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90B1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90B1
KR101395190B1 KR1020120115150A KR20120115150A KR101395190B1 KR 101395190 B1 KR101395190 B1 KR 101395190B1 KR 1020120115150 A KR1020120115150 A KR 1020120115150A KR 20120115150 A KR20120115150 A KR 20120115150A KR 101395190 B1 KR101395190 B1 KR 10139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housing
light source
fixed support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216A (ko
Inventor
이성구
김대현
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우신에이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에이펙 filed Critical (주)우신에이펙
Priority to KR102012011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1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6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Abstract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LED 조명장치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LED소자, 상기 LED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는 냉각용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LED 조명장치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조명장치로서 백열등, 할로겐등, 방전등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LED 조명장치는 LED 소자를 광원(light source)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LED 소자는 반도체의 P-N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시킨 소수 캐리어를 생성시킨 후, 다시 상기 소수 캐리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이 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LED 소자의 발광 파장은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적색, 청색, 황색을 만들 수 있으며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백색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LED 조명장치는 백열등, 할로겐등과 같은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고, 효율이 좋으며 그리고 고속 응답이라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렌즈유닛, LED 모듈, AC-DC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전력공급원의 외부전력(일반적으로, 220V의 교류 전력)을 LED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직류 전력(일반적으로, LED 모듈 양단에 3V 직류 전압 인가)으로 전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AC-DC 전원장치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일반적으로 LED 모듈의 발광시 LED 모듈은 AC-DC 전원장치의 발열 등으로 인해 대략 70 ℃ ~ 75 ℃까지 온도가 상승하므로 LED 모듈의 발열로 인해 AC-DC 전원장치의 수명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방열핀만을 구비하여 AC-DC 전원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랭방식으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공랭식 냉각은 냉각효율이 낮고 냉각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LED소자, 상기 LED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는 냉각용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상기 제1 수용부재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냉각용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각용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순환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지지부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2 수용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칸막이부는 방열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에 대해 회전방식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에 대한 상하이동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연장부와 상기 탄성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 연장부와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수용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부재의 상부면에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LED소자, 상기 LED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는 냉각용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로 냉각용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챔버에서 냉각용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제2 수용부재의 배출구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수용부재의 유입구에 파이프 또는 가요성 튜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지지부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2 수용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용부재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연장부와 상기 탄성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LED 조명장치를 구조적으로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를 추가하여 LED 조명장치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설비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LED 조명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를 포함하는 LED 조명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시스템(1000)은 조명공간(예를 들어, 공장 등등) 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조명장치(100)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200)과,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용 유체(F)(예를 들어, 물)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조명장치(100)로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0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조명장치(100)의 방열부재와 열교환한 냉각용 유체(F)를 냉각하는 냉각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LED 조명장치(100)는 고정지지부(60) 또는 고정유닛(50)을 통하여 설치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지지부(60) 또는 상기 고정유닛(5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유닛(200)은 전원공급원(예를 들어, 한국전력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각각의 LED 조명장치(100)에 구비되는 전력공급부(13)에 전선 또는 케이블(L)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전력공급부(13)로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조명장치(100)는 각각 냉각용 유체(F)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시키는 챔버(66)(즉, 후술할 제2 수용부재(65))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조명장치(100)에 구비된 챔버(66)들은 서로 파이프 또는 튜브에 의해 냉각용 유체(F)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순환펌프(300)는 각각의 LED 조명장치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냉각용 유체(F)가 상기 챔버(66)들과 파이프 또는 튜브를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냉각용 유체(F)를 LED 조명장치 각각에 개별적으로 개별적으로 펌핑한다.
냉각유닛(400)은 각각의 LED 조명장치(100)와 열교환한 냉각용 유체(F)를 외부 환경(예를 들어, 지하, 외부공기 등등)과 열교환시켜 상기 냉각용 유체(F)를 냉각한다.
상기 냉각유닛(400)은 예를 들어 땅속에 매설된 열교환기로 구성되거나, 또는 송풍팬 등의 강제통풍을 이용하여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로 구성되거나, 또는 냉각탑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대하여, 특히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지지부(60) 또는 고정유닛(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하나의 광원부(10)와,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하는 하우징(40)과,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60)와, 상기 고정지지부(60)를 둘러싸는 케이스(70)와, 상기 광원부(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과, 상기 고정지지부(60)로 냉각용 유체(F)가 공급되고 상기 고정지지부(60)로부터 냉각용 유체(F)가 배출되는 냉각용 유체(F)순환관(P)을 포함한다.
광원부(10)는 LED소자(11)와, 상기 LED소자(11)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부(13)는 전원공급유닛(200)에서 공급된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소자(11)의 출광면 쪽에는 확산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확산부재(20)의 테두리에는 반사판(30)이 장착된다.
하우징(4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칸막이부(41)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41)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전력공급부(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또는 전극 등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광원부(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방열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력공급부(13) 및 인쇄회로기판(12)에서 발생된 열은 하우징(40)을 통하여 고정지지부(60)로 전달된 후 외부로 방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공간에는 LED소자(11) 및 인쇄회로기판(12)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상부공간에는 전력공급부(13)가 수용된다. 이렇게, 하우징(40)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12)과 전력공급부(13)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함으로써, 전력공급부(13)에서 인쇄회로기판(12) 및 LED소자(11)에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40)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40)을 수용하는 고정지지부(60)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고정지지부(60)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40)의 외측면과 고정지지부(60)의 내측면의 면접촉으로 하우징(40)에서 고정지지부(60)로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는 하우징(40)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한다.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설치공간 내의 프레임 또는 천정에 연결되고,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지지부(60)의 상부에는 고정지지부(6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지지부(60) 및 광원부(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70)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상기 하우징(40) 및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61)와,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66)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6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각용 유체(F)는 상기 광원부(10)(즉, LED소자(11), 인쇄회로기판(12), 전력공급부(13))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여 상기 광원부(10)를 냉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4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하부 테두리에 베이스플레이트(62)와,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측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보강용 리브(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하우징(40)을 통하여 광원부(10)의 열을 전달받아 제2 수용부재(65)로 전달하는 방열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챔버(66)와, 상기 챔버(66) 내부로 냉각용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구(67)와, 상기 챔버(66) 내부의 냉각용 유체(F)가 상기 챔버(66)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6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수용부재(65)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66)의 내부는 방수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입구(67)는 제2 수용부재(65)의 하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68)는 제2 수용부재(65)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는, 냉각용 유체(F)가 챔버(66) 내로 유입된 후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에서 배출구(68)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용 유체(F)가 하우징(40) 및 제1 수용부재(6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동시에 냉각용 유체(F)가 냉각용 유체(F)순환관(P)을 통하여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는 경우 누적되는 열량을 희석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유입구(67)는 각각의 순환펌프(3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는 중공(中空)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부(6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부(60a)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제1 수용부재(61)에서 발생된 열(즉, 광원부(10)에서 발생되어 전달된 열)이 제2 수용부재(65)로 전달되는 열전달부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60)의 하부는 하우징(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61)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부(60)의 상부는 냉각용 유체(F)가 통과하는 챔버(66)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65)를 구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칸막이부(60a)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에서 상기 제2 수용부재(65)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는 복수 개의 방열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수용부재(61)에서 제2 수용부재(65)의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LED 조명장치(10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 및 측면 중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하나의 광원부(10')와,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하는 하우징(40')과,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60')와, 상기 고정지지부(60')를 둘러싸는 케이스(70')와, 상기 광원부(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과, 상기 고정지지부(60')로 냉각용 유체(F)가 공급되고 상기 고정지지부(60')로부터 냉각용 유체(F)가 배출되는 냉각용 유체(F)순환관(P)을 포함한다.
광원부(10')는 LED소자(11')와, 상기 LED소자(11')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부(13')는 전원공급유닛(200')에서 공급된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소자(11')의 출광면 쪽에는 확산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확산부재(20')의 테두리에는 반사판(30')이 장착된다.
하우징(4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칸막이부(41')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41')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전력공급부(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또는 전극 등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광원부(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방열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력공급부(13') 및 인쇄회로기판(12')에서 발생된 열은 하우징(40')을 통하여 고정지지부(60')로 전달된 후 외부로 방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공간에는 LED소자(11') 및 인쇄회로기판(12')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상부공간에는 전력공급부(13')가 수용된다. 이렇게, 하우징(40')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12')과 전력공급부(13')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함으로써, 전력공급부(13')에서 인쇄회로기판(12') 및 LED소자(11')에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40')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40')을 수용하는 고정지지부(60')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고정지지부(60')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40')의 외측면과 고정지지부(60')의 내측면의 면접촉으로 하우징(40')에서 고정지지부(60')로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는 하우징(40')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한다. 상기 고정지지부(6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설치공간 내의 프레임 또는 천정에 연결되고,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지지부(60')의 상부에는 고정지지부(6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지지부(60') 및 광원부(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70')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상기 하우징(40') 및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61')와,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66')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6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각용 유체(F)는 상기 광원부(10')(즉, LED소자(11'), 인쇄회로기판(12'), 전력공급부(13')')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여 상기 광원부(10')를 냉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4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하부 테두리에 베이스플레이트(62')와,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측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보강용 리브(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하우징(40')을 통하여 광원부(10')의 열을 전달받아 제2 수용부재(65')로 전달하는 방열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외측면에는 나사산(61a')이 구비된다. 상기 나사산(61a')은 후술할 제2 수용부재(65')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65a')에 체결된다.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챔버(66')와, 상기 챔버(66') 내부로 냉각용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구(67')와, 상기 챔버(66') 내부의 냉각용 유체(F)가 상기 챔버(66')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6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수용부재(65')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66')의 내부는 방수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입구(67')는 제2 수용부재(65')의 하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68')는 제2 수용부재(65')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는, 냉각용 유체(F)가 챔버(66') 내로 유입된 후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에서 배출구(68')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용 유체(F)가 하우징(40') 및 제1 수용부재(6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동시에 냉각용 유체(F)가 냉각용 유체(F)순환관(P)을 통하여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는 경우 누적되는 열량을 희석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유입구(67')는 각각의 순환펌프(3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캡(cap) 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 및 측면(또는 상기 측면 중 일부')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내측면, 즉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나사산(65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나사산(65a')은 제1 수용부재(61')의 외측면에 구비된 나사산(61a')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에 대해 회전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는 제2 수용부재(65')를 제1 수용부재(61')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고정지지부(60')에 해당하는 제1 수용부재(61')의 외측면에 나사산만을 형성한 후 제2 수용부재(65')를 추가하면 되므로 기존의 설비에 대한 추가비용이 적게 들며, 간단한 구조로 LED 조명장치(10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하나의 광원부(10")와,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하는 하우징(40")과,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60")와, 상기 고정지지부(60")를 둘러싸는 케이스(70")와, 상기 광원부(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과, 상기 고정지지부(60")로 냉각용 유체(F)가 공급되고 상기 고정지지부(60")로부터 냉각용 유체(F)가 배출되는 냉각용 유체(F)순환관(P)을 포함한다.
광원부(10")는 LED소자(11")와, 상기 LED소자(11")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부(13")는 전원공급유닛(200")에서 공급된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소자(11")의 출광면 쪽에는 확산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확산부재(20")의 테두리에는 반사판(30")이 장착된다.
하우징(4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칸막이부(41")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41")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전력공급부(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또는 전극 등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광원부(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방열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력공급부(13") 및 인쇄회로기판(12")에서 발생된 열은 하우징(40")을 통하여 고정지지부(60")로 전달된 후 외부로 방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공간에는 LED소자(11") 및 인쇄회로기판(12")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상부공간에는 전력공급부(13")가 수용된다. 이렇게, 하우징(40")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12")과 전력공급부(13")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함으로써, 전력공급부(13")에서 인쇄회로기판(12") 및 LED소자(11")에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40")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40")을 수용하는 고정지지부(60")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고정지지부(60")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40")의 외측면과 고정지지부(60")의 내측면의 면접촉으로 하우징(40")에서 고정지지부(60")로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는 하우징(40")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한다. 상기 고정지지부(6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설치공간 내의 프레임 또는 천정에 연결되고,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지지부(60")의 상부에는 고정지지부(6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지지부(60") 및 광원부(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70")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상기 하우징(40") 및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61")와,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66")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6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각용 유체(F)는 상기 광원부(10")(즉, LED소자(11"), 인쇄회로기판(12"), 전력공급부(13")")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여 상기 광원부(10")를 냉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4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외경은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내측면의 직경과 동일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수용부재(61")의 외측면과 제2 수용부재(65")의 내측면의 면접촉으로 제1 수용부재(61")에서 제2 수용부재(65")로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하부 테두리에 베이스플레이트(62")와,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측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2")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보강용 리브(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하우징(40")을 통하여 광원부(10")의 열을 전달받아 제2 수용부재(65")로 전달하는 방열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챔버(66")와, 상기 챔버(66") 내부로 냉각용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구(67")와, 상기 챔버(66") 내부의 냉각용 유체(F)가 상기 챔버(66")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6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수용부재(65")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66")의 내부는 방수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입구(67")는 제2 수용부재(65")의 하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68")는 제2 수용부재(65")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는, 냉각용 유체(F)가 챔버(66") 내로 유입된 후 제2 수용부재(65")의 챔버(66")에서 배출구(68")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용 유체(F)가 하우징(40") 및 제1 수용부재(6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동시에 냉각용 유체(F)가 냉각용 유체(F)순환관(P)을 통하여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는 경우 누적되는 열량을 희석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유입구(67")는 각각의 순환펌프(3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부재(65")는 제1 수용부재(61")에 대한 상하이동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캡(cap") 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 및 측면(또는 상기 측면 중 일부")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부재(65")가 제1 수용부재(61")에 대한 상하이동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용부재(61")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64")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69")를 포함한다.
상기 랜스부재(64")는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 변형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연장부(64a")와 상기 탄성 연장부(64a")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64b")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64b")는 탄성 연장부(64a")와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수용부재(65")가 상기 제1 수용부재(6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상부면에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제2 수용부재(65")는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64")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69")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69")는 상기 걸림부(6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더 큰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관통구(69")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 내부의 챔버(66")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는 제2 수용부재(65")를 제1 수용부재(61")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고정지지부(60")에 해당하는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에 랜스부재(64")를 추가로 형성한 후 제2 수용부재(65")를 추가하면 되므로 기존의 설비에 대한 추가비용이 적게 들며, 간단한 구조로 LED 조명장치(10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유닛(5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유닛(5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유닛(5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100')(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상당수 포함하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가급적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100')(100")에 구비되는 고정지지부(60)를 복수 개 포함하는 고정유닛(5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100')(100")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100')(100")는 하나의 LED 조명장치에 하나의 광원부(10) 및 하나의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하나의 조명장치에 복수 개의 광원부(10) 및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상기 광원부(10)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10)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2)를 포함하는 고정유닛(5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상기 하우징(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61)와, 상기 광원부(10)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는 냉각용 유체(F)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66)와 상기 챔버(66)로 냉각용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구(67)와 상기 챔버(66)에서 냉각용 유체(F)가 배출되는 배출구(68)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6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2 수용부재(65)들은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의 배출구(68)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의 유입구(67)에 파이프 또는 가요성 튜브(51)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재(65)에서 상기 배출구(68)는 상기 유입구(67)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에서 배출된 냉각용 유체(F)는 상기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의 배출구(68)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 사이의 수두(水頭) 차이로 인해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에서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수용부재(65)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각용 유체(F)의 강제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300)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순환펌프(300)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유닛(50)은 광원부(10) 및 하우징(40)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는 각각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부(60)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부(4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2 수용부재(65)를 구성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서 전술하였는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유닛(50)은 광원부(10) 및 하우징(40)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재(65)는 각각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재(65)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서 전술하였는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고정유닛(50)은 광원부(10) 및 하우징(40)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재(61)는 각각 복수 개의 랜스부재(64)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부재(64)는 상기 제1 수용부재(61)의 상부면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연장부와 상기 탄성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랜스부재(64)와의 결합을 위하여, 복수 개의 제2 수용부재(65)는 각각 복수 개의 랜스부재(64)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69)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에서 전술하였는바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LED 조명장치를 구조적으로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를 추가하여 LED 조명장치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의 설비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 LED 조명시스템
100 : LED 조명장치
10 : 광원부
20 : 확산부재
30 : 반사판
40 : 하우징
50 : 고정유닛
60 : 고정지지부
70 : 케이스

Claims (18)

  1. LED소자, 상기 LED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는 냉각용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상기 제1 수용부재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냉각용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각용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순환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2 수용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방열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에 대해 회전방식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에 대한 상하이동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연장부와 상기 탄성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 연장부와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수용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부재의 상부면에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3. LED소자, 상기 LED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부를 설치공간에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열과 열교환하는 냉각용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통과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로 냉각용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챔버에서 냉각용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2 수용부재의 배출구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수용부재의 유입구에 파이프 또는 가요성 튜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2 수용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재는 복수 개의 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상부면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연장부와 상기 탄성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랜스부재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KR1020120115150A 2012-10-17 2012-10-17 Led 조명장치 KR10139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50A KR101395190B1 (ko) 2012-10-17 2012-10-17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50A KR101395190B1 (ko) 2012-10-17 2012-10-17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16A KR20140049216A (ko) 2014-04-25
KR101395190B1 true KR101395190B1 (ko) 2014-05-15

Family

ID=5065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150A KR101395190B1 (ko) 2012-10-17 2012-10-17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53B1 (ko) * 2018-05-25 2018-06-26 김욱 조명등기구 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2472A (ja) 2009-05-25 2010-12-02 Stanley Electric Co Ltd Led照明装置
KR101034935B1 (ko) 2009-07-30 2011-05-17 박상희 방송 및 사진 촬영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53880Y1 (ko) 2009-02-05 2011-06-01 주식회사 스타라이팅 공랭 및 수냉식 냉각구조를 가진 터널등
KR101159038B1 (ko) 2012-04-09 2012-06-22 주식회사 송촌조명 조명등기구 방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80Y1 (ko) 2009-02-05 2011-06-01 주식회사 스타라이팅 공랭 및 수냉식 냉각구조를 가진 터널등
JP2010272472A (ja) 2009-05-25 2010-12-02 Stanley Electric Co Ltd Led照明装置
KR101034935B1 (ko) 2009-07-30 2011-05-17 박상희 방송 및 사진 촬영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59038B1 (ko) 2012-04-09 2012-06-22 주식회사 송촌조명 조명등기구 방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16A (ko)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210B2 (en) LED lamp with heat sink assembly
US8087803B2 (en) LED lamp
KR101026794B1 (ko) 직관형 엘이디 조명램프
JP2011154785A (ja) 屋外用照明器具
KR101072584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10000509A (ko) 조명장치
KR101544495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40943B1 (ko) Led 조명장치
KR100953451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395190B1 (ko) Led 조명장치
KR100981683B1 (ko) Led조명기구
KR200454488Y1 (ko) 조명장치
KR101661983B1 (ko) 조명장치
KR20110047770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KR101241972B1 (ko) 엘이디 터널등
KR200473384Y1 (ko) 공냉식 수직방열판 모듈이 형성된 led 조명등
KR101045457B1 (ko) 컨버터 내장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089733B1 (ko) 고출력 엘이디용 방열판
KR101217689B1 (ko) Led 조명등
KR101135989B1 (ko) 엘이디 등기구
CN212252178U (zh) 球泡灯
KR101331990B1 (ko) 휴대용 led 등기구
KR101447972B1 (ko) 전원소켓이 삽입되어 등기구에 밀착 지지하도록 한 엘이디 램프
CN219976329U (zh) 一种植物照明灯
KR101333777B1 (ko) 엘이디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