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937B1 -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0937B1 KR101390937B1 KR1020120003223A KR20120003223A KR101390937B1 KR 101390937 B1 KR101390937 B1 KR 101390937B1 KR 1020120003223 A KR1020120003223 A KR 1020120003223A KR 20120003223 A KR20120003223 A KR 20120003223A KR 101390937 B1 KR101390937 B1 KR 101390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tilizer
- opening
- closing
- hopper
- adju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외부로 살포될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으로 이루어진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정판은 제1,2 조정판으로 분리되어 지되, 상기 제1,2 조정판의 인접단에는 하부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상기 개폐조정판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그 조작을 위해 상기 개폐장치에 부가된 다른 장치의 분해 없이 손쉽게 개폐조정판만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비료살포기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할 뿐더러 이등분으로 분리되는 개폐조정판, 즉 제1,2 조정판의 인접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호퍼에 수용된 비료의 무게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조정판과 함께 비료유출구가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상기 개폐조정판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그 조작을 위해 상기 개폐장치에 부가된 다른 장치의 분해 없이 손쉽게 개폐조정판만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비료살포기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할 뿐더러 이등분으로 분리되는 개폐조정판, 즉 제1,2 조정판의 인접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호퍼에 수용된 비료의 무게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조정판과 함께 비료유출구가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료살포기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비료살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2); 상기 호퍼(2)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3)를 통해 유출되는 비료를 외부로 살포하는 살포팬(4); 상기 비료유출구(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살포팬(4)에 의해 외부로 살포될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5)으로 이루어진 개폐장치(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조정판(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유출구(3)의 유출구멍(3a,3b)에 대응하는 유출공(9,9a)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상기 비료유출구(3)의 유출구멍(3a,3b)을 개폐 또는 차단하기 위한 레버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한 개폐조정판(5)의 조작으로 살포팬(4)에 의해 외부로 살포될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개폐장치에 있어, 개폐조정판은 하나의 원판으로 형성되고 살포팬에 축설되어 호퍼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므로 상기 개폐조정판과 비료유출구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그 이물질에 의해 상기 개폐조정판의 회동조작이 어려워지는데, 이때 상기 개폐조정판의 조작을 위해 증기로 이물질을 삶아서 제거하거나 또는 장시간 사용으로 개폐조정판의 회동이 아예 어려운 경우 호퍼를 포함한 개폐장치를 새로 교체하기 위해 개폐장치에 부가된 다른 장치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호퍼에 수용된 비료는 상당한 무게하중을 갖게 되는데, 이때 비료살포기의 장시간 사용이나 호퍼 내에 비료가 장시간 수용되는 경우 개폐장치에는 비료의 무게하중을 견디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개폐장치, 즉 비료유출구와 개폐조정판에는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한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개폐장치의 조작이 어려워 결국 새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상기 개폐조정판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그 조작을 위해 상기 개폐장치에 부가된 다른 장치의 분해 없이 손쉽게 개폐조정판만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비료살포기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할 뿐더러 이등분으로 분리되는 개폐조정판, 즉 제1,2 조정판의 인접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호퍼에 수용된 비료의 무게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조정판과 함께 비료유출구가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는,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외부로 살포될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으로 이루어진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정판은 제1,2 조정판으로 분리되어 지되, 상기 제1,2 조정판의 인접단에는 하부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상기 개폐조정판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그 조작을 위해 상기 개폐장치에 부가된 다른 장치의 분해 없이 손쉽게 개폐조정판만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비료살포기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할 뿐더러 이등분으로 분리되는 개폐조정판, 즉 제1,2 조정판의 인접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호퍼에 수용된 비료의 무게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조정판과 함께 비료유출구가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 - 종래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있어 개폐조정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종래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있어 개폐조정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는, 호퍼(2)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3)와 상기 비료유출구(3)의 저면에 밀착되어 외부로 살포될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5)으로 이루어진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정판(5)은 제1,2 조정판(110,120)으로 분리되어 지되, 상기 제1,2 조정판(110,120)의 인접단에는 하부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111,12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1,121)는 체결수단(13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조정판(5)을 분리하는 것은 살포시 상기 개폐조정판(5)과 비료유출구(3)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의 제거 및 세척 그리고 개폐장치(1)에 부가된 다른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조정판(5)은 제1,2 조정판(110,120)으로 이등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 조정판(110,120)의 인접단에는 한 쌍의 플랜지(111,121)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플랜지(111,121)는 볼트(131)와 너트(132) 등의 체결수단(130)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111,121)는 제1,2 조정판의 분리 및 고정과 함께 보강리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비료살포기의 호퍼(2)에 수용된 비료는 상당한 무게하중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111,121)는 그 무게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상기 호퍼의 하단에 구비된 비료유출구(3)와 함께 개폐조정판(5)이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11,121)에는 체결수단(130)의 체결을 위해 체결공(111a,1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조정판(110,120)에 종래와 동일하게 유출공(110a,120a)이 형성되고 그 중심에 반원의 형상으로 살포팬(4)의 축이 결합되는 축홈(120b)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나아가 상기 개폐조정판(5)의 회동을 위해 측부에 형성된 레버(115)가 잦은 조작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코자 상기 레버(115)는 일단 이상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호퍼(2)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3)와 상기 비료유출구(3)의 저면에 밀착되어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5)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상기 개폐조정판(5)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그 조작을 위해 상기 개폐장치(5)에 부가된 다른 장치의 분해 없이 손쉽게 개폐조정판(5)만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비료살포기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할 뿐더러 이등분으로 분리되는 개폐조정판(5), 즉 제1,2 조정판(110,120)의 인접단에 형성된 플랜지(111,121)에 의해 호퍼(2)에 수용된 비료의 무게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조정판(5)과 함께 비료유출구(3)가 비료의 무게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개폐장치 2: 호퍼
3: 비료유출구 5: 개폐조정판
110: 제1 조정판 120: 제2 조정판
110a,120a: 유출공 110b,120b: 축홈
111,121: 플랜지 111a,121a: 체결공
115: 레버 130: 체결수단
131: 볼트 132: 너트
1: 개폐장치 2: 호퍼
3: 비료유출구 5: 개폐조정판
110: 제1 조정판 120: 제2 조정판
110a,120a: 유출공 110b,120b: 축홈
111,121: 플랜지 111a,121a: 체결공
115: 레버 130: 체결수단
131: 볼트 132: 너트
Claims (1)
-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상기 비료유출구의 저면에 밀착되어 외부로 살포될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조정판으로 이루어진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정판은 제1,2 조정판(110,120)으로 분리되어 지되, 상기 제1,2 조정판(110,120)의 인접단에는 하부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111,12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1,121)에는 다수의 체결공(111a,121a)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111a,121a)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수단(130)에 의해 상기 플랜지(111,121)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223A KR101390937B1 (ko) | 2012-01-10 | 2012-01-10 |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223A KR101390937B1 (ko) | 2012-01-10 | 2012-01-10 |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2040A KR20130082040A (ko) | 2013-07-18 |
KR101390937B1 true KR101390937B1 (ko) | 2014-05-02 |
Family
ID=4899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223A KR101390937B1 (ko) | 2012-01-10 | 2012-01-10 |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093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9375Y1 (ko) | 2002-12-27 | 2003-03-29 | 이재용 | 트랙터용 비료 및 퇴비살포기 |
KR200377621Y1 (ko) | 2004-12-21 | 2005-03-14 | 이재용 |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 |
KR101098081B1 (ko) | 2009-03-13 | 2011-12-26 | 정성원 | 비료살포기의 살포조절장치 |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3223A patent/KR1013909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9375Y1 (ko) | 2002-12-27 | 2003-03-29 | 이재용 | 트랙터용 비료 및 퇴비살포기 |
KR200377621Y1 (ko) | 2004-12-21 | 2005-03-14 | 이재용 |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 |
KR101098081B1 (ko) | 2009-03-13 | 2011-12-26 | 정성원 | 비료살포기의 살포조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2040A (ko) | 2013-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02014210186A1 (de) | Hydraulische Fahrrad-Betätigungsvorrichtung | |
US10362723B2 (en) | Hand-operated spreader | |
JP6008848B2 (ja) | 作物に液体を噴霧するための畑作物噴霧装置 | |
KR101390937B1 (ko) | 비료살포기의 개폐장치 | |
MX2010010210A (es) | Contenedor para filtrar liquidos con un orificio de salida para el aire. | |
AU2018204481A1 (en) | Sieve box and adjustable nozzle assembly | |
CN203934325U (zh) | 撒肥机 | |
ATE413487T1 (de) |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höhe eines einbauhaushaltgerätes, insbesonders einer waschmaschine | |
KR101416299B1 (ko) | 낙수방지 및 압력보정 기능을 갖는 스프링클러 | |
WO2016108194A1 (en) | Centrifugal spreader for fertiliser and manure | |
KR101844054B1 (ko) | 분리형 채반 | |
WO2011098234A1 (de) | Einhändig bedienbarer portionsspender für flüssigkeiten | |
JP5399729B2 (ja) | 肥料散布機 | |
JP5400243B2 (ja) | 肥料散布機 | |
KR20080040312A (ko) | 분유량 조절 공급장치 | |
CN102927289A (zh) | 一种自动流量控制开关 | |
US1629248A (en) | Broadcast distributing machine | |
DE202011110505U1 (de) | Scheibenfilter | |
JP4106465B2 (ja) | 肥料散布機 | |
KR101706725B1 (ko) | 정제 코팅 스프레이건 어셈블리 | |
DE1219901B (de) | Dampfbuegeleisen | |
CN201504522U (zh) | 喷雾式布干粉装置 | |
ITUB20151991A1 (it) | Dispositivo per la erogazione di prodotti fluidi. | |
CN205290320U (zh) | 通用型半自动平衡杆机 | |
CN106315262B (zh) | 皮带机自动喷雾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