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540B1 - 차량 안전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540B1
KR101390540B1 KR1020130135494A KR20130135494A KR101390540B1 KR 101390540 B1 KR101390540 B1 KR 101390540B1 KR 1020130135494 A KR1020130135494 A KR 1020130135494A KR 20130135494 A KR20130135494 A KR 20130135494A KR 101390540 B1 KR101390540 B1 KR 10139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ed
display means
drum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창원문성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문성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문성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는 차량 안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표시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각각의 스크류 사프트에 결합된 한쌍의 스크류 사프트 하우징과 일단이 각각의 상기 스크류 사프트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바와, 상기 바가 회동하면 상하로 이동할수 있게 양단부가 상기 각각의 바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된 표시수단과,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 상기 표시수단을 감는 드럼수단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럼수단은 드럼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드럼에 감기도록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커버에 결합된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로 된 시트와, 상기 시트에 결합된 LED표시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도로 주행중인 차량들로 인해 설치 중 일어날수 있는 운전자의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LED표시등으로 된 경고표시등으로 사고위험을 알리고,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어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이나 흐린날 또는 먼 거리에서도 다른 차량에 차량을 사고를 알릴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안전 표시 장치{Vehicle safety display}
본 발명은 차량 안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는 차량 안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중 차량에 이상이 생기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고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 차량을 도로의 갓길에 정차시키거나 또는 이상이 발생한 위치에 멈추게 되어 해당 위치에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후방에서 전진해 오는 차량의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뒤쪽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한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258호에서는 반사 또는 발광부재를 구비한 수평프레임 양단에 힌지축으로 축설치되는 한 쌍의 접이프레임을 구성하여 힌지축을 지점으로 한 절곡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접이프레임 상단의 힌지축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시켜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체결시켜 삼각대의 조립과 절곡가능하도록하고, 상기 하부의 수평프레임에는 다리체결판을 더 구성하여 다리가 열십자형으로 체결되어 안정성 있는 세움과 다리와 삼각대를 분리시켜 작은 크기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고 있다.
위에 기술한 선행기술에 개시된 종래의 안전 삼각대는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과 분리 및 세움 작업이 편리하여 여성들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사 또는 발광부재는 차량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하여 위험을 알리기 때문에 시야성이 짧아 야간이나 먼 거리에서는 식별하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 삼각대는 규정상 차량의 후방에서 100m 내지 200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2차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야간이나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한 차량 안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과정에서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안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표시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각각의 스크류 사프트에 결합된 한쌍의 스크류 사프트 하우징과 일단이 각각의 상기 스크류 사프트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바와, 상기 바가 회동하면 상하로 이동할수 있게 양단부가 상기 각각의 바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된 표시수단과,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 상기 표시수단을 감는 드럼수단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수단은 드럼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드럼에 감기도록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커버에 결합된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로 된 시트와, 상기 시트에 결합된 LED표시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도로 주행중인 차량들로 인해 설치 중 일어날수 있는 운전자의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LED표시등으로 된 경고표시등으로 사고위험을 알리고,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어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이나 흐린날 또는 먼 거리에서도 다른 차량에 차량을 사고를 알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다리체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전표시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우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펼쳐진 정면도이다.
도 5b는도 5a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전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안전표시장치(1)는 프레임(11)과, 모터(12)와, 스크류 샤프트(14)와,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과, 바(16)와, 커버(5)와, 표시수단(21)과, 드럼수단(17)을 포함한다.
모터(12)는 프레임(11)에 결합된다. 모터(12)에는 기어(13)가 결합되어 있으며, 기어(13)는 모터(12)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13)는 기어(13)가 아닌 벨트풀리 또는 마찰차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류 샤프트(14)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기어(13)에 결합된다.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은 스크류 샤프트(14)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스크류 샤프트(14)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각각의 스크류 사프트(14)에 결합된다.
한쌍으로 이루어진 바(16)는 일단은 각각의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바(16)가 회동하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커버(5)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표시수단(21)은 커버(5)에 결합되고, 표시수단(21)은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로 된 시트(23)와, 시트(23)에 결합된 LED표시등(25)을 구비한다. 커버(5)가 하강하면 표시수단(21)을 감는 드럼수단(17)은 표시수단(21)에 결합되어 드럼수단(17)에 감기도록 하는 탄성부재(미도시)와 표시수단(21)을 감아 보관하는 드럼(18)을 구비한다.
차량안전표시장치(1)는 박스(3)에 수납되어 차량에 내장되거나 별도로 부착 가능하도록 차량에 구비된다.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로 인한 비상상황에서 차량의 위험을 알리고 후방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도록 노출되어 펼쳐진다.
차량안전표시장치(1)를 우측에서 바라 본 것을 기준으로 왼쪽의 스크류 샤프트(14)를 스크류 샤프트 LH(14a), 오른쪽의 스크류 샤프트(14)를 스크류 샤프트 RH(14b)로 정의한다. 또한 스크류 샤프트 LH(14a)에 결합된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은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LH(15a)로 스크류 샤프트 RH(14b)에 결합된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은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RH(15b)로 정의한다.
기어(13)가 모터(1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기어(13)에 결합된 스크류 샤프트(14)가 회전한다.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14)에 결합된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은 스크류 샤프트(14)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LH(15a)와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RH(15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일단이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바(16)는 회동하게 된다. 바(16)의 회동운동으로 인하여 바(16)에 힌지 결합된 커버(5)가 위로 상승하게 된다. 커버(5)가 위로 상승하면서 커버(5)에 결합된 표시수단(21)이 펼쳐서 노출되어 진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펼쳐진 정면도이다. 도5a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노출된 표시수단(21)에 전원이 공급되면 LED(발광다이오드)표시등(25)이 점등되면서 차량의 비상상황을 알리고, 후방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표시수단(21)의 전원은 차량을 통해 공급되거나 휴대용 건전지등을 통하여 공급되어 진다. 또한, 표시수단(21)의 LED표시등(25)은 화살표 모양의 좌우측, 또는 양측을 표시하거나 고장, 사고라는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비상상황이 종료된 후, 전원이 차단되고 LED표시등(25)이 점멸되면 커버가 상승할때와 반대로 모터(12)가 회전한다. 모터(12)에 의해 기어(13)가 반대로 회전하고, 기어(13)에 결합된 스크류 샤프트(14)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14)를 따라 직선운동 하는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은 처음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15)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스크류 하우징(15)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바(16)는 회동하게 된다. 바(16)의 회동운동으로 바(16)에 힌지 결합된 커버(5)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커버(5)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커버(5)에 결합된 표시수단(21)은 드럼수단(17)의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감기게 되고, 드럼(18)에 감겨서 보관되어 진다. 드럼수단(17)의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태엽이 사용될 수 있다.
1 : 차량안전표시장치 3 : 박스
5 : 커버 7 : 브래킷
11 : 프레임 12 : 모터
13 : 기어 14 : 스크류 샤프트
14a : 스크류 샤프트 LH 14b : 스크류 샤프트 RH
15 :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15a :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LH
15b : 스크류 샤프트 하우징 RH 16(16a,16b) : 바
17 : 드럼수단 18 : 드럼
21 : 표시수단 23 : 시트
25 : LED표시등

Claims (3)

  1.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각각의 스크류 사프트에 결합된 한쌍의 스크류 사프트 하우징과
    일단이 각각의 상기 스크류 사프트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바와,
    상기 바가 회동하면 상하로 이동할수 있게 양단부가 상기 각각의 바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된 표시수단과,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 상기 표시수단을 감는 드럼수단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수단은 드럼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드럼에 감기도록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커버에 결합된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로 된 시트와, 상기 시트에 결합된 LED표시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표시 장치.
KR1020130135494A 2013-11-08 2013-11-08 차량 안전 표시 장치 KR10139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94A KR101390540B1 (ko) 2013-11-08 2013-11-08 차량 안전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94A KR101390540B1 (ko) 2013-11-08 2013-11-08 차량 안전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540B1 true KR101390540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494A KR101390540B1 (ko) 2013-11-08 2013-11-08 차량 안전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5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118A (ko) * 2003-07-14 2005-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비상주차 알림 구조
KR101252104B1 (ko) 2013-01-11 2013-04-12 박의종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KR20130057388A (ko) * 2011-11-23 2013-05-31 이정원 차량용 비상상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118A (ko) * 2003-07-14 2005-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비상주차 알림 구조
KR20130057388A (ko) * 2011-11-23 2013-05-31 이정원 차량용 비상상황 표시장치
KR101252104B1 (ko) 2013-01-11 2013-04-12 박의종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223285B1 (ko) 원격조종 안전 삼각대
CN203113234U (zh) 一种带有投放回收平台的三角架警示牌
KR101308606B1 (ko)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KR20160063729A (ko) 차량용 비상 삼각대
KR100812565B1 (ko) 시설물 점검 및 진단시 차량통제를 위한 안전 경광봉
KR20170022225A (ko)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KR101390540B1 (ko) 차량 안전 표시 장치
KR20120036112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1251037B1 (ko) 차량용 실내 안전 삼각대
KR20120031663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102223899B1 (ko) 차량의 자동 안전 삼각대
KR102070133B1 (ko) 차량 설치용 비상 led 표시등
KR20150031947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KR200464251Y1 (ko) 사고발생 표시장치
CN104299531A (zh) 车辆警示装置
KR10131471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차량용 악세사리 겸용 비치 비상등
JP6436323B2 (ja) ワンタッチ安全三角表示板
CN206711548U (zh) 一种建筑施工专用警示装置
KR20170004847A (ko) 차량용 안전배너
CN213565635U (zh) 一种遥控式应急三角架
KR101731435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20120001254U (ko) 야광반사 시트를 이용한 차량용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