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588B1 - 알터네이터 정류기 - Google Patents

알터네이터 정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588B1
KR101394588B1 KR1020080078884A KR20080078884A KR101394588B1 KR 101394588 B1 KR101394588 B1 KR 101394588B1 KR 1020080078884 A KR1020080078884 A KR 1020080078884A KR 20080078884 A KR20080078884 A KR 20080078884A KR 101394588 B1 KR101394588 B1 KR 10139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ernator
rectifier
channel fet
reverse diod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199A (ko
Inventor
노승수
안대기
강병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5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 정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너지 변환 효율이 향상된 알터네이터 정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교류를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 상기 알터네이터의 출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정류기 유닛은 내부에 3상 전파 정류회로를 구비하며, 각 상의 전파 정류회로는 내부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구비된 N-채널 FET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존의 정류 다이오드 대신에 N-채널 FET를 사용함으로서 정류시 발생하는 다이오드 도통 전압을 더 낮추어 정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종 시스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비향상 및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알터네이터, 정류기, FET, N채널, 다이오드, 에너지 손실

Description

알터네이터 정류기{Alternator Rectifier}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 정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너지 변환 효율이 향상된 알터네이터 정류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엔진에 의하여 공급되는 동력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고, 엔진의 점화, 조명 및 각종 전기부속품들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석유에너지는 유한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연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대체 에너지 개발을 통한 연료전지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에 있어서 연비를 아끼고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소모되는 에너지를 저감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자동차 알터네이터의 개념은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시킨 3상 전류를 3상 다이오드 전파 정류기를 통하여 평활한 후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알터네이터 정류 시스템의 경우 정류기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의 최소 도통 전압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류시 다이오드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 손실이 필요 불가결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교류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교류를 정류하는 경우에 다이오드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저감시켜 정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교류를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 상기 알터네이터의 출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정류기 유닛은 내부에 3상 전파 정류회로를 구비하며, 각 상의 전파 정류회로는 내부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구비된 N-채널 FET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채널 FET는 각각의 내장 다이오드가 동작하는 구간 동안, 다이오드 동작시 발생하는 다이오드 도통전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강제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정류기 유닛은 내부에 3상 정류 전압의 맥동분을 완화시키는 평활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상기 정류기 유닛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정류 다이오드 대신에 N-채널 FET를 사용함으로서 정류시 발생하는 다이오드 도통 전압을 더 낮추어 정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종 시스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비향상 및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 정류기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알터네이터(20)와 정류기 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알터네이터(20)는 차량의 엔진(10)과 벨트로 연결되는데, 엔진(10)이 구동되는 경우, 엔진(10)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부의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회전자의 계자코일에 전류가 흘러 이로 인해 3상 자계가 형성되면, 쇄교에 의해 고정자의 전기자 코일에 유도 기전력에 의한 3상 파형의 유도전류가 발생된다.
상기 정류기 유닛(30)은 상기 알터네이터(20)에 의해 발생된 3상 교류 전류 를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한다.
상기 정류기 유닛(30)은 정류를 위해 내부에 3상 전파 정류회로(31)를 구비한다.
엔진 속도가 규정 속도 이상에서 계자 코일에 충분한 정도의 계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3상 전파 정류회로(31)는 상기 알터네이터(20)에 의해 발생된 3상 전압을 정류한다.
상기 3상 전파 정류회로(31)의 내부에는 각 상의 정류회로 내부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구비된 N-채널 FET(Field Effect Transistor)(32)를 구비한다.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가 정류작용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경우 상기 N-채널 FET(32)를 강제로 구동시켜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에 유기되는 동작전압을 낮추도록 한다.
N-채널 FET(32)의 구동에 의해 역방향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은 낮아지게 되고,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 손실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N-채널 FET(32)를 구동하는 전류는 아주 작아도 되므로, 전체적인 에너지 손실은 감소하게 된다.
상기 N-채널 FET(32)는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의 동작 시간에 맞추어 구동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정류기 유닛(30)에 의해 교류 전압이 정류되어 직류로 변환되고, 직류로 변환된 전압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40)를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 N-채널 FET(32)는 게이트 구동 회로에 의해 턴 온(Turn On) 시 점이 강제로 조절된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이 상기 N-채널 FET 내부의 역방향 다이오드의 도통 시점과 동일하도록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 최소 도통 전압에서 상기 N-채널 FET를 턴 온(Turn On)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정류기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을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 최소 도통 전압의 이하의 전압으로 낮출 수 있도록 역방향 다이오드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차를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여 특정하여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 최소 도통 전압 이하에서 상기 N-채널 FET를 턴 온(Turn On)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정류기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을 알터네이터 3상 전압의 변화, 알터네이터 회전수(RPM), 발전 전류량에 따라 계산하여 상기 N-채널 FET를 구동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알터네이터의 계자 전류를 제어하는 정류기 유닛(30)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터네이터 정류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 정류기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엔진
20: 알터네이터
30: 정류기 유닛
31: 3상 전파 정류회로
32: N-채널 FET
40: 배터리

Claims (8)

  1.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교류를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 및
    내부에 3상 전파 정류회로를 구비하며, 각 상의 전파 정류회로는 내부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구비된 N-채널 FET을 포함하여 상기 알터네이터의 출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이 상기 N-채널 FET 내부의 역방향 다이오드의 도통 시점과 동일하도록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 최소 도통 전압에서 상기 N-채널 FET를 턴 온(Turn On)시키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을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 최소 도통 전압의 이하의 전압으로 낮출 수 있도록 역방향 다이오드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 정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는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의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차를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 정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알터네이터의 계자 전류를 제어하는 정류기 유닛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 정류기.
  8.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교류를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 및
    내부에 3상 전파 정류회로를 구비하며, 각 상의 전파 정류회로는 내부에 역방향 다이오드가 구비된 N-채널 FET을 포함하여 상기 알터네이터의 출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알터네이터 정류기는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이 상기 N-채널 FET 내부의 역방향 다이오드의 도통 시점과 동일하도록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 최소 도통 전압에서 상기 N-채널 FET를 턴 온(Turn On)시키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N-채널 FET의 강제 턴 온(Turn On) 시점을 알터네이터 3상 전압의 변화, 알터네이터 회전수(RPM), 발전 전류량에 따라 계산하여 상기 N-채널 FET를 구동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 정류기.
KR1020080078884A 2008-08-12 2008-08-12 알터네이터 정류기 KR10139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84A KR101394588B1 (ko) 2008-08-12 2008-08-12 알터네이터 정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84A KR101394588B1 (ko) 2008-08-12 2008-08-12 알터네이터 정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99A KR20100020199A (ko) 2010-02-22
KR101394588B1 true KR101394588B1 (ko) 2014-05-13

Family

ID=4209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84A KR101394588B1 (ko) 2008-08-12 2008-08-12 알터네이터 정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5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779A (ja) * 2001-09-28 2003-06-20 Daikin Ind Ltd 電力変換装置
KR100682034B1 (ko) * 2005-12-20 2007-02-12 한국전기연구원 충전 겸용 자동전압조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779A (ja) * 2001-09-28 2003-06-20 Daikin Ind Ltd 電力変換装置
KR100682034B1 (ko) * 2005-12-20 2007-02-12 한국전기연구원 충전 겸용 자동전압조정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력전자학회 논문지(제목: 시지연과 SVPWM 영향이 고려된 새로운 제어 모델에 의한 3상 전압원 PWM 컨버터의 전류 제어), 논문발표 2000년 4월 *
전력전자학회 논문지(제목: 시지연과 SVPWM 영향이 고려된 새로운 제어 모델에 의한 3상 전압원 PWM 컨버터의 전류 제어), 논문발표 2000년 4월*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제목: 저전력 교류전원으로부터 밧데리 충전을 위한 새로운 AC/DC 컨버터 연구), 논문발표 2004년 12월 31일 *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제목: 저전력 교류전원으로부터 밧데리 충전을 위한 새로운 AC/DC 컨버터 연구), 논문발표 2004년 12월 31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99A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5886B2 (en) Charging and distribution control
JP4089909B2 (ja) 自動車用電力装置
US6456514B1 (en) Alternator jump charging system
JP4770798B2 (ja) 電源装置
CN102470812B (zh) 车辆用电源系统
EP1947759A2 (en) An starting and generating multiplying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using the system, and an electromotion mixed dynamic vehicle which uses the system and the method
JP5307814B2 (ja) 電源装置
EP1466779A3 (en) Motor control device
JP2011234458A (ja) ハイブリッド式発動発電機の出力制御装置
CN103684160B (zh) 自升压双凸极无刷直流发电系统
US20110190970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equipped on vehicle
CN107204715B (zh) 一种数码发电机组控制系统及方法和数码发电机组
Bajec et al. Extending the low-speed operation range of PM generator in automotive applications using novel AC-DC converter control
KR101361782B1 (ko)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KR20090118712A (ko) 회생 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16457B2 (en) Inverter type engine generator
JP2010172093A (ja) 車載用充電器
KR101394588B1 (ko) 알터네이터 정류기
CN103066906A (zh) 一种永磁无刷直流起/发电机的控制发电系统及控制方法
JP5638465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Cheng et al. Research on switched reluctance machine drive topology and control strategies for electric vehicles
US11476787B2 (en) Inverter type engine generator
KR20050088841A (ko)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JP2012044765A (ja) バッテリ制御装置及び車両
JP5052255B2 (ja) 交流回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