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371B1 -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371B1
KR101116371B1 KR1020090098564A KR20090098564A KR101116371B1 KR 101116371 B1 KR101116371 B1 KR 101116371B1 KR 1020090098564 A KR1020090098564 A KR 1020090098564A KR 20090098564 A KR20090098564 A KR 20090098564A KR 101116371 B1 KR101116371 B1 KR 10111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test bench
drive
moto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639A (ko
Inventor
서남표
장순흥
조동호
임재하
박경혁
안정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9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3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본체가 포함된 테스트 벤치는, 구동계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의 토크를 증배 또는 감속시키는 감속기, 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형성되어 모터와 감속기를 결합하는 커플링 및 감속기 선단 양측에 형성되어 토크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포함하며, 그리고 비접촉식 충방전계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바닥에 형성된 띠형태의 급전라인, 급전라인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테스트 벤치에 형성되어 전자기장을 흡수하는 집전기, 집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테스트 벤치 상부에 형성되어 집전기에서 발생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형하는 정류기, 정류기 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류기에서 변형한 직류전압을 정전압으로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 및 레귤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충전하고, 구동계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포함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전기자동차, 구동계,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벤치

Description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TEST BENCH FOR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특성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 효율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작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의 테스트 벤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용 테스트 벤치는 엔진 및 감속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구동계를 구축하여 테스트 벤치 상 장착된 장치간 치수 간섭을 평가하고, 동력전달장치의 동력 및 진동 특성을 파악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자동차용 테스트 벤치는 격자판 베드에 이동형 고정대를 이용하여 차량 구동계를 조립하는 등의 형태로서 테스트 베드 제작 비용 및 평가 차량의 구동계를 고려한 이동형 고정대의 위치를 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종래에 사용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식은 배터리 전원 공급원의 수단을 유선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의 자동차용 테스트 벤치 및 종래에 사용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 식에 비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경우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의 특성을 동시에 파악해야 한다. 이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구동계 뿐만 아니라 이에 전원을 제공하는 비접촉식 충방전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 특성을 동시에 평가하는 테스트 벤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특성 및 비접촉식 충방전 효율을 동시테스트하는 테스트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본체가 포함된 테스트 벤치는, 테스트 벤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및 테스트 벤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계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의 토크를 증배 또는 감속시키는 감속기; 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형성되어 모터와 감속기를 결합하는 커플링; 및 감속기 선단 양측에 형성되어 토크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접촉식 충방전계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바닥에 형성된 띠형태의 급전라인; 급전라인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테스트 벤치에 형성되어 전자기장을 흡수하는 집전기; 집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테스트 벤치 상부에 형성되어 집전기에서 발생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형하는 정류기; 정류기 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류기에서 변형 한 직류전압을 정전압으로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 및 레귤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충전하고, 구동계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는, 상부에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복수의 팬 냉각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계는, 감속기를 테스트 벤치 일측 상부에 고정하는 판체형태의 감속기 장착부가 더 구비되고, 그리고 모터를 감속기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테스트 벤치의 폭 방향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판체형태의 모터 장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 장착부는 하부에 돌출형성된 고정구; 고정구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고정구가 왕복 이동하도록 나선결합된 스트류형태의 이송축; 이송축 일단에 연결되어 이송축을 회전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축에 직각되게 구동부가 더 형성되면, 구동부에 연장된 회전축을 더 구비하고, 이송축과 회전축이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이 베벨기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스트 벤치는, 집전기 설치된 상부에 급전라인과 집전기의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조절기는, 테스트 벤치 일측 상부에 직각으로 결합된 복수의 지지기둥; 지지기둥 상부에 고정된 판체형태의 지지판; 지지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판에서 승?하강하도록 나선결합된 스크류형태의 승강축; 승강축 상단에 결합되어 승강축 을 회전하는 승강구동부; 승강축 하단에 형성되어 테스트 벤치의 폭 방향 양측의 지지기둥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판체형태의 이송판; 및 승강축과 이송판이 연결부위에 승강축이 회전하여도 이송판이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 베어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 및 승강구동부는 핸들 또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스트 벤치는, 이동성을 갖도록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스트 벤치는,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를 제어하고,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특성에 대한 평가를 출력하며, 그리고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충방전계 효율특성에 대한 평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특성과 비접촉식 충방전계 효율특성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벤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구동계의 모터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성능의 모터를 손쉽게 교체하면서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하는 구동계의 제 원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비접촉식 충방전계의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라인과 집전기의 이격높이를 조절하면서 테스트함으로써, 급전라인과 집전기를 기준으로 한 다양한 높이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구동계 및 충방전계의 특성에 대한 평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구동계 및 충방전계의 특성에 대한 평가가 용이함으로써,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구동계 및 충방전계의 특성에 대한 평가비용의 절감 및 평가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특성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 효율특성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벤치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에 따른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특성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3)의 효율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본체가 포함된 테스트 벤치(1)는, 테스트 벤치(1) 일측 상부에 형성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및 테스트 벤치(1) 타측 상부에 형성된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3)로 구성된다.
테스트 벤치(1)는, 이동성을 갖도록 하부에 복수의 바퀴(11)가 더 구비된다. 이는, 테스트 벤치(1)를 실험하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온라인 전기자동차 정차 중 충전과 온라인 전기자동차 주행 중 충전 시 충전효율이 상이하므로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구동계(2)를 고려한 비접촉식 충방전계(3)의 효율특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바퀴(11)는 테스트 벤치(1)가 이동 후 하중에 의해 정지되지만, 구동계(2)의 작동에 의한 흔들림에 의해 테스트 벤치(1)의 위치가 바뀔 수 있으므로 바퀴(11)는 통상의 레버식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계(2)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동력원인 모터(21), 모터(21)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모터(21)의 토크를 증배 및 감소시키는 감속기(23), 모터(21)와 감속기(23)를 결합하는 커플링(22), 및 감속기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어 토크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24)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를 도시한 요부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촉식 충방전계(3)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라인(31), 급전라인(31)의 상 부에 위치하면서 전자기장을 흡수하는 집전기(32), 집전기(32)에 의해 발생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형시키는 정류기(33), 정류기(33)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정전압으로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34) 및 레귤레이터(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충전하고, 구동계(2)의 모터(2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5)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35)는 상부에 복수의 팬 냉각기(351)를 형성한다. 이는 배터리(35)가 모터(21)에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35)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에 의해 배터리(35)의 성능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모터 장착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벤치(1)는, 구동계(2)의 모터(21)를 탈부착하여 다양한 모터(21)를 테스트하기 위해 감속기 장착부(231)는 테스트 벤치(1)에 고정되고, 모터 장착부(11)는 모터(21)를 테스트 벤치(1)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여 감속기(23)에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감속기(23)에 모터(21)를 탈부착시 커플링(22)은 모터(21)에 부착되어 감속기(23)에 결합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23)에 모터(21)를 탈부착하기 위해 감속기는 테스트 벤치(1) 일측 상부에 판체형태의 감속기 장착부(231)에 의해 고정되고, 모터(21)를 감속기(23)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테스트 벤치(1)의 폭 방향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판체형태의 모터 장착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모터 장착부(211)는 하부에 돌출형성된 고정구(212)를 형성하고, 고정구(212)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고정구(212)가 왕복 이동하도록 나선결합된 스트류형태의 이송축(213)을 형성하며, 그리고 이송축(213) 일단에 연결되어 이송축(213)을 회전하는 구동부(214)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214)에 의해 이송축(213)이 회전하면 이송축(213)에 나선결합된 고정구(212)가 이송축(213) 상에서 왕복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고정구(212)의 이동에 따라 고정구(212)를 하부에 구비한 모터 장착부(211)가 테스트 벤치(1) 폭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이송축(213)에 직각되게 구동부(214)가 더 형성되면, 구동부(214)에 연장된 회전축(215)을 더 구비하고, 이송축(214)과 회전축(215)이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이 베벨기어(216)로 연결한다. 이는, 사용자가 모터 장착부(211)를 작동하기 용이하도록 테스트 벤치(1)의 정면과 측면 중 어느 곳에서도 모터 장착부(211)를 조작가능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구동부(214)는 사용자가 직접조작하는 핸들 또는 후술할 제어부(4)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구동되는 스텝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 높이조절기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벤치(1)는, 집전기(32) 설치된 상부에 급전라인(31)과 집전기(32)의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36)가 더 구비한다. 이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라인(31)과 집전기(32)의 충전효율은 급전라인(31)과 집전기(32) 사이의 거리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급전라인(31)과 집전기(32) 사이의 거리에 따른 충전효율을 테스트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높이조절기(36)는, 테스트 벤치(1) 일측 상부에 직각으로 결합된 복 수의 지지기둥(361)을 형성하고, 지지기둥(361) 상부에 고정된 판체형태의 지지판(362)을 형성하며, 지지판(362)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판(362)에서 승?하강하도록 나선결합된 스크류형태의 승강축(363)을 형성하며, 승강축(363) 상단에 결합되어 승강축(363)을 회전하는 승강구동부(364)를 형성하며, 승강축(363) 하단에 형성되어 테스트 벤치(1)의 폭 방향 양측의 지지기둥(361)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판체형태의 이송판(365)을 형성하며, 그리고 승강축(363)과 이송판(365)이 연결부위에 승강축(363)이 회전하여도 이송판(365)이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 베어링(366)을 형성한다. 이때, 승강구동부(364)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핸들 또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스텝모터를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벤치(1)는 구동계(2)와 비접촉식 충방전계(3)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제어부(4)를 더 구비한다. 이때, 제어부(4)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3) 제어한다. 또한,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특성에 대한 평가를 출력한다. 그리고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충방전계(3) 효율특성에 대한 평가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4)가 구동계(2)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3)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통상이 적외선통신, 와이브로,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4)의 구동계(2) 특성에 대한 평가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주행 및 충전 모드 시 모터(21)의 구동력을 감속기(23)를 통해 드라이브 샤프트(24) 로 전달됨에 따라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동력전달 특성을 평가한다. 여기서, 동력전달의 특성을 평가하는 통상의 자동차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즉, 그 일예로 드라이브 샤프트(24)의 말단에 부하장치를 설치하여 구동계(2)의 운동 시 발생하는 구동계(2)에 작용하는 부하량을 측정하여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동력전달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어부(4)의 충방전계의 효율특성에 대한 평가는 모터(21)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터리(35)의 방전량을 평가 및 차량 충전 모드 시 배터리(35)의 충전량을 평가한다. 여기서, 제어부(4)에 출력되는 구동계(2) 특성의 평가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3) 효율특성의 평가는 구동계(2)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3)에서 전달된 정보와 구동계(2) 및 비접촉식 충방전계(3)에 설치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성의 제어부(4)는 구동계(2) 및 비접속식 충방전계(3)의 제어하는 입력부 및 구동계(2) 및 비접속식 충방전계(3)의 특성을 출력하는 표시부(4)를 갖는 통상의 컴퓨터 및 별도로 제작된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동성 및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노트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를 도시한 요부분해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 모터 장착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 높이조절기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스트 벤치 11: 바퀴 2: 구동계
21: 모터 211: 모터 장착부 212: 고정구
213: 이송축 214: 구동부 215: 회전축
216: 베벨기어 22: 커플링 23: 감속기
24: 드라이브 샤프트 3: 비접촉식 충방전계 31: 급전장치
32: 집전기 33: 레귤레이터 34: 정류기
35 : 배터리 351: 팬 냉각기 36: 높이조절기
361: 지지기둥 362: 지지판 363: 승강축
364: 승강구동부 365: 이송판 366: 베어링
4: 제어부

Claims (12)

  1.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본체가 포함된 테스트 벤치(1)에서,
    상기 테스트 벤치(1) 일측 상부에 형성된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및
    상기 테스트 벤치(1) 타측 상부에 형성된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비접촉식 충방전계(3);가 포함되며,
    상기 비접촉식 충방전계(3)는,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바닥에 형성된 띠형태의 급전라인(31);
    상기 급전라인(31)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테스트 벤치(1)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장을 흡수하는 집전기(32);
    상기 집전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테스트 벤치(1)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집전기(32)에서 발생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형하는 정류기(33);
    상기 정류기(33) 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기에서 변형한 직류전압을 정전압으로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34); 및
    상기 레귤레이터(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구동계(2)의 모터(2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2)는,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1);
    상기 모터(21)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21)의 토크를 증배 또는 감속시키는 감속기(23);
    상기 모터(21)와 상기 감속기(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21)와 상기 감속기(23)를 결합하는 커플링(22); 및
    상기 감속기(23) 선단 양측에 형성되어 토크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2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5)는 상부에 상기 배터리(35)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복수의 팬 냉각기(35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2)는,
    상기 감속기(23)를 상기 테스트 벤치(1) 일측 상부에 고정하는 판체형태의 감속기 장착부(231)가 더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모터(21)를 상기 감속기(23)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테스트 벤치(1)의 폭 방향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판체형태의 모터 장착부(2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장착부(211)는, 하부에 돌출형성된 고정구(212);
    상기 고정구(212)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구(212)가 왕복 이동하도록 나선결합된 스트류형태의 이송축(213);
    상기 이송축(213)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축(213)을 회전하는 구동부(2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213)에 직각으로 상기 구동부(214)가 더 연결형성되면, 상기 구동부(214)에 연장된 회전축(21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송축(213)과 상기 회전축(215)이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이 베벨기어(216)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벤치(1)는, 상기 집전기(32) 설치된 상부에 상기 급전라인(31)과 상기 집전기(32)의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6)은,
    상기 테스트 벤치(1) 일측 상부에 직각으로 결합된 복수의 지지기둥(361);
    상기 지지기둥(361) 상부에 고정된 판체형태의 지지판(362);
    상기 지지판(362)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362)에서 승?하강하도록 나선결합된 스크류형태의 승강축(363);
    상기 승강축(363)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363)을 회전하는 승강구동부(364);
    상기 승강축(363)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테스트 벤치(1)의 폭 방향 양측의 상기 지지기둥(361)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판체형태의 이송판(365); 및
    상기 승강축(363)과 상기 이송판(365)이 연결부위에 상기 승강축(363)이 회전하여도 상기 이송판(365)이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 베어링(366);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14)는 핸들 또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벤치(1)는 이동성을 갖도록 하부에 복수의 바퀴(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12.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9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벤치(1)는, 상기 구동계(2)와 상기 비접촉식 충방전계(3)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제어부(4)를 더 구비하여;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및 상기 비접촉식 충방전계(3)를 제어하고;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2) 특성에 대한 평가를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온라인 전기자동차 섀시 시스템의 충방전계(3) 효율특성에 대한 평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KR1020090098564A 2009-10-16 2009-10-16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KR10111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64A KR101116371B1 (ko) 2009-10-16 2009-10-16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64A KR101116371B1 (ko) 2009-10-16 2009-10-16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39A KR20110041639A (ko) 2011-04-22
KR101116371B1 true KR101116371B1 (ko) 2012-03-16

Family

ID=4404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564A KR101116371B1 (ko) 2009-10-16 2009-10-16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125A (zh) * 2015-01-09 2015-05-1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新能源汽车的整车网络测试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1740B (zh) * 2019-07-31 2021-10-22 重庆金康动力新能源有限公司 电驱总成的测试系统、测试台、测试托盘及悬置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41A (ko) * 2004-03-03 2005-09-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KR20080007695A (ko) * 2006-07-18 200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섀시 다이나모 시스템에 의한 전지의 성능 테스트 방법
KR20080032454A (ko) * 2006-10-10 2008-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41A (ko) * 2004-03-03 2005-09-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접촉 3상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KR20080007695A (ko) * 2006-07-18 200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섀시 다이나모 시스템에 의한 전지의 성능 테스트 방법
KR20080032454A (ko) * 2006-10-10 2008-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125A (zh) * 2015-01-09 2015-05-1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新能源汽车的整车网络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39A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549B2 (en) Aligning and match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automobile
CN103492219B (zh) 扭矩控制装置以及非接触充电系统
JP5557618B2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
EP2626761A3 (en) Arrangement of area wire for unmanned autonomous operating vehicle and control apparatus of the same
JP2014043698A (ja) 移動式駐車設備
US20080110683A1 (en) Plug-in hybrid accessory drive system
JP5736057B2 (ja) 自動車装置
US20160291095A1 (en) Tester for wireless electrified vehicle charger
KR101116371B1 (ko)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섀시 시스템의 구동계와 비접촉식 충방전계 테스트 벤치
KR20110041795A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상하 제어시스템 및 방법
WO2015001744A1 (ja) 給電装置及び周波数特性取得方法
CN205022384U (zh) 感应电能传输系统
US20120228928A1 (en) Vehicular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CN106981954A (zh) 车用电机
CN203132810U (zh) 车载产品检测振动台
CN104677380B (zh) 一种组合导航实验平台
JP5974460B2 (ja) 移動車両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205292255U (zh) 电动汽车
CN210591465U (zh) 无线充电装置
CN114370465B (zh) 一种制动系统
CN109591660A (zh) 混合电动拖拉机及其传动方法
CN103434562B (zh) 新能源车辆的减震型助力转向泵装置
CN205469200U (zh) 一种电动玻璃运转车
CN211223527U (zh) 一种新型汽车冲压件转运小车
WO2016150237A1 (zh) 一种中压交流真空断路器工位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