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251B1 - 기계식 광 접속자 - Google Patents

기계식 광 접속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251B1
KR101394251B1 KR1020120116876A KR20120116876A KR101394251B1 KR 101394251 B1 KR101394251 B1 KR 101394251B1 KR 1020120116876 A KR1020120116876 A KR 1020120116876A KR 20120116876 A KR20120116876 A KR 20120116876A KR 101394251 B1 KR101394251 B1 KR 10139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ptical fiber
groove
holder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448A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2011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2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7Crimping, i.e.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index-matching medium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43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with auxiliary facilities for movably aligning or adjusting the fibre within its ferrule, e.g. measuring position or eccentric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being a coupling medium interposed therebetween, e.g. epoxy resin, refractive index matching material, index grease, matching liquid or g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광 접속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베이스의 인장부가 삽입되는 인장홀더의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인장홀더를 돌림으로써 절개부가 형성된 인장부가 압착되어 광섬유가 용이하게 압착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식 광 접속자{MACHINE TYPE CONNECTER FOR OPTICAL CONNECTION}
본 발명은 기계식 광 접속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베이스의 인장부가 삽입되는 인장홀더의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인장홀더를 돌림으로써 절개부가 형성된 인장부가 압착되어 광섬유가 용이하게 압착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한국특허출원공보 제10-2009-0094744호 "광섬유 접속용 기계식 접속자"는 양단에서 삽입된 두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접속되기 위한 광섬유 접속홈(11a)을 갖는 광섬유 접속 베이스(11), 상기 광섬유 접속 베이스(11)에 체결되어 상기 광섬유 접속홈(11a)에서 접속되는 광섬유를 가압하기 위한 베이스 덮개 부재(12), 상기 광섬유 접속 베이스(11) 및 상기 베이스 덮개 부재(12)의 외면 둘레에 탄성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광섬유 접속 베이스(11)의 단부측에서 중앙 부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베이스 덮개 부재(12)에 압착되어 상기 광섬유 접속홈(11a) 내의 상기 광섬유가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13, 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섬유 접속용 기계식 접속자(10)는 광섬유 접속 베이스(11)의 양측에서 광섬유를 삽입하여 광섬유 접속홈(11a) 내에 상호 접속을 위한 두 광섬유를 대응시키고, 광섬유 접속 베이스(11) 및 베이스 덮개 부재(12)의 외면 둘레에 체결된 고정 클램프(13, 13')를 베이스 덮개 부재(12)의 중앙측으로 밀어 압착시키는 과정으로 광섬유의 접속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계식 접속자는 광섬유를 인장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섬유를 인장하는 부재를 추가한 접속자도 제시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광섬유 압착이 용이하게 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계식 광 접속자는, 광섬유 접속홈이 형성되고, 끝단에 인장부가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광섬유 접속홈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접속홀더와, 상기 인장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인장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은 단축과 상기 단축보다 긴 장축이 구비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인장홀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매칭젤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홀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양측에는 상기 인장홀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톱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톱돌기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장홀더에는 상기 스톱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는 매칭젤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안착홈 내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이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 접속홈 및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양측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인장부 끝단에는 상기 인장홀더가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계식 광 접속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베이스의 인장부가 삽입되는 인장홀더의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인장홀더를 돌림으로써 절개부가 형성된 인장부가 압착되어 단순한 구성으로 광섬유가 용이하게 압착되어, 광섬유 인장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인장홀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톱돌기가 형성되어, 별도의 측정장비 없이도 상기 광섬유가 최대로 압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인장홀더가 멈추도록 되어 상기 광섬유의 압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매칭젤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되어, 매칭젤로 인해 광섬유의 접속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이격돌기가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켜줄 수 있다.
상기 덮개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에 조립시에 상기 덮개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접속홀더의 이동시 상판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광 접속자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광 접속자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베이스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기계식 광 접속자의 결합상태에서의 중간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인장홀더 정면도.
도 6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길이방향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계식 광 접속자는, 광섬유 접속홈(110)이 형성되고, 끝단에 인장부(160)가 형성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광섬유 접속홈(100)을 덮는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를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시키는 접속홀더(300)와, 상기 인장부(160)가 끼워지는 홀(410)이 형성된 인장홀더(400)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16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홀(410)은 단축(d)과 상기 단축(d)보다 긴 장축(D)이 구비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중심부에 광섬유 접속홈(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쪽 끝단에 인장부(160)가 각각 형성된다.
베이스(100)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장부(160)는 단면형상이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광섬유 접속홈(110)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베이스(100) 상면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접속홈(100)에 연통되도록 두개의 광섬유가 결합되는 부분인 베이스(100)의 중심부에는 매칭젤(미도시)이 보관되는 보관홈(120)이 형성된다.
베이스(100)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하 서술되는 덮개(200)의 돌출부(210)가 안착되는 안착홈(130)이 광섬유 접속홈(1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광섬유 접속홈(110) 및 안착홈(130)에 연통되도록 베이스(100) 양측에는 가이드홈(150)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홈(150)은 단면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폭이 베이스(100)의 중심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은 덮개(200)의 돌출부(210) 하면에도 가이드홈(1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베이스(100)에는 안착홈(130) 내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덮개(200)를 베이스(100)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이격돌기(140)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이격돌기(140)는 가이드홈(150)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베이스(100) 양측에는 인장부(160)를 관통하고, 가이드홈(150)에 연통되도록 광섬유 인출공(10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인장부(160)는 베이스(100) 중심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되어 인장부(160)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인장부(160)의 상하 두께 길이는 홀(410)의 단축(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인장부(16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61)가 광섬유 인출공(10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절개부(161)는 인장부(16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인장부(160)의 상부와 하부는 분리된다.
인장부(160)의 상부 및 하부 끝단에는 인장홀더(400)가 걸리는 걸림후크(162)가 형성된다.
베이스(100) 양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인장홀더(4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톱돌기(163)가 각각 형성된다.
스톱돌기(163)는 절개부(161)의 끝단에 배치된다.
양측에 배치되는 스톱돌기(163)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의 스톱돌기(163)는 전방에 배치되고, 타측의 스톱돌기(163)는 후방에 배치된다.
덮개(200)는 베이스(100) 상부에 배치되어 광섬유 접속홈(100)을 덮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덮개(200) 상면에는 중심부에 스토퍼(230)가 형성되며, 스토퍼(230) 양측에는 상부돌출부(240)가 형성된다. 상부돌출부(240)에서 스토퍼(230)와 근접한 끝단은 반대편 끝단에는 경사면(220)이 형성된다.
접속홀더(300)는 덮개(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접속홀더(300)에는 덮개(200)와 베이스(100)가 관통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접속홀더(300) 외주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마찰홈(320)이 여러개 형성된다.
이러한 마찰홈(320)으로 인해 접속홀더(300)를 덮개(200) 및 베이스(100)에 끼워넣을 때 접속홀더(300)가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끼워진다.
인장홀더(400)는 인장부(160)가 끼워지는 홀(4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410)은 단축(d)과 단축(d)보다 긴 장축(D)이 구비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410)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인장홀더(400) 끝단에는 스톱돌기(163)가 삽입되는 걸림홈(420)이 형성된다.
인장홀더(400)의 외측 단면형상도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베이스(100) 양쪽에 있는 광섬유 인출공(101)에 광섬유를 각각 삽입하여, 가이드홈(150)으로 가이드 한 후에 광섬유 접속홈(110)에 광섬유를 배치시킨다.
양쪽에서 끼워진 광섬유를 베이스(100) 중심부에서 접속하고, 보관홈(120)에 상기 매칭젤을 삽입한다.
이어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의 돌출부(210)를 안착홈(130)에 안착시켜서 광섬유 접속홈(110)을 덮는다. 안착된 덮개(200)는 양측 및 전후방향으로 베이스(100)에 걸리게 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접속홀더(300)를 베이스(100) 양쪽에서 경사면(220)을 타고 슬라이딩시켜서 상부돌출부(240)에 끼워넣는다. 접속홀더(300)는 스토퍼(230)에 걸릴때까지 끼워넣는다. 접속홀더(300)는 이러한 스토퍼(230)로 인해 정해진 위치까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덮개(200)는 접속홀더(300)에 끼워지는 부분의 상하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두께가 얇은 부분을 통해 접속홀더(300)를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는 동시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통해 덮개(200)를 접속홀더(300)로 효과적으로 베이스(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인장홀더(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D)이 인장부(160)의 절개부(161)와 수직이 되도록 배치시켜서 인장부(160)에 끼워넣는다. 끼움이 완료되면 인장홀더(400)는 일단은 베이스(100)에 걸리게 되고, 타단은 걸림후크(162)에 걸리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홀더(400)를 인장부(160)에 끼운 다음에 걸림홈(420)에 스톱돌기(163)가 삽입되어 인장홀더(400)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까지 인장홀더(40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홀(410)의 단축(d) 부분에 인장부(160)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배치되어 인장부(160)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간격은 좁아지게 되어 광섬유가 압착되어, 광섬유 인장이 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의 접속이 단순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광섬유에 인장을 주는 작업도 한번의 작업공정을 통해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 110 : 광섬유 접속홈
120 : 보관홈 200 : 덮개
300 : 접속홀더 400 : 인장홀더

Claims (6)

  1. 광섬유 접속홈이 형성되고, 끝단에 인장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광섬유 접속홈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접속홀더;
    상기 인장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인장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은 단축과 상기 단축보다 긴 장축이 구비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어, 상기 인장홀더를 돌림으로써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인장부가 압착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인장홀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톱돌기가 형성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매칭젤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이격돌기가 형성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양측에는 상기 인장홀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톱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톱돌기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장홀더에는 상기 스톱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는 매칭젤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광섬유 접속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안착홈 내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이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 접속홈 및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양측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인장부 끝단에는 상기 인장홀더가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기계식 광 접속자.
KR1020120116876A 2012-10-19 2012-10-19 기계식 광 접속자 KR10139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76A KR101394251B1 (ko) 2012-10-19 2012-10-19 기계식 광 접속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76A KR101394251B1 (ko) 2012-10-19 2012-10-19 기계식 광 접속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48A KR20140050448A (ko) 2014-04-29
KR101394251B1 true KR101394251B1 (ko) 2014-05-13

Family

ID=5065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876A KR101394251B1 (ko) 2012-10-19 2012-10-19 기계식 광 접속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2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731A (ja) * 1995-03-01 1996-09-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器
JPH112742A (ja) * 1997-06-10 1999-01-0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7526524A (ja) * 2004-03-01 2007-09-13 コーニング ケーブル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内部電極を有する光ファイバ接続部品
KR20100102896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섬유 접속용 기계식 접속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731A (ja) * 1995-03-01 1996-09-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器
JPH112742A (ja) * 1997-06-10 1999-01-0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7526524A (ja) * 2004-03-01 2007-09-13 コーニング ケーブル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内部電極を有する光ファイバ接続部品
KR20100102896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섬유 접속용 기계식 접속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48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676B2 (en) Optical connector
JP2003223952A (ja) 合体式コネクタにおける電線保持構造
KR101742341B1 (ko) 광 파이버 홀더 및 광 파이버 심선의 보지 방법
TWM427348U (en) Freight fastening buckle with positioning function
US7772498B2 (en) Wire holder
WO2013027352A1 (en) Connector with cover
US9721704B2 (en) Wire cover
JP5646974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10128837A (ko) 응력 완화 장치
KR101394251B1 (ko) 기계식 광 접속자
KR20080068574A (ko) 광 커넥터
KR20220125003A (ko) 광커넥터 홀더 및 광커넥터 어셈블리
JP6159429B1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394250B1 (ko) 기계식 광 접속자
CN107710520B (zh) 电线盖以及带电线盖的连接器
JP2016188095A (ja) 電線結束部材
JP6588802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製造方法
CN108292014A (zh) 支架以及光纤加工方法
JP542228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6248912B2 (ja) スプライス部の絶縁構造、ハーネス配置プレートおよび配線ユニット
KR101026672B1 (ko) 광섬유 접속용 기계식 접속자
KR101650649B1 (ko) 필름 결합형 커넥터
LU502191B1 (en) Wire harness port with multi-directional interfaces
KR101411581B1 (ko) 광섬유 커넥터
JP691989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