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194B1 -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194B1
KR101393194B1 KR1020120062742A KR20120062742A KR101393194B1 KR 101393194 B1 KR101393194 B1 KR 101393194B1 KR 1020120062742 A KR1020120062742 A KR 1020120062742A KR 20120062742 A KR20120062742 A KR 20120062742A KR 101393194 B1 KR101393194 B1 KR 10139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oduct
button
user
scree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048A (ko
Inventor
김기성
이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6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1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혹은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회전에 따라 버튼 기능을 변경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 버튼과 센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며, 회전된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TO CHANGE FUCTION OF BUTTON ACORDING TO ROTATION OF 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혹은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회전에 따라 버튼 기능을 변경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되는 전자 제품,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를 회전시킬 때, 자이로스코프 등을 이용하여 회전의 방향을 인지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전자 제품의 화면을 변환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전자 제품은 기기의 측면에 어떠한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입력 장치,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나 볼륨 조절 버튼 등은 외부에 존재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볼륨 버튼은 두 개로 나뉘어 있는데, 전자 제품의 정상 위치를 기준으로 위 쪽 버튼이 볼륨을 높이는 버튼, 아래 쪽 버튼이 볼륨을 낮추는 버튼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전자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정상 위치에서만 사용하지 않고 가로로 뉘어 넓게 보는 등 다른 각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각도를 달리했을 때에도 외부의 버튼은 전자 제품 기기의 각도와 상관없이 고정이 되어 있어 때때로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례로 휴대폰을 거꾸로 들었을 경우에 볼륨 조절 버튼의 위 아래가 바뀌기 때문에 볼륨을 높이고자 할 때 아래 쪽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회전 방향을 인지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현재 사용자 화면을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제품,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이 존재하는 전자 기기의 회전 방향을 인지함으로써, 전자 제품의 화면뿐만 아니라 외부에 존재하는 버튼의 기능을 회전된 화면 기준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에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자 제품의 화면을 보지 않고 다룰 때에, 즉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기준으로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고자 한다.
외부 버튼과 센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며, 회전된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에 있어서, 센서는 전자 제품의 회전과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포함되며, 전자 제품의 화면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가 전자 제품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이 회전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의 회전에 관계 없이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일정하며, 외부 버튼의 기능을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한다.
외부 버튼과 센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인지하며,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에 있어서, 센서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손에 쥐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포함되며, 상기 센서는 외부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작동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기반하여 전자 제품의 회전 각도를 추정하고, 외부 버튼의 기능을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외부 버튼은 방향성을 가지며, 쌍을 이루는 버튼이다.
전자 제품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에 있어서,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는 단계; 회전된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제품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에 있어서,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인지하는 단계;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통해서, 사용자 인지 모델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전자 제품을 회전해도 인지 명령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외부 버튼의 기능을 전자 제품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혼란을 극복하고, 사용자의 인지를 고려하여 편리한 전자 제품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면의 회전과 상관 없이 외부 버튼 기능은 변경되지 않는 기존 기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면의 회전과 상관 없이 외부 버튼 기능은 변경되지 않는 기존 기술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기능 변경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제품의 화면 회전에 따라 외부 버튼 기능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제품의 화면 회전에 따라 외부 버튼 기능이 변경되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의 그립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의 또 다른 일례로,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제품,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가지는 전자 제품이 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전자 제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로로 누이거나 위아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등 다른 각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에 전자 제품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변환되는데, 변환 시에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변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렇게 사용 각도에 따라 화면은 변환되지만 전자 제품의 외부 버튼은 그 기능이 고정되어 있어서 때때로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거꾸로 들었을 경우, 음량 조절 버튼의 위아래가 바뀌게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음량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아래 쪽에 있는 버튼을 눌러야 음량을 높일 수 있으며, 음량을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반대로 위 쪽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품(100)을 위아래를 바꾸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10)은 전자 제품과 함께 위아래가 바뀌지 않고,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보기 편하도록 전자 제품(100)의 위아래가 바뀌기 전과 동일한 화면(110)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시 말하면, 회전된 전자 제품(100)에서 화면(110)을 다시 회전하여 사용자가 인지하기 편한 화면(110)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화면(110)은 전자 제품(100)이 회전될 때, 사용자가 인지하기 편하도록 함께 회전되지만, 외부 버튼(120, 130)의 기능(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볼륨 조절 버튼의 기능)은 전자 제품(100)의 회전에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다.
또한, 도 2의 일례 또한 도 1과 비슷한 일례로서, 기본 화면(210)이 가로로 지원되는 전자 제품(200)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전자 제품(200)도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210)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기 편하도록 회전시켜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외부 버튼(220, 230)도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자 제품의 회전과 상관 없이 그 기능이 일정한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혼란을 줄 수 있다. 먼저, 도 1의 경우에는 평상시 화면에서 음량을 높일 때, 위 쪽의 버튼(120)을 누르지만, 위아래가 바뀐 화면에서 음량을 높일 때, 아래 쪽의 버튼(120)을 눌러야 하며, 도 2의 경우에는 가로로 제공되는 전자 제품(200)의 기본 제공 화면에서 음량을 높일 때에 버튼(230)을 누르며, 낮출 때는 버튼(220)을 누를 수 있다. 하지만, 이 전자 제품(200)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음량을 높이는 버튼(230)이 아래 쪽에 존재하며, 낮추는 버튼(220)이 위 쪽에 존재하게 되고, 기본 화면의 위아래가 바뀌도록 회전시킨 경우에는 버튼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면의 회전에 따라서 버튼의 기능도 함께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기능 변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버튼 기능 변경 장치(300)는 외부 버튼(310)과 센서(320), 메모리(330)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34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며, 회전된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전자 제품의 회전과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포함되며, 전자 제품의 화면은 센서가 전자 제품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이 회전될 수 있다. 화면이 회전되는 방향은 전자 제품을 기울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의 회전에 관계없이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일정하며, 외부 버튼의 기능을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 제품의 화면은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회전되는데, 이렇게 회전된 화면을 기준으로 외부 버튼 기능을 변경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일례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과 도 2의 일례를 본 발명에 적용한 것으로서, 외부 버튼의 기능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도 4의 전자 제품(400)이 회전될 때,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화면(410)도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되기 전과 회전된 이후의 전자 제품 화면(410)의 사용자 인지성은 동일하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된 외부 버튼 기능의 변화를 살펴보면, 회전되기 전 버튼(420)은 음량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버튼(430)은 음량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한 것으로 위에 있는 버튼(420)을 통해 음량을 높이고 아래에 있는 버튼(430)을 통해 음량을 낮추는 것이다. 회전된 후에는 화면(410)과 함께 외부 버튼의 위아래가 뒤바뀌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버튼(430)을 통해 음량을 높일 수 있으며, 버튼(420)을 통해 음량을 낮출 수 있다. 이때, 버튼의 기능이 변경된 것은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한 전자 제품의 화면(410)을 기준으로 된 것이다.
다른 일례로, 도 5와 같이 가로로 기본 화면이 제공되는 전자 제품(500)도 다르지 않다. 도 5의 전자 제품(500)에서 버튼(520)은 음량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며, 버튼(530)은 음량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었을 때, 먼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었을 때, 버튼(530)이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버튼(520)이 위 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두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데, 버튼(520)이 음량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버튼(530)이 음량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경한다.
같은 전자 제품(500)이 위아래가 뒤바뀌도록 회전되었을 때에는, 회전되기 전의 버튼 위치의 좌우가 뒤바뀌므로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제품(500)은 좌우가 바뀐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여 버튼(520)을 통해 음량을 높이며, 버튼(520)을 통해 음량을 낮출 수 있다.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300)는 다른 방법으로도 제공될 수 있는데, 버튼 기능 변경 장치는 외부 버튼(310)과 센서(320), 메모리(330)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34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인지하며,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례는,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반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이 켜진 상태이거나 꺼진 상태인지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제품을 화면을 켜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MP3를 주머니에 넣고 음악을 듣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 기반의 버튼 기능 변경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손에 쥐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포함되며, 센서는 외부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이 센서는 사용자가 어떠한 형태로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멀티 터치를 감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기반하여 전자 제품의 회전 각도를 추정하고, 외부 버튼의 기능을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그립 형태 기반의 버튼 기능 변경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도 6의 그림 (a)와 (b)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것을 전자 제품이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림 (a)와 그림 (b)는 전자 제품은 사용자가 쥐고 있는 그립 형태가 다르다. 그림 (a)가 바르게 들고 있는 상태이고, 그림 (b)가 거꾸로 들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면, 사용자가 인지하기에 두 그림의 상태는 반대가 될 것이며, 외부 버튼의 위아래 혹은 좌우 또한 반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림 (a)의 외부 버튼의 기능을 그림 (b)의 상태가 되면 변경하여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게 버튼 기능 변경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관하여, 도 6의 전자 제품에 화면이 나타날 경우에도 상기한 설명에 따라 버튼 기능 변경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 제품의 화면 기반이 아닌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 기반의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론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제품의 외부 버튼으로는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 즉 음량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음량 조절 버튼, 혹은 화면을 앞으로 혹은 뒤로 전환할 수 있는 버튼 등 한 쌍으로 존재하는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전원 버튼이나 취소 버튼 등 방향성이 없거나 쌍을 이루지 않는 버튼에 대해서 예외로 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 제품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이다. 전자 제품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에 있어서,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는 단계(710); 회전된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720); 및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는 단계(710)는 전자 제품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자 제품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이 회전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의 회전에 관계없이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일정하며, 외부 버튼의 기능을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각 화면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버튼 기능 변경 방법에 있어서 다른 일례로,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전자 제품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에 있어서,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인지하는 단계(810);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820); 및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인지하는 단계(810)는 외부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손에 쥐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 관계를 인지하는데, 즉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르게는 외부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립 인지 센서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과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기반하여 전자 제품의 회전 각도를 추정하고, 외부 버튼의 기능을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제안하는 사용자 인지 모델은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 기반의 사용자 인지 모델이며, 이러한 사용자 인지 모델은 전자 제품의 화면이 켜져 있을 때에도 추론될 수 있으며, 실시예로 그립 위치 인지는 터치 스크린에서의 손가락 터치 센서를 통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이 적용되는 외부 버튼은 방향성을 가지며, 쌍을 이루는 버튼이 될 수 있지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도 7과 도 8의 버튼 기능 변경 방법의 각 단계는 도 3의 버튼 기능 변경 장치의 실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명령어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300: 버튼 기능 변경 장치.
310: 외부 버튼
320: 센서
330: 메모리
340: 프로세서

Claims (15)

  1. 외부 버튼;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손에 쥐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외부 버튼의 입력에 의존하여 작동하는 센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의 화면의 회전을 인지하며,
    상기 회전된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품을 바르게 들고 있는지와 상기 전자 제품을 거꾸로 들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를 판단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자 제품의 회전과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포함되며,
    상기 전자 제품의 화면은
    상기 센서가 상기 전자 제품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이 회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지 모델은
    상기 전자 제품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일정하며,
    상기 외부 버튼의 기능을 상기 전자 제품의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
  4. 외부 버튼;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손에 쥐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외부 버튼의 입력에 의존하여 작동하는 센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제품과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인지하며,
    상기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지 모델을 추정하고,
    전자 제품과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품을 바르게 들고 있는지와 상기 전자 제품을 거꾸로 들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를 판단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된 사용자 인지 모델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그립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지 모델은
    상기 전자 제품과 상기 전자 제품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 관계를 기반하여 상기 전자 제품의 회전 각도를 추정하고,
    상기 외부 버튼의 기능을 상기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버튼은 방향성을 가지며, 쌍을 이루는 버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기능 변경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62742A 2012-06-12 2012-06-12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42A KR101393194B1 (ko) 2012-06-12 2012-06-12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42A KR101393194B1 (ko) 2012-06-12 2012-06-12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48A KR20130139048A (ko) 2013-12-20
KR101393194B1 true KR101393194B1 (ko) 2014-05-08

Family

ID=499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42A KR101393194B1 (ko) 2012-06-12 2012-06-12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6034B (zh) * 2016-06-29 2019-04-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功能设置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55B1 (ko) * 2005-11-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입력부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들에 따른 화상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55B1 (ko) * 2005-11-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입력부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들에 따른 화상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48A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254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multiple frames on a touch screen
KR102153006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904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1285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813991B2 (ja) 携帯端末、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77860B1 (en) Enabling gesture input for controlling a presentation of content
US20130293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US201302222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valid input signal in a terminal
CN106471450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50000632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79085A (ja) ユーザの接触に基づいて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40131061A (ko) 터치 스크린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90306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US20120287350A1 (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US9696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ic device
CN103838496B (zh)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WO2014112273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393194B1 (ko) 전자 제품의 회전에 따른 버튼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WO2013022000A1 (ja) 電子機器
JP2013004001A5 (ko)
JP58276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58410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WO2016206438A1 (zh) 一种触屏控制方法和装置、移动终端
AU2013325379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inputting text i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547708A1 (en) Drive-by-wire apparatus and drive-by-wire method for us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