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806B1 -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806B1
KR101395806B1 KR1020130100111A KR20130100111A KR101395806B1 KR 101395806 B1 KR101395806 B1 KR 101395806B1 KR 1020130100111 A KR1020130100111 A KR 1020130100111A KR 20130100111 A KR20130100111 A KR 20130100111A KR 101395806 B1 KR101395806 B1 KR 10139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lexible sample
flexible
connecto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테크
Priority to KR102013010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있어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Installation module and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flexible specimen of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시료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되고,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커버모듈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개인 소지품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들은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갈수록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에 따라 휴대형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부품들도 그 기능을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더 향상시키면서 경박단소한 외형을 갖는 방향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한편, 휴대형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각종 부품 및 각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를 테스트 하기 위해 테스트 소켓을 사용한다. 테스트 소켓은 커넥터가 연결된 부위, 모양에 따라 시료가 안착되는 장착모듈의 형상 및 사이즈가 바뀐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테스트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시료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테스트 소켓은(20)은, 플렉서블 시료(14)를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46)에 안착시킨 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켜 플렉서블 시료(14)의 불량율을 검사한다.
최근 전자기기의 다양한 모양과 소형화로 인해 플렉서블 시료(14)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테스트 피치(Pitch)가 좁아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상태로 변하고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46)의 형상으로는 플렉서블 시료(14)를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차모듈(46)에 안착시킨 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 인해서, 테스트 중 플렉서블 시료(14)의 끝 부분이 뜨거나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테스트 소켓(20)에 의해 플렉서블 시료(14)가 씹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테스트 중 플렉서블 시료(14)의 끝 부분이 뜨는 경우 테스트 시 에러율이 높아질 수 있고,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테스트 소켓(20)에 의해 플렉서블 시료(14)가 씹히는 경우 시간 및 비용적 측면에서 불이익이 있으므로, 플렉서블 시료(14)의 형상 및 재질변화에 맞춰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46)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0-01173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의 형상을 변경하여 테스트 도중, 테스트하는 플렉서블 시료가 뜨거나 테스트 소켓에 의해 플렉서블 시료가 씹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있어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에 있어서,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에 전기 신호를 통전하여 검사하는 검사모듈; 상기 플렉서블 시료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장착모듈; 및 상기 장착모듈에 장착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가압하여 수직방향 움직임을 블로킹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방법은,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에 전기 신호를 통전하여 검사하는 검사모듈, 상기 플렉서블 시료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장착모듈 및 상기 장착모듈에 장착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가압하여 수직방향 움직임을 블로킹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를 이용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시료를 리세스에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커버모듈로 상기 슬라이딩 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커버모듈을 장착모듈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검사모듈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시료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안착시 끝부분이 뜨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서블 시료의 테스트시 에러(Error)율을 감소시키고 정확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동시에 테스트 비용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시료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 및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플렉서블 시료를 테스트 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시료가 씹히는 현상을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테스트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시료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시료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 중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시료가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100)에 있어서, 지지모듈(170), 지지모듈(170)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214)에 전기 신호를 통전하여 검사하는 검사모듈(150, 160), 플렉서블 시료(214)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장착모듈(140) 및 장착모듈(140)에 장착된 플렉서블 시료(214)를 가압하여 수직방향 움직임을 블로킹하는 커버모듈(110, 120)을 포함한다. 이 때, 장착모듈(140)은,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142)를 구비한다.
지지모듈(170)은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100)의 복수의 모듈들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고, 검사모듈(150, 160)은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안착시, 플렉서블 시료(214)의 하면과 전기적으로 신호를 통전하여 플렉서블 시료(214)의 불량률을 검사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모듈(100, 120)은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 된 후, 플렉서블 시료(21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플렉서블 시료(214)와 검사모듈(150, 160)이 전기적으로 잘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시료(214)를 테스트 하는 동안 플렉서블 시료(214)의 움직임을 블로킹할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처음부터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고, 플렉서블 시료(214)가 수직방향으로 안착되고 일부분만 슬라이딩 삽입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면 장착모듈(140)의 형상 및 장착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140)은 바디부(146) 및 바디부(146) 상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214)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삽입부(144)를 포함한다. 이 때, 삽입부(144)는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142)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시료(214)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삽입부(144)는,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플렉서블 시료(214)가 리세스(142)에 삽입될 수 있으면 삽입부(14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140)은 바디부(146)와 바디부(146) 상에 플렉서블 시료(214)가 슬라이딩되어 안착될 수 있는 삽입부(144)를 구비하고, 바디부(146)의 상면에 덮개모듈(130)이 배치되어,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140)에 안착되는 플렉서블 시료(214)를 검사모듈(150, 16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휴대폰 및 일반 전자기기 제작시 관련부품의 불량검사가 필요하다. 최근 불량검사를 위한 시료는, 일정한 모양을 벗어나 점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모양으로 변화하는 제품들에 맞추어 플렉서블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써 불량률 검사를 위한 테스트를 보다 빠르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가 삽입부(144)에 형성된 리세스(142)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커버모듈(110, 120)이 상기 슬라이딩 결합된 플렉서블 시료(214)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가 뜨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잘못된 안착으로 인해 플렉서블 시료(214)의 외관이 씹히는 불량이 줄어들고, 작업자들이 플렉서블 시료(214)를 장착모듈(140)에 여러 번 안착하여 테스트하는 불편함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테스트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테스트 시간을 줄여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140)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 안쪽 및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리세스(14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가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장착모듈(140)에 형성되는 리세스(142)의 위치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장착모듈(140) 상부에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덮개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덮개모듈(130)은 장착모듈(140)을 검사모듈(150, 160)위에 안정적으로 안착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100)는 지지모듈(170)과 커버모듈(110, 120)을 연결하는 힌지(190)를 포함한다. 이 때, 커버모듈(110, 120)은 힌지(19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플렉서블 시료(214)의 일부를 가압한다.
또한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100)는 커버모듈(110, 120)이 플렉서블 시료(214)를 가압시, 커버모듈(110, 120)을 지지모듈(170)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12, 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부재(112, 180)는 스냅-핏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재(112, 180)는 후크(180)와 결합홈(112)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후크(180)가 결합홈(112) 걸려 커버모듈(110, 120)을 지지모듈(1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체결부재(112, 180)는 커버모듈(110, 120)을 지지모듈(170)에 고정 시킬 수 있으면 형상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커버모듈(110, 120)이 장착모듈(140)에 안착된 플렉서블 시료(21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 및 고정할 수 있으면, 커버모듈(110, 120)이 플렉서블 시료(214)를 가압하고 고정하는 형상 및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방법은 지지모듈(170), 지지모듈(170)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214)에 전기 신호를 통전하여 검사하는 검사모듈(150, 160), 플렉서블 시료(214)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장착모듈(140) 및 장착모듈(140)에 장착된 플렉서블(214) 시료를 가압하여 수직방향 움직임을 블로킹하는 커버모듈(110, 120)을 포함하되, 장착모듈(140)은,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142)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100)를 이용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시료(214)를 리세스(142)에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커버모듈(110, 120)로 상기 슬라이딩 된 플렉서블 시료(21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 커버모듈(110, 120)을 장착모듈(140)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검사모듈(150, 160)로 플렉서블 시료(214)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시료(214)의 단부를 리세스(142)에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커버모듈(110, 120)이 플렉서블 시료(21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도 플렉서블 시료(214)의 끝부분이 뜨지 않아 검사모듈(150, 16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처음부터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고, 플렉서블 시료(214)가 수직방향으로 안착되고 일부분만 슬라이딩 삽입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플렉서블 시료(214)가 장착모듈(14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면 장착모듈(140)의 형상 및 장착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플렉서블 시료(214)를 테스트함에 있어서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4: 플렉서블 시료
20: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테스트 소켓
46: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100: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140: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장착모듈
142: 리세스
214: 플렉서블 시료

Claims (7)

  1. 삭제
  2.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에 있어서,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에 전기 신호를 통전하여 검사하는 검사모듈;
    상기 플렉서블 시료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장착모듈; 및
    상기 장착모듈에 장착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가압하여 수직방향 움직임을 블로킹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 안쪽 및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리세스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과 상기 커버모듈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힌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렉서블 시료의 일부를 가압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가압시, 상기 커버모듈을 상기 지지모듈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스냅-핏 구조로 체결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7.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시료에 전기 신호를 통전하여 검사하는 검사모듈, 상기 플렉서블 시료가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장착모듈 및 상기 장착모듈에 장착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가압하여 수직방향 움직임을 블로킹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서블 시료의 단부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를 이용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시료를 리세스에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커버모듈로 상기 슬라이딩 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커버모듈을 장착모듈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검사모듈로 상기 플렉서블 시료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방법.
KR1020130100111A 2013-08-23 2013-08-23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39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111A KR101395806B1 (ko) 2013-08-23 2013-08-23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111A KR101395806B1 (ko) 2013-08-23 2013-08-23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806B1 true KR101395806B1 (ko) 2014-05-16

Family

ID=5089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111A KR101395806B1 (ko) 2013-08-23 2013-08-23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8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452A (ko) * 2005-11-23 2006-12-06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
KR101212945B1 (ko) * 2012-06-22 2012-12-18 디플러스(주) 수직형 프로브를 갖는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452A (ko) * 2005-11-23 2006-12-06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
KR101212945B1 (ko) * 2012-06-22 2012-12-18 디플러스(주) 수직형 프로브를 갖는 검사용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303B1 (ko) 제품 테스트 소켓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US78391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radio frequency (RF) shielding defects
KR101444774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KR101963723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US20140260703A1 (en) Device for holding voice coil motor during tests and test fixture for testing voice coil motor
KR20080042732A (ko) 중계 커넥터
KR20170024650A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059177B1 (ko) 중계 커넥터
KR101444787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KR20150015985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US10890565B2 (en) Portable phased array test instrument
KR101395806B1 (ko) 커넥터의 플렉서블 시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954293B1 (ko)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용 테스트 확장형 젠더
KR20170142610A (ko) 반도체 소자를 수납하기 위한 인서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테스트 트레이
KR101316826B1 (ko) 소형 전자부품 검사용 프로브장치
JP4820394B2 (ja) テストソケット
KR102521076B1 (ko) 반도체 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인서트 조립체와 테스트 소켓의 불량 검사 방법
KR101624981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KR100898043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986284B1 (ko) 커넥터 기밀성 시험 장치
CN111446568A (zh) 一种防引脚损坏的多触点插座
KR102196098B1 (ko) 전자 모듈 검사용 소켓 조립체
KR101985209B1 (ko) 동력전달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컨택 동작이 이루어지는 멀티 푸셔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 소켓
KR101738621B1 (ko) 보드 일체형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