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570B1 -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570B1
KR101394570B1 KR1020120056679A KR20120056679A KR101394570B1 KR 101394570 B1 KR101394570 B1 KR 101394570B1 KR 1020120056679 A KR1020120056679 A KR 1020120056679A KR 20120056679 A KR20120056679 A KR 20120056679A KR 101394570 B1 KR101394570 B1 KR 101394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pture
disc
rupturing
rupture dis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441A (ko
Inventor
윤하원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에프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5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4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with a fracturing member, e.g. fracturing diaphragm, glass, fusibl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한 파열 디스크의 파열 발생시 해당 파열 디스크의 파편이 다른 한 파열 디스크로 제공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파편 방지 구조가 적용된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 제공시 파열되면서 관로를 개방하는 파열디스크;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방향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시 그의 파열 부위와 함께 변형되면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파편방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열디스크 어셈블리{rupture disc assembly}
본 발명은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에 적용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해당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의 파열 발생시 그 파열디스크로부터의 파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파편 방지 구조가 적용된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는 가스나 액체 상태의 유체가 저장되는 시스템에서의 안전 장치로 사용되는 어셈블리이며,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는 상기한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복수로 구비하면서 상기 각 파열디스크 어셈블리가 순차적으로 파열되어 순간적인 고압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는 필요에 따라 연차적으로 파열되면서 초고압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제공 혹은, 배기하도록 구성되며, 차량용 에어쿠션 장치에 적용되는 인플레이터가 이에 속한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가스를 순간적으로 발생시키는 기기를 의미하며, 튜브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입구측 구조체, 상기 본체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출구측 구조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구측 구조체는 점화기 및 화약을 밀폐시키는 1차 파열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구측 구조체에는 2차 파열디스크로 밀폐된 다양한 형태의 배출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본체는 상기 입구측 구조체와 출구측 구조체 사이에 조립 체결되면서 그 내부에 고압의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인플레이터는 차량 충돌 등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로 인해 점화기의 점화가 이루어지면서 화약이 폭발되면 이러한 폭발로 인해 팽창가스가 발생됨과 더불어 상기 팽창가스의 압력에 의해 1차 파열디스크가 파열되고, 이후 상기 팽창가스는 본체 내로 제공되면서 상기 1차 파열디스크와 2차 파열디스크 사이의 공간 내에 충진된 불활성 가스와 혼합됨과 더불어 이 혼합가스의 압력 증가 및 충격파에 의해 2차 파열디스크가 파열되며, 계속해서 상기 혼합가스는 배출부의 배출공을 통해 에어백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는 1차 파열디스크의 파열시 파편이 발생됨과 더불어 상기한 파편이 2차 파열디스크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2차 파열디스크의 손상이 야기되었고, 이러한 2차 파열디스크의 손상으로 인해 상기 2차 파열디스크의 오작동 및 배출 유로의 방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물론, 종래에는 상기 본체 내의 공간 중 1차 파열디스크의 인접 부위에 망(mesh) 구조의 스크린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1차 파열디스크의 파열에 의해 발생된 파편이 상기 2차 파열디스크로 제공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스크린은 본체 내에 설치하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고, 추가적인 비용 발생뿐만 아니라 팽창가스의 원활한 유동이 방해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파열디스크의 파열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파편에 의한 여타 파열디스크의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플레이터와 같은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에의 적용에 유리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에 따르면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 제공시 파열되면서 관로를 개방하는 파열디스크;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방향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시 그의 파열 부위와 함께 변형되면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파편방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열디스크는 상기 관로의 압력 유출측 외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링 형의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내측 부위를 이루는 돔 형의 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편방지링은 상기 파열디스크의 평면부 외면에 밀착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부위가 과도하게 벌어짐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편방지링을 이루는 벌어짐 방지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방향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면서 내부로는 가스의 통과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구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편방지링을 이루는 벌어짐 방지부와 상기 접촉부 간의 경계인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가 이루는 곡률반경은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압력에 따라 달리 설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열디스크를 이루는 평면부의 외부 둘레면과 상기 파편방지링을 이루는 접촉부의 외부 둘레면 및 상기 장착노즐의 외부 둘레면은 함께 용접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열디스크의 표면에는 파열시의 파열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파열홈이 각인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는 파편방지링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파열디스크의 파열시 파편 발생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2차 파열디스크의 손상 및 오동작 등에 따른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편방지링은 파열디스크와 함께 장착노즐에 용접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파열디스크에 대한 용접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파열디스크와 장착노즐 간의 고정 부위에 대한 원치않는 파열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파편방지링은 내측이 개구된 링의 구조로 형성하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부위에 대한 받침 면적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파열 부위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팽창가스의 원활한 통과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적용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적용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를 적용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의 각 파열디스크에 대한 파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파열디스크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는 크게 파열디스크(310) 및 파편방지링(320)으로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파열디스크(310)는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 제공시 파열되면서 관로(200)를 개방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파열디스크(310)는 상기 관로(200)의 압력 유출측 외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링 형의 평면부(311) 및 상기 평면부(311)의 내측 부위를 이루는 돔 형의 돔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돔부(312)의 표면에는 복수의 파열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관로(200)를 통한 고압 가스가 제공될 경우 상기 파열홈(313)이 형성된 부위를 따라 파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파열홈(313)의 구조는 해당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의 적용 부위나 파열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루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열홈(313)이 십자형 홈임을 그 예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파편방지링(320)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한 파편방지링(320)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파편이 발생됨은 방지함으로써 상기 파편에 의한 여타 파열디스크의 손상이나 관로의 폐쇄 등과 같은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파편방지링(320)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와 함께 상기 관로(200)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평면부(311) 외면에 밀착되는 접촉부(321) 및 상기 접촉부(321)의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 부위가 과도하게 벌어짐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편방지링(320)을 이루는 벌어짐 방지부(322)는 상기 접촉부(321)로부터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 방향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면서 내부로는 가스의 통과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구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벌어짐 방지부(322)의 개구폭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돔부(312)가 이루는 직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열디스크(310)는 그 파열시 상기 벌어짐 방지부(322)에 의한 받침 면적을 충분히 제공받게 됨으로써 일부가 완전히 찢겨 떨어짐이 방지될 수 있고, 내부가 완전히 개구됨에 따라 팽창가스의 원활한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접촉부(321)와 벌어짐 방지부(322) 간의 경계인 모서리 부위는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시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 부위와 함께 변형되면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라운드가 이루는 곡률반경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 압력에 따라 달리 설계된다. 즉, 상기 곡률반경을 작게 설계할수록 파열디스크(310)의 파열 압력을 더욱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한 파열디스크(310)의 압력 제어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열디스크(310)를 이루는 평면부(311)의 외부 둘레면과 상기 파편방지링(320)을 이루는 접촉부(321)의 외부 둘레면 및 상기 관로(200)의 외부 둘레면은 서로 함께 용접되어 일괄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파편방지링(320)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와 함께 상기 관로(200)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를 위한 용접 작업이 한번으로 끝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용접 면적을 확장시켜 용접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파열디스크(310)와 파편방지링(320) 및 관로(200) 간은 저항 용접 혹은,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용접함으로써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가 적용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는 본체(100)와, 장착노즐과,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와, 배출부(400)와, 2차 파열디스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200)는 상기 장착노즐에 해당되며, 설명의 편의상 상기 장착노즐의 도면 부호는 상기 관로(200)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는 에어백(도시는 생략됨)을 팽창시키기 위해 에어백 내로 제공되는 혼합가스(예컨대, 아르곤가스)가 충진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본체(100)는 양 끝단이 개구됨과 더불어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고압의 압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이 아닌 여타 다각형 통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노즐(2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고압의 팽창가스를 전달하는 부위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관로에 해당한다.
상기한 장착노즐(200)은 상기 본체(100)의 개구된 일측 끝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그의 끝단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후술될 1차 파열디스크(300) 및 파편방지링(600)이 설치되는 부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장착노즐(200)의 끝단면 중앙 부위로는 상기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통과공(2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착노즐(200)의 타측(본체와의 결합 부위와는 반대측 부위)에는 점화신호에 의해 점화되는 점화기(220) 및 이 점화기의 점화에 의해 폭발되면서 팽창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약부(23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는 상기 본체(100)의 개구된 양측 끝단 중 일측 끝단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 유체가 제공될 경우 파열되면서 상기 장착노즐(200)의 통과공(210)을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통상적인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의 1차 파열디스크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는 상기 장착노즐(200)의 끝단인 상기 본체(100)와의 결합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장착노즐(200) 내부 공간 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장착노즐(200)을 통해 전달된 팽창가스의 압력에 의해 파열되면서 상기 장착노즐(200)의 통과공(210)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본체(100) 내에 충진된 혼합가스를 배출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배출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그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본체(100) 내에 충진된 혼합가스가 에어백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410)이 관통 형성된다.
물론, 상기한 배출공(410)은 상기 배출부(400)의 끝단면에 관통시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후술될 2차 파열디스크(500)의 파열시 그 파열 방향을 향해 파편이 배출됨과 더불어 이 파열 방향에 위치된 배출공(410)을 상기 파편이 곧장 통과하여 에어백으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파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다음으로, 상기 2차 파열디스크(500)는 상기 본체(100) 내의 충진 공간과 상기 배출부(400) 내의 공간을 서로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 유체가 제공될 경우 파열되면서 상기 본체(100) 내의 충진 공간에 충진된 혼합가스가 상기 배출부(400)의 배출공(4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2차 파열디스크(5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 끝단과 상기 배출부(400) 사이에서 상기 본체(100) 내부 공간과 상기 배출부(400) 내부 공간 간을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상기 2차 파열디스크(500)의 형상은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파열디스크(310)와 같은 돔형의 파열디스크로 형성됨을 그 예로 제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평판 형상의 파열디스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2차 파열디스크(500)의 파열 압력은 상기 본체(100) 내의 충진 공간에 충진된 혼합가스의 압력에 비해서는 높도록 설계되어, 평상시에는 그의 파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상태를 이루다가 상기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시 곧장 파열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의 파편방지링(320)은 상기 파열디스크(310)와 함께 상기 장착노즐(200)의 끝단에 설치되며, 기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파편방지링(320)과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외부 둘레면은 상기 장착노즐(200)의 외부 둘레면에 일괄적으로 용접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가 적용된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는 차량의 에어쿠션 장치에 적용되는 인플레이터임을 그 예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 4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 충돌 혹은, 여타의 원인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면 이 충격에 의한 신호가 점화기(220)로 제공되어 상기 점화기(220)로부터의 점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점화에 의해 화약부(230)의 화약이 폭발하면서 초고압의 팽창가스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초고압의 팽창가스는 장착노즐(200)의 통과공(210)을 통해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가 설치된 부위로 제공된다.
이의 경우, 상기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파열디스크(310)의 돔부(312)는 상기한 팽창가스의 압력에 의해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팽창가스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됨과 더불어 십자형의 파열홈(313)이 성형된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파열홈(313)의 형상적 특징에 따라 파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파열홈(313) 중 십자형의 중심으로부터 네 부분으로 갈라져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파열디스크(310)의 돔부(312)에 대한 변형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파편방지링(320)도 함께 변형된다. 즉, 상기 돔부(312)의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그 변형 부위가 상기 파편방지링(320)을 이루는 접촉부(321)와 벌어짐 방지부(322) 간의 경계 부위인 라운드진 모서리 부위를 강하게 밀게 되고, 이러한 돔부(312)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파편방지링(320)의 모서리 부위가 함께 변형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돔부(312)에 대한 파열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돔부(312)와 평면부(311) 간의 경계 부위에 대한 찢어짐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돔부(312)가 상기 파편방지링(320)의 벌어짐 방지부(322)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파편방지링(320)의 모서리 부위가 이루는 라운드를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파편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이 이루어지면 상기 장착노즐(200)의 통과공(210)을 통해 제공되는 팽창가스는 본체(100) 내의 혼합가스가 충진된 공간 내로 제공되면서 상기 혼합가스와 혼합되고, 이러한 본체(100) 내의 공간에 대한 압력 상승에 의해 첨부된 도 9와 같이 2차 파열디스크(500) 역시 파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팽창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는 배출부(400) 내로 제공됨과 더불어 계속해서 상기 배출부(400)의 각 배출공(410)을 통과하여 에어백 내로 배출됨으로써 상기한 에어백의 부풀어오름이 이루어져 운전자 혹은, 동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연차 파열식 파열장치를 이루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300)는 파편방지링(320)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파열디스크(310)의 파열시 파편 발생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2차 파열디스크(500)의 손상 및 오동작 등에 따른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파편방지링(320)은 파열디스크(310)와 함께 장착노즐(200)에 용접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파열디스크(310)에 대한 용접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파열디스크(310)와 장착노즐(200) 간의 고정 부위에 대한 원치않는 파열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파편방지링(320)은 내측이 개구된 링의 구조로 형성하면서 상기 파열디스크(310)의 파열 부위에 대한 받침 면적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파열 부위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팽창가스의 원활한 통과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열디스크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인플레이터로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둘 이상의 파열디스크가 설치되는 파열장치라면 어디든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일의 파열디스크가 적용되는 파열장치이더라도 해당 파열디스크의 파편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파열장치라면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이다.
100. 본체 200. 장착노즐
210. 통과공 220. 점화기
230. 화약부 300.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310. 파열디스크 311. 평면부
312. 돔부 313. 파열홈
320. 파편방지링 321. 접촉부
322. 벌어짐 방지부 400. 배출부
410. 배출공 500. 2차 파열디스크

Claims (6)

  1. 관로의 압력 유출측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링형상의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내측부위를 이루는 돔 형의 돔부를 포함하고,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 제공시 파열되면서 관로를 개방하는 파열디스크; 그리고
    상기 파열디스크의 평면부 외면에 밀착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부위가 과도하게 벌어짐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부를 포함하고, 파열디스크의 파열 방향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시 파열디스크의 파열 부위와 함께 변형되면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파편방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방지링을 이루는 벌어짐 방지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방향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면서 내부로는 가스의 통과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구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방지링을 이루는 벌어짐 방지부와 상기 접촉부 간의 경계인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가 이루는 곡률반경은 상기 파열디스크의 파열 압력에 따라 달리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디스크를 이루는 평면부의 외부 둘레면과 상기 파편방지링을 이루는 접촉부의 외부 둘레면은 함께 용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디스크의 표면에는 파열시의 파열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파열홈이 각인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KR1020120056679A 2012-05-29 2012-05-29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KR101394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79A KR101394570B1 (ko) 2012-05-29 2012-05-29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79A KR101394570B1 (ko) 2012-05-29 2012-05-29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41A KR20130133441A (ko) 2013-12-09
KR101394570B1 true KR101394570B1 (ko) 2014-05-13

Family

ID=4998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679A KR101394570B1 (ko) 2012-05-29 2012-05-29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17B1 (ko) * 2018-11-08 2020-08-04 에프디씨 주식회사 파열디스크의 파편 발생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1308A (en) 1995-05-23 1997-02-11 Trw Inc. Inflator, inflation fluid heater and assembly methods
JPH1182778A (ja) * 1997-09-09 1999-03-26 Nissan Motor Co Ltd ガス発生器用圧力容器
US6168202B1 (en) 1998-10-27 2001-01-02 Trw Inc. Pyrotechnic initiator with petal retainer structure
JP2010125892A (ja) * 2008-11-25 2010-06-10 Toyoda Gosei Co Ltd インフレー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1308A (en) 1995-05-23 1997-02-11 Trw Inc. Inflator, inflation fluid heater and assembly methods
JPH1182778A (ja) * 1997-09-09 1999-03-26 Nissan Motor Co Ltd ガス発生器用圧力容器
US6168202B1 (en) 1998-10-27 2001-01-02 Trw Inc. Pyrotechnic initiator with petal retainer structure
JP2010125892A (ja) * 2008-11-25 2010-06-10 Toyoda Gosei Co Ltd インフレ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41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843B2 (en) Gas generator
US20050236821A1 (en) Cold gas generator
US8136452B2 (en) Gas generator
KR20160146682A (ko) 가스 발생기
WO2015060081A1 (ja) 破裂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フレータ
US20050173906A1 (en) Inflator
JP5295354B2 (ja) 自動車の安全装置用ガスジェネレータ
US20120210905A1 (en) Seal tape for gas generator
US20170008482A1 (en) Gas generator
KR101394570B1 (ko) 파열디스크 어셈블리
US20070200326A1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EP1364842A1 (en) Inflator
JP4916992B2 (ja) インフレータ
CN106660511B (zh) 带有可缩回活塞的点火器组件
WO2013027545A1 (ja) インフレータ
JP6095463B2 (ja) ガス発生器
JP4067929B2 (ja) インフレータ
US7758070B2 (en) Inflator for restraining system for vehicle
US20070063497A1 (en)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EP2373523B1 (en) Hybrid gas generator, to inflate an inflatable airbag for automotive vehicle
JP4434896B2 (ja) インフレータ
KR0174064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의 압축가스 밸브
JP2005343341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WO2006130059A1 (en) Airbag infl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