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841A -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841A
KR20050088841A KR1020040014385A KR20040014385A KR20050088841A KR 20050088841 A KR20050088841 A KR 20050088841A KR 1020040014385 A KR1020040014385 A KR 1020040014385A KR 20040014385 A KR20040014385 A KR 20040014385A KR 20050088841 A KR20050088841 A KR 20050088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hase
road
vehicl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408B1 (ko
Inventor
이병송
변윤섭
배창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1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4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운행하는 전기 차량에 있어서, 차량 자체에 탑재된 배터리 또는 차량 외부로부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전기차량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상에 3상 전력송전선을 설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 자동차가 3상 전력송전선이 설치된 주도로에서 전력송전선의 궤도를 따라 전기 차량이 이동하게 될 경우,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따라 주행이 가능하며, 3상 전력송전선이 설치되지 않은 그 외곽 도로에서는 자체 탑재된 배터리의 전력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력송전선이 설치된 도로를 운행하게 됨에 있어, 유도 발생된 전력에 의해 주행하게 될 때 자체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시켜, 전력송전선이 설치된 도로 이외의 도로에서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충전과정이 필요 없이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의 운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The electric car operation system using non contact supply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운행하는 전기 차량에 있어서, 차량 자체에 탑재된 배터리 또는 차량 외부로부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전기차량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은 전기를 전력공급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전기 자동차와 전동차로 구분할 수 있다.
전동차는 고전압, 전류가 흐르고 있는 가선에 판도그라프를 접촉시켜 전동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운행하며, 전기 자동차는 차량 자체에 전력공급원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탑재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하게 된다.
전동차의 경우 가선에 의해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대중 교통수단으로 한정해서 사용될 수 밖에 없으며, 주어진 선로 내에서만 운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국부적인 장소까지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전기자동차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어 개인교통수단으로 적절하나, 일반 가솔린 차량과는 달리 축전지라 하여,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므로 일반 가솔린 차량에 비해 저속 운행되며,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한번 충전에 의해 주행하는 거리가 제한적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환경 공해의 주범인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대한 문제점이 재조명되면서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자동차의 단점을 개선한 전기 자동차의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상용화에 이르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최고시속 300㎞이상을 넘어서고, 한번 충전에 300㎞ 주행 등 성능이 우수한 전기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에 있어 앞서와 같이 고속주행 및 1회 충전 주행거리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이 같은 능력은 리튬 배터리나 모터용 마그넷, 신형 인버터용 트랜지스터 같은 신형 부품과 넓은 공간을 확보해주는 프레임 장착 등의 시스템 기술 개발에 힘입어 가능해진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사양을 고려할 때 일반 가솔린 차량에 비해 토크(torque)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속주행에 따른 배터리의 전력소모에 의한 주행거리 단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출원인은 이미 2003년 특허출원 제 72376호(2003.10.16)를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도로상에 전력선을 설치하고, 그 전력선을 통해 비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선을 통한 전력송전능력이 전기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차량의 토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단상 급전방식을 그 실시예로 제시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단상 급전방식은 3상 급전방식에 비해 전력 송전 능력이 낮다.
실제 단상 방식에 비해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할 경우 동일 공급전력 주파수에서 전력 송전 능력이 증가( root 3배)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차량 운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상에 3상 전력선을 설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 자동차가 전력송전선이 설치된 주도로에서 전력선의 궤도를 따라 전기 차량이 이동하게 될 경우,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유도 발생된 전력에 따라 주행이 가능하며, 전력선이 설치되지 않은 그 외곽 도로에서는 자체 탑재된 배터리의 전력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와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전력선이 설치된 도로를 운행하게 됨에 있어, 유도 발생된 전력에 의해 주행하게 될 때 자체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시켜, 전력선이 설치된 도로 이외의 도로에서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충전과정이 필요 없이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은, 자동차의 주행 도로에 3상 전력선을 매설하고, 도로의 일정 간격으로 변전소를 설치하여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에 고주파 교류를 송전하도록 하도록 구성하고,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전력선이 매설된 도로를 주행할 때, 전력선에 흐르는 고주파 교류와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발생된 전압을 전기자동차의 부하 전력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과, 매설된 3상 전력선에 고주파 3상 교류를 송전하는 변전소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수단과,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에 흐르는 고주파 교류와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교류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력수급코일과, 전력수급코일로부터 발생된 교류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고, 평활시켜 충전수단 및 전력변환수단으로 공급하는 정류,평활수단과, 정류평활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부하의 동작 전압에 맞게 변환 공급하는 전력변환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를 구성하여,
3상 전력선이 매설된 무접촉 급전 궤도 운행시에 전력수급코일의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 및 전력변환수단을 통해 부하에 공급되어 자동차 운행에 사용되며, 급전궤도가 없는 도로를 운행시에는 배터리의 전력이 전력변환수단에 공급되어 부하에 사용되도록 하는 전기차량 운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주행도로 내 전력공급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차량의 주행중 전력 수급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10)과, 3상 전력선(10)에 고주파 3상 교류를 송전하는 변전소를 포함하여 전력공급수단이 구성되며,
3상 전력선(10)에 흐르는 고주파 3상 교류전압과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3상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전력수급코일(110)과, 전력수급코일(110)로부터 발생된 3상 교류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120)와,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130)와, 정류평활된 전압을 배터리(160)에 충전하는 충전부(150)와, 정류평활된 직류전압을 제어하여 전동기(170)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제어수단인 전력변환부(140)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력변환부(140)는 부하 전동기의 형태 즉 직류모터, 교류모터 등의 부하조건에 따른 전원제어장치로 교류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가 될 수도 있고 직류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쵸퍼(chopper)가 사용될 수 있어 부하 조건에 따라 구성된다.
상기 변전소는 도로의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며, 변전소내에는 교류전원(Vs)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20)와,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30)와, 정류평활된 직류전압을 3상 고주파 교류로 변환시켜 3상 전력선(10)에 송전하는 3상 인버터(40)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정류부(20)는 코일(L1)과, 브리지 다이오드(d1~d4)로 구성되며, 평활부(30)는 코일(L2)과 콘덴서(C1)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는 전력수급코일(110)은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1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차량의 저면에 구성된다.
상기 정류부(120)는 브리지 다이오드(d5~d10)로 구성되며, 평활부(130)는 코일(L3)과 콘덴서(C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는 3상 전력선(10)이 매설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3상 전력선(10)에 흐르는 전류와의 전자 유도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 및 탑재된 배터리(160)에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3상 전력선(10)이 매설되지 않은 그 이외의 도로를 주행할 때는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160)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주요 도로마다 3상 전력선(10)을 매설하고, 3상 전력선(10)에 고주파 교류를 송전하는 변전소를 구성한다.
변전소는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10)의 선로 감쇄로 인한 전압강하를 감안하여 도로의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하고, 매설된 3상 전력선(10)에 고주파 교류를 송전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전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저면부로 도로를 향하도록 전력수급코일(110)이 설치되도록 하여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10)에 흐르는 고주파 교류와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전력은 충전부(150)를 통해 배터리(160)에 충전하고, 발생된 전력으로 전동기(170)를 구동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접촉 3상 전력공급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변전소의 전력공급장치에서 교류 전압원(Vs)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은 정류부(20)를 통해 정류되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직류 전압은 코일(L2)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진 평활부(30)를 통해 평활되고, 다시 고주파 인버터(40)를 통해 3상 고주파 교류 전원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변환된 3상 고주파 교류 전압은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10)에 송전된다.
전기 자동차의 주행중 전력수급과정은, 3상 전력선(10)이 매설된 도로를 전기자동차가 주행하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유도작용에 따라 3상 전력선(10)에 흐르는 고주파 3상 교류에 의해 전력수급코일(110)에 교류가 흘러 교류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교류 전압은 브리지 다이오드(d5~d10)로 이루어진 정류부(120)를 거쳐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고, 코일(L3) 및 콘덴서(C2)로 이루어진 평활부(130)를 통해 평활 된다.
상기의 정류 평활된 직류 전압은 전력변환장치(140)에 공급되어 전동기(170)의 구동전원으로 변환되어 전동기(170)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은 충전부(150)에 공급되어 주행중 배터리(160)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3상 전력선(10)이 매설되지 않은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는 배터리(160)의 전원이 전력변환부(140)에 공급되어 전동기(170)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시스템의 전기 자동차는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 3상 전력선(10)이 매설된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는 전력수급코일(110)을 통해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 및 배터리(160)의 충전을 수행하고, 그 외의 도로에서는 배터리(160)의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현재 기술상의 전력스위칭 소자의 최대용량을 고려하여 공급되는 전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비용 대비 효과적인 방법으로 3상 급전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주요 도로 각각에 적절하게 3상 전력선을 설치하게 되면, 주요 도로에서는 현재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면서 이와 아울러 충전을 수행하고, 그 외의 도로에서는 상기 주요 도로에서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하게 되므로, 별도의 배터리 충전 없이도 장시간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3상 급전방식을 적용하므로써, 단상 공급방식에 비해 동일한 정력의 전력 스위칭소자 사용조건에서 전력송전능력이 증가하여 부하단 즉 운송 자동차의 수송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도로내 전력공급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차량에서의 주행중 전력 수급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력 수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Claims (3)

  1. 자동차의 주행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과, 매설된 3상 전력선에 고주파 교류를 송전하는 변전소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수단과,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에 흐르는 고주파 교류와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3상 교류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력수급코일과, 전력수급코일로부터 발생된 3상 교류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평활하는 정류/평활수단과, 정류평활된 직류전압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부하의 동작 전압에 맞게 변환 공급하는 전력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3상 전력선이 매설된 무접촉 급전 궤도 운행시에 전력수급코일의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 및 전력변환수단을 통해 부하에 공급되어 자동차 운행에 사용되며, 급전궤도가 없는 도로를 운행시에는 배터리의 전력이 전력변환수단에 공급되어 부하에 사용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내에는 교류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정류평활된 직류전압을 3상 고주파 교류로 변환시켜 도로에 매설된 3상 전력선에 송전하는 고주파 3상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는 3상 전력선이 설치된 도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KR1020040014385A 2004-03-03 2004-03-03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KR10057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85A KR100573408B1 (ko) 2004-03-03 2004-03-03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85A KR100573408B1 (ko) 2004-03-03 2004-03-03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41A true KR20050088841A (ko) 2005-09-07
KR100573408B1 KR100573408B1 (ko) 2006-04-25

Family

ID=3727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385A KR100573408B1 (ko) 2004-03-03 2004-03-03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4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184A (ko) * 2008-07-04 2011-05-06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전기 에너지의 차량에의 전달
WO2011062452A2 (en) * 2009-11-23 2011-05-2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ble protection structure, road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oad structure
KR101116371B1 (ko) * 2009-10-16 2012-03-16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KR101112166B1 (ko) * 2009-10-16 2012-06-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자동차 등판능력 시험 장치 및 전기 자동차 등판능력 시험 방법
KR101319312B1 (ko) * 2010-12-31 2013-10-16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식 전기구동 이동체를 위한 전기 요금의 과금 방법 및 장치
CN112092652A (zh) * 2020-09-11 2020-12-18 浙江大学 一种电动汽车的分段式动态无线充电磁耦合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61B1 (ko) 2009-10-13 2011-06-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007A (ja) * 1993-07-22 1995-0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走行車両の非接触集電装置
US5573090A (en) * 1994-05-05 1996-11-12 H. R. Ross Industries, Inc. Raodway-powered electric vehicle system having onboard power meter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featur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184A (ko) * 2008-07-04 2011-05-06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전기 에너지의 차량에의 전달
KR101116371B1 (ko) * 2009-10-16 2012-03-16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KR101112166B1 (ko) * 2009-10-16 2012-06-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자동차 등판능력 시험 장치 및 전기 자동차 등판능력 시험 방법
WO2011062452A2 (en) * 2009-11-23 2011-05-2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ble protection structure, road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oad structure
KR101042948B1 (ko) * 2009-11-23 2011-06-20 한국과학기술원 케이블 매설 스마트 바닥판 모듈, 이를 구비한 스마트 도로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1062452A3 (en) * 2009-11-23 2011-11-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ble protection structure, road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oad structure
KR101319312B1 (ko) * 2010-12-31 2013-10-16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식 전기구동 이동체를 위한 전기 요금의 과금 방법 및 장치
CN112092652A (zh) * 2020-09-11 2020-12-18 浙江大学 一种电动汽车的分段式动态无线充电磁耦合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408B1 (ko) 200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926B1 (ko) 비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RU23485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тягового усилия
Hu et al. New SR drive with integrated charging capacity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CN100367660C (zh) 车辆用驱动发电系统
RU2428329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энерги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847313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08508392A (ja) 電動機を有する線路非拘束形自動車
KR101569189B1 (ko) 도심운행을 위한 트램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0573408B1 (ko)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CN105346394A (zh) 一种铁路货车自供电装置及方法
JP2013244785A (ja) 航空機用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航空機用電源車両
CN205202747U (zh) 一种铁路货车自供电装置
JPH09103002A (ja) 電気自動車
CN109861362B (zh) 一种机车无动力回送辅助供电及自走行装置
KR102063921B1 (ko) 차량용 전력 제어 장치
KR101631085B1 (ko) 전기 자동차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08751B1 (ko) 차량용 전력 제어 장치
CN201113914Y (zh) 电动自行车用低压交流电动机驱动和控制装置
CN102294947A (zh) 一种增程式电动车的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90072706A (ko) 유무선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기 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JP5638465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5409579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KR102008750B1 (ko) 차량용 전력 제어 장치
KR102008753B1 (ko) 차량용 전력 제어 장치
KR20000023896A (ko) 차량의타이어휠회전력으로발전되는전기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