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732B1 -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732B1
KR101391732B1 KR1020130086460A KR20130086460A KR101391732B1 KR 101391732 B1 KR101391732 B1 KR 101391732B1 KR 1020130086460 A KR1020130086460 A KR 1020130086460A KR 20130086460 A KR20130086460 A KR 20130086460A KR 101391732 B1 KR101391732 B1 KR 101391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ultraviolet
collagen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766A (ko
Inventor
오지훈
Original Assignee
오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훈 filed Critical 오지훈
Priority to KR102013008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7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제에 태양열 및 태양광으로부터 필름을 보호하는 재료를 포함시켜 필름의 열화현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의하면 점착제층에 콜라겐이 하나의 얇을 막을 형성하여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변색과 변질이 되지 않고, 태양열 또는 태양광으로부터 필름 자체도 보호를 받을 수 있어서 내구성이 현저히 상승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ULTRAVIOLET AND INFRARED ABSORBABLE FILM OF MINIMUM HEAT DETERIORATION}
본 발명은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제에 태양열 및 태양광으로부터 필름을 보호하는 재료를 포함시켜 필름의 열화현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UVA, 파장 320nm~390nm), 자외선B(UVB, 파장280nm~320nm), 자외선C(UVC, 파장 200nm~ 280nm)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중 자외선C는 지구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 공기층에 존재하는 오존 등에 의해서 흡수된다.
상기 자외선B는 상당량이 지구표면에 도달하고, 건물 유리판도 일부분 투과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A는 파장이 길어 투과도가 높기 때문에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양이 많고, 자외선B,C 에 비해 물질에 대한 파괴강도는 약하나, 양이 많아서 장기적으로는 물질의 물성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외선A는 파장이 길어서 점착제 등의 고분자에 완전히 흡수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점착제 자체를 열화시킨다.
종래의 자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5767호에 개시된 바 있고, 태양에서 방사되는 근,원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필름에 관한 기술은 제2011-0113879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필름의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차단층이 부분적으로 변색되어 투명도가 떨어지는 등 쉽게 열화된다.
(2) 태양열 및 태양광에 의한 열화에 의해서 내구성이 떨어져 자주 교체해주어야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단에 코팅층이 형성되고, 투명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으로 형성되는 제1PET층과; 상기 제1PET층의 상단에 무기금속산화물, 희석용제, 첨가제, 촉매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적외선차단층과; 상기 적외선차단층의 상단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는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의 상단에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형성되는 제2PET층과; 상기 제2PET층의 상단에 형성되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상단에 부착되는 이형지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점착제층에는 콜라겐이 도포된 콜라겐층이 포함되도록 형성하는데,
베이스필름인 제1PET층의 일측표면을 무기금속화합물, 희석용제, 첨가제 및 촉매제를 섞어서 습윤분사하여 적외선차단층을 형성하는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와;
상기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 후에 적외선차단층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층형성단계와;
상기 증착층형성단계 후에 제2PET층을 부착하는 제2PET접착단계와;
상기 제2PET접착단계 후에 유기용제와 콜라겐을 혼합한 후 제2PET층의 상단에 미세분사하여 건조하는 콜라겐층형성단계와;
상기 콜라겐층형성단계 후에 콜라겐층의 상단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층형성단계와;
상기 점착제층의 상단에 이형지를 부착하고,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점착제층에 콜라겐이 하나의 얇을 막을 형성하여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변색과 변질이 되지 않는다.
(2) 태양열 또는 태양광으로부터 필름 자체도 보호를 받을 수 있어서 내구성이 현저히 상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의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흡수차단필름의 확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베이스필름인 제1PET층(10)의 일측표면을 무기금속화합물, 희석용제, 첨가제 및 촉매제를 섞어서 습윤분사하여 적외선차단층을 형성하는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1)와;
상기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1) 후에 적외선차단층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층형성단계(2)와;
상기 증착층형성단계(2) 후에 제2PET층(40)을 부착하는 제2PET접착단계(3)와;
상기 제2PET접착단계(3) 후에 유기용제와 콜라겐을 혼합한 후 제2PET층(40)의 상단에 미세분사하여 건조하는 콜라겐층형성단계(4)와;
상기 콜라겐층형성단계 후에 콜라겐층의 상단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층형성단계(5)와;
상기 점착제층의 상단에 이형지를 부착하고, 경화시키는 경화단계(6)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필름은 하단에 코팅층(11)이 형성되고, 투명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으로 형성되는 제1PET층(10)과; 상기 제1PET층(10)의 상단에 무기금속산화물, 희석용제, 첨가제, 촉매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적외선차단층(20)과; 상기 적외선차단층(20)의 상단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는 증착층(30)과; 상기 증착층(30)의 상단에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형성되는 제2PET층(40)과; 상기 제2PET층(4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점착제층(50)과; 상기 점착제층(50)의 상단에 부착되는 이형지층(60)으로 형성되되, 상기 점착제층(50)은 콜라겐이 도포된 콜라겐층의 상단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PET층(10)은 베이스필름에 해당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11)은 스크레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코팅도료에 세라믹을 나노입자형태로 분산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적외선차단층(20)은 무기금속산화물, 희석용제, 첨가제, 촉매를 혼합하여 도포한 층이다.
상기 무기금속산화물은 산화아연, 산화철 또는 이산화티타늄을 나노입자크기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기금속산화물을 사용하지 않고, 무기 안티몬 틴 옥사이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금속산화물은 아크릴산 광촉매 및 고분자 화합물과 혼합되어 분산된 상태에서 형성된다.
상기 희석용제는 극성을 갖는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첨가제는 습윤분산제를 사용하여 무기금속화합물의 응집을 막는다.
상기 적외선차단층(20)을 도포하여 형성할 때 습윤분사를 사용하여 도포하는데 그 두께를 3~5um 정도로 얇게 형성한다.
상기 증착층(30)은 진공층의 내부에서 산화인듐, 은 등을 순차적으로 코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원하는 금속산화물을 증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금속산화물을 증착시킬 경우 열흡수율이 좋고,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PET층(40)은 강도를 높이고, 자외선 및 적외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PET층(40)의 상단에는 점착제층(5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점착제층(50)은 수용성(에멀젼)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두 개의 층으로 나눠진다.
상기 제2PET층(40)의 상단에 유기용제에 혼합된 콜라겐이 미립분사되어 도포되는데, 상기 콜라겐은 분자량 3000~5000인 균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콜라겐은 피쉬 콜라겐 중에서도 참치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콜라겐은 유기용제에 녹아서 미세분사를 통해서 제2PET층(40)에 도포되고, 건조한 후에 점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콜라겐은 필름 전체를 태양열, 태양광으로부터 보호해줌으로써 변색 및 변질을 줄여주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1)는 희석용제와 첨가제 및 촉매제와 분산혼합된 무기금속화합물을 습윤분사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으로, 도포 후 건조한다.
상기 증착층형성단계(2)는 필름을 진공챔버에 넣고, 금속산화물을 스퍼터링하는 단계로 상기와 같이 무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자외선차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층형성단계(4)는 유기용제에 용해된 콜라겐을 미세분사하여 도포하는 것으로, 전체필름을 보호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의 사용방법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형지(60)를 제거하고 점착제층(50)이 드러나도록 하여 부착한다.
상기 점착제층(50)은 유리창과 직접 부착되는 것으로, 물을 뿌려서 접착한 후에 건조되도록 하여 설치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은 유기용제에 무기금속산화물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적외선차단효율이 좋고, 금속산화물에 의해서 자외선 차단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콜라겐에 의해서 자외선 차단효과는 배가된다.
< 실험1 > 자외선차단실험(UV투과실험)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과 M사의 필름을 동일한 크기의 시편을 형성하고, 동일한 두께의 유리에 부착한 후에 자외선 투과측정실험을 한 결과 표1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은 M사와 자외선차단 성능이 동일 또는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M사의 필름

본 발명의 필름

차단율

97~98%

98%
< 실험2 > 열차단실험(표면온도측정실험)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과 M사의 필름을 동일한 크기의 시편을 형성하고, 동일한 두께의 유리에 부착한 후에 인위적인 태양광을 형성하여 조사하면서 표면온도차이를 측정하여 차단율을 정의하였다.
즉,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은 M사의 필름보다 차단율이 월등히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적외선차단층(20)에 의한 열차단효과 뿐만 아니라, 콜라겐에 의한 열차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M사의 필름

본 발명의 필름

차단율

41 ~ 42%

54 %
<실험 3> 에이징테스트(내구연한측정실험)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과 M사의 필름을 동일한 크기의 시편을 형성하고, 동일한 두께의 유리에 부착한 후에 컨트롤챔버에 삽입한 상태에서 태양광과 동일한 조건으로 1년에서 10년까지 에이징하면서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은 변색이 7.2년에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나, M사는 4년에 변색이 시작되었고, 5년이 되면서 점착제층이 일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은 점착제층이 5.4년에 일부 떨어지면서 부착에 문제가 있었으나, 변색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차단필름은 내구연한이 적어도 30%이상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에 의하면 점착제층에 콜라겐이 하나의 얇을 막을 형성하여 하나의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변색과 변질이 되지 않고, 태양열 또는 태양광으로부터 필름 자체도 보호를 받을 수 있어서 내구성이 현저히 상승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제1PET층 11 : 코팅층
20 : 적외선차단층 30 : 증착층
40 : 제2PET층 50 : 점착제층
60 : 이형지

Claims (1)

  1. 베이스필름인 제1PET층의 일측표면을 무기금속화합물, 희석용제, 첨가제 및 촉매제를 섞어서 습윤분사하여 적외선차단층을 형성하는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와;
    상기 적외선차단층형성단계 후에 적외선차단층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층형성단계와;
    상기 증착층형성단계 후에 제2PET층을 부착하는 제2PET접착단계와;
    상기 제2PET접착단계 후에 유기용제와 콜라겐을 혼합한 후 제2PET층의 상단에 미세분사하여 건조하는 콜라겐층형성단계와;
    상기 콜라겐층형성단계 후에 콜라겐층의 상단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층형성단계와;
    상기 점착제층의 상단에 이형지를 부착하고,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KR1020130086460A 2013-07-23 2013-07-23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KR10139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60A KR101391732B1 (ko) 2013-07-23 2013-07-23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60A KR101391732B1 (ko) 2013-07-23 2013-07-23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78 Division 2012-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766A KR20140051766A (ko) 2014-05-02
KR101391732B1 true KR101391732B1 (ko) 2014-05-07

Family

ID=5088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460A KR101391732B1 (ko) 2013-07-23 2013-07-23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7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766A (ko)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9674B1 (en) Agro-horticultural soil cover film
JP2000169765A (ja) 日射遮蔽膜用塗布液及びこれを用いた日射遮蔽膜
JP5794369B2 (ja) ウィンドウフィルム
JP6225670B2 (ja) 透明樹脂組成物及び塗膜並びに熱線遮蔽フィルム
US8158546B2 (en) Transparent aqua-based nano sol-gel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ying the same
JP5499837B2 (ja) 熱線遮蔽フィルム
WO2013042718A1 (ja) 熱線遮蔽材
EP2202064B1 (en) Light-resistant film
KR101391732B1 (ko) 열화현상을 최소화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제조방법
KR101297990B1 (ko) 진공유리구슬을 포함한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차단필름
KR101325728B1 (ko) 자외선 및 적외선을 흡수차단할 수 있는 강화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113302B1 (ja) 紫外線・赤外線遮蔽コーティング剤及び紫外線・赤外線遮蔽コーティング被膜
EP2778204B1 (en) Infrared reflective film, infrared reflective paint, and infrared reflector
CN205374933U (zh) 贴固型液晶膜
WO2021120654A1 (zh) 一种具有双层隔热涂层的玻璃及制备方法
KR101446294B1 (ko) 진공프레스를 이용한 강화필름
JP2017128046A (ja) 光学反射フィルム
KR101454839B1 (ko) 정전기방지기능이 형성된 차량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1998056727A1 (fr) Laminat comprenant un materiau fonctionnel et procede de fabrication
CN206058166U (zh) 一种电容式触控屏及电子设备
CA2881380A1 (en)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7343117B1 (ja) 遮熱用粘着フィルム
JP2011178911A (ja) スリガラス状基板形成用塗布液及びスリガラス状基板
CN205003635U (zh) 提升防护效果的触控装置
WO2017178031A1 (en) A photocatalytic polymer containing product and a method to produce a photocatalytic polymer containing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