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523B1 -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523B1
KR101387523B1 KR1020070113145A KR20070113145A KR101387523B1 KR 101387523 B1 KR101387523 B1 KR 101387523B1 KR 1020070113145 A KR1020070113145 A KR 1020070113145A KR 20070113145 A KR20070113145 A KR 20070113145A KR 101387523 B1 KR101387523 B1 KR 10138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power
error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126A (ko
Inventor
손창우
배상훈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5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와 상기 알림단계가 시작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전원오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장치;와 상기 에러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발생장치 또는 급수장치 등에서 발생되는 에러에 따라 선택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 건조기, 에러제어방법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되는 에러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란 의류에 소정의 처리를 해서 의류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거나 의류를 적정상태로 보관하는 장치 등을 의미한다. 즉,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장치, 건조기 등이 포함된다.
세탁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 대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으로,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기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세탁, 헹굼, 탈수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장치에서 스팀을 이용하면, 세탁 단계에서는 의류 등이 수분에 빨리 적셔지도록 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고, 헹굼 단계에서는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건조 단계에는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 을 제거할 수 있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며,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건조기에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팀발생장치는 건조공정 중에 건조기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고, 건조대상물의 구김을 제거하고 살균작용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된 에러가 의류처리장치에 미치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에러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전기가 소모되고, 소모되는 전기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과열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된 스팀발생장치는 고온의 열을 발생시켜 스팀을 생성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계속 켜진 상태를 유지하면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 누전의 위험이 있었다.
특히, 건조기의 경우 급수장치의 급수밸브 고장으로 인해서 물이 적정량이상으로 공급되는 경우 초과 공급된 물의 배출구가 별도로 마련되어 않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스팀발생장치의 파손 및 전기로 인한 누전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 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되는 에러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와 상기 알림단계가 시작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전원오프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원오프단계 전에 상기 에러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오프단계 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에러정보에 따라 상기 알림단계가 재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오프단계에서는 상기 알림단계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러는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과열되는 것,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설치된 히터(heater)의 고장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에서 발생 되는 에러는 상기 급수장치에 장착된 급수밸브의 고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와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에러인 경우, 상기 알림단계가 시작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건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원오프단계 전에 상기 에러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오프단계 후에 상기 건조기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에러정보에 따라 상기 알림단계가 재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오프단계에서는 상기 알림단계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건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급수장치의 에러인 경우, 상기 건조기 전원의 온(on)상태가 유지되는 전원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장치;와 상기 에러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알림장치가 구동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다시 온(on)되면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급수장치에서 발생된 에러인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러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수용된 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러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발생되는 에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러정보가 저장되는 이이프롬(EEPROM)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스팀발생장치 또는 급수장치 등에서 발생되는 에러에 따라 선택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의 입력단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10),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급수하는 급수장치(16),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20),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22)가 연결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0)는 수위센서(12)가 구비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의 양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10)는 히터(14)가 구비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10) 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해서 스팀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급수장치(16)에는 상기 급수장치(16)로 공급되는 물을 통과 또는 차단시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수위센서(1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수위 정보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히터(14)의 작동 여부 및 설정된 온도로 구동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작동 여부 및 고장 발생여부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급수밸브(18)를 통해서 물이 적정량 공급되는지와 상기 급수밸브(18)의 고장 발생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급수밸브(18)의 구동시키는 상기 급수장치(16)의 적절한 구동여부 및 고장 발생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타이머(20)로부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세탁, 건조 등의 공정의 수행 경과시간, 세탁, 건조 등의 공정에서 물이 공급되는 시 간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 등의 구동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22)로부터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22)를 이용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출력단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장치(30)가 연결된다. 상기 알림장치(30)는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Display)(32),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버저(Buzzer)(3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32)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현재 수행되는 공정, 공정이 완료되는 예상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32)에는 숫자, 문자, 그림 등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도시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32)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에러정보가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버저(34)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공정완료여부, 에러 발생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버저(34)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버저(34)는 비프음, 멜로디, 이미 녹음된 음성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전달된 에러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3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저장장치(36)는 상기 저장장치(36)에 이미 저장된 에러정보를 다시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장치(36)는 이이프롬(EEPROM)(3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이프롬(36)이란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電氣的消去-可能-專用記憶裝置,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를 의미한다.
상기 이이프롬(36)은 전원 없이도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EPROM)의 변형으로 일단 기록된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소거하여 재기록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을 재기록할 필요가 있는 곳에 사용된다. 상기 이이프롬(36)은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소거한다.
한편, 상기 이이프롬(36)은 전기적으로 판독이나 기록을 할 수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에 내장된 상태로 프로그램을 다시 할 수 있다. 상기 이이프롬(36)은 재기록하는 데에는 보통 막기억 장치(RAM)보다 시간이 훨씬 더 많이 소요되고 기억 용량이 작으며 재기록 횟수에도 제한이 있지만, 이이프롬(36)에 기록된 데이터는 전원 없이도 오래 보존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의류가 투입되어 의류가 처리된다.(S10) 이때, 의류에 대한 처리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공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다.(S12)
상기 에러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와 상기 급수장치(16)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에러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과열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 설치된 히터(14)의 고장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0)는 고온에서 물을 가열하는 히터(14)를 포함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러 중에 위험도가 높아 특별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서 발생된 고온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부품에 전달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각종 부품이 파손될 위험이 크며,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상기 히터(14)가 설정된 고온의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스팀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공정을 수행할 때 스팀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 건조가 완료된 후에도 의류에 구김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구김제거 기능이 불량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에 대한 중요 기능이 수행되지 못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큰 불만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16)에서 발생되는 에러는 상기 급수장치(16)에 장착된 상기 급수밸브(18)의 고장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밸브(18)는 전자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이용해서 물의 공급여부를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밸브(18)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급수밸브(18)를 통한 물의 공급여부 조절이 불가하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적정한 때에 적정량의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만일, 상기 급수장치(16)를 통해서 물이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 공급되는 공정이 수행되는 도중이었다면, 상기 스팀발생장 치(10)에 물이 공급되지 않은 채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히터(14)가 가열되어 화재 등의 큰 위험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다음으로, 발생된 상기 에러정보는 상기 저장장치(36)에 저장된다.(S14)
상기 에러정보가 저장될 때 상기 에러가 발생된 시간, 상기 에러발생의 횟수 등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상기 알림장치(30)를 통해서 알린다.(S16)
사용자가 상기 알림장치(30)를 통해서 상기 에러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키입력부(22)를 이용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고장을 수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의 로직 에러 등의 경미한 에러의 경우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문제해결 프로그램에 의해 에러를 자체적으로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에러정보에 대한 수리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알림장치(30)는 에러정보를 계속 알리게 된다.
이어서, 상기 타이머(20)는 상기 알림장치(30)의 작동 경과시간을 측정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알림장치(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에러정보를 계속 알리게 된다.(S18)
이때,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게 상기 에러정보가 전달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에러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소정 시간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에러와 같은 중요한 에러이면 상기 소정 시간은 대략 3 내지 5분 정도인 반면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발생된 에러와 같이 경미한 에러이면 상기 소정 시간은 보다 짧은 대략 1 내지 2분 정도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알림장치(30)의 구동이 완료되어, 상기 알림장치(30)의 구동을 중단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에러정보를 더 이상 알리지 않도록 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알림장치(30)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알림장치(30) 중 상기 버저(34)의 구동이 완료되어 작동이 중단된 반면에, 상기 디스플레이(32)에는 상기 에러정보를 도시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버저(34)에서는 에러발생을 알리지 않는 반면에 상기 디스플레이(32)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에러정보를 알리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알림장치(30)가 상기 에러정보를 알린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게 된다.(S20)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상태를 유지해서 발생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과부하 또는 불필요한 전기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근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버저(34)를 통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다시 온(on)시켰다고 판단되 면, 상기 알림장치(30)를 통해 상기 저장장치(36)에 저장된 상기 에러정보를 다시 알리게 된다.(S2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3을 통해서 도 2에서의 의류처리장치와는 달리 건조기에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제어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의류처리장치 중에 하나인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의류를 건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S50)
상기 건조기의 작동중에 상기 건조기에 설치된 상기 스팀발생장치(10)와 상기 급수장치(16)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된다.(S52)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서 발생한 에러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 설치된 히터(14)의 에러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0)가 과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16)에서 발생된 에러는 상기 급수장치(16)에 장착된 상기 급수밸브(18)의 에러를 포함한다.
상기 발생된 에러의 에러정보는 상기 저장장치(36)에 저장된다.(S54)
이어서, 상기 에러정보를 상기 알림장치(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56)
이때,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급수장치(16)에서 발생한 에러인지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서 발생한 에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8)
상기 에러가 스팀발생장치(10)에서 발생된 에러라고 판단되면, 상기 알림장 치(30)가 구동된 시간을 측정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상기 소정 시간의 의미는 도 2에서 설명한 소정 시간의 의미와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건조기의 전원을 오프(off)한다.(S62)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건조기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알림장치(30)를 다시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에러정보를 알리게 된다.(S64)
한편, 상기 에러가 상기 급수장치(16)에서 발생된 에러라고 판단되면(S58), 상기 건조기의 전원은 온(on)상태를 유지한다.(S68)
건조기의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일종인 세탁기와는 달리 물의 이용량이 많지 않다. 왜냐하면, 세탁기는 물을 이용해서 의류를 세탁, 헹굼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하지만,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주기능이 있고, 스팀을 발생시켜 의류를 건조하는 것은 건조기의 부가적 기능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기에 장착되는 상기 급수장치(16)의 상기 급수밸브(18)가 고장나는 경우가 크게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밸브(18)의 급수조절기능에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급수밸브(18)를 통해서 물이 계속 상기 스팀발생장치(10)로 공급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0)에는 초과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스팀발생장치(10)는 적정 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10)내에 물에 닿지 않아야 하는 전기 부품들이 물이 접촉하게 되어 스팀발생장치(10)의 고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적절한 배출구가 아닌 틈을 통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10)의 외부로 물이 누설되어 상기 건조기의 각종 부품에 물이 흘러들어가 누전 등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16)의 에러는 중요도가 높은 에러에 해당되기 때문에 상기 알림장치(30)가 구동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건조기의 전원이 온(on)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급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급수장치(16)에 연결된 외부 급수원, 예를 들어 수도 꼭지 등을 잠그는 등의 조치를 취해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기의 전원이 온(on)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알림장치(30)가 계속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계속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장치(30)중 상기 디스플레이(32)는 작동시키되, 상기 버저(34)는 작동을 중지시켜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스팀발생장치 16: 급수장치
20: 타이머 22: 키입력부
30: 알림장치 32: 디스플레이
34: 버저 36: 저장장치
100: 제어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에러인 경우, 상기 알림단계가 시작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건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오프단계; 및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급수장치의 에러인 경우, 상기 건조기 전원의 온(on) 상태가 유지되는 전원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프단계 전에 상기 에러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프단계 후에 상기 건조기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에러정보에 따라 상기 알림단계가 재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프단계에서는 상기 알림단계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건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장치;
    상기 에러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림장치가 구동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다시 온(on)되면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급수장치에서 발생된 에러인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온(on)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정보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러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수용된 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러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발생되는 에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보가 저장되는 이이프롬(EEPRO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70113145A 2007-11-07 2007-11-07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38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45A KR101387523B1 (ko) 2007-11-07 2007-11-07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45A KR101387523B1 (ko) 2007-11-07 2007-11-07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26A KR20090047126A (ko) 2009-05-12
KR101387523B1 true KR101387523B1 (ko) 2014-04-29

Family

ID=4085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145A KR101387523B1 (ko) 2007-11-07 2007-11-07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51B1 (ko) * 2009-08-24 2016-08-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의 오작동 감지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27B1 (ko) * 1994-07-06 1998-06-15 이헌조 세탁기의 이상행정 경보 및 표시방법
KR20020038375A (ko) * 2000-11-17 2002-05-23 구자홍 히팅 세탁기 과열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3005A (ko) * 2005-03-25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20070059429A (ko) * 2005-12-06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화재방지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27B1 (ko) * 1994-07-06 1998-06-15 이헌조 세탁기의 이상행정 경보 및 표시방법
KR20020038375A (ko) * 2000-11-17 2002-05-23 구자홍 히팅 세탁기 과열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3005A (ko) * 2005-03-25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20070059429A (ko) * 2005-12-06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화재방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26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1539B1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01564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20060168740A1 (en) Washing machine and suds sensing method thereof
EP1932965A1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21492B2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machine
US20080148597A1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1387523B1 (ko)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TWI327612B (ko)
JP4966326B2 (ja) 洗濯機本発明は、洗濯機に関し、特に、保守・点検の適切な実行を可能とする運転履歴を管理するための構成に関する。
US8671488B2 (en) Steam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drum washing machine
CN111155269B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KR101440295B1 (ko) 드럼 세탁기 스팀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0185190A (ja) 給電制御装置およびこの給電制御装置が適用された洗濯機
KR101339803B1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 제어 방법
JP2018187196A (ja) 洗濯機
WO2024099130A1 (zh) 洗衣机
JP2015077256A (ja) 洗濯機
JP7319738B2 (ja) 洗濯機
JP2015073755A (ja) 洗濯機
JP7199732B2 (ja) 洗濯機
WO2024067554A1 (zh) 洗衣机
KR1007309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 방법
KR101470851B1 (ko) 드럼 세탁기 스팀 제어 장치
JP2015023900A (ja) 電気機器の制御装置
KR101440296B1 (ko) 드럼 세탁기 스팀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