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75B1 -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 Google Patents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75B1
KR101394975B1 KR1020120147293A KR20120147293A KR101394975B1 KR 101394975 B1 KR101394975 B1 KR 101394975B1 KR 1020120147293 A KR1020120147293 A KR 1020120147293A KR 20120147293 A KR20120147293 A KR 20120147293A KR 101394975 B1 KR101394975 B1 KR 10139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plate
lateral side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찬
이대성
이종윤
노승엽
Original Assignee
금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블록 조립체를 제작한 후, 블록 조립체를 아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하여 아치구조물을 완성함에 있어서, 이러한 아치구조물을 이루는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동시에 일괄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치블록(100)의 하면(102)을 형성하는 바닥거푸집판(10)과,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거푸집판(10) 위에 설치되어 아치블록(100)의 경사진 종방향 측면(103, 104)을 형성하게 되는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과,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을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과,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는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상면(101)의 폭보다 하면(102)의 폭이 더 작은 형태의 하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100)을 복수개로 동시에 일괄 제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Form for Manufacturing Several Blocks for Arch Structure}
본 발명은 아치구조물 형성용 아치블록을 복수개로 동시에 일괄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블록 조립체를 제작한 후, 블록 조립체를 아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하여 아치구조물을 완성함에 있어서, 이러한 아치구조물을 이루는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동시에 일괄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아치구조물은 교량이나 중,소규모의 개착식 터널로 활용되고 있다. 아래에서 선행기술문헌으로 언급하고 있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157638호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종방향으로 일렬 배열하되 섬유재질의 망으로 이루어진 연결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시켜 하나의 구조체가 되도록 공장에서 복수개의 블록 조립체를 제작한 후, 이러한 블록 조립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아치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아치 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아치구조물의 시공에 이용되는 블록 조립체(110)가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조립체(110)를 수평하게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 조립체(1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복수개의 아치블록이 일렬로 연속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져 아치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교량 등의 아치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록 조립체가 상향으로 구부러져 아치형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블록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아치블록은 한 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블록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면의 폭보다 하면의 폭이 더 작은 형태의 하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져야 한다.
도 3에는 블록 조립체를 이루는데 이용되는 아치블록(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A방향 즉, 아치블록(100)이 복수개로 연결되어 블록 조립체를 형성하였을 때 블록 조립체가 길게 연장되는 블록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편의상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이에 수직한 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B-B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아치블록(100)에서 종방향 측면(103, 104)은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수직선으로부터 각도 θ만큼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아치블록(100)의 상면(101)에서의 종방향 폭은, 하면(102)의 종방향 폭보다 더 크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아치블록(100)은, 종방향으로 상면(101)의 폭보다 하면(102)의 폭이 더 작은 형태의 하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에서 부재번호 113은 아치블록(100)을 연속하여 배치하고, 연속된 아치블록(100)의 상면에 피복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블록 조립체(110)를 제작할 때 아치블록(100)과 피복콘크리트 간의 결합을 위하여 아치블록(100)의 상면에 설치하는 매립철근(113)이다. 도 3에서 매립철근(113)의 하단은 아치블록(100)에 매립되어 있어서 표현되어 있지 아니하며, 단지 아치블록(100)의 위쪽에 매립철근(113)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만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아치블록(100)은 그 형상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종방향 측면(103, 104)이 경사진 각도 θ가 매우 중요하다. 상기 각도 θ가 변화됨에 따라 블록 조립체가 구부러져 만드는 아치형상의 길이 및 상향 굴곡된 높이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된 형상의 아치구조물을 형성하려면, 블록 조립체를 이루는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은 애초에 설계된 상태로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블록 조립체에는 많은 개수의 아치블록이 사용되며, 교량의 폭이나 터널의 길이 등과 같이 아치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구조물의 구축에는 많은 개수의 블록 조립체가 사용되므로, 실제 아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개수의 아치블록이 이용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애초에 설계한 형상에 맞추어서 정교하게 동일하고 균일한 형상으로 제작하면서도 많은 개수를 신속하게 제작하는 것이, 아치구조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638호(2012. 06. 19.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를 제작한 후, 이러한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교량, 터널 등의 아치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아치구조물을 이루는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설계된 형상에 맞추어서 동일한 형상으로 정교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아치구조물의 신속시공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치구조물 형성용 블록 조립체를 이루는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장치로서,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나의 바닥거푸집판과,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거푸집판 위에 설치되어 2개의 이웃하는 아치블록에 대해 각각의 경사진 종방향 측면을 형성하게 되는 종측면 경사거푸집판과,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횡방향 측면을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과, 상기 바닥거푸집판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는 종단부 경사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상면의 폭보다 하면의 폭이 더 작은 형태의 하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을 복수개로 동시에 일괄 제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는, 아치블록의 횡방향 측면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으로 루프 철근이 돌출되어 위치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아치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횡측면 거푸집판은, 상기 아치블록의 플랜지부가 돌출된 횡방향 측면 형상에 맞추어서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은 그 횡방향 측면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에는 상기한 루프 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릿형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 사이의 간격에 루프 철근이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의 횡방향 측면에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의 내면이 밀착하도록 횡측면 거푸집판이 조립 결합될 때, 상기 루르 철근은 상기 슬릿형 통과공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에 의하면 많은 개수의 아치블록을 동일한 형상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아치구조물의 신속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아치구조물의 시공에 이용되는 블록 조립체가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조립체를 수평하게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블록 조립체를 이루는데 이용되는 아치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아치블록 일괄 제작용 거푸집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푸집장치가, 아치블록의 제작 후 아치블록을 탈형할 수 있는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M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이 탈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아치블록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역T형 종방향 단면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의 제작을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거푸집장치가 탈형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화살표 M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원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이 탈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거푸집장치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아치블록의 제작을 위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푸집장치가 탈형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화살표 M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원 E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이 탈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아치블록 일괄 제작용 거푸집장치(1)(이하, "거푸집장치(1)"라고 약칭함)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거푸집장치(1)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아치블록이 제작되어 아치블록을 탈형할 수 있는 상태 즉, 거푸집장치(1)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장치(1)는, 종방향으로 상면(101)의 폭보다 하면(102)의 폭이 더 작은 형태의 하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100)을 복수개로 동시에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하면(102)을 동시에 형성하는 하나의 바닥거푸집판(10)과,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거푸집판(10) 위에 설치되어 2개의 이웃하는 아치블록(100)에 대해 각각의 경사진 종방향 측면(103, 104)을 형성하게 되는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과,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을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과,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는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바닥거푸집판(10)부터 살펴보면, 바닥거푸집판(10)은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하면(102)을 동시에 형성하는 판형 부재이다. 즉,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1)에서는 하나의 바닥거푸집판(10) 위에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이 제작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프레임(60) 위에 판재로 이루어진 바닥거푸집판(10)이 놓여 있다. 그러나 상기 하부지지프레임(6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종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이 세워져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내면은,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이 제작될 때, 종방향으로 양 끝에 위치하는 아치블록(100)의 외측 종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내면은 아치블록(100)의 경사진 외측 종측면의 경사에 맞추어서 경사지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횡방향 측면으로는 후술하는 것처럼 횡측면 거푸집판(30)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횡방향 측면에는 횡측결합판(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횡측결합판(41)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7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은 상기 바닥거푸집판(10) 위에서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2개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2개의 경사면은 각각 2개의 이웃하는 아치블록(100)에 대해 경사진 종방향 측면(103, 104)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은 각각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을 동시에 형성하는 부재로서,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은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결합되어 있는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횡측면 거푸집판(20)이 회전하는 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도 6에는 도 5의 화살표 M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거푸집판(1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프레임(6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힌지결합부(61)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도 힌지판(31)이 돌출되어 있어, 상기 힌지결합부(61)와 상기 힌지판(31)이 포개진 위치에서 힌지핀(62)이 힌지결합부(61)와 힌지판(31)을 관통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횡측면 거푸집판(30)은 바닥거푸집판(10)의 횡방향 가장자리에서 회전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면, 종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종단부 경사마감판(40) 사이를 폐쇄하는 벽체가 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측면 거푸집판(30)이 회전하여 누워지게 되면 종단부 경사마감판(40) 사이가 개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이 각각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세워져 설치되는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에 의한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이 탈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거푸집판(10)의 횡방향 가장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이동가이드봉(18)을 설치하고,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하부가 이동가이드봉(18)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가이드봉(18)을 따라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종단부 경사마감판(40) 사이를 폐쇄하는 벽체가 된다. 물론 탈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가이드봉(18)을 따라 외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슬리이딩되어 이동하여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 및 종단부 경사마감판(40)과 분리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동가이드봉(18)이 하부지지프레임(60)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수직하게 세워져서 양끝의 종단부 경사마감판(40) 사이를 폐쇄하는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횡측면 거푸집판(30)과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은 체결부재에 의해 분해가 가능한 상태로 조립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횡측면 거푸집판(30)에도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내면이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 및 종단부 경사마감판(40)과 닿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관통공(33)은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횡측결합판(41)에 형성된 관통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이와 같이 두 개의 관통공이 포개진 상태에서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구멍(22)이 형성된 측면결합판(21)을 설치하여, 횡측면 거푸집판(30)의 내면이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횡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결합판(21)의 구멍(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관통공(33)을 통해서 볼트 등의 채결부재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각각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횡측면과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을 밀착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닥거푸집판(10)과 2개의 종단부 경사마감판(40), 그리고 2개의 횡측면 거푸집판(30)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은 복수개가 상기 밀폐된 공간 내에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1)가 조립되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거푸집판(10)과 2개의 종단부 경사마감판(40), 그리고 2개의 횡측면 거푸집판(30)에 의하여 형성되고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에 의해 종방향으로 복수개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구획된 공간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의해 아치블록이 제작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측면 거푸집판(30)을 회전시키고,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횡측면 거푸집판(30)을 세워진 상태로 외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 사이에서 제작되어 끼워져 있는 각각의 아치블록(100)을 거푸집장치(1)로부터 빼내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장치(1)를 이용하게 되면,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을 동시에 타설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거푸집장치(1)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들은 견고하게 정해진 위치에 그리고 정해진 형상을 설치되므로 설계된 형상에 맞추어서 정밀하게 아치블록(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장치(1)에서는, 블록 조립체(110)의 형성에 필요한 아치블록 개수를 동시에 타설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하나의 거푸집장치(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개의 아치블록을 제작할 때,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토목섬유나 선형보강재를 배치한 후, 상기 토목섬유 또는 선형보강재 위로 피복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거푸집장치(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거푸집장치(1)를 탈형함으로써,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이 일렬로 배치되어 하나의 블록 조립체(110)를 형성한 상태로 제작할 수도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는 아치블록(1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아치구조물의 시공에 이용되는 블록 조립체(110)를 이루는 아치블록(100)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으로 루프 철근(109)이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역T형 종방향 단면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100)을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장치(1)는 후술하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는 역T형 종방향 단면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100)의 제작을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거푸집장치(1)가 탈형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도 11의 화살표 M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2의 원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 측면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으로 루프 철근(109)이 돌출되어 있는 역T형 종방향 단면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100)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1)에서 2개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은, 아치블록(10)의 플랜지부가 돌출된 횡방향 측면 형상에 맞추어서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 역시 그 횡방향 측면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에는 상기한 루프 철근(109)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릿형 통과공(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 사이의 간격에 루프 철근(109)이 배치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횡측면 거푸집판(30)이 회전하여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횡방향 측면에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내면이 밀착하도록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직립하게 세워질 때, 상기 루르 철근(109)은 상기 슬릿형 통과공(35)을 통과하여 돌출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기타 구성은 앞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예, 및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힌지판(31), 힌지결합부(61) 및 힌지핀(62)에 의한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회전구성을 도 11 내지 도 14의 제3실시예도 동일하게 구비할 수도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가이드봉(18)을 구비하여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세워진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위의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를 변형하여, 위와 같이 이동가이드봉(18)을 구비하여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세워진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을 가지는 제4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이 탈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이 슬라이딩되어 이동하여 분리되거나 또는 조립되는 과정은 앞서 살펴본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에 형성된 관통공(33)과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횡측결합판(41) 및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측면결합판(21) 간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 등의 구성 역시 도 4 내지 도 7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도 구비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위의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 및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을 교체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육면체의 아치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에는 도 3의 육면체 아치블록(100)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 1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을 교체한 제5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7은 거푸집장치(1)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푸집장치(1)가 탈형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화살표 M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원 E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도 11 내지 도 14의 제3실시예의 경우,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은, 아치블록(10)의 플랜지부가 돌출된 횡방향 측면 형상에 맞추어서 계단식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도 11 내지 도 14의 거푸집장치(1)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제5실시예처럼,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의 내면에 상기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형상을 플랜지가 없는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맞춤판(39)이 구비되어 있는 새로운 횡측면 거푸집판(30)을 바닥거푸집판(10)에 결합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육면체의 아치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횡측면 거푸집판(30)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육면체의 아치블록을 제작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플랜지가 존재하는 아치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1)는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의 아치블록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서, 기타 구성은 앞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힌지판(31), 힌지결합부(61) 및 힌지핀(62)에 의한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회전구성을 도 17 내지 도 20의 제5실시예도 동일하게 구비하고 있으며, 횡측면 거푸집판(30)에 형성된 관통공(33)과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의 횡측결합판(41) 및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측면결합판(21) 간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 등의 구성 역시 도 11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1 및 도 22는 앞서 살펴본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대해, 위의 제5실시예처럼 맞춤판(39)이 구비되어 있는 새로운 횡측면 거푸집판(30)을 이동가이드봉(18)에 설치한 제6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즉,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장치(1)에서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이 탈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한 제6실시예에서 종단부 경사마감판(40)과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형상, 그리고 맞춤판(39)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기타 구성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1)에 의하면 아치구조물의 형상에 맞추어서 블록 조립체를 이루는 각각의 아치블록을 복수개로 동시에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아치블록의 형상을 항상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횡측면 거푸집판(30)을 교체하는 것을 통해서 용이하게 육면체의 아치블록을 제작하거나 또는 플랜지가 존재하는 아치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1: 거푸집장치
10: 바닥거푸집판
20: 종측면 경사거푸집판
30: 횡측면 거푸집판
100: 아치블록

Claims (2)

  1. 삭제
  2. 아치구조물 형성용 블록 조립체를 이루는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장치(1)로서,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하면(102)을 동시에 형성하는 하나의 바닥거푸집판(10)과;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거푸집판(10) 위에 설치되어 2개의 이웃하는 아치블록(100)에 대해 각각의 경사진 종방향 측면(103, 104)을 형성하게 되는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과; 수직하게 세워지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을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한 쌍의 횡측면 거푸집판(30)과; 상기 바닥거푸집판(10)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는 종단부 경사마감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개의 횡측면 거푸집판(30)은, 상기 아치블록(100)의 플랜지부가 돌출된 횡방향 측면 형상에 맞추어서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은 그 횡방향 측면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에는 상기한 루프 철근(109)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릿형 통과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 사이의 간격에 루프 철근(109)이 배치된 상태에서, 횡측면 거푸집판(30)이 회전하여 복수개의 종측면 경사거푸집판(20)의 횡방향 측면에 상기 횡측면 거푸집판(30)의 내면이 밀착하도록 횡측면 거푸집판(30)이 결합될 때, 상기 루프 철근(109)은 상기 슬릿형 통과공(35)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아치블록(100)의 횡방향 측면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으로 루프 철근(109)이 돌출되어 위치하며, 종방향으로 상면(101)의 폭보다 하면(102)의 폭이 더 작은 형태의 하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아치블록(100)을 복수개로 동시에 일괄 제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장치.
KR1020120147293A 2012-12-17 2012-12-17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KR10139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93A KR101394975B1 (ko) 2012-12-17 2012-12-17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93A KR101394975B1 (ko) 2012-12-17 2012-12-17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975B1 true KR101394975B1 (ko) 2014-05-15

Family

ID=5089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293A KR101394975B1 (ko) 2012-12-17 2012-12-17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91B1 (ko) 2016-05-16 2016-10-17 우경기술주식회사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제작 방법
KR101967334B1 (ko) 2018-11-05 2019-08-14 (주)에이티산업 경량내화블록 제조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2044149B1 (ko) * 2019-06-13 2019-11-13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수평탈형재를 이용한 강재거푸집
KR102443735B1 (ko) 2022-02-13 2022-09-15 안병영 내화 구조체로 형성된 불연경량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연경량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951A (ko) * 2005-02-11 2005-05-17 장인건설기업(주) 2아치터널 중앙벽용 거푸집장치
KR101099885B1 (ko) 2011-10-11 2011-12-2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47299B1 (ko) 2012-02-16 2012-05-18 이상길 하천횡단 아치교량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제작용 형상가변형 몰드장치
KR101157638B1 (ko) * 2012-02-06 2012-06-19 이형훈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951A (ko) * 2005-02-11 2005-05-17 장인건설기업(주) 2아치터널 중앙벽용 거푸집장치
KR101099885B1 (ko) 2011-10-11 2011-12-2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57638B1 (ko) * 2012-02-06 2012-06-19 이형훈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1147299B1 (ko) 2012-02-16 2012-05-18 이상길 하천횡단 아치교량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제작용 형상가변형 몰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91B1 (ko) 2016-05-16 2016-10-17 우경기술주식회사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제작 방법
KR101967334B1 (ko) 2018-11-05 2019-08-14 (주)에이티산업 경량내화블록 제조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2044149B1 (ko) * 2019-06-13 2019-11-13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수평탈형재를 이용한 강재거푸집
KR102443735B1 (ko) 2022-02-13 2022-09-15 안병영 내화 구조체로 형성된 불연경량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연경량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7869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зов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бетонной стены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е перемычки на шарнирах
KR101308596B1 (ko) 아치구조물 형성용 아치블록의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구조물 형성용 블록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1394975B1 (ko) 아치구조물 형성용 복수개의 아치블록의 일괄 제작 거푸집장치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2153184B1 (ko) Pc 더블 벽체 세움 제작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가 세워진 pc 더블 벽체를 제작하는 방법
KR2012000985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조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1319517B1 (ko) 콘크리트 힌지 방식의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842255B2 (ja) カーブ路面対応型の箱桁とその型枠装置及び製作方法
KR101588115B1 (ko) 트러스 데크를 활용한 프리패브 중공벽 및 그 제작방법
KR102209116B1 (ko) 튜브를 이용한 철근이 관통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방법
KR101909572B1 (ko)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 형성을 위한 접합측면용 거푸집 징치,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방법
KR101602155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바닥 형성용 데크구조체
KR101147299B1 (ko) 하천횡단 아치교량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제작용 형상가변형 몰드장치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479194B1 (ko) 트윈월 제작몰드 구조와, 이를 이용한 트윈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지그재그 리브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트윈월
KR20210117009A (ko) 울타리용 콘크리트 블록
CN112092154A (zh) 预制检查井预留孔成型装置以及成型方法
KR101203190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101956696B1 (ko) 가변형 바닥몰드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CN217494625U (zh) 一种用于夹心试块的组合式成型模具
JP2019138004A (ja) 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102375439B1 (ko) 수평이음철근을 이용한 pc슬래브 구조물
CN216516401U (zh) 免拆式预制桁架楼板
JP7406283B1 (ja) べた基礎用型枠及び小規模住宅用べた基礎の施工方法
KR101875749B1 (ko) 건축물용 박스형 강합성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