연결유로(341)를 연결하거나,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542)와 제1연결유로(341)를 연결한다.
제3연결유로(343)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3연결부(323)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연결유로(341)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제4연결유로(344)는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는 제4연결부(324)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연결유로(341)와 연통되도록 하거나, 제3연결유로(343)와 연통되도록 하거나, 제1연결유로(341)와 제3연결유로(343)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51은 비상정지바디부(301)에 형성되어 유압작동기(100)에 결합되는 비상더미부(351)를 나타낸다.
상술한 비상정지블럭(300)에는 매뉴얼밸브(531)와, 조절라인(512)과, 조절밸브(510)와, 라인연결포트(511)가 포함되고, 압력센서(541)와 압력게이지(5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매뉴얼밸브(531)는 매뉴얼부(310)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이동 방향을 설정한다.
조절라인(512)은 제3비상유로(333)와 제1연결유로(341)를 연결한다.
조절밸브(510)는 조절라인(512) 상에 결합되어 조절라인(512)의 개폐 동작을 조절한다. 조절밸브(510)는 니들밸브로 구성되고, 조절라인(51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조절라인(512)을 차단할 수 있다.
라인연결포트(511)는 제2비상유로(332)와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을 연결한다. 라인연결포트(511)는 제2비상연결부(312)에 결합되고,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라인연결포트(511)와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이 분리되더라도 라인연결포트(511)에서 시험유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라인연결포트(511)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비상정지바디부(301)의 연결부들에 결합되어 라인들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라인연결포트(511)를 통해 조절라인(512)의 양단부를 각각 제3비상연결부(313)와 제1연결부(321)에 연결할 수 있고, 조절밸브(510)의 양단부를 조절라인(512)에 연결할 수 있다.
압력센서(541)는 제3연결유로(343) 또는 제4연결유로(344)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게이지(542)는 제3연결유로(343) 또는 제4연결유로(344)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상정지바디부(301)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압작동기(100)와 결합되는 배면에는 제6비상연결부(316)와 비상더미부(351)와 제1비상연결부(311)와 제2연결부(322)와 제7비상연결부(317)가 차례로 나열되고, 제1비상연결부(311)를 중심으로 "V"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과 대향되는 정면에는 매뉴얼부(310)와 제4연결부(324)가 형성되고, 배면과 정면을 연결하는 사면 중 상면에는 제2비상연결부(312)와 제3비상연결부(313)와 제8비상연결부(318)가 형성되며, 사면 중 하면에는 제1연결부(321)와 제3연결부(323)가 형성되며, 사면 중 좌측면에는 제4비상연결부(314)가 형성되고, 사면 중 우측면에는 제5비상연결부(315)와 제9비상연결부(319)가 형성된다.
또한, 제2비상연결부(312)에는 라인연결포트(511)를 매개로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이 결합되고, 제3비상연결부(313)와 제1연결부(321)는 조절라인(512)으로 연결되며, 제3연결부(323)에는 압력게이지(542)가 결합되고, 제4연결부(324)에는 압력센서(541)가 결합된다. 이때, 압력게이지(542)는 커넥터(551)를 매개로 제3연결부(323)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551)와 압력게이지(542)를 분리하여도 커넥터(551)에서 시험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비상정지블럭(300)을 유압작동기(100)에 결합함에 따라 제1비상연결부(311)는 개폐동작라인(105)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322)는 덤프급유라인(106)에 연결되며, 제6비상연결부(316)와 제7비상연결부(317)는 각각 덤프배유라인(107)과 더미배유라인(108)에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비상정지블럭(300)을 통한 유압작동기(100)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비상연결부(314)와 제5비상연결부(315)와 제9비상연결부(319)를 폐쇄하여 유로를 차단한다. 이때, 블랭킹포트(521)를 각각 제4비상연결부(314)와 제5비상연결부(315)와 제9비상연결부(319)에 결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제4비상연결부(314)와 제5비상연결부(315)와 제9비상연결부(319)에는 시험유회수라인(172)을 연결하여 시험유를 회수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비상연결부(314, 315, 319)와 시험유회수라인(172) 사이에는 조절밸브(510)를 설치하여 시험유의 공급에 따라 제4비상연결부(314)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제8비상연결부(318)에는 비상정지신호라인(104)이 연결되어 있으나, 제8비상연결부(318)는 폐쇄하거나 조절밸브(510)를 설치한 다음 시험유회수라인(172)을 연결하여 시험유의 공급에 따라 제8비상연결부(318)를 개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뉴얼밸브(531)의 위치를 "0" 위치에 조정하고, 조절밸브(510)를 열어 덤프부(130)의 덤프유압실(132)에 시험유를 공급한다.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에 유압을 공급한 상태에서 조절밸브(510)를 열어 시험유를 공급할 수 있다.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에서 공급되는 시험유는 제2비상유로(332)와 매뉴얼부(310)와 제3비상유로(333)와 조절라인(512)과 제1연결유로(341)와 덤프급유라인(106)을 차례로 거쳐 덤프유압실(132)에 공급된다.
더불어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173)에서 공급되는 시험유는 제1비상유로(331)와 개폐동작라인(105)을 차례로 거쳐 차단밸브(160) 또는 개폐블럭(200)에 공급된다. 이때, 차단밸브(160)에 시험유가 공급되는 경우 차단밸브(160)가 열리므로, 구동밸브(140)를 동작시켜 차단밸브(160)에 공급되는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개폐블럭(200)에 공급되는 경우 개폐동작라인(105)을 차단하므로, 개폐블럭(200)을 통해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덤프유압실(132)에 공급되는 시험유의 압력은 105bar 이상 115bar 이하로 인가하되 실질적으로 110bar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매뉴얼밸브(531)의 위치를 "0" 위치에 조정하고, 조절밸브(510)를 잠근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압력센서(541) 또는 압력게이지(542)를 통해 차압을 확인함으로써, 덤프유압실(132)의 누유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시험을 마친 후에는 유압작동기(100)의 피스톤(120)이 복귀함에 따라 매뉴얼밸브(531)의 위치를 "잠금" 위치에 조정하거나 조절밸브(510)를 열면, 덤프시트(137)가 이동되어 실린더유압실(111)과 덤프유압실(132)과 배유실(136)을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덤프유압실(132)의 압력이 해제되고, 배유실(136)로 배출된 시험유는 덤프배유라인(107)과 더미배유라인(108)을 거치고, 비상정지블럭(300)의 제6비상유로(336)와 제7비상유로(337)를 거치며, 시험유회수라인(172)을 통해 회수할 수 있다.
개폐블럭(200)은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100)에 결합되는 차단밸브(160) 자리에 결합되고, 유압작동기(100)에 공급되는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개폐블럭(200)은 개폐바디부(201)와 제1개폐유로(224)와 제2개폐유로(225)를 포함한다.
개폐바디부(201)는 차단밸브(160) 자리에 결합된다. 여기서 개폐바디부(201)에 체결공(501)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개폐바디부(201)를 차단밸브(160) 자리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개폐유로(224)는 개폐바디부(201)에 관통 형성된다. 제1개폐유로(224)의 일측은 시험유를 개폐바디부(201)에 공급하는 시험유신호라인(171)이 연결되고, 제1개폐유로(224)의 타측은 유압전달라인(102)이 연결된다. 제1개폐유로(224)는 개폐바디부(201)에 형성되는 제1개폐부(221)에서 관통 형성되어 개폐바디부(201)에 형성되는 제2개폐부(222)와 연통된다.
제2개폐유로(225)는 제1개폐유로(224)에 연결된다. 제2개폐유로(225)는 개폐바디부(201)에 형성되는 제3개폐부(223)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개폐유로(224)에 연통된다.
여기서, 개폐블럭(200)은 개폐동작라인(105)에 연결되고, 개폐바디부(201)에 관통 형성되는 제3개폐유로(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개폐유로(213)는 제1개폐유로(224)의 일측에서 개폐바디부(201)에 형성되는 제4개폐부(211)에서 관통 형성되어 개폐바디부(201)에 형성되는 제5개폐부(212)와 연통된다.
상술한 개폐블럭(200)에는 조절밸브(510)와 라인연결포트(511)와 블랭킹포트(521)가 포함될 수 있다.
조절밸브(510)는 제2개폐유로(225)에 결합되어 제2개폐유로(225)의 개폐 동작을 조절한다. 조절밸브(510)는 니들밸브로 구성되고, 제2개폐유로(225)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조절라인을 차단할 수 있다.
라인연결포트(511)는 조절밸브(510)에 결합되어 조절밸브(510)에서 배출되는 시험유의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라인연결포트(511)에는 시험유회수라인(172)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라인연결포트(511)와 시험유회수라인(172)이 분리되더라도 라인연결포트(511)에서 시험유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라인연결포트(511)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조절밸브(510)에 결합되어 시험유회수라인(172)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블랭킹포트(521)는 개폐동작라인(105) 또는 제3개폐유로(213)를 폐쇄한다. 블랭킹포트(521)는 제4개폐부(211)에 결합되어 개폐동작라인(105) 또는 제3개폐유로(213)를 폐쇄하여 시험유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바디부(201)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압작동기(100)와 결합되는 배면에는 제2개폐부(222)와 제5개폐부(212)가 형성되며, 배면과 대향되는 정면에는 제1개폐부(221)와 제4개폐부(211)가 형성되고, 배면과 정면을 연결하는 사면 중 일면(도면에서는 우측면)에는 제3개폐부(223)가 형성된다.
또한, 제3개폐부(223)에는 조절밸브(510)와 라인연결포트(511)가 차례로 결합되고, 라인연결포트(511)에는 시험유회수라인(172)이 결합되며, 제1개폐부(221)에는 시험유신호라인(171)이 연결된다.
그리고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개폐블럭(200)을 유압작동기(100)에 결합함에 따라 제2개폐부(222)는 유압전달라인(102)에 연결되고, 제5개폐부(212)는 개폐동작라인(105)에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개폐블럭(200)을 통한 유압작동기의 시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개폐부(211)를 폐쇄하여 유로를 차단한다. 이때, 블랭킹포트(521)를 제4개폐부(211)에 결합하여 폐쇄함으로써, 비상정지블럭(300) 측에서 개폐동작라인(105)을 통해 전달되는 시험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개폐부(223)에 결합된 조절밸브(510)를 닫고 시험유신호라인(171)을 통해 시험유를 공급함에 따라 시험유는 제1개폐유로(224)와 유압전달라인(102)을 차례로 거쳐 구동밸브(140) 또는 구동블럭(400)에 공급된다. 이때, 구동밸브(140)에 시험유가 공급되는 경우, 구동밸브(140)를 동작시켜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블럭(400)에 시험유가 공급되는 경우, 구동블럭(400)에 형성되는 유로를 거쳐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할 수 있다.
개폐블럭(200)은 비상정지블럭(300)과 함께 설치됨으로써, 덤프유압실(132)에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한다.
시험을 마친 후에는 유압작동기(100)의 피스톤(120)이 복귀함에 따라 제3개폐부(223)에 결합된 조절밸브(510)를 열어 시험유가 회수되도록 한다.
구동블럭(400)은 유압작동기(100)에 결합되는 구동밸브(140) 자리에 결합되고, 차단밸브(160) 또는 개폐블럭(200)을 통과한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구동블럭(400)은 제1구동블럭(410)과 제2구동블럭(43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구동블럭(410)은 구동밸브(140) 중 서보밸브 자리에 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구동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1구동블럭(410)은 제1구동바디부(401)와 제1구동유로(413)와 제2구동유로(424)와 제4구동유로(426)를 포함하고, 제1구동더미부(451)와 제2구동더미부(4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바디부(401)는 구동밸브(140) 중 서보밸브 자리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구동바디부(401)는 체결공(501)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1구동바디부(401)를 서보밸브 자리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구동유로(413)는 제1구동바디부(401)에 관통 형성되고, 유압전달라인(102)에 연결된다. 제1구동유로(413)는 제1구동바디부(401)에 형성되는 제1구동결합부(411)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구동바디부(401)에 형성된 제2구동결합부(412)와 연통되도록 한다.
제2구동유로(424)는 제1구동바디부(401)에 관통 형성되고, 작동라인(103)에 연결된다. 제2구동유로(424)는 제1구동바디부(401)에 형성되는 제3구동결합부(421)에서 관통 형성되어 작동라인(103)과 연통되도록 한다.
제4구동유로(426)는 제2구동유로(424)에 연결된다. 제4구동유로(426)는 제1구동바디부(401)에 형성되는 제5구동결합부(423)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2구동유로(424)에 연결된다.
제1구동더미부(451)는 비상정지밸브(150)와 구동밸브(140)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108)을 폐쇄하고, 제2구동더미부(452)는 덤프부(130)에서 배출되는 시험유를 구동밸브(140) 측 또는 구동블럭(400) 측으로 전달하는 더미배유라인(108)을 폐쇄한다.
여기서, 제1구동블럭(410)은 작동라인(103)과 제2구동유로(424)를 연결하도록 제1구동바디부(401)에 관통 형성되는 제3구동유로(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유로(425)는 제1구동바디부(401)에 형성되는 제4구동결합부(422)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2구동유로(424) 또는 제4구동유로(426)에 연결된다.
상술한 제1구동블럭(410)에는 조절라인(512)과 조절밸브(510)가 포함되고, 압력센서(541)와 압력게이지(5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라인(512)은 제1구동유로(413)와 제2구동유로(424)를 연결한다.
조절밸브(510)는 조절라인(512) 상에 결합되어 조절라인(512)의 개폐 동작을 조절한다. 조절밸브(510)는 니들밸브로 구성되고, 조절라인(51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조절라인(512)을 차단할 수 있다.
압력센서(541)는 제4구동유로(426) 또는 조절라인(512)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게이지(542)는 제4구동유로(426) 또는 조절라인(512)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구동바디부(401)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압작동기(100)와 결합되는 배면에는 제2구동결합부(412)와 제4구동결합부(422)와 제1구동더미부(451)와 제2구동더미부(452)가 각각 사각형의 꼭지점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배면과 대향되는 정면에는 제1구동결합부(411)와 제3구동결합부(421)가 형성되고, 배면과 정면을 연결하는 사면 중 일면(도면에서는 하면)에는 제5구동결합부(423)가 형성된다.
또한, 제1구동결합부(411)와 제3구동결합부(421)는 조절라인(512)으로 연결되고, 제5구동결합부(423)에는 압력센서(541)와 압력게이지(5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된다.
그리고,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구동블럭(410)을 유압작동기(100)에 결합함에 따라 제2구동결합부(412)는 유압전달라인(102)에 연결되고, 제4구동결합부(422)는 작동라인(103)에 연결되며, 제1구동더미부(451)와 제2구동더미부(452)는 각각 더미배유라인(108)을 폐쇄하여 시험유의 이동을 차단한다.
지금부터는 제1구동블럭(410)을 통한 유압작동기(100)의 시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구동블럭(410)은 비상정지블럭(300)과 함께 설치됨으로써, 덤프유압실(132)에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한다.
조절밸브(510)를 열면 유압전달라인(102)을 통해 전달되는 시험유는 제1구동유로(413)와 조절라인(512)과 제2구동유로(424)와 작동라인(103)을 차례로 거쳐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되고, 피스톤(120)이 움직인다.
이때, 위치센서(109)에 의해 피스톤(1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유압작동기(100) 내의 피스톤(120)의 변위를 감지함으로써, 구간(행정)별 누유시험이 가능하게 되며, 시험유신호라인(171)의 전단에 설치된 유량센서(미도시)에 의해 누유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절밸브(510)를 닫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압력센서(541) 또는 압력게이지(542)를 통해 차압을 확인함으로써, 실린더유압실(111)의 누유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제2구동블럭(430)은 구동밸브(140) 중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결합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의 유로 형성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구동블럭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2구동블럭(430)은 제2구동바디부(403)와 제1결합유로(441)와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와 제7결합유로(447)를 포함하고, 제1결합더미부(453)와 제2결합더미부(4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바디부(403)는 구동밸브(140) 중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구동바디부(403)는 체결공(501)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2구동바디부(403)를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결합유로(441)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관통 형성되고, 유압전달라인(102)에 연결된다. 제1결합유로(441)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431)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된 제2결합부(432)와 연통되도록 한다.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는 각각 제2구동바디부(403)에 관통 형성되고, 작동라인(103)에 연결된다.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되는 제5결합부(435)와 제6결합부(436)에서 각각 관통 형성되어 관통 형성되어 작동라인(103)과 연통되도록 한다.
제7결합유로(447)는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에 연결된다. 제7결합유로(447)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되는 제7결합부(437)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에 연결된다.
제1결합더미부(453)는 비상정지밸브(150)와 구동밸브(140)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108)을 폐쇄하고, 제2결합더미부(454)는 덤프부(130)에서 배출되는 시험유를 구동밸브(140) 측 또는 구동블럭(400) 측으로 전달하는 더미배유라인(108)을 폐쇄한다.
여기서, 제2구동블럭(430)은 유압전달라인(102)과 제1결합유로(441)를 연결하도록 제2구동바디부(403)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유로(442)와, 제1결합유로(441) 또는 제2결합유로에 연결되는 제3결합유로(443)와, 작동라인(103)과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를 연결하도록 제2구동바디부(403)에 관통 형성되는 제4결합유로(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유로(442)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432)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결합유로(441)에 연통되도록 한다. 제3결합유로(443)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되는 제3결합부(433)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1결합유로(441) 또는 제2결합유로(442)에 연통되도록 한다. 제4결합유로(444)는 제2구동바디부(403)에 형성되는 제4결합부(434)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5결합유로(445) 또는 제6결합유로(446) 또는 제7결합유로(447)에 연통되도록 한다.
상술한 제2구동블럭(430)에는 조절라인(512)과 조절밸브(510)가 포함되고, 압력센서(541)와 압력게이지(5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라인(512)은 제1결합유로(441)와 제2결합유로(442)를 연결한다.
조절밸브(510)는 조절라인(512) 상에 결합되어 조절라인(512)의 개폐 동작을 조절한다. 조절밸브(510)는 니들밸브로 구성되고, 조절라인(51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조절라인(512)을 차단할 수 있다.
압력센서(541)는 제3결합유로(443)와 제7결합유로(447)와 조절라인(5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게이지(542)는 제3결합유로(443)와 제7결합유로(447)와 조절라인(5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구동바디부(403)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압작동기(100)와 결합되는 배면에는 제1결합더미부(453)와 제5결합부(435)와 제2결합부(432)와 제6결합부(436)와 제2결합더미부(454)가 차례로 나열되고, 제2결합부(432)를 중심으로 "V"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과 대향되는 정면에는 제1결합부(431)와 제4결합부(434)가 형성되고, 배면과 정면을 연결하는 사면 중 일면(도면에서 좌측면)에는 제3결합부(433)가 형성되고, 사면 중 다른 일면(도면에서 하면)에는 제7결합부(437)가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부(431)와 제4결합부(434)는 조절라인(512)으로 연결되고, 제7결합부(437)에는 압력센서(541)와 압력게이지(5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된다.
그리고,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구동블럭(430)을 유압작동기(100)에 결합함에 따라 제2결합부(432)는 유압전달라인(102)에 연결되고, 제5결합부(435)와 제6결합부(436)는 작동라인(103)에 연결되며, 제1결합더미부(453)와 제2결합더미부(454)는 각각 더미배유라인(108)을 폐쇄하여 시험유의 이동을 차단한다.
지금부터는 제2구동블럭(430)을 통한 유압작동기(100)의 시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구동블럭(430)은 비상정지블럭(300)과 함께 설치됨으로써, 덤프유압실(132)에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시험유를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한다.
조절밸브(510)를 열면 유압전달라인(102)을 통해 전달되는 시험유는 제1결합유로(441)와 조절라인(512)을 차례로 거치고, 제5결합유로(445)와 제6결합유로(446)를 지나 작동라인(103)을 거쳐 실린더유압실(111)에 공급되어 피스톤(120)이 움직인다.
그리고 조절밸브(510)를 닫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압력센서(541) 또는 압력게이지(542)를 통해 차압을 확인함으로써, 실린더유압실(111)의 누유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상술한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의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량의 조절을 위해 터빈 증기변의 개도 조절이나 개폐를 위한 유압작동기(100)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때, 터빈 증기변에 장착되는 유압작동기(10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유압작동기(100)의 내부 누유량을 시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전소의 정기 보수나 점검 시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100)가 정지된 상황에서도 이동식 시험기를 통해 유압작동기(100)가 터빈 증기변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유압작동기의 상태를 시험하거나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에서 유압작동기(100)를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정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에 유압작동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기(100)의 상태를 시험하거나 점검할 수 있으므로, 시험 또는 점검에 대한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유압작동기(100)의 시험 또는 점검 후에 정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과의 정밀도 향상과 정비 품질 향상으로 인해 정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발전소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터빈 증기변에서 유압작동기(100)를 분리하기 전에 사전 고장진단 및 성능검사를 통해 정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실질적인 사전 예방보전 기능으로 발전 정비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고,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 정비인력이 실질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정비에 대한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 또는 점검의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교체 또는 수리 등의 고장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정비 시간을 단축함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유압작동기 110: 실린더
111: 실린더유압실 113: 유압작동유로
120: 피스톤 130: 덤프부
131: 덤프캡 132: 덤프유압실
134: 덤프유압유로 136: 배유실
137: 덤프시트 140: 구동밸브
150: 비상정지밸브 160: 차단밸브
101: 유압신호라인 102: 유압전달라인
103: 작동라인 104: 비상정지신호라인
105: 개폐동작라인 106: 덤프급유라인
107: 덤프배유라인 107-1: 시스템배유라인
108: 더미배유라인 109: 위치센서
171: 시험유신호라인 172: 시험유회수라인
173: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
200: 개폐블럭 201: 개폐바디부
221: 제1개폐부 222: 제2개폐부
223: 제3개폐부 224: 제1개폐유로
225: 제2개폐유로 211: 제4개폐부
212: 제5개폐부 213: 제3개폐유로
300: 비상정지블럭 301: 비상정지바디부
310: 매뉴얼부 311: 제1비상연결부
312: 제2비상연결부 313: 제3비상연결부
314: 제4비상연결부 315: 제5비상연결부
316: 제6비상연결부 317: 제7비상연결부
318: 제8비상연결부 319: 제9비상연결부
321: 제1연결부 322: 제2연결부
323: 제3연결부 324: 제4연결부
331: 제1비상유로 332: 제2비상유로
333: 제3비상유로 334: 제4비상유로
335: 제5비상유로 336: 제6비상유로
337: 제7비상유로 338: 제8비상유로
339: 제9비상유로 341: 제1연결유로
342: 제2연결유로 343: 제3연결유로
344: 제4연결유로 351: 비상더미부
400: 구동블럭 410: 제1구동블럭
401: 제1구동바디부 411: 제1구동결합부
412: 제2구동결합부 413: 제1구동유로
421: 제3구동결합부 422: 제4구동결합부
423: 제5구동결합부 424: 제2구동유로
425: 제3구동유로 426: 제4구동유로
451: 제1구동더미부 452: 제2구동더미부
430: 제2구동블럭 403: 제2구동바디부
431: 제1결합부 432: 제2결합부
433: 제3결합부 434: 제4결합부
435: 제5결합부 436: 제6결합부
437: 제7결합부 441: 제1결합유로
442: 제2결합유로 443: 제3결합유로
444: 제4결합유로 445: 제5결합유로
446: 제6결합유로 447: 제7결합유로
453: 제1결합더미부 454: 제2결합더미부
501: 체결공 510: 조절밸브
511: 라인연결포트 512: 조절라인
521: 블랭킹포트 531: 매뉴얼밸브
541: 압력센서 542: 압력게이지
551: 커넥터

Claims (17)

  1.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비상정지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작동기에 공급되는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비상정지블럭; 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비상정지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비상정지바디부;
    상기 시험유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비상정지바디부에 형성되는 매뉴얼부;
    상기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차단밸브와 상기 비상정지밸브를 연결하는 개폐동작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동작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1비상유로;
    상기 시험유를 상기 비상정지바디부에 공급하는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과 상기 제1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2비상유로;
    상기 매뉴얼부에 연결되어 상기 매뉴얼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가 이송되는 제3비상유로; 및
    상기 유압작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덤프부로 상기 시험유를 공급하는 덤프급유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3비상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덤프부에 전달하는 제1연결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제1비상유로와 상기 제2비상유로를 연결하거나 상기 매뉴얼부와 상기 제2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4비상유로와, 상기 매뉴얼부와 상기 제3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5비상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덤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비상정지밸브 측으로 전달하는 덤프배유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덤프배유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6비상유로; 및
    상기 비상정지밸브와 상기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더미배유라인과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7비상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은,
    상기 제6비상유로와 상기 제7비상유로를 연결하는 제8비상유로; 및
    상기 제8비상유로와 상기 매뉴얼부를 연결하는 제9비상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에는,
    상기 매뉴얼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는 매뉴얼밸브;
    상기 제3비상유로와 상기 제1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조절라인;
    상기 조절라인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라인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상기 제2비상유로와 상기 덤프부시험유공급라인을 연결하는 라인연결포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블럭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3비상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3비상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8.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개폐블럭;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블럭은,
    상기 차단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개폐바디부;
    일측은 상기 시험유를 상기 개폐바디부에 공급하는 시험유신호라인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유압작동기에 결합되는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유압전달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개폐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개폐유로; 및
    상기 제1개폐유로에 연결되는 제2개폐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럭은,
    상기 개폐동작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개폐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럭에는,
    상기 제2개폐유로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유로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상기 조절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밸브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시험유회수라인이 연결되는 라인연결포트; 및
    상기 개폐동작라인 또는 상기 제3개폐유로를 폐쇄하는 블랭킹포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밸브 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밸브 또는 상기 개폐블럭을 통과한 상기 시험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동블럭;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블럭은,
    상기 구동밸브 중 서보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1구동블럭과, 상기 구동밸브 중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2구동블럭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블럭은,
    상기 서보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1구동바디부;
    상기 제1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유압전달라인에 연결되는 제1구동유로;
    상기 제1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에서 상기 유압작동기로 공급하는 작동라인에 연결되는 제2구동유로; 및
    상기 제2구동유로에 연결되는 제4구동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1구동더미부와, 상기 덤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 측으로 전달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2구동더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블럭은,
    상기 작동라인과 상기 제2구동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구동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블럭에는,
    상기 제1구동유로와 상기 제2구동유로를 연결하는 조절라인; 및
    상기 조절라인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라인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가 포함되고,
    상기 제4구동유로 또는 상기 조절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4구동유로 또는 상기 조절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블럭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자리에 결합되는 제2구동바디부;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차단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유압전달라인에 연결되는 제1결합유로;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에서 상기 유압작동기로 공급하는 작동라인에 연결되는 제5결합유로와 제6결합유로; 및
    상기 제5결합유로와 상기 제6결합유로에 연결되는 제7결합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밸브와 상기 구동밸브를 연결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1결합더미부와, 상기 덤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시험유를 상기 구동밸브 측으로 전달하는 더미배유라인을 폐쇄하는 제2결합더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블럭은,
    상기 유압전달라인과 상기 제1결합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유로;
    상기 제1결합유로 또는 상기 제2결합유로에 연결되는 제3결합유로; 및
    상기 작동라인과 상기 제5결합유로와 상기 제6결합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구동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4결합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블럭에는,
    상기 제1결합유로와 상기 제4결합유로를 연결하는 조절라인; 및
    상기 조절라인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라인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유로와 상기 제7결합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3결합유로와 상기 제7결합유로와 상기 조절라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시험유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KR1020130076023A 2013-06-28 2013-06-28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KR10139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023A KR101395931B1 (ko) 2013-06-28 2013-06-28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023A KR101395931B1 (ko) 2013-06-28 2013-06-28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931B1 true KR101395931B1 (ko) 2014-05-16

Family

ID=5089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023A KR101395931B1 (ko) 2013-06-28 2013-06-28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240B1 (ko) * 2016-12-29 2017-11-22 윤계천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블럭
KR101828489B1 (ko) 2017-08-09 2018-02-12 윤계천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구동블럭
WO2018124420A1 (ko) * 2016-12-29 2018-07-05 윤계천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블럭
KR102157680B1 (ko) * 2020-04-22 2020-09-18 윤계천 오일 세정 기능을 구비한 액츄에이터의 건전성 진단모듈
CN113820121A (zh) * 2021-11-17 2021-12-21 常州艾肯智造科技有限公司 具有快速安装结构的组合式疏水阀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682A (ja) * 1997-09-24 1999-04-09 Nok Corp リーク試験装置及びリーク試験方法
KR100856540B1 (ko) * 2008-04-01 2008-09-04 주식회사 에네스코 컨트롤타입 유압엑츄에이터용 테스트블럭
KR100869148B1 (ko) 2008-04-14 2008-11-18 황창성 발전설비의 터빈 증기변 유압장치 종합시험장비
KR101053642B1 (ko) 2010-10-20 2011-08-02 윤계천 터빈 증기 변의 유압 작동기 서보 시스템용 이동식 시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682A (ja) * 1997-09-24 1999-04-09 Nok Corp リーク試験装置及びリーク試験方法
KR100856540B1 (ko) * 2008-04-01 2008-09-04 주식회사 에네스코 컨트롤타입 유압엑츄에이터용 테스트블럭
KR100869148B1 (ko) 2008-04-14 2008-11-18 황창성 발전설비의 터빈 증기변 유압장치 종합시험장비
KR101053642B1 (ko) 2010-10-20 2011-08-02 윤계천 터빈 증기 변의 유압 작동기 서보 시스템용 이동식 시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240B1 (ko) * 2016-12-29 2017-11-22 윤계천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블럭
WO2018124420A1 (ko) * 2016-12-29 2018-07-05 윤계천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블럭
KR101828489B1 (ko) 2017-08-09 2018-02-12 윤계천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구동블럭
KR102157680B1 (ko) * 2020-04-22 2020-09-18 윤계천 오일 세정 기능을 구비한 액츄에이터의 건전성 진단모듈
WO2021215772A1 (ko) * 2020-04-22 2021-10-28 Yoon Gye Cheon 오일 세정 기능을 구비한 액츄에이터의 건전성 진단모듈
CN113820121A (zh) * 2021-11-17 2021-12-21 常州艾肯智造科技有限公司 具有快速安装结构的组合式疏水阀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931B1 (ko) 터빈 증기변의 유압작동기용 시험블럭
CN103485837B (zh) 入口歧管、跳闸控制系统、跳闸歧管系统及其操作方法以及测试方法
CN1854470B (zh) 电子可控制和可测试的涡轮机跳闸系统
JP5859575B2 (ja) 配管連結器及び燃料噴射システム
US20070157714A1 (en) Engine oil leak test system and method
KR102318046B1 (ko) 동력형 비상 해제 커플링 제어 및 감시 시스템
US20230332629A1 (en) Module having oil cleaning function for diagnosing integrity of actuator
EP2915986B1 (en) Evaluating air-tightness of a gaseous fuel manifold during purge gas flushing
US20130048093A1 (en) Control device for an extracting unit in the work face of a mine
KR100995306B1 (ko) 터빈의 프론트스탠다드 메케니칼 트립밸브의 테스트블록 및 방법
KR101800240B1 (ko)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블럭
CN103493033A (zh) 具有自动测试和自诊断的井口高完整性保护系统
KR101828489B1 (ko) 발전소 유압작동기의 운전 중 실시간 건전성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구동블럭
CZ282934B6 (cs) Pohon plnicího ventilu
KR101892387B1 (ko) 터빈밸브 유압 구동기 및 이를 구비한 터빈 발전 시스템
US10208683B2 (en) Electrical monitoring of gaseous fuel admission valves
KR101604367B1 (ko)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KR101722966B1 (ko) 가스분사밸브 검사장치
JP6139369B2 (ja) 蒸気弁装置
JP2008241497A (ja) コールドテストベンチのパワステオイル循環系統
JP6415973B2 (ja) タービン非常用制御装置
KR101418370B1 (ko) 발전소 솔레노이드밸브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KR200463038Y1 (ko) 정압기 점검장치
JP2006226947A (ja) 過流量阻止弁の作動検査システム及び作動検査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排水装置
KR101684844B1 (ko) 유압 테스트 겸용 유압유 교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