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232B1 -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232B1
KR101390232B1 KR1020110070254A KR20110070254A KR101390232B1 KR 101390232 B1 KR101390232 B1 KR 101390232B1 KR 1020110070254 A KR1020110070254 A KR 1020110070254A KR 20110070254 A KR20110070254 A KR 20110070254A KR 101390232 B1 KR101390232 B1 KR 10139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pair
marine structure
sea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275A (ko
Inventor
진종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2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의 측벽부와 상부데크에 설치되고, 해상 측을 향해 배치되어 터그선의 선수부와 결합하는 푸시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펜더부; 및 상기 푸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풀링포스트;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Mooring device for offshore platform}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단거리 이동이나 계류(Mooring)시에는 터그선(Tugboat)의 보조를 받게 된다. 즉, 터그선이 직접 해상구조물을 밀거나 잡아당겨 해상구조물을 이동 또는 계류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해상구조물에는 터그선의 예인력(曳引力)을 받을 수 있도록 지지대, 계선주(繫船柱) 등이 설치되게 된다.
한편, 해상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터그선이나 기타 다른 선박이 접선(接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터그선 등이 해상구조물에 접선시에는 해상구조물의 측벽부로 접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파랑(波浪) 등으로 인해 터그선이 요동하여 해상구조물과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구조물에는 상기와 같은 충돌로부터 해상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펜더(Fender) 등이 설치된다.
종래의 경우, 해상구조물에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지지대, 계선주, 보호 펜더 등이 별개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었다. 즉, 터그선의 예인을 위한 지지대, 계선주 등이 각각 독립된 구조물을 이루고 있었으며, 별개의 기능을 가지는 보호 펜더 또한 하나의 독립된 구조물로 해상구조물에 분산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좁은 해상구조물의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각각의 구조물이 특정한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구조물의 활용도 측면에서도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구조물에 설치되는 예인용 구조물, 보호 펜더 등을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켜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의 측벽부와 상부데크에 설치되고, 해상 측을 향해 배치되어 터그선의 선수부와 결합하는 푸시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펜더부; 및 상기 푸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풀링포스트;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부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상부데크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서포팅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각각 일단부가 해상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상구조물의 상부데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바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서포팅바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해상구조물의 측벽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서포팅바는, 각각 하단부에 상기 펜더부가 끼움 결합되는 펜더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펜더끼움부는, 상기 각 서포팅바의 하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절곡된 부위의 끝단이 상기 펜더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서포팅바는, 각각 상단부에 제 1 펜더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펜더고정부(114)는, 볼팅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펜더부는, 하단부가 상기 푸시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팀버(Tim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단부에 한 쌍의 제 2 펜더고정부가 형성되고,상기 각각의 제 2 펜더고정부(123)는, 볼팅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의 상단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펜더부의 상단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 2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에 상기 펜더부를 고정시키는 펜더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링포스트는, 터그선의 예인로프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그선의 예인을 위한 푸시부 및 풀링포스트, 해상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펜더부가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됨으로써,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해상구조물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푸시부에 펜더부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펜더부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구조물의 용도를 간편하게 전용(轉用)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은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의 제 3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해상 측을 향해 배치되어 터그선(20, 도 3 참고)이 해상구조물(10)에 예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터그선(20) 등이 접선하는 경우 충돌을 방지하는 보호 펜더(Fender)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상구조물(10)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Floating Production Unit), 부유식 원유저장설비(FSU, Floating Storage Unit), 해상가스저장설비(FSRU,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해상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Platform, Semi-Rig 등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해상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푸시부(110), 펜더부(120) 및 풀링포스트(130)를 포함한다.
푸시부(110)는 해상구조물(10)의 예인시 터그선(20) 선수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에 인접한 위치에 해상 측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푸시부(110)는 지지프레임(111) 및 한 쌍의 서포팅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1)은 해상구조물(10)의 상부데크(11)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 쌍의 수평바(116) 및 한 쌍의 수평바(116)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117)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평바(116)은 각각 일단부가 해상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해상구조물(10)의 상부데크(11)에 고정된다. 또한, 보강바(117)는 한 쌍의 수평바(116) 사이를 연결하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보강바(117)가 서로 교차되어 한 쌍의 수평바(116) 사이를 'X' 자 형태로 연결하고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다만, 보강바(117)의 개수나 연결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개수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서포팅바(112)는 각각 지지프레임(111)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해상 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바(112)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터그선(20)의 예인시 한 쌍의 서포팅바(112) 사이로 터그선(20)의 선수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한 쌍의 서포팅바(112) 간의 간격은 터그선(20)의 선수부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포팅바(112)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팅바(112)는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상구조물(10)의 흘수(吃水, draft) 변화나 파랑(波浪)에 따른 터그선(20)의 위치 변화에 관계없이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에 예인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각의 서포팅바(112)는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펜더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이 직접 해상구조물(2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서포팅바(112)가 해상구조물(20)의 측벽부(12)에서 완전히 이격되어 있으면, 터그선(20)이 예인력을 가할 때 충분한 지지 강도를 가지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서포팅바(112)와 측벽부(12) 사이에는 지지리브(115)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포팅바(112)는 하단부에 펜더끼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펜더끼움부(113)는 후술할 펜더부(120)가 끼움 결합되는 부분으로, 서포팅바(112)의 하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서포팅바(112)의 하단부가 상측을 향해 '
Figure 112011054434512-pat00001
'자 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펜더끼움부(113)는 서포팅바(112)의 하단부가 'V'자 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펜더끼움부(113)의 끝단은 경사면(113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펜더끼움부(113)는 절곡된 부위의 끝단이 펜더부(12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113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펜더부(120)를 펜더끼움부(113)에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펜더부(120)의 하단부가 펜더끼움부(113)에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더라도 경사면(113a)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펜더끼움부(113)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각의 서포팅바(112)는 상단부에 제 1 펜더고정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펜더고정부(114)는 펜더끼움부(113)에 끼움 결합된 펜더부(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펜더고정부재(140)가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결합홀(114a)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펜더부(120)는 터그선(20) 등의 접선시 충돌로부터 해상구조물(1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되어 푸시부(1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펜더부(120)는 결합플레이트(121) 및 완충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121)는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푸시부(110)에 형성된 펜더끼움부(113)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결합플레이트(121)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제 2 펜더고정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 2 펜더고정부(123)는 각각의 서포팅바(112)에 형성된 제 1 펜더고정부(114)에 대응되는 것으로, 후술할 펜더고정부재(140)가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결합홀(123a)을 구비할 수 있다.
완충플레이트(122)는 결합플레이트(121)의 일면에 마련되며, 외부충돌로부터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를 보호하는 보호 펜더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완충플레이트(122)는 외부충격을 소정정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팀버(Tim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플레이트(122)의 하단부는 결합플레이트(121)의 하단부보다 소정정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플레이트(121)의 하단부가 펜더끼움부(1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풀링포스트(130)는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잡아당기는 지지점이 되며, 푸시부(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풀링포스트(130)는 원형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풀링포스트(130)의 일측에는 터그선(20)의 예인로프(21, 도 5 참고)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펜더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더고정부재(140)는 푸시부(110) 및 펜더부(12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펜더부(120)를 푸시부(11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펜더고정부재(140)는 양 단에 각각 제 1 체결홀(141) 및 제 2 체결홀(142)이 형성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체결홀(141)은 제 1 펜더고정부(114)에 형성된 제 1 결합홀(114a)과 대응되어 볼팅 결합되고, 제 2 체결홀(142)은 제 2 펜더고정부(123)에 형성된 제 2 결합홀(123a)과 대응되어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하나의 구조물로 터그선(20)의 예인력을 전달하는 지지점의 기능과,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를 보호하는 보호 펜더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제 1 작동상태도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가 보호 펜더로 기능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경우, 플레이트 형태의 펜더부(120) 하단이 펜더끼움부(113)에 끼움 결합되며, 펜더부(120)의 상단부 및 푸시부(110)의 상단부가 각각 펜더고정부재(140)와 볼팅 결합되어 펜더부(120)가 푸시부(110)에 고정된다. 이때, 펜더부(120)는 한 쌍의 서포팅바(112)에 의해 지지되므로, 펜더부(120)는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펜더부(120)의 완충플레이트(122)는 해상 측을 향해 배치된다.
따라서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로 접근하는 터그선(20)이나 기타 선박 등의 해상부유체는 펜더부(120)에 의해 측벽부(12)로의 직접 충돌이 방지된다. 또한, 펜더부(120)에 충돌하는 경우에도 팀버 재질로 형성된 완충플레이트(122) 및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배치구조로 인해, 충격이 소정정도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충돌로 인한 해상구조물(10)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제 2 작동상태도는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미는 경우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가 지지점으로 기능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해상구조물(10)의 이동이나 계류(Mooring)시에는 터그선(20)과 같은 보조이동수단의 도움을 받게 된다. 즉,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밀어서 이동 또는 계류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터그선(20)의 푸싱력에 대한 지지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푸시부(110) 및 펜더부(120)의 상단에 볼팅 결합되어 있는 펜더고정부재(140)를 제거하고, 크레인(미도시) 등을 통해 펜더부(120)를 들어올린다. 펜더부(120)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펜더끼움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있던 펜더부(120)는 푸시부(110)와 분리된다. 즉, 펜더부(120)가 제거되고, 한 쌍의 서포팅바(112)를 포함하는 푸시부(110)만이 해상구조물(10)의 측벽부(12)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펜더부(120)가 분리되면, 해상구조물(10)을 예인하고자 하는 터그선(20)이 측벽부(12)로 접근한다. 이때, 터그선(20)의 선수부는 한 쌍의 서포팅바(112) 사이에 배치되며, 선수부의 좌우측이 각각 좌우측 서포팅바(112)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터그선(20)의 푸싱력은 터그선(20)의 선수부, 한 쌍의 서포팅바(112), 지지프레임(111) 순으로 전달되어 해상구조물(10)에 미치게 된다.
이때, 푸시부(110)와 터그선(20)이 접촉되어 푸시부(110) 및 터그선(20) 중어느 하나 이상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터그선(20)은 푸시부(110)와 맞닿을 수 있는 선수 부분에 별도의 펜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펜더부(120)를 분리하면, 터그선(20)의 푸싱력에 대한 지지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바(112) 사이에 터그선(20)의 선수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터그선(2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파랑 등에 의한 터그선(20)의 요동에도 불구하고 터그선(20)의 푸싱력이 해상구조물(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의 제 3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제 3 작동상태도는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잡아당기는 경우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가 지지점으로 기능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해상구조물(10)의 이동이나 계류시에는 터그선(20)이 푸싱력을 가하는 경우 이외에도 해상구조물(10)을 잡아당겨 이동 및 계류시키는 경우가 있다. 즉,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풀링(Pulling)하여 이동 및 계류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잡아당기는 지지점이 된다. 즉, 터그선(20)은 지지프레임(111)의 일측에 마련된 풀링포스트(130)에 예인로프(21)를 걸고 해상구조물(10)을 잡아당겨 해상구조물(10)을 이동 또는 계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터그선(20)이 해상구조물(10)을 밀어서 예인시키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해상구조물(10)을 잡아당겨 예인시키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터그선(20)의 예인력을 지지 및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펜더부(120)를 결합하여 해상구조물(10)을 보호하는 보호 펜더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종래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분산되어 있던 푸시부(110), 펜더부(120) 및 풀링포스트(130)를 하나로 일체화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100)는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장비의 활용효율 또한 매우 우수하다. 나아가, 분산되어 있던 푸시부(110), 펜더부(120) 및 풀링포스트(130)를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예인작업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작업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110: 푸시부 121: 결합플레이트
111: 지지프레임 122: 완충플레이트
112: 서포팅바 130: 풀링포스트
120: 펜더부 140: 펜더고정부재

Claims (12)

  1. 해상구조물의 일측에 해상 측을 향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해상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로 터그선의 선수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서포팅바를 구비하는 푸시부; 및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펜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포팅바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해상구조물의 측벽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각각 하단부에 상기 펜더부가 끼움 결합되는 펜더끼움부가 형성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풀링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각각 일단부가 해상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상구조물의 상부데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바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펜더끼움부는,
    상기 각 서포팅바의 하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절곡된 부위의 끝단이 상기 펜더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팅바는,
    각각 상단부에 제 1 펜더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펜더고정부에는 볼팅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홀이 형성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하단부가 상기 푸시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팀버(Timber) 재질로 형성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단부에 한 쌍의 제 2 펜더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2 펜더고정부에는 볼팅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홀이 형성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상단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펜더부의 상단부와 볼팅 결합되는 제 2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에 상기 펜더부를 고정시키는 펜더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풀링포스트는,
    터그선의 예인로프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KR1020110070254A 2011-07-15 2011-07-15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KR10139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54A KR101390232B1 (ko) 2011-07-15 2011-07-15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54A KR101390232B1 (ko) 2011-07-15 2011-07-15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75A KR20130009275A (ko) 2013-01-23
KR101390232B1 true KR101390232B1 (ko) 2014-05-02

Family

ID=4783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254A KR101390232B1 (ko) 2011-07-15 2011-07-15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2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647A (ja) 2009-03-27 2010-10-14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チェーンによる洋上浮体構造物係留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647A (ja) 2009-03-27 2010-10-14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チェーンによる洋上浮体構造物係留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75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5722A (en) Rigid disconnectable coupling for waterborne vessels
US8757077B2 (en) Spar mooring line sharing method and system
CN202098535U (zh) 一种游艇的系泊装置
CN102730155A (zh) 一种游艇的系泊装置
CN107109816A (zh) 桩扶正系统
CN103738477A (zh) 系泊锚腿上锚缆的更换方法
WO2016066295A1 (en)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KR200495110Y1 (ko) 접안설비의 고정핀 분해용 지그
CN215884013U (zh) 一种船用护舷固定装置
KR101390232B1 (ko) 해상구조물용 무어링 장치
US6817914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load from ship-based production and storage units to dynamically positioned tankers
KR20090022045A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US6463869B2 (en) Reciprocating barge coupling device
CN108639247B (zh) 一种回收系泊锚链用的专用卡扣及锚链回收方法
CN101687532B (zh) 船舶系泊系统和方法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CN209617385U (zh) 一种深水单点系泊中水浮筒回收下放系统
CN113501088A (zh) 一种应用于lng加注船的旁靠系统及旁靠方法
CN105539766B (zh) 全回转拖船橡胶护舷装置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CN211621738U (zh) 一种整平器索具
KR102051647B1 (ko) Fpso 호스 비상 릴리스에 대비한 위험방지기구
CN103661813B (zh) 全回转拖船艏部双锚绞机的布置方法
KR101598694B1 (ko) 계류 장치를 갖는 선미 구조 및 이를 갖는 드릴쉽
KR101588719B1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