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13B1 -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 Google Patents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13B1
KR101395913B1 KR1020130130354A KR20130130354A KR101395913B1 KR 101395913 B1 KR101395913 B1 KR 101395913B1 KR 1020130130354 A KR1020130130354 A KR 1020130130354A KR 20130130354 A KR20130130354 A KR 20130130354A KR 101395913 B1 KR101395913 B1 KR 10139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reinforcing
steel
stiffen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창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Priority to KR102013013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reinforced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hich has an abutment part compositely connected to a pile foundation and can easily make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emb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positive and negative moment parts using a floor slab and a connection slab, whic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n abutment part, and a tension reinforcing member, which supports the slabs by tension, and to prevent the deflection and bending of the floor slab. The tension reinforced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or more abutment parts (110, 120) installed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teel composite slab (150)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butment parts to form a slab and consisting of a floor slab (130), which forms the slab between the abutment parts, and connection slabs (140), which are supported to the ground while being continuously and integrally slabbed with the floor slab; a bottom reinforcing plate (160) mounted on the top of the abutment parts to form the bottom of the floor slab (130) and serving as a form; tension reinforcing members (170)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composite slab while having both sides respectively fixed to the floor slab and the connection slab; and a reinforc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among the concave part and the convex part of the bottom reinforc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ave part or the convex part to be higher than the concave part or the convex part to reinforce the bottom reinforcing plate.

Description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purpose which is easy to fabricate camber using synthetic material and synthetic material connected with shift part.

본 발명은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바닥슬래브와 접속슬래브 및 이들 슬래브를 인장력에 의해 지지하는 인장보강재를 통해 정모멘트부의 강성을 증대하고 아울러 바닥슬래브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le-reinforced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sile reinforced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rigidity of a bottom section slab and a connection sla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lternation section, and a tensile stiffener that supports the slabs by a tensile force. And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which is compositely connected to an alternate portion pile foundation which can prevent a flexural deformation of a floor slab, and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일반적으로 라멘 구조물(교량, 건축물 등)의 데크슬래브 구조물은 슬래브, 벽체 및 기초로 구성되며 상기 슬래브와 벽체가 서로 연결된 지점부는 강결체로 연결된 철근 콘크리트재의 라멘교로서 벽체와 슬래브가 강결체로 연결된 단일재료인 철근 콘크리트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구조물 자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단면이 증가하게 되어 사하중의 증가와 교량의 공간이 축소되는 등의 문제점과 단면의 증가로 인하여 사하중의 증가에 따라 일반적으로 지간이 짧은 교량(개략적으로 지간 18M 이내)에만 슬래브 형식의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고, 장지간을 요하는 장소에는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거더 또는 박스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조물을 사용하고 있어, 종래의 라멘 구조물을 현장에 적용할 때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Generally, a deck slab structure of a raymen structure (bridges, buildings, etc.) is composed of a slab, a wall and a foundation, and the fulcrum portion where the slab and the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a raymen bridge of a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connected by a rigid body. As a result of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to resist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itself, the increase of the dead load, the reduction of the space of the bridge, and the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of the dead load In general, slab-type structures are used only for short bridges (roughly within 18 meters of bridge), and general structures using girders or boxes that are generally applied for long bridges are used,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pplying structures to the field. Has emerged.

또한 이러한 라멘 구조물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여 경제적으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나름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구조물 자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상기 슬래브 등의 구성부재 단면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고 특히, 단면력(인장력)이 커지는 단면부를 보강하여 힘을 원활히 분배하지 못해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지간이 짧은 구조물에만 라멘 구조물이 사용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aymen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constructed economically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it is relatively simple in construction, and in order to resist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itself, the cross s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is increas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is increased and the force is not distributed smoothly. In general, the rheme structure can not be used only for the short structure.

그리고 장지간을 요하는 장소에는 연속슬래브의 휨 모멘트의 감소와 단부와 중앙부 인장력에 대한 보강 대책에 필요하게 되었다.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ending moment of the continuous slab and to take measures to reinforce the end and center tensile force at the place where the long span is needed.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989313호)이 있다.According to this necessity, Patent 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10-0989313) by the present applicant is available.

특허문헌 1은 교대부 위에 지지되는 바닥슬래브 및 상기 바닥슬래브에 연결되면서 지반에 지지되는 접속슬래브로 강합성 슬래브를 구성하고, 교대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배치되는 바닥슬래브와 접속슬래브를 인장보강재로 지지함으로써 라멘 구조물의 취약부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하지만, 바닥슬래브의 휨 변형 방지를 위한 구성이 부족하고, 데크슬래브의 캠버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바닥슬래브의 처짐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장지간의 경우 바닥슬래브의 처짐이 극심한 단점이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eel composite slab composed of a bottom slab supported on an alterna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slab supported on the groun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slab and a bottom slab and a connecting sla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lternating portion as a center, However, the construction for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bottom slab is insufficient, and the manufacture of the deck slab camber is not easy, resulting in deflection of the bottom slab. In particul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lab of the bottom slab is severely damaged.

등록특허 제10-0989313호Patent No. 10-098931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력(인장력)이 커지는 단면부를 보강하여 힘을 원활히 분배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라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고, 데크슬래브의 캠버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슬래브의 휨 변형을 방지하여 처짐을 막을 수 있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camshaft of a deck slab, which can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onstruct a ramen structure by reinforcing the cros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us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an alternate pile foundation which can prevent sag deflection by preventing the slab from being bent.

본 발명에 의한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교대부와; 상기 교대부에 상부에 연결되어 슬래브를 형성하되, 상기 교대부의 사이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바닥슬래브 및 상기 바닥슬래브에 일체로 연속 슬래브화되면서 지반에 지지되는 접속슬래브로 이루어진 강합성 슬래브와; 상기 교대부의 상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강합성 슬래브의 저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거푸집을 겸하는 하부보강판과; 상기 강합성 슬래브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양측이 각각 바닥슬래브와 접속슬래브에 정착되는 인장보강재와; 상기 하부보강판의 요부와 철부 중에서 일측 이상에 상기 요부 또는 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요부 또는 철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판을 보강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중재하 후 소정의 캠버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hich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pile foundation of a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asy to produce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comprises at least two shift portion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t a mutual interval; A steel composite slab including a bottom slab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to form a slab, the bottom slab forming a slab between the alternating portions, and the connecting slab integrally continuous to the bottom slab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 lower reinforcing plate which forms a bottom portion of the steel composite slab while being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and serves also as a formwork; A tensile stiffener arranged on the steel composite sla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both sides fixed to the floor slab and the connecting slab, respectively; And a reinforcing member formed on one or more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so as to be higher than the concave or convex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ave or convex portion to reinforce the lower reinforcing plate. .

필요에 따라 장지간에 설치될 경우 하부보강판 하면에 강재빔을 추가로 설치하여 하부보강판과 강결시켜 거더로서 역할을 하게 되며 가설시 거더부는 힌지유도 반원형 가이드 플레이트에 정착하고 거더 사이에는 앵커바로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installed as required, a steel beam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to strengthen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and serve as a girder. In case of hiding, the girder section is fixed to the hinge guide semicircular guide plate, .

본 발명에 의한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의하면, 교량중앙부 바닥슬래브하면 인장에 대한 보강대책으로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을 사용하여 힘을 원활히 분배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새로운 교량 구조물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보강재와 하부 보강거더를 통해 바닥슬래브의 휨 모멘트를 극소화하여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단경간은 물론 장지간의 교량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s easy to fabricate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compositely connected to a pile found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ynthetic deck slab structure, a floor slab of a central portion of a bridge is tens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icient and economical new bridge structure by distributing the force smoothly by using the structure. By minimizing the bending moment of the bottom slab through the stiffener and the lower reinforcing gir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보강판의 강성 증대를 통해 바닥슬래브의 시공시 서포트 내지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하고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floor slab without using support or til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slab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the air can be shortened and the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장지간의 경우 교대부의 날개벽과 전도방지부를 통해 교대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을 영구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ng-distance side, the alternation part is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wing wall of the alternate part and the prevention part of the transition, so that the safety of the structure can be permanently secured.

도 1과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시공 상태도로서
도 1은 단지간의 시공 예이고,
도 2a은 긴장재를 이용한 장기간의 시공 예이고,
도 2b는 하부 보강거더를 이용한 장기간의 시공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교대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교대부에 적용된 파일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교대부에 적용된 파일부와 앵커바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교대부와 하부보강판의 연결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방향변환재 설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교대부 후면에 전도방지부의 구성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교대부와 전도방지부의 구성을 보인 시공 상태도.
도 10a와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하부보강판을 선하중에 의해 제작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a와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하부보강판과 보강판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2a와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하부보강판과 T형 단면의 보강앵글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3a와 도 13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하부보강판과 상면에 I형 단면의 보강빔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4a와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하부보강판과 요부(凹部)와 철부(凸部) 하면에 I형 단면의 거더형 보강재가 적용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c 내지 14e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거더형 보강재에 힌지부를 구성한 도면.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된 반원형 단면의 요부와 수평부가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의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의 바닥부와 보강부가 교대로 반복하여 결합된 예를 보인 단면도.
FIGS. 1, 2A and 2B are constructional diagrams of tensile strength steel composite deck slabs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1 is an example of a construction example between mats,
2A shows an example of a long-term construction using a tensile material,
2B shows an example of a long-term construction using a lower reinforcing girder.
3 is an illustration of an alternating portion applied to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e portion applied to an alternating portion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a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al tensile strength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pile portion and an anchor bar applied to an alternating portion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of a tensile strength reinforced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n alternating portion and a lower reinforcing plate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reinforcing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rectional re-installation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n anti-reverse portion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n alternating portion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a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al use.
FIG. 9 is a construction stat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alternating portion and an anti-falling portion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reinforcing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reinforcing plate applied to a tensile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preheating.
11A and 1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reinforcing plate and a reinforcing plate applied to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A and 1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lower reinforcing plate and a reinforcing angle of a T-shaped section applied to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S. 13A and 1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lower reinforcing plate applied to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of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inforcing beam of an I-shaped s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Figs. 14A and 14B show an example in which a lower reinforcing plate and a girder-type stiffener of an I-shaped section are applied to a lower surface of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respectively, applied to a synthetic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n.
Figs. 14C to 14E are diagrams each showing a hinge portion on a girder-type stiffener applied to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reinforcing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A and 15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recess and a horizontal part of a semicircular section applied to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tensile strength reinforcing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ternately repeatedly formed.
16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of th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ternately repeatedly combined.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100)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되는 2개 이상(2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의 교대부(110,120)와; 교대부(110,120)에 지지되면서 교대부(110,120)들 사이에서 바닥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주변 지반과 접속되는 것으로 바닥슬래브(130)와 접속슬래브(14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강합성 슬래브(150)와; 강합성 슬래브(150)의 저부를 형성하는 하부 보강판(160)과; 하부보강판(160)을 지지하는 보강재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tensile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100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hich is compositely connected to the pile found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asy to fabricate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110,120) of two or more (two shown as examples) installed; A steel composite slab 150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bottom slab 130 and a connection slab 14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ground while forming a bottom portion between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 Wow; A lower stiffening plate 160 forming a bottom of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여기에 인장보강재(170)가 적용될 수 있다. 인장보강재(170)는 강합성 슬래브(150)의 내부에 매설되며 인장력을 통해 강합성 슬래브(150)를 보강하며, 하부보강판(160) 상면에 설치될 수 있고, 하부보강판(160) 하면에 설치하여 보강빔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바닥슬래브(130)의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인장보강재(170)는 접속슬래브(140) - 바닥슬래브(130) - 접속슬래브(140)에 걸쳐 단일 구성이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접속슬래브(140) - 바닥슬래브(130)의 구간, 바닥슬래브(130) - 접속슬래브(140)의 구간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Here, the tensile reinforcement 170 may be applied. The tensile reinforcement 170 is embedded in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and reinforces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through a tensile force. The tensile reinforcement 17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160, So that the floor slab 130 can be prevented from sagging. The tensile stiffener 17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over the connecting slab 140 -the bottom slab 130-the connecting slab 140 as a whole and may include a section of the connecting slab 140-the bottom slab 130, (130) -connecting slab (140).

또는 도 2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인장보강재(170)를 방향변환재(180)를 통해 교대부(110,120) 부분이 다른 구간(정착단)보다 높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방향변환재(180)는 교대부(110,120)의 상부에 바닥슬래브(130)와 접속슬래브(140)의 저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따라서 인장보강재(17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방향변환재(180)를 중심으로 하여 바닥슬래브(130)와 접속슬래브(14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정착되어 인장력에 의한 바닥슬래브(130)의 처짐 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때, 인장보강재(170)는 각각의 교대부(110,120)에 설치되는 2개일 수 있고, 또는 이러한 배선방향을 따라 일측의 접속슬래브(140)에서부터 타측의 접속슬래브(140)로 가면서 설치되는 여러 개일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A, the tensile reinforcement 17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ions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are installed higher than other portions (fixing ends) through the direction changing member 180. That is, the direction changing material 180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slab 130 and the connecting slab 14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so that the tensile stiffener 170 can be moved The bottom slab 130 and the connecting slab 140 are downwardly sloped about the ash 180 and fixed to effectively prevent deflection of the bottom slab 130 due to the tensile force. At this time, the tensile stiffener 170 may be installed at each of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or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along the wiring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slab 140 to the connecting slab 140 at the other side .

도 2b는 바닥슬래브(130)의 저부에 거더형 보강재(600)(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가 적용되고, 교대부(110,120)와 바닥슬래브(130)가 앵커바를 통해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거더형 보강재(600)는 하부 보강판(160)의 저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바닥슬래브(130)를 보강하는 것으로 I빔, H빔, 앵글, 인장재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FIG. 2B shows an example in which a girder-type stiffener 600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slab 130, and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and the bottom slab 130 are installed through the anchor bars.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iffener 160 by welding or the like to reinforce the bottom slab 130, and it is possible to use an I beam, an H beam, an angle, a tensile material, or the like.

도 1은 지간이 짧은 경우 적용될 수 있고 도 2a와 도 2b는 지간이 긴 경우 적용될 수 있다.
FIG. 1 can be applied when the ground is short, and FIGS. 2A and 2B can be applied when the ground is long.

교대부(110,120)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면서 일부분이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지중에 매설되고 강합성 슬래브(150)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것이며, H 빔, 강관, PHC 파일 등의 파일부(111,121) 및 파일부(111,12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체부(112,1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교대부(110)를 PHC 파일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고 교대부(120)를 강관파일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식의 교대부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교대부의 예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The alternating sections 110 and 120 are built up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re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to the ground and support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at the bottom. And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laid in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respectively. Although the alternate portion 110 is shown as applied with the PHC file and the alternate portion 120 is shown as applied with a steel pipe file in the drawing, it is to be appreciated that the alternate portion is not necessarily shown as such, FIG.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PHC 파일의 파일부(111,121)는, 내부가 중공인 콘크리트 파일(111a,121a), 콘크리트 파일(111a,121a)에 설치되는 보강수단으로서 보강빔(111b,121b)(예컨대 H 빔), 보강빔(111b,121b)에 결합되는 보강재로서 스터드(111c,121c)와 구부림철근(111d,121d), 콘크리트 파일(111a,121a)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구성된다.3 and 4, the file portions 111 and 121 of the PHC file are reinforcing means provided in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and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respectively, which are hollow, and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For example, H beam),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and concrete that is inserted into the studs 111c and 121c, the bending reinforcing bars 111d and 121d, and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스터드(111c,121c)와 구부림철근(111d,121d)은 예를 들어 보강빔(111b,121b)에 종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고, 구부림철근(111d,121d)은 보강빔(111b,121b)의 양측 플랜지의 외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스터드(111c,121c)는 보강빔(111b,121b) 사이의 연결부 양측에 각각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tuds 111c and 121c and the bending reinforcing bars 111d and 121d may be alternately arranged repeate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and the bending reinforcing bars 111d and 121d may be arranged alternately 111b and 121b and the studs 111c and 121c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상기 보강수단은 콘크리트 파일(111a,121a)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큰 하중을 받는 부분에만 설치되어도 충분한 보강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 파일(111a,121a)의 일부분에만 설치되고, 설치방법으로는, 콘크리트 파일(111a,121a)을 항타 등으로 설치하고, 콘크리트 파일(111a,121a)의 내부에 상기 보강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수단을 콘크리트 파일(111a,121a) 안에 설치(콘크리트 미타설 상태)한 후 이 콘크리트 파일(111a,121a)을 항타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means may be formed entirely inside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but may be installed only in a part of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because it can be sufficiently reinforced even if it is installed only in a portion subjected to a large load,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can be installed by horses or the like and the reinforcing means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Alternatively, after the reinforc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in a condition where the concrete is not laid),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can be installed by hovering.

파일부(111,121)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와의 합성을 위하여 파일부(111,121)의 두부 정리 및 두부 보강을 할 수 있다.After the pile sections 111 and 121 are installed, the pile sections and the head part of the pile sections 111 and 121 can be augmented to be combined with the concrete wall sections 112 and 122.

파일부(111,121)와 콘크리트 벽체부(112,122)간의 합성 증대를 위하여 파일부(111,121)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에 매설되는 앵커수단 등이 연결된다.Anchor means or the like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a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to increase the composition of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and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앵커수단은 PHC 파일을 이용하는 파일부(111,121)와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H 빔의 앵커바(113,123)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nchor means may be, for example, an H-beam anchor bar 113 or 123 in order to facilitate binding with the file units 111 and 121 using a PHC file.

앵커바(113,123)에도 전술한 스터드와 철근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uds and reinforcing bars can be applied to the anchor bars 113 and 123 as well.

앵커바(113,123)는 연결재(114,124)를 통해 콘크리트 파일(111a,121a) 안에 매설된 보강빔(111b,121b)과 연결된다. 연결재(114,124)는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빔(111b,121b)과 앵커바(113,123)를 감싸는 홈을 갖는 형태이며 2개가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보강빔(111b,121b)과 앵커바(113,123)와 함께 볼팅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anchor bars 113 and 123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s 114 and 124. [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upling members 114 and 124 have grooves that enclose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and the anchor bars 113 and 123. Two connecting beams 114 and 124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and the anchor bars 113 and 123 It can be installed with bolting together.

앵커바(113,123)는 파일부(111,121)와 콘크리트 벽체부(112,122)를 합성하는 기능과 함께 교대부(110,120)와 바닥슬래브(130)가 일체로 견고하게 합성되도록 하는 기능도 겸하며,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앵커바(113,123)는 상부가 콘크리트 벽체부(112,122)를 관통하도록 매설되어 하부보강판(160)의 요부(또는 철부)를 관통하며 하부보강판(160)과 고정된다. 앵커바(113,123)와 하부보강판(160)의 고정은 예를 들어 하부보강판(160)의 위에 올려지면서 용접 고정되고 아울러 앵커바(113,123)에 용접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앵글(118,128)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nchor bars 113 and 123 have a function of composing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and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as well as a function of firmly combining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and the bottom slab 130 integrally, The anchor bars 113 and 123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so as to penetrate the concave portions or the convex portions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are fixed to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The fixing of the anchor bars 113 and 123 and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s performed by fixing a pair of fixed angles 118 and 128 welded and fixed on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welded to the anchor bars 113 and 123 Lt; / RTI >

앵커바(113,123)는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에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앵글(118,128)은 각각의 앵커바(113,123)를 하부보강판(160)에 고정하지 않고 모든 앵커바(113,123)를 함께 고정할 수 있는 점에서 앵커바(113,123)와 하부보강판(160)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anchor bars 113 and 123 are provided on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The anchor bars 118 and 128 may be fixed to the anchor bars 113 and 123 without fixing the anchor bars 113 and 123 to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160, The anchor bars 113 and 123 and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can be further strengthened in that they can be fixed together.

앵커바는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파일부(111,121)와 연결되지 않으면서 단독으로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에 매설되는 앵커봉도 가능하다.
The anchor bar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s, and anchor rods that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alone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are also possible.

인장보강재(170)는 파일부(111,121)에 연결되어 강합성슬래브(150)와 일체화됨으로써 교축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부담한 앵커바 역할을 하게 된다.The tensil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connected to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and integrated with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to serve as an anchor bar bearing the force transmitted in the throttle direction.

인장보강재(170)는 철근이나 강봉 또는 강연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조형상에 따라 구조안정성에 따른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The tensile reinforcement 170 can be made of steel bars, steel rods, or stranded wires, an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stability depending on the structure.

인장보강재(170)를 방향변환재(180)를 통해 설치하는 경우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방향변환재(180)가 적용된다.When the tensile stiffener 170 is installed through the direction changing material 180, as shown in Fig. 7, the direction changing material 180 is applied.

방향변환재(180)는 인장보강재(170)의 배선방향을 부드럽게 전환할 수 있으면서 교대부(110,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예를 들어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부에 인장보강재(170)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배선홈(181)이 구비된다.The direction changing member 180 is firmly fixed to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while smoothly switching the wiring direction of the tensile stiffener 170. For example, the tensile stiffener 17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wiring grooves 181 are provided so as not to be stably inserted.

방향변환재(180)를 바닥슬래브(130)와 접속슬래브(140)의 바닥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철근(115,125)이 설치될 수 있다. 보강철근(115,125)은 방향변환재(180)를 감싸면서 양단부가 파일부(111,121)에 고정되도록 예를 들어 "U"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5 and 125 may be installed to set the direction changing material 18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bottom slab 130 and the connecting slab 140. [ The reinforcing bars 115 and 125 may be bent, for example, in a "U" shape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while wrapping the direction changing material 180.

콘크리트 벽체부(112,122)는 파일부(111,121)를 심재로 하여 파일부(111,121)의 둘레부에 현장 타설로 형성된다.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are formed by putting the concrete in the periphery of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using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as core materials.

예를 들어 지중에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의 시공을 위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의 아래쪽 지중에 파일부(111,121)를 항타 등으로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부(112,122)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교대부(110,120)를 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hol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in the ground, providing the pile portions 111 and 121 in the lower ground of the hole by hammers, etc., and placing the concrete to form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can be constructed.

한편, 교대의 높이가 큰 경우와 교대전도가 예상되는 경우에 교대부(110,120)를 시공하는 과정 중에 교대부(110,120)의 후방을 뒷채움하며 이 과정에서 교대부(110,120)가 앞으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교대부(110,120)의 후방을 견고하게 뒷채움 및 다짐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교대부(110,120)의 후방에 공극이 생기게 되므로 지반의 유실이 발생되며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지지기반이 취약해짐에 따라 교대부(110,120)의 전도와 구조물의 붕괴가 유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9와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교대부(110,120) 즉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의 저부에 전도방지부(116,126)가 형성된다. 전도방지부(116,126)는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의 저부에 지반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며 상부에서 뒷채움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도방지부(116,126)가 교대부(110,120)의 전도를 막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lternation height is large and alternation conduction is anticipated, the rear portions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are back-filled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and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are pushed forward It is not possible to firmly back-fill the rear portions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This causes voids in the rear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which may result in the loss of the ground, and as a result, 9 and 1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uction of the conduction parts 110 and 120 and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bottom part of the alternation parts 110 and 120, i.e., the concrete wall parts 112 and 122, (116, 126) are formed. The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s 116 and 126 protrude toward the ground at the bottom of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The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s 116 and 126 prevent conduc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as backfilling is performed at the upper portion.

또한, 교대부(110,120)와 바닥슬래브(130)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슬래브(140)의 하면에는 교대부(110,120)의 측면을 지지하는 활동방지벽(141)을 설치하고 거더형 보강재(600)의 하면에는 교대부(110,120)의 측면을 지지하는 활동방지키(630)를 설치하여 교대부의 전도방지를 도울 수 있다. 활동방지키(630)는 거더형 보강재(60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거더형 보강재(600)가 없는 하부 보강판(160)의 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and the bottom slab 130, an activity prevention wall 141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lab 140, 600 may be provided with an activity-preventing key 630 for supporting the sides of the shift portions 110, 120 to help prevent the turnover of the shift portion. The activity-preventing key 630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only on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but may also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stiffener 160 without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이러한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교대부(110,120)의 좌우 양측에는 날개벽(117,12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날개벽(117,127)은 콘크리트 벽체부(112,122)의 좌우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일체 구성되어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휘한다.Wings 117 and 127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respectively. The wing walls 117 and 127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arranged at right and lef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crete wall portions 112 and 122 to exert a compressive force against the earth pressure.

날개벽(117,127)은 저부가 전도방지부(116,126)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ng walls 117 and 127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nderside of the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s 116 and 126.

또한, 날개벽(117,127)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교대부(110,120)와 연결되는 구성 이외에 접속슬래브(140)와 일체로 합성될 수 있고, 앵커바 형태로 지지됨으써 구조물의 강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도 도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날개벽(117,127)의 내부에 접속철근(117a,127a)[접속철근은 날개벽(117,127) 안에 배근되는 철근으로서 일부분이 날개벽(117,127)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근되어 보강과 접속의 기능을 겸하는 것, 접속만을 위한 것 모두 가능함]을 배근하고 이 접속철근(117a,127a)을 접속슬래브(140) 안에 매설되도록 접속슬래브(140)를 타설함으로써 날개벽(117,127)과 접속슬래브(140)를 일체로 합성한다.The wing walls 117 and 127 a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can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slabs 140 in addition to being connected to the alternating sections 110 and 120 and are supported in the form of anchor bars to maximize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17a and 127a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laid in such a manner that a part thereof is projected outside the wing walls 117 and 127 as reinforcing bars to be laid in the wing walls 117 and 127, 127 and the connecting slab 140 by inserting the connecting slabs 140 so tha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17a and 127a are embedded in the connecting slabs 140 140) are integrally synthesized.

강합성슬래브(150)는 양측 단부로부터 내측 저면에 위치한 교대부(110,120)를 기준으로 바닥슬래브(130)와 접속슬래브(140)가 연속된 보 형태의 기능을 하며, 접속슬래브(140)는 교대부(110,120)를 기준으로 지반에 지지된 캔틸레버 구조이다.The steel composite slab 150 functions as a continuous beam shape in which the bottom slab 130 and the connecting slab 140 function as a continuous beam with respect to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located at the inner bottom from both ends, And a cantilever structure supported on the ground with reference to the sections 110 and 120.

이러한 연속보형태로 강합성슬래브(150)가 교대부(110,120)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면, 강합성슬래브(150)에 작용하는 상면인장부 휨 부모멘트(-M1)가 종래 구조물의 우각부에 작용하는 휨 부모멘트와 대비하여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접속슬래브(140)와 동시에 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연속슬래브 구조물을 장지간화 함에 있어 연속슬래브의 휨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효과와 더불어 단부와 중앙부 인장력(휨부모멘트)에 대한 보강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물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in such a continuous beam shape, the longitudinal bending moment (-M1) acting on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acts on the right side portions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the bending moment of the continuous slab is relatively reduced when the steel composite continuous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ffect that the bending moment of the continuous slab is relatively reduced, The reinforcement of the tensile force (bending moment)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stable and economical structure.

하부보강판(160)은 강합성슬래브(150)의 단면 강성을 증가하기 위한 보강부재의 기능과 바닥슬래브(130)의 거푸집의 기능을 겸한다.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lso functions as a reinforcing member for increasing the sectional rigidity of the steel composite slab 150 and a function of the mold of the bottom slab 130.

하부보강판(160)은 요철형 단면이거나 요철이 없는 수평단면이거나 아치형태의 단면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이 가능하며, 요철형 단면의 경우 휨 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아치형 단면의 경우 전달하중을 교대부(110,120)에 효과적으로 전가하고 미관을 증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160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oncave-convex section, a horizontal section without concavity and convexity, or an arch-shaped section. In the case of the concave-convex section, the flexural rigidity can be increa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ansfer to the units 110 and 120 and enhance aesthetics.

하부보강판(160)의 선하중에 의해 캠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도 10a에서 보이는 것처럼, 공사 현장에서 교대부(110,120) 위에 하부보강판(160)을 올려 하부보강판(160)의 양측을 교대부(110,120)에 고정(용접 전의 가고정)한 후 하부보강판(160)의 중앙 저부에서 상향하중을 재하하여 하부보강판(160)이 만곡된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고 용접으로 교대부(110,120)와 고정함으로써 선하중에 의한 하부보강판(16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보강판(160)을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시공된 후 보강재를 하부보강판(160)에 고정한다. 즉 상기 보강재는 하부보강판(160)의 곡률에 맞도록 미리 재단될 것이다.As shown in FIG. 10A,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may be shifted by shifting both sides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by placing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on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lates 160 and 160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lates 160 and 160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with the line load can be installed. After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s bent in a convex shape upward, the reinforcing plate 160 is fixed to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That is, the stiffener will be cut in advance to match the curvature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다른 방법으로는 도 10b에서처럼, 공장에서 하부보강판(160)의 중앙을 지점으로 하여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향하중을 부여하여 만곡되도록 하고, 만곡된 하부보강판(160)의 곡률에 맞도록 미리 재단된 보강재를 고정하여 선하중을 부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B, a downward load may be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late 160 at the center of the plant to curvature,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d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pre-cut stiffener to give the pre-load.

하부보강판(160)은 길이방향의 양측이 교대부(110,120)에 각각 고정(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에 의한 앵커수단으로 고정)된다.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s fixed to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fixed by anchor means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이러한 구조의 하부보강판(160)은 요철 구조이기 때문에 휨 강성을 갖고 있지만, 하부보강판(160)의 구조만으로는 바닥 슬래브(130)의 하중을 감당하기 어려워 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이다.Since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 flexural rigidity because of the concavo-convex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makes it difficult to cover the load of the bottom slab 130, and thus uses a stiffener.

상기 보강재는 하부보강판(160)의 요부(161) 또는 철부(162)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직선형의 보강판(도 11a, 도 11b), 하부보강판(160)의 요부 또는 철부에 지지되는 T형 단면의 보강앵글(도 12a, 도 12b), I 형 단면의 보강빔(도 13a, 도 13b)이 사용되며,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11A and 11B) vertically installed on the recess 161 or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The reinforcing plate 160 is supported on the concave or convex portion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FIGS. 12A and 12B) and a reinforcing beam of an I-shaped cross section (FIGS. 13A and 13B) are used, and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m can be used in combination.

도 11a와 도 11b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판(200)은 하부보강판(160)의 요부에 대해 직각으로 세워지며 저부가 하부보강판(16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하부보강판(160)의 강성 증가를 통해 휨 변형을 방지한다. 11A and 11B, the reinforcing plate 200 is erected at right angles to the recess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plate 200 is fixed to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by welding or the like, Thereby preventing warpage deformation.

보강판(200)은 하부보강판(160)의 상부이면서 바닥슬래브(130)에 매설되는 전단연결철근(131)의 저부까지의 높이로 이루어진 판재 또는 전단연결철근(131)이 관통되는 구멍이나 전단연결철근(131)이 상부에서부터 끼워지도록 상부를 향해 개방된 홈을 갖는 판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판(200)과 전단연결철근(131)이 연결되면 하부보강판(160)과 보강판(200)과 전단연결철근(131) 및 바닥슬래브(130)의 콘크리트부의 일체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reinforcing plate 200 has a hole or shear through which the plate member or the shear connection reinforcing bar 131 having the height up to the bottom of the shea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31 buried in the bottom slab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t may be a plate having a groove opened upward so tha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131 is fitted from above. When the reinforcing plate 200 and the shear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late 200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portions of the shea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31 and the bottom slab 130 There are features.

보강판(200)은 강성 증대와 부착력 증대를 위하여 보강판(200)은 하부보강판(160)의 요부에 면접촉 되는 수평부가 추가 구성되는 L 형 단면도 가능하다.The reinforcing plate 200 may also have an L-shaped cross-section in which a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20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n order to increase rigidity and increase adhesion.

도 12a와 도 12b에서 보이는 것처럼, T형 단면의 보강앵글(300)은 하부보강판(160)의 요부의 바닥부에 세워지면서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수직부(310) 및 수직부(310)의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320)를 갖는 T형 단면이다.12A and 12B, the reinforcing angle 300 of the T-shaped s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and is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310 and the vertical portion 310 And a horizontal portion 320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upper portion.

T형 단면의 보강앵글(300)의 수직부(310)는 전단연결철근(131)이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310 of the reinforcing angle 300 of the T-shaped section may be formed with a hole for receiving the shear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31.

도 13a와 도 1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I형 단면의 보강빔(400)은 하부보강판(160)의 요부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I형 단면을 갖는 빔(H 빔, I 빔 등)이며 하부보강판(160)의 요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3A and 13B, the reinforcing beam 400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by a beam (H beam, I beam or the like)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on the basis of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beam 400 is installed 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is fixed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by welding or the lik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I형 단면의 빔(400)은 전단연결철근(131)이 관통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eam 400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may b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shear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31 are inserted and received.

도면에서 보강재[보강판(200), T형 단면의 보강앵글(300), I형 단면의 보강빔(400)]은 하부보강판(160)의 요부에만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철부에도 적용 가능하고, 또한 요부와 철부 모두에도 적용 가능하고 또한 요부의 저부에 거더형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a와 도 14b에서 보이는 것처럼, 거더형 보강재(600)는 하부보강판(160)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보강판(160)의 철부 하면(도 14a) 또는 요부 하면(도 14b)에 수직으로 관통 및 고정되는 수직부(610), 수직부(610)의 저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교대부(110,120)의 상면에 지지되는 바닥부(6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거더형 보강재(600)에 따르면 하부보강판(160)과 교대부(110,120)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커버플레이트 등을 통해 폐합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Although the reinforcing member 200 (the reinforcing plate 200, the reinforcing angle 300 of the T-shaped section and the reinforcing beam 400 of the I-shaped section) is shown only in the recess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t can be applied to both the lumbar part and the convex part, and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bottom part of the lumbar part as a girder type. 14A and 14B,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Fig. 14A) And a bottom portion 620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610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ft portions 110 and 120. The vertical portions 610 and the bottom portions 620, According to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since void spaces are formed between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the alternating portions 110 and 120, the concrete should be laid through the cover plate or the like after the closing.

도 14c 내지 도 14e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부보강판(160) 하부에 거더형 보강재(600)가 설치되는 경우 거더형 보강재(600)를 교대부에 고정(용접, 볼팅 등)하기 전에 거더형 보강재(600)가 위치가 변하지 않고 고수할 수 있으며 또한, 거더형 보강재(600)를 볼팅과 용접 위치로 자연스럽게 거치할 수 있도록 힌지부가 구성된다.14C to 14E, when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is installed under the lower stiffener 160, the girder stiffener 600 is fixed to the alternating portion (welding, bolting, etc.) 600 can be fixed without changing its position, and the hinge portion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can be naturally mounted to the bolting and welding positions.

상기 힌지부는 앵커바(113)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원형 단면의 힌지돌기(113a), 거더형 보강재(600)의 바닥부(620)에 바닥부(620)의 저부로 돌출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힌지돌기(113a)가 삽입되는 힌지홈(621)으로 구성된다.The hinge portion includes a hinge protrusion 113a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nchor bar 113 and a semicircular hinge protrusion 113a disposed at a bottom portion 620 of the girder stiffener 60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620. [ And a hinge groove 621 formed in a cross section and into which the hinge protrusion 113a is inserted.

힌지돌기(113a)와 힌지홈(621)은 강관의 절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2개의 반원형 단면의 곡선판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힌지돌기(113a)가 힌지홈(621)에 삽입되도록 어느 하나는 벤딩에 의한 곡률변화가 필요하다.The hinge protrusions 113a and the hinge grooves 621 are formed by curved plates of two semicircular sections formed by cutting steel pipes. Of course, any one of the hinge protrusions 113a is required to be inserted into the hinge grooves 621 to change the curvature by bending.

앵커바(113)의 상부에는 힌지돌기(113a)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힌지돌기(113a)의 고정과 함께 거더형 보강재(600)에 볼팅되도록 볼트공이 구성될 수도 있다.A fixing plate for fixing the hinge protrusion 113a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bar 113. The fixing plate may be a bolt hole so as to be bolted to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together with the fixing of the hinge protrusion 113a.

이와 같은 구조의 힌지부가 적용된 우각부에는 실질적으로 합성 후 하중과 차량 활하중만이 재하되어 우각부에 적은 철근량과 적은 콘크리트가 소요되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도출한다.In the right-angled part with the hinge part of this structure, only the post-synthesis load and the vehicle live load are loaded, and a small amount of reinforcing bar and a little concrete are required in the right corner.

거더형 보강재(600)가 연결되지 않는 부분의 앵커바(113)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위치 선정도 용이하도록 앵커바 연결판(113b)이 적용될 수 있다.The anchor bar connecting plate 113b can be appli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anchor bar 113 in the portion where the girder-type reinforcement 600 is not connected and to facilitate the position determination.

앵커바 연결판(113b)은 앵커바(113)가 관통하는 여유 있는 크기의 홀이 있으며, 고정앵글(118)을 통해 앵커바(113)와 고정될 수 있다.
The anchor bar connecting plate 113b has a hole of a size that allows the anchor bar 113 to pass therethrough and can be fixed to the anchor bar 113 through the fixed angle 118. [

도 15a와 도 15b는 하부보강판과 보강재의 다른 형태로서, 하부보강판(160)은 반원형 단면의 요부(163)와 수평부(164)가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보강재는 반원형 단면의 요부(163)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형 보강재(500)로 구성된다.15A and 15B are views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member.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cess 163 and a horizontal portion 164 of a semicircular section are alternately repeatedly formed, And a supporting stiffener 50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163 of the stator.

하부보강판(160)의 반원형 단면의 요부(163)와 수평부(164)는 콘크리트부와의 합성을 위하여 스터드가 함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cave portion 163 and the horizontal portion 164 of the semicircular sec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re preferably formed together with a stud to be combined with the concrete portion.

받침형 보강재(500)는 하부보강판(160)의 강성을 증대함과 더불어 지면에 지지되면서 하부보강판(160)을 받쳐 지지하는 것이며, 반원형 단면의 요부(163)에 지지되는 한 쌍의 다리부(510) 및 다리부(510)들의 저부에 연결되는 수평의 바닥부(520)로 구성된다.The supporting stiffener 500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and supports the lower stiffening plate 16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round. The supporting stiffener 500 includes a pair of legs 163 supported by a recess 163 having a semi- And a horizontal bottom portion 520 connected to the bottoms of the legs 510 and the legs 510.

받침형 보강재(500)는 반원형 단면의 요부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른 형태의 단면의 요부에도 적용 가능하다.
The backing stiffener 500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to recesses of a semicircular section and is also applicable to recesses of other types of sections.

전술한 보강재[보강판(200), T형 단면의 보강앵글(300), I형 단면의 보강빔(400)]는 바닥슬래브(130)의 콘크리트부와 일체로 합성될 수 있도록 스터드 등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iffener (the reinforcing plate 200, the reinforcing angle 300 of the T-shaped section and the reinforcing beam 400 of the I-shaped section) described above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crete portion of the bottom slab 130, .

지금까지는 하부보강판(160)과 보강재가 각각 단품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부보강판(160)과 보강재는 단일 구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the stiffener are described as being single pieces,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and the stiffener may have a single structure.

예를 들어 도 16a와 도 16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보강판(160)은 바닥부(165)와 보강부(166)의 조합으로서 바닥부(165)와 보강부(166)가 교대로 반복하여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6A and 16B,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60 is a combination of the bottom portion 165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66, and the bottom portion 165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66 are alternately repeated Lt; / RTI >

바닥부(165)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단일 형태 단면일 수도 있고 도면에서처럼 좌우 양측에 각각 수직부(165a)가 구비된 채널일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65 may be a flat single-sided cross-section, or may be a channel having vertical portions 165a on both sides, as shown in the figure.

보강부(166)는 예를 들어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I형 단면의 빔이며 수평부가 바닥부(165)의 수직부(165a) 위에 올려지면서 용접 고정된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portion 166 is a beam of an I-shaped cross section and is welded and fixed while the horizontal portion thereof is placed on the vertical portion 165a of the bottom portion 165. [

즉 보강부(166)는 바닥부(165)와 연결되는 연결부(166a), 휨 변형 방지를 위한 수직의 보강부(166b)를 갖는 구조이면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할 수 있다.
That is, the reinforcing portion 166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has a connecting portion 166a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65 and a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166b for preventing warpage.

100 : 라멘 구조물, 110,120 : 교대부
130 : 바닥슬래브, 140 : 접속슬래브
150 : 강합성 슬래브, 160 : 하부보강판
170 : 인장보강재, 180 : 방향변환재
200 : 보강판, 300 : T형 단면의 보강앵글
400 : I형 단면의 보강빔, 500 : 받침형 보강재
600 : 거더형 보강재
100: Raman structure, 110,120:
130: bottom slab, 140: connecting slab
150: steel composite slab, 160: lower reinforcing plate
170: tensile stiffener, 180: direction changing material
200: reinforcing plate, 300: reinforcing angle of T-shaped section
400: a reinforcing beam of an I-shaped section, 500: a supporting stiffener
600: girder type reinforcement

Claims (15)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교대부(110,120)와;
상기 교대부에 상부에 연결되어 슬래브를 형성하되, 상기 교대부의 사이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바닥슬래브(130) 및 상기 바닥슬래브에 일체로 연속 슬래브화되면서 지반에 지지되는 접속슬래브(140)로 이루어진 강합성 슬래브(150)와;
상기 교대부의 상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강합성 슬래브의 저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거푸집을 겸하는 하부보강판(160)과;
상기 강합성 슬래브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양측이 각각 바닥슬래브와 접속슬래브에 정착되는 인장보강재(170)와;
상기 하부보강판의 요부와 철부 중에서 일측 이상의 저부에 상기 요부 또는 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거더형 보강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형 보강재(60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교대부의 상부로 돌출된 앵커바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볼팅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 후 마감 콘크리트를 통해 상기 교대부와 일체로 합성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거더형 보강재(600)와 상기 앵커바는 요철의 힌지부를 통해 상호 간에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
At least two shift portions (110, 120) installed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 bottom slab 130 forming a slab between the alternating portions and a connecting slab 140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continuous slab formation in the bottom slab integrally connected to the alternating portion to form a slab, A composite slab 150;
A lower reinforcing plate 16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to form a bottom portion of the steel composite slab and serve also as a formwork;
A tensile stiffener (170) arranged on the steel composite sla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both sides fixed to the floor slab and the connecting slab, respectively;
And a girder-type stiffener (60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ave or convex portion at one or more bottoms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bar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girder-type stiffener 600 by means of bolting or welding, and is then integrally formed with the alternate portion through the finished concrete. The girder reinforcing material (600) and the anchor bars are assembled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part of the unevenness. The composite part is connected to the pile foundation and the camber is easily manufactured by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Deck slab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힌지부는 강관을 절단한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대부의 앵커버와 상기 거더형 보강재(600)에 서로 끼움되도록 각각 고정되는 힌지돌기(113a)와 힌지홈(6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 The hinge unit of claim 1, wherein the hinge unit comprises a hinge protrusion (113a) and a hinge groove (621), each of which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cut from a steel pipe and is fixed to the anchor burr and the girder stiffener (600) And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having tensile strength reinforced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or easy manufacture of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의 상부로 돌출된 앵커바는 상기 교대부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바 연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7] The anchor ba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chor bar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is fixed to the anchor bar connecting plate fixed to the alternating portion. And structural tensile steel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속슬래브의 하면에 형성되는 활동방지벽(141)과 상기 거더형 보강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활동방지키(6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ctivity prevention wall (141)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lab and an activity prevention key (63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girder- Synthetic deck slab construction for tensile strength steel reinforced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camber using synthetic joints and stiffeners. 삭제delete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는 지중에 정착되는 파일부(111,121), 상기 파일부에 지지되면서 벽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부(112,122), 상기 콘크리트 벽체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지면을 향해 형성되는 날개벽(117,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Claim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ternating portion comprises a pile portion (111,121) fixed to the ground, a concrete wall portion (112,122) supported by the pile portion to form a wall, (117,127). Th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is made of reinforcing steel and is easy to fabricate a camber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날개벽은 접속철근을 통해 상기 접속슬래브와 일체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Th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wing wall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slab through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8. Th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of claim 1,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부의 바닥부에 지면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부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
[Claim 10] The apparatus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ground at a bottom portion of the concrete wall portion to prevent conduction of the concrete wall portion. This easy - to - use composite steel deck slab construction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의 파일부(111,121)는, 내부가 중공인 콘크리트 파일(111a,121a), 상기 콘크리트 파일(111a,121a)에 설치되는 보강수단으로서 보강빔(111b,121b), 상기 보강빔(111b,121b)에 결합되는 보강재, 상기 콘크리트 파일(111a,121a)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Th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ile portions (111, 121) of the alternate portion are reinforced beams (111b, 121b) as reinforcing means provided in the concrete piles (111a, 121a) A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the reinforcing beams 111b and 121b and a concrete laid in the concrete piles 111a and 121a. The alternating portion is synthetic and connected to the pile foundation, Synthetic Deck Slab Structures for Building Tension Reinforced Stee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판은 선하중을 통해 중앙부가 볼록한 만곡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하부보강판의 곡률에 맞도록 재단되어 상기 하부보강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is form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central portion convex through a linear load, and the reinforcement is cut to fit the curvature of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and fixed to the lower reinforcement plate. Synthetic deck slab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tensile stee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hich is easy to fabricate camber using synthetic material connected with file found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장보강재의 중앙부를 상기 인장보강재의 양쪽의 정착단보다 높은 위치로 지지하면서 상기 인장보강재의 방향변환을 유도하는 방향변환재(1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가 파일기초와 합성 연결되고 보강재를 이용한 캠버 제작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인장보강 강합성 데크슬래브 구조물.The directional coupl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rection change material (180) disposed on the alternating portion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stiffener while supporting a central portion of the tensile stiffener at a position higher than both fixing ends of the tensile stiffener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 which is compositely connected to the pile foundation and which is made of a reinforcing material and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KR1020130130354A 2013-10-30 2013-10-30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KR101395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54A KR101395913B1 (en) 2013-10-30 2013-10-30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54A KR101395913B1 (en) 2013-10-30 2013-10-30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913B1 true KR101395913B1 (en) 2014-05-15

Family

ID=5089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354A KR101395913B1 (en) 2013-10-30 2013-10-30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1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125B1 (en) * 2016-07-20 2017-03-06 성연건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estressed steel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Rahmen Bridge
KR101765846B1 (en) * 2016-03-23 2017-08-10 (주)지아이건설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76742B1 (en) * 2018-09-21 2019-08-28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Steel deck reinforce slab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612678B1 (en) 2023-08-10 2023-12-13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A steel-concrete composite pile structure for a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13B1 (en) * 2010-01-25 2010-10-25 권경원 Bridge structure by composition slab with reinforced tensile strength
KR101170628B1 (en) * 2012-02-29 2012-08-02 이경표 A prestressed steel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 steel composite slab bridg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13B1 (en) * 2010-01-25 2010-10-25 권경원 Bridge structure by composition slab with reinforced tensile strength
KR101170628B1 (en) * 2012-02-29 2012-08-02 이경표 A prestressed steel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 steel composite slab bridge using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846B1 (en) * 2016-03-23 2017-08-10 (주)지아이건설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12125B1 (en) * 2016-07-20 2017-03-06 성연건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estressed steel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Rahmen Bridge
KR101976742B1 (en) * 2018-09-21 2019-08-28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Steel deck reinforce slab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612678B1 (en) 2023-08-10 2023-12-13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A steel-concrete composite pile structure for a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5657B1 (en)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ier and concrete girder
KR101652664B1 (en) Precast deckplate and composite slab and concrete slab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1512466A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lining and bridge structure
KR101301076B1 (en)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front wall panel and precast back wall panel
JP2007023714A (en) Composite floor slab using shape steel, composite floor slab bridge or composi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395913B1 (en) Tension reinforced deck slab structure
JP2006316580A (en) Corrugated steel plate web pc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web pc composite beam
KR101519086B1 (en) Bridg using t-girder with pile supporting apparatus and bridg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57620B1 (en) Rahmen structure production method using pile
JP4851881B2 (en) Embank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embankment structure
KR101146758B1 (en) Rahmen structure using lateral strut member
KR100839439B1 (en) Moment connection structure combining a superstructure with substructure in the prefabricated rahmen bridge and method constructing rahmen bridge with the structure
KR101851557B1 (en) Arch structure with reinforced arch rib segment and arch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722977B1 (en) A reinforcement of foundation
JP2007023713A (en) Steel/concrete composite rigid-fram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256341A (en) Corrugated steel-plate web u component bridge
KR101216126B1 (en) Arch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xial and longitudinal connection rebar
KR101940876B1 (en)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89313B1 (en) Bridge structure by composition slab with reinforced tensile strength
KR101878762B1 (en)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KR101651495B1 (en) Constructing Method of Non-Bridge Seat Bridge
KR101426155B1 (en) The hybrid rahmen structure which can add prestress on steel girder of horizontal member by gap difference of connection face between vertical member and steel girder of horizontal member
JP5750246B2 (en)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JP7417087B2 (en) Half precast structural version
KR101272119B1 (en) PSC box girder of Propiled steel web for constructing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