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720B1 - 가열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720B1
KR101387720B1 KR1020120093870A KR20120093870A KR101387720B1 KR 101387720 B1 KR101387720 B1 KR 101387720B1 KR 1020120093870 A KR1020120093870 A KR 1020120093870A KR 20120093870 A KR20120093870 A KR 20120093870A KR 101387720 B1 KR101387720 B1 KR 101387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ss
heat medium
pressing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211A (ko
Inventor
오태봉
Original Assignee
(주)하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기술 filed Critical (주)하나기술
Priority to KR102012009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7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 셀을 가열 압착하는 가열 프레싱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전지셀을 압착하는 복수 개의 평판 형상의 가압 금형을 구비하는 프레스기, 가압 금형으로 공급되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으로 전달하는 유입부 및 가압 금형을 통과한 열매체를 보일러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가압 금형 내부에는 열매체 관로가 형성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열매체 관로로 통과시켜 가압 금형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이다. 본 발명의 가열 프레스 장치는 보일러를 통한 가압 금형의 지속적인 가열을 통하여 가압 금형 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보일러에서 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가압 금형의 승온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1개의 제어시스템으로 가압 금형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열매체 관로 연결부를 가압 금형에 결합함으로써, 금형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인력 및 비용이 절감하며, 가압 금형을 가압 금형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가압 금형이 동시에 금형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금형 공정의 시간 단축 및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열 프레스 장치 {HOT PRESS MACHINE}
본 발명은 가열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 내부에 형성된 열매체 관로를 통하여 통과시켜 가열함으로써, 가압 금형의 온도편차를 최소화시키고 설치 공간의 확보 및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열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지 생산 공정에 있어서, 전지 공정에 사용되는 셀은 셀 내부의 전해질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를 제거하는 DEGASSING 공정, 가스가 제거된 셀을 밀봉하는 SEALING 공정을 거친 후 가열 프레스 공정을 거친다.
가열 프레스 공정은 여러 개의 셀을 압착하여 다양한 셀과 필름 및 코팅층을 압착하는 과정으로서, 가압 금형으로 여러 개의 셀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가압 금형이 일정온도로 가열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가열 프레스 공정을 통한 셀의 압착에 사용되는 가압 금형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압 금형 내에 배치된 전기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압 금형의 온도를 일정온도까지 상승시켜, 가압 금형이 일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제품의 가열 프레스 공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가압 금형의 온도를 온도센서로 체크하여, 가압 금형이 일정온도보다 낮아진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할 때에는, 제품의 생산 도중에 가압 금형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가압 금형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전원을 재공급하는 과정에서 온도상승시간이 소요되고, 이러한 온도 상승시간이 발생함에 따라 발생되는 가압 금형간의 온도 편차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하나의 가압 금형내에 복수의 전기히터가 포함되는 경우 가압 금형의 온도가 균일하게 가열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447호는 대형 판재들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핫 프레스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더라도 온도센서를 통하여 히팅 코일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온도 편차 및 온도 상승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 금형 내부에 열매체 관로를 형성하고, 보일러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가압 금형 내부에 형성된 열매체 관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보일러 히터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항상 동일 온도 조건의 가압 금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가압 금형간의 온도편차 감소 및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가열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열 프레스 장치는 복수의 전지 셀을 가열 압착하는 가열 프레싱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전지셀을 압착하는 복수 개의 평판 형상의 가압 금형을 구비하는 프레스기, 가압 금형으로 공급되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으로 전달하는 유입부 및 가압 금형을 통과한 열매체를 보일러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가압 금형 내부에는 열매체 관로가 형성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열매체 관로로 통과시켜 가압 금형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프레스기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 및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지 및 고정되는 플레이트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가압 금형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플레이트 연결부재에 의하여 수직하게 관통되어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유입부는 유입관 및 유입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관을 구비하고, 유입관은 보일러의 출구에 연결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복수의 제1 연결관으로 이동시키고, 복수의 제1 연결관은 복수의 제1 연결관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가압 금형으로 열매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배출부는 배출관 및 배출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관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2 연결관은 가압 금형에 연결되어 가압 금형을 통과한 열매체를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고, 배출관은 보일러의 입구에 연결되어 열매체를 보일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열매체 관로는 가압 금형 내부에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어 금형 내부를 관통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가압 금형의 상측 및 하측에는 서로 인접한 열매체 관로를 연결시키는 열매체 관로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열매체 관로 연결부는 내부에 'ㄷ'자의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연결유로의 각 단부는 서로 인접한 열매체 관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복수의 가압 금형 중 최외곽의 금형에 연결된 프레싱 암을 더 포함하고, 프레싱 암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가압 금형이 이동하여 셀전지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복수 개의 가압 금형의 각각의 일면에는 가압 금형 연결부재가 수직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의 가압 금형에는 인접한 가압 금형에 결합된 가압 금형 연결부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가압 금형 연결부재는 로드부 및 로드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로 구성되며, 헤드부의 직경이 연결부재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고, 로드부의 헤드부측 반대측 단부는 가압 금형의 일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헤드부측 반대측 단부에 결합된 금형과, 로드부가 관통된 금형은 로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가압 금형 연결부재에 의하여 관통된 가압 금형의 상기 헤드부측에 배치된 가압 금형에는 연결부재 수용홀이 형성되고, 가압 금형이 압착되어 가압 금형 간의 간격이 좁아질 때, 가압 금형 연결부재가 인접한 가압 금형의 연결부재 수용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연결부재 수용홀의 직경은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프레싱 암의 가압 금형측 반대측 단부는 유압 실린더, 공압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를 통한 가압 금형의 지속적인 가열을 통하여 가압 금형 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보일러에서 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가압 금형의 승온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1개의 제어시스템으로 가압 금형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열매체 관로가 가압 금형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금형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인력 및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압 금형을 가압 금형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가압 금형이 동시에 금형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금형 공정의 시간 단축 및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평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가압 금형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의 프레스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프레스 장치는, 전지셀을 가열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기(10), 가압 금형(100)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압 금형(100) 내부에 주입할 용액을 가열 및 배출하는 보일러(200)를 포함한다.
프레스기(10)는 양 단에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는 평판 형상이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 사이에 복수개의 가압 금형(100)이 배치되며, 각 가압 금형(100)은 평판형상이며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는 한 쌍 혹은 복수의 플레이트 연결부재(130)에 의하여 관통하여 연결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 연결부재(1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를 관통한 한 쌍의 플레이트 연결부재(130)는 플레이트 연결부재 고정부(131)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단에서 마감되어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가 유격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복수 개의 가압 금형(100)은 한 쌍의 플레이트 연결부재(130)에 의하여 관통되어 지지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가압 금형(100)에는 플레이트 연결부재(130)가 관통하기 위하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은 한 쌍의 플레이트 연결부재(130)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어 가압 금형(100)이 전, 후 방향으로, 즉 플레이트 연결부재(130)의 길이방향 혹은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2 플레이트(120)에는 프레싱 암(140)이 수직하게 관통 결합된다. 프레싱 암(140)의 일단에는 프레싱부(160)가 형성되며, 프레싱부(160)는 복수 개의 가압 금형(100) 중 제2 플레이트(12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가압 금형(100)에 결합된다. 프레싱 암(140)은 외부 동력원에 의하여, 플레이트 연결부재(130)의 길이방향 또는 전지셀의 압착방향으로 전, 후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싱부(160)가 가압 금형(100)을 제1 플레이트(110) 방향으로 프레싱한다. 프레싱 암(140)은 유압 실린더, 공압 액츄에이터, 모터 혹은 수동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이 가능하여, 제2 플레이트(12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전, 후 반복 이동을 한다.
복수개의 가압 금형(100)의 일면에는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가 수직하게 결합된다.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로드부와 로드부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분된다. 즉,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로드부의 일단에는 가압 금형(100)이 결합되고,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로드부의 타단, 즉 헤드부 측은 인접한 가압 금형(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관통홀(171)을 관통한다.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헤드부의 직경은 연결부재 관통홀(171)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에 의하여 연결된 두 가압 금형(100)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부재 관통홀(171)의 직경은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두 가압 금형(100)이 일정 간격 이내, 즉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길이 이내의 범위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로드부에 의하여 관통된 가압 금형(100)의 헤드부측에 배치된 가압 금형(100)에는 연결부재 수용홀(175)이 형성된다. 즉, 가압 금형(100)에 결합된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가 바로 이웃한 가압 금형(100)을 관통하고, 관통된 가압 금형(100)에 바로 이웃한 가압 금형(100)에는 연결부재 수용홀(175)이 형성된다. 연결부재 수용홀(175)은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끝단의 직경이 큰 부분보다 더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가열 프레스 공정시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끝단에 의하여 가압 금형(100)과 가압 금형(100)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가압 금형(100) 내부에는 보일러(200)에서 가압 금형(100) 내부로 유입된 열매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열매체 관로(105)가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각 열매체 관로(105)는 평행하고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 형상의 가압 금형(100)의 상부 모서리에는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가 결합한다.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며,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의 내부에는 열매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열매체 유로가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압 금형(100) 내부에 형성된 수평한 열매체 관로(105)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를 결합함에 따라, 가압 금형(100)의 제작시 가압 금형(100) 내부의 열매체 관로(105)를 곡선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직선으로만 단순하게 제작하여도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에 의하여 열매체가 평판 형상의 가압 금형(100)의 전체에 걸쳐 흐를 수 있으므로 가압 금형(100)의 제작공정이 단순화되어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가압 금형(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일러(200)에는 보일러(200) 내부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100)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가압 금형(100)을 통과한 열매체가 보일러(200)로 빠져나오는 배출부가 결합된다. 유입부는 유입관(300)과 제1 연결관(500a)으로 구성되며, 배출부는 배출관(400)과 제2 연결관(500b)으로 구성된다.
유입관(300)의 일단에는 보일러(200)가 결합되며 타단에는 제1 연결관(500a)이 결합된다. 배출관(400)의 일단에는 보일러(200)가 결합되며 타단에는 제2 연결관(500b)이 결합된다. 제1 연결관(500a) 및 제2 연결관(500b)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연결관(500a) 및 제2 연결관(500b)은 하나의 가압 금형(100)에 연결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보일러(200)에서 가열된 용액이 유입관(300)으로 유입된다. 유입관(300)으로 유입된 가열된 용액은 유입관(300)에 연결된 제1 연결관(500a)을 통과하여 가압 금형(100) 내부에 형성된 열매체 관로(105)로 유입된다.
열매체 관로(105)를 따라 가압 금형(100) 최상단까지 올라간 가열된 용액은 가압 금형(100) 최상단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를 통과하여 이웃한 열매체 관로(105)로 다시 유입된다. 열매체 관로(105)로 다시 유입된 가열된 용액은 열매체 관로(105)를 따라 가압 금형(100) 최하단까지 내려가 가압 금형(100) 최하단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열매체 관로 연결부(150)를 통과하여 이웃한 열매체 관로(105)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열매체 관로(105)를 모두 통과한 가열된 용액은 가압 금형(100)에 연결된 제2 연결관(500b)을 통하여 가압 금형(100) 밖으로 배출된다. 제2 연결관(500b)을 통과한 가열된 용액은 제2 연결관(500b)에 연결된 배출관(400)을 통하여 보일러(200)로 배출된다. 보일러(200)로 배출된 용액은 보일러(200) 내부에서 재 가열되어 다시 유입관(300) 및 제1 연결관(500a)을 통하여 가압 금형(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가압 금형의 온도를 온도편차 없이 장시간 유지가능하고, 가압 금형의 승온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1개의 제어시스템인 보일러로 가압 금형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보일러(200) 내에서 유입된 가열된 용액에 의하여 가열된 가압 금형(100)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열 프레스 과정을 수행한다.
(a) 제2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형성된 프레싱 암(140)은 유압 실린더, 공압 액츄에이터, 모터 또는 수작업에 의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레싱 암의 끝단에 형성된 프레싱부(160)가, 제2 플레이트(120)에 가장 인접 배치된 가압 금형(100), 즉 첫번째 가압 금형(100)을 제1 플레이트(110) 방향으로 밀어낸다.
(b) 프레싱 암(140)에 의하여 밀려난 첫번째 가압 금형(100)은, 플레이트 연결부재(130) 및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에 지지되어 상태로 그에 인접한 가압 금형(100), 즉 두번째 가압 금형(100)에 밀착된다.
(c) 프레싱부(160)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힘에 의하여, 밀착한 첫번째 가압 금형(100) 및 두번째 가압 금형(100)이 제1 플레이트(110) 방향으로 밀려나고, 이 두 개의 가압 금형(100)은 그에 인접한 가압 금형(100), 즉 세번째 가압 금형(100)에 밀착된다.
이 때, 세번째 가압 금형(100)에 결합되어 있는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는 두번째 가압 금형(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관통홀(171) 및 첫번째 가압 금형(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홀(175)을 관통한다. 즉, 세번째 가압 금형(100)에 결합된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헤드부측이 첫번째 가압 금형(100)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홀(175)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세 개의 가압 금형(100)이 빈공간 없이 밀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a), (b), (c) 과정을 거쳐 각 가압 금형(100)들은 프레싱부(160)에 의하여 모두 제1 플레이트(110)로 밀착되고, 각 가압 금형(100) 사이에 끼워진 다양한 셀과 필름 및 코팅층이 압착되는 프레스 과정을 수행한다.
프레스 과정이 모두 끝난 후, 프레싱 암(140)은 처음 (a)단계에서 첫번째 가압 금형(100)을 밀었던 반대방향으로 첫번째 가압 금형(100)을 다시 당긴다. 각 가압 금형(100)에는 연결부재 관통홀(171) 및 연결부재 관통홀(171)을 관통하는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가 형성되어 있고, 모든 가압 금형(100)은 각각 인접한 가압 금형(100)과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에 의해 일정간격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첫번째 가압 금형(100)을 당기면, 첫번째 가압 금형(100)이 제2 플레이트(120)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두번째 가압 금형(100)과의 간격이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길이만큼 벌어지면, 제2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가압 금형 연결부재(170)의 헤드부가 첫번째 가압 금형(100)에 걸려서 두번째 가압 금형(100)도 제2 플레이트(12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모든 가압 금형(100)들이 (a) 단계와 같이 원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를 통한 가압 금형의 지속적인 가열을 통하여 가압 금형 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보일러에서 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가압 금형의 승온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1개의 제어시스템으로 가압 금형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스기 100: 가압 금형
105: 열매체 관로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130: 플레이트 연결부재
131: 플레이트 연결부재 고정부 140: 프레싱 암
150: 열매체 관로 연결부 160: 프레싱부
170: 가압 금형 연결부재 171: 연결부재 관통홀
175: 연결부재 수용홀 200: 보일러
300: 유입관 400: 배출관
500a: 제1 연결관 500b: 제2 연결관

Claims (13)

  1. 복수의 전지 셀을 가열 압착하는 가열 프레싱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전지셀을 압착하는 복수 개의 평판 형상의 가압 금형을 구비하는 프레스기;
    상기 가압 금형으로 공급되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상기 가압 금형으로 전달하는 유입부; 및
    상기 가압 금형을 통과한 열매체를 상기 보일러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금형 내부에는 열매체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된 열매체를 상기 열매체 관로로 통과시켜 상기 가압 금형을 가열하고,
    상기 열매체 관로는 상기 가압 금형 내부에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어 금형 내부를 관통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금형의 상측 및 하측에는 서로 인접한 열매체 관로를 연결시키는 열매체 관로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기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지 및 고정되는 플레이트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압 금형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연결부재에 의하여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보일러의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열매체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관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관은 상기 복수의 제1 연결관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가압 금형으로 열매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관은 상기 가압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금형을 통과한 열매체를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보일러의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열매체를 보일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관로 연결부는 내부에 'ㄷ'자의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각 단부는 서로 인접한 열매체 관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 금형 중 최외곽의 금형에 연결된 프레싱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 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압 금형이 이동하여 셀전지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압 금형의 각각의 일면에는 가압 금형 연결부재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압 금형에는 인접한 가압 금형에 결합된 상기 가압 금형 연결부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금형 연결부재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직경이 상기 연결부재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로드부의 상기 헤드부측 반대측 단부는 가압 금형의 일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측 반대측 단부에 결합된 금형과, 상기 로드부가 관통된 금형은 상기 로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금형 연결부재에 의하여 관통된 가압 금형의 상기 헤드부측에 배치된 가압 금형에는 연결부재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금형이 압착되어 상기 가압 금형 간의 간격이 좁아질 때, 상기 가압 금형 연결부재가 인접한 가압 금형의 상기 연결부재 수용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암의 상기 가압 금형측 반대측 단부는 유압 실린더, 공압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지셀의 압착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
KR1020120093870A 2012-08-27 2012-08-27 가열 프레스 장치 KR10138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70A KR101387720B1 (ko) 2012-08-27 2012-08-27 가열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70A KR101387720B1 (ko) 2012-08-27 2012-08-27 가열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11A KR20140028211A (ko) 2014-03-10
KR101387720B1 true KR101387720B1 (ko) 2014-04-22

Family

ID=5064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870A KR101387720B1 (ko) 2012-08-27 2012-08-27 가열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30B1 (ko) * 2022-12-22 2024-02-21 주식회사티엠프라자 배터리셀 활성화용 가압가열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3790A (zh) * 2020-03-25 2020-07-10 深圳吉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芯热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3237A (ja) * 1997-02-06 1998-08-21 Fuji Electric Co Ltd 燃料電池の冷却板構造
JP2002246069A (ja) * 2001-02-16 2002-08-30 Nec Tohoku Ltd リチウム電池素子の製造装置
KR20080082240A (ko) * 2007-03-08 2008-09-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전지팩
KR20120023101A (ko) * 2010-03-08 2012-03-1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2차 전지의 처리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3237A (ja) * 1997-02-06 1998-08-21 Fuji Electric Co Ltd 燃料電池の冷却板構造
JP2002246069A (ja) * 2001-02-16 2002-08-30 Nec Tohoku Ltd リチウム電池素子の製造装置
KR20080082240A (ko) * 2007-03-08 2008-09-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전지팩
KR20120023101A (ko) * 2010-03-08 2012-03-1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2차 전지의 처리 장치 및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30B1 (ko) * 2022-12-22 2024-02-21 주식회사티엠프라자 배터리셀 활성화용 가압가열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11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7995B2 (ja) オートクレーブ及び成形材の加熱硬化方法
JP5107417B2 (ja) 成型装置および同成型装置による成型方法
KR101387720B1 (ko) 가열 프레스 장치
KR100978008B1 (ko) 고무재료의 손실이 적은 고무사출성형에 사용되는 crb 금형
US11285675B2 (en) Processing apparatus for elongat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ongated structure
KR101413709B1 (ko) 예열챔버가 마련된 렌즈 성형 장치
CN108000849A (zh) 圆柱型建筑模板热压机
CN210590130U (zh) 一种用于平板硫化机的快速冷却脱模装置
KR20220079634A (ko) 열성형 장치
KR101157511B1 (ko) 성형용 금형 및 이를 갖는 성형 시스템
JP5703486B2 (ja) 成型装置および同成型装置による成型方法
US10981317B2 (en) Device for producing plastic pipes
KR101821709B1 (ko) 금형장치
KR100890905B1 (ko) 금형 장치
CN210712330U (zh) 大面积布料压花设备
CN102229260A (zh) 一种纸质缓冲材料的制造装置
CN110509495A (zh) 一种多工位控温注塑机
CN110541316A (zh) 大面积布料压花设备及工艺
KR101157994B1 (ko) 표피재 인서트 이단 사출금형
CN207711181U (zh) 定型机
EP3630466B1 (en) A mould tool comprising tool heating elements each comprising an electric heating element and a fluid conduit
CN209035177U (zh) 一种热整形治具
CN207711182U (zh) 定型机
CN219926983U (zh) 电池箱盖模压成型模具
CN109927226A (zh) 定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