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890B1 -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890B1
KR101394890B1 KR1020130053642A KR20130053642A KR101394890B1 KR 101394890 B1 KR101394890 B1 KR 101394890B1 KR 1020130053642 A KR1020130053642 A KR 1020130053642A KR 20130053642 A KR20130053642 A KR 20130053642A KR 101394890 B1 KR101394890 B1 KR 101394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ld
upper mold
lower mol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대수
염대식
Original Assignee
디아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아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4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thermoforming operation,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2Moulds having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6Producing closure members for containers, e.g. closure caps or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에어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시트 중 상기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가압되는 일 부분이 제품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품 형상이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되어 제품이 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MOLD ASSEMBLY FOR PNEUMATIC FORM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cap)은 대상물을 일 부분을 감싸서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캡은 일 면이 개방된 중공체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캡의 제조를 위해서는, 1 단계로 수지를 사출(injecton)하여 캡의 형상을 갖춘 중간 제품을 만든다. 2 단계로서, 위 중간 제품의 가장 자리 부분을 커팅하기 위해 프레스(press) 가공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캡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 방식에 의하면, 캡의 가공 공정이 복수의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복잡해지게 되고 또한 생산 효율을 향상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캡의 성형을 위해 사출기와 프레스기 등 이종의 장비들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118975 (2013, 10. 30.)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캡 형상의 제품 제조를 위한 통합 공정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공압에 의해 시트 중 일 부분을 제품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과 그에 이어 제품 형상을 시트 중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해서 제품을 완성하는 한 곳에서 수행할 수 있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는,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에어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시트 중 상기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가압되는 일 부분이 제품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품 형상이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되어 제품이 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품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개구된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에 대해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다운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다운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가 상기 시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에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라인 중 상기 시트에 가까운 구간은 상기 시트의 진행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에어 라인 중 일부의 라인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개폐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리세스의 입구에 형성하며, 내부 모서리는 커팅부를 이루는 나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제품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시트를 마주하는 주면과, 상기 주면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측면을 구비하는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은, 상기 주면과 수직한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에 대해 테이퍼지도록 배치되는 하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인서트를 감싸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그의 상면은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이 만나는 높이보다 상기 상부 금형을 향해 더 가까이 위치하는 스트립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면을 통해 상기 상부 금형을 향해 상승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인서트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 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가열된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토출 유닛으로 상기 시트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시트 중 일부가 상기 하부 금형에 압착되어 캡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캡 형상을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팅에 의해 상기 시트에서 분리된 캡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캡 형상을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캡 형상을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에 의하면, 캡 형상의 제품 제조를 위한 통합 공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압에 의해 시트 중 일 부분을 제품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과 그에 이어 제품 형상을 시트 중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해서 제품을 완성하는 것을 한 곳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출 유닛(13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에서 시트(S)의 일 부분을 제품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로 시트(S) 중 제품 형상을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로 시트(S) 중 커팅된 제품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는, 상부 금형(110)과, 토출 유닛(130)과, 하부 금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은 하부 금형(15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금형이다. 또한, 상부 금형(110)은 하부 금형(150)을 향해 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금형(110)은, 나이프(111), 다운 홀더(113), 홀더 자켓(115), 홀더 플레이트(117), 및 상부 커버(119)가 차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나이프(111), 다운 홀더(113), 홀더 자켓(115), 및 홀더 플레이트(117)에는 하부 금형(150)을 향해 개방된 리세스(121)가 형성된다.
나이프(111)의 하부의 모서리[리세스(121)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에는 커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112)는 직선형의 날일 수 있다. 이러한 커팅부(112)는 제조하고자 하는 캡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다.
다운 홀더(113)는 리세스(121)에 설치된다. 다운 홀더(113)는 스프링(114)에 의해 하부 금형(150)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리세스(121)는 시트(S) 중 일 부분이 성형되는 제품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개구된 형태이다.
토출 유닛(130)은 시트(S)에 대해 에어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시트(S)가 상부 금형(110)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토출 유닛(130)은 하부 금형(150)을 향한 방향[시트(S)를 향한 방향]으로 에어를 토출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출 유닛(130)은 에어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에어 라인(131)을 포함한다. 복수의 에어 라인(131)은 다운 홀더(113) 내에 개구된 홀일 수 있다. 에어 라인(131)들 중 일부의 하단부의 구간(133)은 시트(S)의 진행 방향(F)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형(150)은 상부 금형(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금형이다. 하부 금형(150)은, 상부 금형(110) 및 토출 유닛(130)과의 작용에 의해, 시트(S)의 일 부분을 제품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제품 형상이 시트(S)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제품이 되게 하는 것이다.
하부 금형(150)은, 배출 플레이트(151), 인서트 플레이트(153), 펀치 자켓(155), 펀치(157), 인서트(159), 및 스트리퍼(163)가 차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인서트(159)는 상부 금형(110)의 리세스(121)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또한, 인서트(159)는 리세스(121)에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인서트(159)는, 상부 금형(110)을 마주하는 주면(160)과, 주면(160)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측면(161)을 포함한다. 측면(161)은, 주면(160)과 수직한 상측면(161a)와, 상측면(161a)에 대해 테이퍼지게 배치되는 하측면(16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면(161a)과 하측면(161b)이 만나는 선은 커팅선(161c)이라 칭해질 수 있다.
스트리퍼(163)는 인서트(159)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이다. 이를 위해, 스트리퍼(163)의 중앙에는 인서트(159)를 수용하는 개구부(164)가 형성된다. 스트리퍼(163)는 탄성체에 의해 상부 금형(110)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스트리퍼(163)의 상면은 상측면(161a)과 하측면(161b)이 만나는 높이, 다시 말해서 커팅선(161c)의 위치보다 상부 금형(110)을 향해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배출 플레이트(151), 인서트 플레이트(153), 펀치 자켓(155), 펀치(157), 인서트(159)를 관통해서는 배출핀(152)이 배치된다. 배출핀(152)은 상부 금형(110)을 향한 방향으로 상승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출핀(152)이 설치된 배출 플레이트(151)가 인서트 플레이트(153)를 향해 상승 구동됨에 의해, 배출핀(152)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배출핀(152)은 인서트 플레이트(153)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그에 의해 상승 후에는 탄성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구될 수 있다.
이상의 토출 유닛(13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토출 유닛(13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토출 유닛(130)은, 앞서 설명한 에어 라인(131)과 더불어, 개폐 밸브(135)와, 컴프레서(137), 및 제어부(139)를 가질 수 있다.
개폐 밸브(135)는 복수의 에어 라인(131) 중 일부에 설치되어, 그 일부의 에어 라인(131)이 작동 모드에 따라 개폐되게 한다. 개폐 밸브(135)로는, 예를 들어 전기적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컴프레서(137)는 에어 라인(131)에 공급하기 위해 에어(압축된 공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39)는 이러한 개폐 밸브(135)와 컴프레서(13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39)는 컴프레서(137)를 가동 또는 정지하거나, 컴프레서(137)의 온(가동)과 함께, 개폐 밸브(135)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를 이용한 캡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및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를 이용한 캡의 제조 방법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사이에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시트에 에어를 분사하여 캡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캡 형상을 시트의 나머지에서 커팅하는 단계, 그리고 커팅된 캡을 하부 금형에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해 아래에서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사이에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관련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금형(110)은 하부 금형(150)에서 이격된 상태로 준비된다. 이때,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50) 사이로는 진행 방향(F)을 따라 이동되는 시트(S)가 배치된 상태이다. 시트(S)는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열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부(139)는 컴프레서(137)를 가동하지 않으므로, 에어는 에어 라인(131)에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에 에어를 분사하여 캡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에서 시트(S)의 일 부분을 제품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및 도 2)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50)을 내장하는 금형 하우징(미도시)이 닫힌 상태에서, 제어부(139)는 컴프레서(137)를 작동시킨다. 컴프레서(137)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에어는 복수의 에어 라인(131) 전부를 통해 시트(S)를 향해 토출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39)는 개폐 밸브(135)를 개방한다.
이상의 에어의 토출에 의해, 시트(S)의 일 부분은 인서트(159)에 대해 압착된다. 시트(S)의 압착된 부분은, 인서트(159)의 주면(160)과 측면(161)에 대응하여 캡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캡 형상을 시트의 나머지에서 커팅하는 단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로 시트(S) 중 제품 형상을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S) 중 캡 형상으로 성형된 부분을 시트(S)의 나머지 부분에서 커팅하면서, 상기 캡 형상을 인서트(159)에 대해 추가로 압착하기 위해 상부 금형(110)이 하부 금형(150)을 향해 하강한다.
상부 금형(110)의 커터(111)의 하면은 먼저 스트리퍼(163)의 상면과 접촉할 만큼 가까이 이동하게 된다. 상부 금형(110)의 추가 이동 시에, 스트리퍼(163)는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시트(S)를 상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부 금형(110)이 스트리퍼(163)를 누르면서 추가로 약간 하강하면, 다운 홀더(113)의 하면은 상기 제품 형상을 인서트(159)의 주면(160)에 대해 압착하게 된다. 이때, 다운 홀더(113)는 인서트(159)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제품 형상에 대해 부드럽게 힘을 가하게 된다. 그에 의해,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제품 형상이 대략적인 틀을 잡은 후에 다운 홀더(113)에 의해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품 형상을 완성하는 중에, 커터(111)의 커팅부(112)는 커팅선(161c)와 만나면서 상기 제품 형상의 측면을 커팅하게 된다. 이때, 커팅선(161c) 하측의 하측면(161b)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커팅선(161c)[및 하측면(161b)]가 커팅부(112)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상기 제품 형상은 시트(S)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제품(C)이 된다. 상기 제품, 구체적으로 캡(C)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면과, 상기 주면의 둘레를 따라 대략 수직하게 연장하는 측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커팅된 캡을 하부 금형에서 배출하는 단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100)로 시트(S) 중 커팅된 제품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캡(C)에 대한 커팅이 완료되면, 상부 금형(110)은 하부 금형(150)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캡(C), 그리고 시트(S)의 나머지 부분을 하부 금형(150)으로부터 배출하여 처음의 높이로 복원시키는 과정이 따르게 된다.
먼저, 상기 제품에 대해서는, 배출핀(152)이 상승하여 캡(C)을 인서트(159)로부터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제어부(139, 도 2)는 개폐 밸브(135)를 닫은 상태에서 컴프레서(137)를 작동시킨다. 그에 의해, 사선 구간(133)을 가진 에어 라인(131)만이 작동하면서, 상승된 상기 제품을 진행 방향(F)으로 불어 날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트리퍼(163)는 상부 금형(110)이 제거됨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되다가 정지되고, 그때의 관성력에 의해 시트(S)의 나머지 부분을 원래 위치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시트(S)의 나머지 부분이 원래 높이에서 진행 방향(F)을 따라 전진 시에, 시트(S)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품을 또한 끌고서 나가게 된다. 그에 의해, 상기 제품의 배출은 보다 원활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110: 상부 금형
111: 나이프 113: 다운 홀더
121: 리세스 130: 토출 유닛
131: 에어 라인 133: 사선 구간
150: 하부 금형 151: 배출 플레이트
159: 인서트 160: 주면
161: 측면 161a: 상측면
161b: 하측면 161c: 커팅선
163: 스트리퍼

Claims (12)

  1.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에어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토출 유닛; 및
    상기 시트 중 상기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가압되는 일 부분이 제품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품 형상이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되어 제품이 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품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개구된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에 대해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다운 홀더를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다운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가 상기 시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에어 라인을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라인 중 상기 시트에 가까운 구간은 상기 시트의 진행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에어 라인 중 일부의 라인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개폐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리세스의 입구에 형성하며, 내부 모서리는 커팅부를 이루는 나이프를 더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제품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시트를 마주하는 주면과, 상기 주면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측면을 구비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주면과 수직한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에 대해 테이퍼지도록 배치되는 하측면을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인서트를 감싸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그의 상면은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이 만나는 높이보다 상기 상부 금형을 향해 더 가까이 위치하는 스트립퍼를 더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을 통해 상기 상부 금형을 향해 상승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인서트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 핀을 더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11.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가열된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토출 유닛으로 상기 시트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시트 중 일부가 상기 하부 금형에 압착되어 캡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캡 형상을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팅에 의해 상기 시트에서 분리된 캡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캡 형상을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캡 형상을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KR1020130053642A 2013-05-13 2013-05-13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KR101394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42A KR101394890B1 (ko) 2013-05-13 2013-05-13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42A KR101394890B1 (ko) 2013-05-13 2013-05-13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890B1 true KR101394890B1 (ko) 2014-05-13

Family

ID=5089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42A KR101394890B1 (ko) 2013-05-13 2013-05-13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78B1 (ko) 2017-12-12 2019-01-30 (주)대동몰드 원터치 캡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캡의 제조방법
KR20210109951A (ko) * 2020-02-28 2021-09-07 (주)대신크리에이티브 차량용 정보표시패널의 열성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743A (ja) 2001-11-28 2003-06-03 Toyo Seikan Kaisha Ltd 合成樹脂容器の製造方法
KR20060120432A (ko) * 2005-05-20 2006-11-27 아사노 겐큐쇼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형성장치, 시트 반송장치, 용기 제조방법 및 시트반송방법
JP2007223147A (ja) 2006-02-23 2007-09-06 Seiko Epson Corp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7276188A (ja) 2006-04-04 2007-10-25 Daiwa Can Co Ltd フランジ付き容器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743A (ja) 2001-11-28 2003-06-03 Toyo Seikan Kaisha Ltd 合成樹脂容器の製造方法
KR20060120432A (ko) * 2005-05-20 2006-11-27 아사노 겐큐쇼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형성장치, 시트 반송장치, 용기 제조방법 및 시트반송방법
JP2007223147A (ja) 2006-02-23 2007-09-06 Seiko Epson Corp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7276188A (ja) 2006-04-04 2007-10-25 Daiwa Can Co Ltd フランジ付き容器の成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78B1 (ko) 2017-12-12 2019-01-30 (주)대동몰드 원터치 캡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캡의 제조방법
KR20210109951A (ko) * 2020-02-28 2021-09-07 (주)대신크리에이티브 차량용 정보표시패널의 열성형 방법 및 장치
KR102347084B1 (ko) 2020-02-28 2022-01-18 (주)대신크리에이티브 차량용 정보표시패널의 열성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1373B2 (en) Paper lid production method
CN107983833B (zh) 冲孔落料复合模具及冲孔落料方法
CA2707416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tion of stampings
JP2018505791A (ja) 絞り成型容器の製造システム
KR101394890B1 (ko) 공압 성형용 금형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캡 제조 방법
WO2006027979A1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JP6068498B2 (ja) パンチング装置用ダイ
US10576681B2 (en) Mould system for a thermoforming device, thermo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thermoforming a product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KR101965392B1 (ko)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JP4129621B2 (ja) プレス金型
CN212528028U (zh) 一种iml反包边装置
CN210126235U (zh) 一种带有废屑收集装置的冲切注塑设备
CN104384355A (zh) 门槛板内板修边冲孔模具
CN203853432U (zh) 一种覆盖件修边模具
CN209273621U (zh) 刀具及橡胶产品制作装置
CN105881843A (zh) 一种高压氮气模内热切模具
KR20190114418A (ko) 프레스금형의 소형 스크랩 취출장치
JPH07246430A (ja) トリム型
US200702125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unching A Part Of Moulded Fibre Material
JP2014161850A (ja) 鋳型成型用ブローノズル
CN203853430U (zh) 带侧冲防堵料机构的空调天井盖板模具
CN203994062U (zh) 一种环形塑胶水口冲切模具
KR101674764B1 (ko) 프레스 성형 장치 및 방법
JP7441781B2 (ja) キャップ付きキャリ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