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482B1 -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2482B1 KR101392482B1 KR1020070087681A KR20070087681A KR101392482B1 KR 101392482 B1 KR101392482 B1 KR 101392482B1 KR 1020070087681 A KR1020070087681 A KR 1020070087681A KR 20070087681 A KR20070087681 A KR 20070087681A KR 101392482 B1 KR101392482 B1 KR 101392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
- filtering
- block boundary
- segment
- adjac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은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 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 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 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한다.
블록킹 효과, DCT, 블록 경계,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방향 벡터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여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해진 대역폭을 가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전송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encoding)가 중요하다. 영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 변환 기반(transform-based)의 부호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변환 기반의 영상 부호화에서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MPEG, JPEG, H.264와 같이 로컬 DCT를 기초로 하는 코덱(codec)들은 영상의 로컬 상관관계 (local correlation)을 이용한다. 즉, 상기 코덱들은 영상을 N*N 픽셀로 구성된 다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마다 개별적으로 DCT를 적용한다. 이 때, 각 블록마다 DCT를 적용하기 때문에 인접 블록하는 블록간에 연결 관계가 단절되어 불연속적인 주파수 특성이 블록 경계에 나타나게 된다.
그러면, 영상을 DCT를 기초로 하는 코덱으로 처리하면 시각적으로 영상이 경계를 통해 블록으로 나누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상기 경계를 블록킹 아티팩트 (blocking artifact)라 하고, 블록킹 아티팩트가 발생하는 현상을 블록킹 현상(Blocking Effect)라 한다.
디지털 방송이 MPEG2를 표준으로 하고, DMB 등의 모바일 기기들이 동영상 표준으로 H.264 등의 블록 DCT 기반의 코덱을 사용함에 따라, deblocking 기술의 활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결국, 상기 블록킹 현상은 로우 패스 필터(LPF)와 같은 필터를 사용하여 블록 경계를 smoothing을 적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다만, 원본 영상에 포함된 엣지(edge) 등의 고주파수 요소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블록 경계에 smoothing을 적용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종래에는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인접한 블록들을 smooth한 pair와 detail한 pair로 분류하여 블록 별로 필터링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미지의 엣지 맵을 픽셀 단위로 작성하여 각 픽셀 별로 필터링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존재하였다.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overlapped DCT를 수행하여 Blocking에 의한 High Frequency를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다만, 언급한 종래 기술들은 모바일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low complexity 방식에 대해서는 취약한 실정이다. 특히, DMB 등의 모바일 방송의 경우 전송 회선의 제한으로 영상이 상대적인 비트율에 따라 압축되기 때문에 블록킹 아티팩트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메모리의 사용과 연산의 복잡도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에 대해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필터링하여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 내에서 필터링함으로써 엣지(edge) 영역의 원하지 않는 손상을 방지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픽셀 세그먼트 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아티팩트(artifact)가 적은 복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픽셀 세그먼트의 길이에 따라 필터링 모드를 달리하여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방향성을 가진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인 스무딩(smoothing)을 최소화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효과 제거 시스템은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 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 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 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 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한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는 상기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상기 시작 픽셀과 상기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하는 픽셀 그룹 보간부, 상기 픽셀 그룹의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상기 픽셀 그룹의 균일도(homogeneity)를 판단하는 균일도 판단부 및 상기 균일도에 따라 상기 픽셀 그룹을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부분을 선택하는 픽셀 그룹 분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 그룹 중 특정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방향에 있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방향을 상기 방향 벡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는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동일한 방향 벡터를 적용하여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에 대해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필터링하여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 내에서 필터링함으로써 엣지(edge) 영역의 원하지 않는 손상을 방지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픽셀 세그먼트 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아티팩트(artifact)가 적은 복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픽셀 세그먼트의 길이에 따라 필터링 모드를 달리하여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방향성을 가진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인 스무딩(smoothing)을 최소화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블로킹 효과 제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은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 바이패스 결정부(102),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 방향 벡터 결정부(104) 및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105)를 포함한다.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픽셀 그룹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그룹이 분할되는 경우,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픽셀 그룹에 대해 미리 설정한 균일도를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픽셀 그룹은 미리 설정한 균일도를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다시 분할될 수 있다. 결국,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균일도에 따라 분할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픽셀 그룹에서 미리 설정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먼저, 픽셀 그룹은 분할될 수 있는 모든 조각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조각 단위로 분할된 픽셀 그룹 전부에 대해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시키는 균일도를 나타내는 픽셀 그룹 중 가장 큰 조각 단위로 분할된 픽셀 그룹을 픽셀 세그먼트로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픽셀 그룹은 영상의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인접하는 1개 라인 픽셀(line pixel)일 수 있다. 즉, 픽셀 그룹은 영상의 블록 경계를 기준 으로 마주하고 있는 1개 라인의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그룹을 1개 라인 픽셀로 정한 것은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픽셀 그룹은 1개 라인 픽셀들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라인 픽셀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픽셀 그룹은 1라인 픽셀로 설정하였다.
일례로,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는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상기 시작 픽셀과 상기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하고, 상기 픽셀 그룹의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상기 픽셀 그룹의 균일도(homogeneity)를 판단하며, 상기 균일도에 따라 상기 픽셀 그룹을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101)에 대해서는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바이패스 결정부(102)는 픽셀 세그먼트에서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바이패스 결정부(102)는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픽셀 세그먼트를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픽셀값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바이패스 결정부(102)는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106)를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는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에 따라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는 필터링 모드를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 하는 제1 필터링 모드 또는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는 픽셀 세그먼트를 smooth한 DC영역으로 판단하여 필터링 모드를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픽셀 세그먼트가 DC 영역으로 판단되면, 상기 픽셀 세그먼트는 인간의 시각에 가장 민감한 블록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 모드가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되면, 블록 경계는 수직방향으로 강력하게 필터링될 수 있다.
또한,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 미만인 경우, 필터링 모드결정부(103)는 픽셀 세그먼트를 complex한 영역으로 판단하여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는 픽셀 세그먼트를 방향 벡터 결정부(104)로 전달할 수 있다.
픽셀 세그먼트가 complex한 영역으로 판단되면, 해당 픽셀 세그먼트에 이미지의 엣지 영역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경우 블록 경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만 필터링하면 엣지 영역의 원하지 않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픽셀 세그먼트가 엣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는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는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가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방향 벡터 결정부(104)는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방향 벡터 결정부(104)는 픽셀 그룹,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상위 픽셀 그룹 및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하위 픽셀 그룹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방향 벡터 결정부(104)는 픽셀 세그먼트가 아닌, 픽셀 그룹을 이용하여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벡터 결정부(104)는 픽셀 그룹 중 특정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 있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방향을 방향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방향 벡터가 블록 경계와 수평인 방향으로 결정되면, 블록 경계를 LPF를 적용하여 smooth하게 필터링하는 효과가 적다. 따라서, 방향 벡터가 블록 경계와 수평인 방향으로 결정되면, 픽셀 세그먼트는 필터링되지 않고 바이패스(106)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픽셀은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에서 바로 인접하는 픽셀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픽셀은 블록 경계로부터 2번째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방향 벡터 결정부(104)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105)는 필터링 방향에 따라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즉,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가 필터링 모드를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105)는 픽셀 세그먼트 영역을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모드 결정부(103)가 필터링 모드를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 하는 경우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105)는 픽셀 세그먼트 영역을 방향 벡터의 방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드 결정부(105)는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동일한 방향을 적용하여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즉,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필터링함으로써, jagging 등의 artifact가 적은 영상이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모드 결정부(105)는 추출한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 내에서 필터링함으로써 이미지의 엣지(edge) 영역에 대한 원하지 않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201)는 픽셀 그룹 보간부(202), 균일도 판단부(203) 및 픽셀 그룹 분할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그룹 보간부(202)는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을 앵커(anchor)로 삼아 해당 픽셀 그룹의 크기만큼 보간할 수 있다.
픽셀 그룹 보간부(202)는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 블록 모두 보간할 수 있다. 픽셀 그룹 보간부(202)를 통해 보간 과정이 끝나면,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 사이의 픽셀 위치마다 새로운 픽셀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픽셀 그룹 보간부(202)는 여러 가지 보간법을 적용하여 픽셀 그룹을 보간할 수 있다. 다만, 픽셀 그룹이 영상의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인접하는 1개 라인 픽셀인 경우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균일도 판단부(203)는 픽셀 그룹의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픽셀 그룹의 균일도(homogeneosity)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균일도 판단부(203)는 픽셀값 차이에 따른 아웃라이어(outlier)의 개수를 이용하여 픽셀 그룹의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웃라이어는 보간 전후의 픽셀값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아웃라이어의 개수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넘는 경우, 균일도 판단부(203)는 해당 픽셀 그룹의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픽셀 그룹 분할부(204)는 균일도를 고려하여 픽셀 그룹을 분할할 수 있다. 일례로, 만약 픽셀 그룹의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픽셀 그룹 분할부(204)는 픽셀 그룹을 반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그룹 분할부(204)는 반으로 분할된 픽셀 그룹 중 블록 경계 부분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201)는 픽셀 그룹의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픽셀 그룹을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픽셀 그룹 분할부(204)에서 픽셀 그룹을 분할하면, 픽셀 그룹 보간부(202)가 분할된 픽셀 그룹을 보간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일도 판단부(203)는 분할된 픽셀 그룹 의 균일도를 판단하고, 픽셀 그룹 분할부(204)는 분할된 픽셀 그룹의 균일도에 따라 다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201)는 반복적인 과정과는 별도로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먼저, 픽셀 그룹은 분할할 수 있는 모든 조각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201)는 조각 단위로 분할된 픽셀 그룹 전부에 대해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 사이를 새로운 픽셀값으로 보간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201)는 조각 단위로 분할된 픽셀 그룹 전부에 대해 각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시키는 균일도를 나타내는 픽셀 그룹 중 가장 큰 조각 단위로 분할된 픽셀 그룹을 픽셀 세그먼트로 추출할 수 있다.
즉, 도 2와 달리 순차적으로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과정은 픽셀 그룹을 미리 분할 가능한 조각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픽셀 그룹 중에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그룹 중 가장 큰 것을 픽셀 세그먼트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그룹을 반복적으로 분할하여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영상의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픽셀 그룹 A와 픽셀 그룹 B를 나타내고 있다. 픽셀 그룹은 전체 블록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블록이 8*8픽셀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픽셀 그룹은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1개 라인 픽셀일 수 있다.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이 이용된다. 도 3에서는 픽셀 그룹 A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픽셀 그룹 B도 픽셀 그룹 A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픽셀 세그먼트가 추출될 수 있다.
픽셀 그룹 A는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A(8)에서 A(1)으로 식별되는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픽셀 그룹 보간부는 픽셀 그룹 A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할 수 있다. 즉, 픽셀 그룹 보간부는 A(1)과 A(8)에 할당된 픽셀값을 이용하여 A(2), A(3), A(4), A(5), A(6) 및 A(7)의 픽셀 위치마다 픽셀값을 보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A(1)과 A(8)의 관계를 이용하여 A(2), A(3), A(4), A(5), A(6) 및 A(7)의 픽셀 위치마다 새로운 픽셀값이 할당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간 과정 후, 균일도 판단부는 각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픽셀그룹 전체의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균일도 판단을 통해 픽셀 그룹의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픽셀 그룹 분할부는 픽셀 그룹 A를 반으로 분할하여 블록 경계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3에서 볼 수 있다.
픽셀 그룹 A의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픽셀 그룹 추출부는 픽셀 그룹 A를 반복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픽셀 그룹 추출부는 2번의 분할 과정을 통해 픽셀 세그먼트 A를 추출할 수 있다. 분할 횟수는 픽셀 그룹마다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반복적으로 픽셀 그룹을 분할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일실시예로 순차적인 과정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 방법이 도 2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즉, 픽셀 그룹 A는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서 픽셀 세그먼트가 추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그룹을 보간하고, 균일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픽셀 그룹 A는 도 2와 같이 A(1)에서 A(8)로 식별되는 픽셀들로 이루어져 있다. 픽셀 그룹 A는 픽셀 위치 마다 픽셀값을 가지고 있다. 픽셀값은 픽셀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값(밝기값), 채도값, 색상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픽셀값은 특정한 속성에 한정되지는 않고,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픽셀 그룹 A는 각 픽셀 위치마다 A(1)에서 A(8)의 순서로 73, 75, 77, 79, 78, 76, 73, 71의 픽셀값을 가진다. 여기서, 픽셀 그룹 보간부는 픽셀 그룹 A에서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인 A(1)과 A(8)을 이용하여 그 사이의 값을 보간할 수 있다. 보간된 값은 A'(1) 부터 A'(8)로 식별되며, 73, 72.x, 72.x, 72.x, 71.x, 71.x, 71.x, 71의 새로운 픽셀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픽셀 그룹 A에 대해서 균일도를 판단하는 과정은 각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아웃라이어(픽셀)의 개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픽셀값 차이가 1보다 큰 경우 아웃라이어라고 한다면, 아웃라이어의 개수는 6개이고, 아웃라이어 개수를 통해 픽셀 그룹 A의 균일도가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한 기준치가 4개인 경우, 픽셀 그룹 A의 균일도는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 부분인 A(5)에서 A(8)까지의 픽셀 그룹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반으로 분할된 픽셀 그룹 A에 대해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인 A(5)와A(8)를 이용하여 다시 보간하고,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픽셀 그룹 A는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분할 과정을 통해 픽셀 그룹 A는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로 추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 실행 여부를 결정하고,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픽셀 그룹 A에 대해서 추출된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그룹 B에 대해서 추출된 픽셀 세그먼트 B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패스 결정부는 픽셀 세그먼트에서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bypass)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바이패스 결정부는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 세그먼트 A의A(8)과 픽셀 세그먼트 B의 B(1) 사이의 픽셀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통해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A(8)과 B(1)사이의 픽셀값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필터링 모드 결정부는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세그먼트 B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픽셀 세그먼트에 대해 필터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A(8)과 B(1)사이의 픽셀값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세그먼트 B는 필터링 되지 않고 바이패스될 수 있다.
필터링 모드 결정부는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에 따라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는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인접하는 픽셀 세그먼트 A의 길이와 픽셀 세그먼트 B의 길이의 합(픽셀 세그먼트의 길이: L)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필터링 모드 결정부는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보다 큰 경우 픽셀 세그먼트를 smooth한 DC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는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세그먼트 B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링 모드는 필터링 모드를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smooth한 DC영역은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에 이미지의 엣지 부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의 필터링 모드가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된 경우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 방향 벡터와 무관하게 필터링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필터링 모드 결정부는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임 계치보다 작은 경우 픽셀 세그먼트를 complex한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는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세그먼트 B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링 모드는 필터링 모드를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complex한 영역은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에 이미지의 엣지 부분이 포함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그룹을 이용하여 결정한 방향 벡터에 따라 픽셀 세그먼트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향 벡터 결정부는 필터링 모드가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한 경우, 픽셀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픽셀 그룹,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상위 픽셀 그룹 및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하위 픽셀 그룹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픽셀 그룹(601)은 픽셀 그룹 A와 픽셀 그룹 B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벡터 결정부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방향 벡터 결정부는 픽셀 그룹 A에 대해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3개까지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벡터 결정부는 상위 픽셀 그룹인 Aup과 하위 픽셀 그룹인 Adown을 함께 참조할 수 있다. 이는 픽셀 그룹 B에 대해서도 동일 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각 픽셀 그룹마다 추출된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데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방향 벡터 결정부는 픽셀 그룹 A, 픽셀 그룹 Aup 및 픽셀 그룹 Adown의 픽셀들을 각각 인덱싱(index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경계와 인접하는 픽셀을 1로 지정하고,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2, 3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픽셀은 모두 A(1), A(2), A(3), Aup(1), Aup(2), Aup(3), Adown(1), Adown(2) 및 Adown(3)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는 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픽셀에 지정된 수는 일례에 불과하며, 시스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런 후, 방향 벡터 결정부는 픽셀 그룹 A와 픽셀 그룹 B의 블록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방향 벡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더 큰 값을 가지는 방향 벡터에 대응하는 픽셀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즉, |A(1)-A(3)|와 |B(1)-B(3)|을 비교하여 더 큰 값을 가지는 픽셀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A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런 후에 방향 벡터 결정부는 A(2)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 있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방향을 방향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은 |Aup(2)-Adown(2)|, 수평 방향은 |A (1)-A(3)| 및 대각선 방향은 각각 |Aup(1)-Adown(3)|, |Aup(3)-Adown(1)|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중 방향 벡터 결정부는 픽셀값 차이가 최소가 되는 방향을 방향 벡터로 결정할 수 있 다.
일례로, 수직 방향인 |Aup(2)-Adown(2)|가 최소인 경우, 블록 경계와는 수평 방향이기 때문에 블록 경계를 smooth하는 필터링을 적용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수직 방향이 최소인 경우, 수평 방향이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 픽셀 세그먼트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반대로, 수평방향이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방향 벡터 결정부는 두 번째 최소 방향으로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방향 벡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픽셀 세그먼트(602)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로우 패스 필터(LPF)를 이용하여 smoothing을 가할 수 있다. 다만, 실제 영상이 가지는 엣지 영역인 고유한 high frequency component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smoothing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픽셀 세그먼트의 분류를 통한 필터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를 포함하는 블록 경계에 대해서는 방향적인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픽셀 세그먼트(602)는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세그먼트 B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하자.
만약, 방향 벡터가 |Aup(3)-Adown(1)|인 대각선 방향으로 결정되면, 픽셀 세그먼트 A와 픽셀 세그먼트 B에서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필터링 방 향을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하게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 전체 픽셀 세그먼트 범위 내에서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 범위가 균일한 픽셀 세그먼트 내로 국한되면서, 이미지의 엣지는 손상되지 않고 블록 경계만 필터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영상의 픽셀 그룹을 반복적으로 분할하여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한다(S701).
이 때, 픽셀 그룹은 영상의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인접하는 1개 라인 픽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픽셀 세그먼트에서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S702).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에 따라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한다(S703).
이 때,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S703)는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이용하여 필터링 모드를 상기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 하는 제1 필터링 모드 또는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한다(S704).
이 때,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S704)는 픽셀 그룹,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상위 픽셀 그룹 및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하위 픽셀 그룹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S704)는 픽셀 그룹 중 특정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방향에 있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방향을 방향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필터링 방향에 따라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S705).
이 때,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S705)는 필터링 모드가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된 경우,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S705)는 필터링 모드가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된 경우, 방향 벡터에 따라 블록 경계를 중심으로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S705)는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동일한 방향을 적용하여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단계에 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6을 통 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세그먼트 추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 방법은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할 수 있다(S8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 방법은 픽셀 그룹의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픽셀 그룹의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S802).
이 때, 균일도는 픽셀값 차이에 따른 아웃라이어(outlier)의 개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 방법은 균일도에 따라 픽셀 그룹을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S80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방법은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픽셀 그룹을 분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단계에 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시스템이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그룹을 반복적으로 분할하여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셀 그룹을 보간하고, 균일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 실행 여부를 결정하고,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그룹을 이용하여 결정한 방향 벡터에 따라 픽셀 세그먼트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픽셀 세그먼트 추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
102: 바이패스 결정부
103: 필터링 모드 결정부
104: 방향 벡터 결정부
105: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
Claims (23)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이용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상기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 하는 제1 필터링 모드 또는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상기 필터링 모드를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한 경우,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블록킹 효과(blocking effect) 제거 시스템.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하고,상기 픽셀 그룹은,영상의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인접하는 1개 라인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하고,상기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는,상기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 픽셀과 상기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하는 픽셀 그룹 보간부;상기 픽셀 그룹의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상기 픽셀 그룹의 균일도(homogeneity)를 판단하는 균일도 판단부; 및상기 균일도에 따라 상기 픽셀 그룹을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부분을 선택하는 픽셀 그룹 분할부를 포함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균일도는,보간 전후의 픽셀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넘는 아웃라이어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는,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 각각에 대해서 상기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픽셀 그룹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 및상기 픽셀 세그먼트에서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bypass)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바이패스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상기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된 경우,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하고,상기 방향 벡터 결정부는,상기 픽셀 그룹,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상위 픽셀 그룹 및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하위 픽셀 그룹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적용하는 상기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벡터 결정부는,상기 픽셀 그룹 중 특정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방향에 있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방향을 상기 방향 벡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pixel segment)를 추출하는 픽셀 세그먼트 추출부;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필터링 모드 결정부;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방향 벡터 결정부;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를 포함하고,상기 픽셀 세그먼트 필터링부는,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동일한 방향을 적용하여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이용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상기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 하는 제1 필터링 모드 또는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상기 필터링 모드를 방향 벡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 모드로 결정한 경우,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픽셀 그룹은,영상의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인접하는 1개 라인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는,상기 픽셀 그룹의 시작 픽셀과 마지막 픽셀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 픽셀과 상기 마지막 픽셀 사이를 보간하는 단계;상기 픽셀 그룹의 픽셀 위치마다 보간 전후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상기 픽셀 그룹의 균일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균일도에 따라 상기 픽셀 그룹을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중 블록 경계부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균일도는,보간 전후의 픽셀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넘는 아웃라이어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는,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 각각에 대해서 상기 균일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픽셀 그룹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 및상기 픽셀 세그먼트에서 블록 경계의 양쪽에 인접하는 픽셀들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바이패스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는,상기 제1 필터링 모드로 결정된 경우, 블록 경계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픽셀 그룹,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상위 픽셀 그룹 및 상기 픽셀 그룹과 인접하는 하위 픽셀 그룹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적용하는 상기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픽셀 그룹 중 특정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방향에 있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 차이를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방향을 상기 방향 벡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영상의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균일도를 만족하는 픽셀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링 방향에 대응하는 필터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필터링 모드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에 적용하는 방향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을 상기 필터링 방향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는,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픽셀들에 대해 동일한 방향을 적용하여 상기 픽셀 세그먼트의 영역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효과 제거 방법.
- 제12항 내지 제17항,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7681A KR101392482B1 (ko) | 2007-08-30 | 2007-08-30 |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US12/013,671 US8131106B2 (en) | 2007-08-30 | 2008-01-14 | Blocking effect removal system and method |
CN2008100055441A CN101378507B (zh) | 2007-08-30 | 2008-02-15 | 块效应去除系统和方法 |
JP2008166485A JP5231097B2 (ja) | 2007-08-30 | 2008-06-25 | ブロッキング効果除去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7681A KR101392482B1 (ko) | 2007-08-30 | 2007-08-30 |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2376A KR20090022376A (ko) | 2009-03-04 |
KR101392482B1 true KR101392482B1 (ko) | 2014-05-07 |
Family
ID=4040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7681A KR101392482B1 (ko) | 2007-08-30 | 2007-08-30 |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131106B2 (ko) |
JP (1) | JP5231097B2 (ko) |
KR (1) | KR101392482B1 (ko) |
CN (1) | CN10137850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85001B (zh) | 2011-02-25 | 2017-08-08 | 太阳专利托管公司 | 用于去块的高效率决策 |
US8995749B2 (en) * | 2013-03-28 | 2015-03-31 | Mitutoyo Corporation | Enhanced edge detection tool for edges of irregular surfaces |
EP3286917A1 (en) * | 2015-05-21 | 2018-02-2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motion compensation |
WO2020184461A1 (ja) * | 2019-03-08 | 2020-09-17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9086A (ja) * | 2002-03-29 | 2003-10-17 | Toshiba Corp | 動画像復号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69092A (ja) * | 1988-09-02 | 1990-03-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サブナイキスト符号化装置 |
CA2171574C (en) * | 1996-03-12 | 2000-10-03 | Brian W. Tansley | Photometric measurement apparatus |
US5828793A (en) * | 1996-05-06 | 1998-10-27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images having extended dynamic ranges |
US6219097B1 (en) * | 1996-05-08 | 2001-04-17 | Olympus Optical Co., Ltd. | Image pickup with expanded dynamic range where the first exposure is adjustable and second exposure is predetermined |
JP4002655B2 (ja) * | 1998-01-06 | 2007-11-0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パターン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H11298898A (ja) * | 1998-04-16 | 1999-10-29 | Victor Co Of Japan Ltd | ブロック歪低減回路 |
US6486915B2 (en) * | 1999-04-20 | 2002-11-26 | Intel Corporation | Determining a final exposure setting automatically for a solid state camera without a separate light metering circuit |
JP4112762B2 (ja) * | 1999-10-05 | 2008-07-02 | 株式会社東芝 | 画像処理装置およびx線診断装置 |
FR2818862A1 (fr) * | 2000-12-26 | 2002-06-28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Procede de traitement de donnees |
FR2825817B1 (fr) * | 2001-06-07 | 2003-09-19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Procede de traitement d'images pour l'extraction automatique d'elements semantiques |
JP4183993B2 (ja) * | 2002-07-16 | 2008-11-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フィルタ装置 |
KR101000926B1 (ko) * | 2004-03-11 | 2010-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의 불연속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및 필터링 방법 |
KR100644618B1 (ko) * | 2004-07-02 | 2006-1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블록 단위로 부호화된 영상의 블록경계에서의 불연속성제거필터 및 방법 |
CN100435588C (zh) * | 2005-09-23 | 2008-11-19 | 逐点半导体(上海)有限公司 | 压缩视频中分块效应的消除方法 |
-
2007
- 2007-08-30 KR KR1020070087681A patent/KR1013924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1-14 US US12/013,671 patent/US8131106B2/en active Active
- 2008-02-15 CN CN2008100055441A patent/CN101378507B/zh active Active
- 2008-06-25 JP JP2008166485A patent/JP523109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9086A (ja) * | 2002-03-29 | 2003-10-17 | Toshiba Corp | 動画像復号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060376A1 (en) | 2009-03-05 |
JP2009060588A (ja) | 2009-03-19 |
JP5231097B2 (ja) | 2013-07-10 |
US8131106B2 (en) | 2012-03-06 |
KR20090022376A (ko) | 2009-03-04 |
CN101378507A (zh) | 2009-03-04 |
CN101378507B (zh) | 2010-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7611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spatial segmentation-based noise reducing for encoded image signal | |
JP4047879B2 (ja) |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 |
US618879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noise in still and moving pictures | |
JP3267926B2 (ja) | ブロック基盤映像処理方法 | |
US7567723B2 (en) | Resolution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 |
US9948943B2 (en) | Image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combined image data and depth data | |
US7006255B2 (en) | Adaptive image filtering based on a distance transform | |
US6823089B1 (en) | Method of determining the extent of blocking and contouring artifacts in a digital image | |
US1043294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video | |
EP1407611B1 (en) | Track for improved video compression | |
US20090003720A1 (en) | Efficient image representation by edges and low-resolution signal | |
KR101392482B1 (ko) | 블록킹 효과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
EP266414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blocking artifact by using transformation coefficient | |
JP2000232651A (ja) | ブロック変換符号化された画像表現から復号した電子的画像の中の歪を除去する方法 | |
EP1168823A2 (en) | A method of determining the extent of blocking artifacts in a digital image | |
JP6163919B2 (ja) | 画像処理装置、補正方法および補正プログラム | |
US8135231B2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osquito noise reduction | |
US2010001477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mpressed video signals by smoothing the entire frame and overlaying preserved detail | |
KR102097422B1 (ko) | 조작 영상 검출 장치 및 방법 | |
KR101710883B1 (ko) | 필터 정보를 이용한 영상 압축 장치 및 방법과 영상 복원 장치 및 방법 | |
US883135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dge-adaptive and recursive non-linear filtering of ringing effect | |
JPH11187400A (ja) | 歪除去方法および歪除去フィルタ | |
Fan et al. | Reducing artifacts in JPEG decompression by segmentation and smoothing | |
WO2006043190A1 (en) | Deblocking filter for video data | |
Yang et al. | A new enhancement method for digital video applic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