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305B1 -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305B1
KR101391305B1 KR1020120083458A KR20120083458A KR101391305B1 KR 101391305 B1 KR101391305 B1 KR 101391305B1 KR 1020120083458 A KR1020120083458 A KR 1020120083458A KR 20120083458 A KR20120083458 A KR 20120083458A KR 101391305 B1 KR101391305 B1 KR 10139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ver window
electrode layer
touch screen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629A (ko
Inventor
신동혁
소회섭
이덕영
배광혁
Original Assignee
이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3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1 광감응성막 및 제1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1 필름을 준비한다.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광경화 패턴 및 제1 전극층을 형성한다. 제2 광감응성막 및 제2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2 필름을 준비한다.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2 광경화 패턴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출원은 대체로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감응성막을 적용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 정보로 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상용화된 대부분의 멀티 터치스크린 패널은 투명전도막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기판을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한다. 투명전도막은 흔히 인듐 주석 산화물 (ITO, 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기 배선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한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패널 외부에 마련된 센서 회로에 연결된다. 터치스크린 패널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투명기판 위에 투명전도막을 형성하고 금속을 증착한 다음 식각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기술 동향으로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기술로서, 투명전도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기술, 터치스크린에서 사용되는 커버 윈도우에 투명전도막이 직접 형성되는 구조 기술 등이 시도되고 있다. 상술한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더불어,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키고, 공정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정 기술 또한 업계에 의해 폭넓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단순화된 공정 및 보다 낮은 제조 비용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1 광감응성막 및 제1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1 필름을 준비한다.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광경화 패턴 및 제1 전극층을 형성한다. 제2 광감응성막 및 제2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2 필름을 준비한다.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2 광경화 패턴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이형 필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1 전도성막, 상기 제1 전도성막 상에 배치되는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광감응성막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이 분리된 상기 제1 필름 중 상기 제1 광감응성막과 상기 커버 윈도우가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광경화 패턴 및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광에 의하여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광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현상하여,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이 선택적으로 제거할 때, 제거되는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전도성막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광경화 패턴 및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자외선을 이용하는 어닐링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제1 광경화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경화 패턴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광에 의하여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광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현상하여,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이 선택적으로 제거할 때, 제거되는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도성막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절연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이 개시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커버 윈도우,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절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광경화 패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광경화 패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감응성 필름을 적용하여, 투광성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투명 전도성 막의 증착 공정, 투명 전도성 막의 건식 식각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전도성막을 구비하는 광감응성 필름을 커버 글라스와 압착하여 적층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커버 글라스 또는 커버 필름 상에 연속적으로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종래에 비해 터치스크린 패널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 커버 글라스 또는 단일 커버 필름을 사용하고, 별도의 절연층을 증착하거나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키지 않음으로써, 단일층 터치스크린 패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 또는 “제2 ”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10 블록에서, 제1 광감응성막 및 제1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1 필름을 준비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일 예로서, 이형 필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1 전도성막, 상기 제1 전도성막 상에 배치되는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광감응성막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막 및 제1 광감응성막은 투광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120 블록에서,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킬때,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전도성막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이 대면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부착시킬 수 있다. 130 블록에서,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광경화 패턴 및 제1 전극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먼저,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노광시켜,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감응성막 중 경화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현상 과정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감응성막 중 경화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될 때, 상기 경화되지 않은 제1 광감응성막 상에 위치하는 제1 전도성막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광경화 패턴 및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다. 140 블록에서, 제2 광감응성막 및 제2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2 필름을 준비한다. 상기 제2 필름은 일 예로서, 이형 필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막, 상기 제2 전도성막 상에 배치되는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광감응성막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제1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150 블록에서,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필름을 접착시킬때,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상기 제2 필름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전도성막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이 대면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압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 필름의 제2 전도성막이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서 수평적으로 평탄화된 면을 이루도록 제어할 수 있다. 160 블록에서,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2 광경화 패턴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노광시켜,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광감응성막 중 경화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현상 과정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감응성막 중 경화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될 때, 상기 경화되지 않은 제2 광감응성막 상에 위치하는 제2 전도성막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광경화 패턴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2 광경화 패턴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형성된 후에,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절연층을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단면도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을 나태내는 도면들의 (a)는 평면도이며, (b)는 (a) 평면도의 일부분을 각각 A-A' 또는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광감응성막(212) 및 제1 전도성막(214)이 적층된 제1 필름(210)을 준비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210)은 이형 필름(211), 이형 필름(211) 상에 배치되는 제1 전도성막(212), 제1 전도성막 상에 배치되는 제1 광감응성막(213) 및 제1 광감응성 막(213)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214)을 포함한다. 제1 필름(210)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필름 구조물로서, 공용의 상용품일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의 형태인 제1 필름(210)을 상용품으로서 구입하여 준비할 수 있다.
제1 전도성막(212) 및 제1 광감응성막(213)은 투광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도성막(212)는 일 예로서, 인듐 주석 산화물 (ITO, indium tin oxide), 비소 주석 산화물 (ATO, antimony tin oxide), 불소 함유 주석 산화물 (FTO, fluorine doped tin oxide), 아연 주석 산화물 (ZTO, zinc tin oxide), 전도성 고분자, 탄소 나노 튜브 (CNT, carbon nanotube), 금속 나노 와이어 및 그래핀 (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감응성막(213)은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다양한 공지의 광경화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감응성막(213)은 일 예로서, 자외선(UV)에 노광될때 경화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310)를 준비한다. 커버 윈도우(310)는 일 예로서, 알루미노 규산염 (alumino silicate) 또는 소다 석회 (soda lime)를 포함하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10)은 다른 예로서, 투명 수지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지의 PET 필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 윈도우(310)의 외곽부에 장식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장식층(320)이 배치되는 위치는 투광성 전극층 이외의 금속 배선층이 위치하는 장소로서, 상기 금속 배선층이 시야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형성된다. 장식층(320)은 커버 윈도우(3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식층(320)의 재질 및 형성 방법에 대하여는 공지의 기술에 따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제1 필름(210)을 접착시켜,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제1 광감응성막(213) 및 제1 전도성막(212)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킨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먼저, 도 2의 제1 필름(210)으로부터 이형 필름(211) 및 커버 필름(214)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이형 필름(211) 및 커버 필름(214)이 분리된 제1 필름(210) 중 제1 광감응성막(213)이 커버 윈도우(310)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시킨 후에, 제1 필름(210)을 커버 윈도우(310)에 접착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도성막(212) 상에 소정의 패턴을 구비하는 포토마스크(330)을 배치시키고, 제1 광감응성막(213) 및 제1 전도성막(212)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킨다. 일 예로서, 광원(340)은 자외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노광된 제1 광감응성막(213)의 일부분은 내부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노광된 제1 광감응성막(213)의 일부분은 내부적으로 결합력이 약해져, 후술하는 현상 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노광된 제1 광감응성막(213)을 현상하여,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제1 광경화 패턴(313) 및 제1 전극층(312)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광감응성막(213)을 현상함으로써, 상기 노광에 의하여 경화되지 않은 제1 광감응성막(213)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경화된 부분은 광원에 의해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경화된 부분은 상기 광원에 의해 노출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광경화특성은 적용되고 있는 제1 광감응성막(213)의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제1 광감응성막(213)의 일부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때, 제거되는 제1 광감응성막(213)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제1 전도성막(212)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감응성막(213)의 현상 과정을 통해 제1 전도성막(212)이 패터닝됨으로써, 제1 전극층(3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12)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라인형 전극 패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광경화패턴(313) 및 제1 전극층(312)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제1 배선층(3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선층(312)은 제1 전극층(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극층(312)이 감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연산 칩(미도시)으로 전달한다. 제1 배선층(350)은 일 예로서, 증착법 또는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광경화패턴(313) 및 제1 전극층(312)을 형성한 후에, 자외선과 같은 광원(345)을 이용하는 어닐링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적인 광경화 공정을 통하여, 커버 윈도우(310)과 제1 광경화패턴(313)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제2 광감응성막(813) 및 제2 전도성막(812)이 적층된 제2 필름을 준비한다. 상기 제2 필름은 일 예로서, 제1 필름(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필름은 이형 필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막(812), 상기 제2 전도성막(812) 상에 배치되는 제2 광감응성막(813), 및 상기 제2 광감응성막(813)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형 필픔 및 상기 커버 필름이 서로 분리된 상기 제2 필름 중 상기 제2 광감응성막(813)이 커버 윈도우(310)과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필름을 커버 윈도우(310)와 압착시켜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접착 공정은 제2 도전성막(812)이 커버 윈도우(310) 상에서 수평적으로 평탄화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2 필름을 커버 윈도우(310)와 압착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전도성막(812) 상에 소정의 패턴을 구비하는 포토마스크(360)을 배치시키고, 제2 광감응성막(813) 및 제2 전도성막(812)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킨다. 일 예로서, 광원(370)은 자외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노광된 제2 광감응성막(813)의 일부분은 내부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노광된 제2 광감응성막(813)의 일부분은 내부적으로 결합력이 약해져, 후술하는 현상 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노광된 제2 광감응성막(813)을 현상하여,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제2 광경화 패턴(1013) 및 제2 전극층(1012)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적 노광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광경화된 제2 광감응성막(813)을 현상함으로써, 경화되지 않은 제2 광감응성막(813)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경화된 부분은 광원(370)에 의해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경화된 부분은 광원(370)에 의해 노출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광경화특성은 적용되고 있는 제2 광감응성막(813)의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제2 광감응성막(813)의 일부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때, 제거되는 제2 광감응성막(813)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제2 전도성막(812)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광감응성막(813)의 현상 과정을 통해 제2 전도성막(812)이 패터닝됨으로써, 제2 전극층(10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층(1012)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라인형 전극 패턴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광경화패턴(1013) 및 제2 전극층(1012)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제2 배선층(39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선층(390)은 제2 전극층(10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전극층(1012)이 감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연산 칩(미도시)으로 전달한다. 제2 배선층(390)은 일 예로서, 증착법 또는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전극층(312) 및 제2 전극층(1012)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310) 상에 절연층(1110)을 도포한다. 절연층(1110)은 아크릴계 필름, 실리콘계 필름, 이소시안계 필름 및 자외선 경화형 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절연층(1110)은 제1 전극층(312) 및 제2 전극층(1012)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11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1 전극층(312) 및 제2 전극층(1012)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110)은 일예로서, 비반사코팅층(AR coating)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층(1110) 상에 별도로 비반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은 커버 윈도우(310), 제1 전극층(312), 제2 전극층(1012) 및 절연층(1110)을 포함한다. 제1 전극층(312)은 커버 윈도우(310)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광경화패턴(313)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층(1012)는 커버 윈도우(310) 상에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광경화패턴(1013) 상에 배치된다. 절연층(1110)은 커버 윈도우(310) 상에서 제1 전극층(312) 및 제2 전극층(10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1 전극층(312) 및 제2 전극층(1012)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12) 및 제2 전극층(1012)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광감응성 필름을 적용하여 투광성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투명 전도성 막의 증착 공정, 투명 전도성 막의 건식 식각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전도성막을 구비하는 광감응성 필름을 커버 글라스와 압착하여 적층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커버 글라스 또는 커버 필름 상에 연속적으로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 커버 글라스 또는 단일 커버 필름을 사용하고, 별도의 절연층을 증착하거나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키지 않음으로써, 단일층 터치스크린 패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제1 필름, 211: 이형 필름, 212: 제1 전도성막, 213: 제1 광감응성막, 214: 커버필름,
310: 커버 윈도우, 312: 제1 전극층, 313: 제1 광경화패턴, 320: 장식층, 330: 포토마스크, 340: 광원, 345: 광원, 350: 제1 배선층, 360: 포토마스크, 370: 광원, 390: 제2 배선층,
812: 제2 전도성막, 813: 제2 광감응성막,
1012: 제2 전극층, 1013: 제2 광경화패턴, 1110: 절연층.

Claims (19)

  1. (a) 제1 광감응성막 및 제1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1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b)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광경화 패턴 및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제2 광감응성막 및 제2 전도성막이 적층된 제2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필름을 접착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상기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전도성막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현상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2 광경화 패턴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이형 필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1 전도성막, 상기 제1 전도성막 상에 배치되는 제1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1 광감응성막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이 분리된 상기 제1 필름 중 상기 제1 광감응성막과 상기 커버 윈도우가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필름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막 또는 상기 제2 전도성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 (ITO, indium tin oxide), 비소 주석 산화물 (ATO, antimony tin oxide), 불소 함유 주석 산화물 (FTO, fluorine doped tin oxide), 아연 주석 산화물 (ZTO, zinc tin oxide), 전도성 고분자, 탄소 나노 튜브 (CNT, carbon nanotube), 금속 나노 와이어 및 그래핀 (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노광에 의하여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광경화시키는 단계;
    (c2)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현상하여,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c3)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이 선택적으로 제거할 때, 제거되는 상기 제1 광감응성막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전도성막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자외선을 이용하는 어닐링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제1 광경화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이형 필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막, 상기 제2 전도성막 상에 배치되는 제2 광감응성막, 및 상기 제2 광감응성막 상에 배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제2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e2) 상기 이형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이 분리된 상기 제2 필름 중 상기 제2 광감응성막과 상기 커버 윈도우가 대면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커버 윈도우와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e2) 단계는
    상기 제2 전도성막이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서 수평적으로 평탄화 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노광에 의하여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광경화시키는 단계;
    (f2)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현상하여,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f3)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이 선택적으로 제거할 때, 제거되는 상기 제2 광감응성막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도성막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알루미노 규산염 (alumino silicate) 또는 소다 석회 (soda lime)를 포함하는 유리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명 수지 필름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g)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절연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아크릴계 필름, 실리콘계 필름, 이소시안계 필름 및 자외선 경화형 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c) 단계 후에,
    상기 제1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단계 후에,
    상기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14.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광경화 패턴 및 상기 제1 광경화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광경화 패턴 및 상기 제2 광경화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알루미노 규산염 (alumino silicate) 또는 소다 석회 (soda lime)를 포함하는 유리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명 수지 필름인 터치스크린 패널.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전극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 (ITO, indium tin oxide), 비소 주석 산화물 (ATO, antimony tin oxide), 불소 함유 주석 산화물 (FTO, fluorine doped tin oxide), 아연 주석 산화물 (ZTO, zinc tin oxide), 전도성 고분자, 탄소 나노 튜브 (CNT, carbon nanotube), 금속 나노 와이어 및 그래핀 (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아크릴계 필름, 실리콘계 필름, 이소시안계 필름 및 자외선 경화형 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터치스크린 패널.
KR1020120083458A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458A KR101391305B1 (ko)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458A KR101391305B1 (ko)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629A KR20140016629A (ko) 2014-02-10
KR101391305B1 true KR101391305B1 (ko) 2014-05-02

Family

ID=5026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458A KR101391305B1 (ko)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11575A1 (en) * 2015-01-21 2018-01-1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CN106033271B (zh) * 2015-03-17 2019-05-10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触摸屏盖板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629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54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US20140063373A1 (en) Touch panel
TWI395998B (zh) 導電板及應用其之觸控板
JP4926218B2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TWI345325B (en) Thin film device having thin film elements and thin film pattern formed on thin film elements, fingerprint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7430462B (zh) 用于制造薄膜触控传感器的方法及装置
CN107799012B (zh) 可折叠显示设备及可折叠显示设备的制作方法
US11099703B1 (en) Touch sensor panels with silver nanowire-based touch electrodes
JP5887940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25659B (zh) 單片式觸控面板結構及其製造方法
KR101533815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101391305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34679B (zh) 觸控面板及其製法
JP6457897B2 (ja) タッチ入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TWI550459B (zh) 觸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07728844A (zh) 一种集成偏光片和触控功能的盖板及显示装置
JP2013222590A (ja) 導電パターン形成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396126B (zh) 觸控面板製造方法
TWI496063B (zh) A method of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patter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and a conductive transfer film
JP2015064707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TWM469543U (zh) 觸控基板
KR102238788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I592849B (zh) 觸控面板以及其製作方法
JP2014071802A (ja) 透明導電性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111090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패널, 및 정전용량 터치 센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