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894B1 -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894B1
KR101386894B1 KR1020130018679A KR20130018679A KR101386894B1 KR 101386894 B1 KR101386894 B1 KR 101386894B1 KR 1020130018679 A KR1020130018679 A KR 1020130018679A KR 20130018679 A KR20130018679 A KR 20130018679A KR 101386894 B1 KR101386894 B1 KR 10138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plate
disk
jam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114A (ko
Inventor
강동주
이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ublication of KR2014002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주화(C)를 선별하고 금액을 계산하는 주화계수기에 있어서: 주화통로(11)와 비주화통로(12)를 구비하고, 디스크(21)로 주화(C)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본체(10); 상기 디스크(21)의 일측에 탄성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되는 주화(C)를 낱개로 통과시키는 잼방지판(30); 및 상기 잼방지판(30)에 인접하여 주화(C)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안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감가속과 진동이 수반되는 교통수단에 탑재되어 계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정상 주화를 정확하게 분류하면서 주화의 겹침이나 비정상 주화에 의한 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Jam preventing de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coin mechanism}
본 발명은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속적인 감가속과 진동이 수반되는 교통수단에 탑재되어 계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정상 주화를 정확하게 분류하면서 주화의 겹침이나 비정상 주화에 의한 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의 각 분야에서 마그네틱 또는 IC 카드에 의한 요금의 정산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지폐나 주화를 계수하여 정산하는 필요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특히 지폐에 비하여 크기가 작은 주화를 계수함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8005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7140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투입되는 다량의 각 주화를 선별 및 계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체하우징에 투입되는 다량의 주화를 한개씩 배출시키는 주화 공급부와; 상기 주화 공급부의 배출구에서 주화를 탄성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주화 공급부의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본체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송경로와; 상기 이송경로 상에 구비되어 감지 및 계수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이송경로 상으로 구비되는 정상주화 수납부 및 불량주화수납홀;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불량주화와 정상주화를 정확하게 분리 선별 및 계수를 단시간 내에 정확하게 수행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상향으로 경사지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디스크의 하측 외주를 둘러싸 코인을 보류하는 보류 보울,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코인 걸림체에 의해 코인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디스크의 둘레에 있는 코인 수취 수단에 의해 코인을 수취하는 코인 호퍼에 있어서, 상기 코인 수취 수단의 상류로서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심보다 상방에서 코인을 탄성 바이어스함과 아울러 상기 코인 걸림체와의 충돌을 회피하는 낙하 수단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압동되는 코인이 낙하 수단에 의해 강제로 상대 이동되므로 직경이 서로 다른 코인을 확실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코인의 신속하고 정확한 계수와 배출을 기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정치된 상태에서 작동함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 등에 적용하는 경우 감속과 가속, 노면 요철, 도로의 경사에 의한 요동으로 오작동을 유발하기 쉬운 단점을 보이고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80052호 "주화 선별/계수장치"(공개일자 : 2007. 11. 21.)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71407호 "코인 호퍼"(공개일자 : 2008. 12. 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인 감가속과 진동이 수반되는 교통수단에 탑재되어 계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정상 주화를 정확하게 분류하면서 주화의 겹침이나 비정상 주화에 의한 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된 주화를 선별하고 금액을 계산하는 주화계수기에 있어서: 주화통로와 비주화통로를 구비하고, 디스크로 주화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본체;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 탄성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되는 주화를 낱개로 통과시키는 잼방지판; 및 상기 잼방지판에 인접하여 주화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잼방지판은 디스크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한 2개소에 스프링과 볼트를 개재하여 상하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잼방지판은 디스크의 중심에 대향하는 부분에 곡면 형태의 걸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안내수단은 "ㄱ"자형의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과, 안내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판, 안내판의 저면을 형성하는 안내면, 안내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완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안내수단의 안내면은 주화의 감속을 위해 곡면을 지닌 곡면부, 주화의 자세 변동을 위해 경사진 경사부, 주화의 설정된 자세 유지를 위해 평탄한 평탄부가 연속되면서 전체적으로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의 디스크는 크기가 다른 주화의 겹침에 의한 잼을 방지하도록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속적인 감가속과 진동이 수반되는 교통수단에 탑재되어 계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정상 주화를 정확하게 분류하면서 주화의 겹침이나 비정상 주화에 의한 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계수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화계수기에서 호퍼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정면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A-A부분을 절단하여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투입된 주화(C)를 선별하고 금액을 계산하는 주화계수기에 관련된다. 주화(C)는 현재 통용되는 10원, 50원, 100원, 500원 코인을 포함하며, 일시에 다량으로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상황을 고려한다. 주화계수기는 감속과 가속, 노면 요철, 도로의 경사에 의한 요동을 받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재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정치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21)로 주화(C)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본체(10)가 주화통로(11)와 비주화통로(12)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디스크(21)는 다수의 밀편(22)을 등간격으로 구비하는 형태로서 본체(10)의 호퍼(27)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디스크(21)의 중심에는 경사면(21a)을 지닌 작은 직경의 원판이 동심으로 설치된다. 본체(10)에서 호퍼(27)의 상측에는 주화 투입구가 형성된다. 주화통로(11)는 정상적인 주화를 수집하는 경로로서 디스크(21)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비주화통로(12)는 각종 이물질을 수집하거나 배출하는 경로로서 디스크(21)의 하방향에 배치된다. 주화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디스크(21)에 의하여 이송이 가능한 비정상 주화도 주화통로(11)로 이송되어 별도로 수집되거나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비주화통로(12)를 구성하는 것은 대중교통수단의 경우 항시 진동과 충격에 노출되므로 비정상물이 주화(C)와 혼입된 상태에서 디스크(21)가 회전되면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점에 기인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되는 주화(C)를 낱개로 통과시키는 잼방지판(30)이 상기 디스크(21)의 일측에 탄성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직경과 두께가 다른 다수의 주화(C)가 호퍼(27) 내에 투입되면 디스크(21)가 회전하여 밀편(22)으로 주화(C)를 상승시키고, 주화(C)가 디스크(21)의 상측에 설치된 활주대(25)에 접촉하면서 다시 미끄럼 운동으로 상승하여 주화통로(11)로 보내진다. 잼방지판(30)은 활주대(25)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디스크(21)로 상승되는 주화(C)를 하나씩 유도하고 나머지는 다시 낙하시킨다. 잼방지판(30)은 최대 두께의 주화(C)를 통과시키면서 최소 두께의 주화(C)를 하나만 통과시키는 간격을 유지한다. 다만, 대중교통수단에서 충격과 진동이 작용하면 주화(C)의 요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잼방지판(30)도 탄성적으로 요동하여 간격을 변동하는 것이 주화(C)의 겹침에 의한 잼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잼방지판(30)은 디스크(21)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한 2개소에 스프링(33)과 볼트(35)를 개재하여 상하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디스크(21)가 회전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의 볼트(35)는 디스크(21)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하류측의 볼트(35)는 디스크(21)의 외주면에서 상대적으로 이격된다. 각각의 볼트(35)는 스프링(33)을 개재하여 잼방지판(30)의 탄성적 요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도 2에서 잼방지판(30)은 우측의 볼트(35)가 있는 전방과 좌측의 볼트(35)가 있는 후방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잼방지판(30)은 볼트(35)의 위치 차이 때문에 전방보다 후방에서 유동량이 크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잼방지판(30)의 전방을 통과한 낱개의 주화(C)가 잼방지판(30)의 후방을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다.
물론 주화(C)와 함께 이물질(자갈, 클립 등)이 투입된 경우 디스크(21)에 의하여 상승되더라도 잼방지판(30)에 걸려서 다시 낙하된다.
한편, 상기 잼방지판(30)은 디스크(21)의 중심에 대향하는 부분에 곡면 형태의 걸림면(31)을 구비한다. 잼방지판(30)의 걸림면(31)은 디스크(21) 상에 위치하여 밀편(22)으로 이송되는 주화(C)와 접촉하여 하나만 통과시킨다. 디스크(21)에 의해 상승 이송되는 하나의 주화(C)는 잼방지판(30)의 걸림면(31)에 형성된 곡면과 전술한 활주대(25)의 연계 작용에 의하여 잼방지판(3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진입된다. 디스크(21)의 걸림면(31)이 곡면이 아닌 경우, 특히 대중교통수단에 탑재된 주화계수기를 가정하면, 진동과 충격에 노출된 주화(C)가 잼방지판(30)에 접촉한 후 잼방지판(30)를 통과하지 못하고 다시 낙하되기 쉽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안내수단(40)이 상기 잼방지판(30)에 인접하여 주화(C)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대중교통수단에 탑재된 주화계수기에서 이동안내수단(40)은 잼방지판(30)을 통과한 주화의 신속하고 정확한 이동을 조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안내수단(40)은 "ㄱ"자형의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42)과, 안내판(42)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판(44), 안내판(42)의 저면을 형성하는 안내면(46), 안내판(42)의 일측에 설치되는 완충재(48)로 구성된다. 안내판(42)은 활주대(25)와 잼방지판(30)에 인접한 수평부와 수평부에 연장되는 수직부가 "ㄱ"자형의 통로를 형성한다. 안내판(42)의 상면에 커버판(44)이 설치되어 내부 공간의 점검이 가능하다. 안내면(46)은 대중교통수단의 주행 상황에 따라 주화계수기의 자세가 변동되더라도 주화(C)의 이송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완충재(48)는 안내판(42)의 하측에 설치되고 낙하되는 주화(C)의 충격을 줄여 정숙하게 낙하되도록 한다. 완충재(48)가 생략되는 경우 연속적으로 낙하되는 주화(C)가 상호 충돌하여 잼을 유발하기 쉽다.
한편, 상기 이동안내수단(40)의 안내면(46)은 곡면부(46a), 경사부(46b), 평탄부(46c)가 3차원 곡면으로 연속되는 구조이다. 안내면(46)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곡면부(46a), 경사부(46b), 평탄부(46c)가 순차적으로 이어진다. 곡면부(46a)는 잼방지판(30)을 통과한 주화(C)를 감속하여 진입시키고, 이어서 경사부(46b)는 주화(C)의 자세를 변동시켜 중간에서 머물지 않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평탄부(46c)는 진위판별과 계수를 수행하도록 주화(C)를 설정된 자세로 통과시킨다. 대중교통수단이 경사지를 오르내리거나 좌우로 회전을 반복하는 동안 안내면(46)의 곡면부(46a), 경사부(46b), 평탄부(46c)가 3차원 곡면을 이루기 때문에 주화(C)가 일시 정지상태를 보이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과한다. 안내면(46)이 단순한 평면인 경우 주화계수기의 자세가 변화되는 동안 주화(C)의 이송속도가 달라진다.
작동에 있어서, 다수의 주화(C)가 투입되면 디스크(21)가 회전하면서 일정 단위로 주화(C)를 상승시키고, 잼방지판(30)에 도달한 주화(C) 중에서 하나만 잼방지판(30)을 통과하고, 잼방지판(30)을 통과한 주화(C)는 이동안내수단(40)의 안내면(46) 상으로 통과하면서 진위판별과 계수가 수행된다. 잼방지판(30)과 안내면(46)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 등은 비주화통로(12)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의 주행 과정에서 주화계수기의 자세와 외부 충격이 변동되어도 잼방지판(30)과 이동안내수단(40)에 의하여 주화(C)와 주화(C) 간의 잼 에러나 주화(C)와 이물질간의 잼에러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10)의 디스크(21)는 크기가 다른 주화의 겹침에 의한 잼을 방지하도록 돌기부(21b)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주화계수기가 설치된 후에 새로운 주화가 발행되는 경우, 예컨대 크기가 가장 작은 10원 주화(C′)가 사용되면 다른 주화(C)와 동시에 진행하는 동안 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21) 상에서 밀편(22)이 설치된 이외의 영역에 돌기부(21b)를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 돌기부(21b)가 회전하는 경로 상에 별도의 레버(38)를 설치하여 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버(38)는 전술한 잼방지판(30)처럼 디스크(21)의 중심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도 7처럼, 디스크(21) 상에서 크기가 다른 주화(C)(C′)가 인접하여 적층된 상태로 동시에 이송되는 경우에도 작은 주화(C′)가 돌기부(21b)와 레버(38)에 걸려서 낙하되고 후속된 큰 주화(C)만 잼방지판(30)을 통과하므로 잼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물론 디스크(21)의 중심에 형성된 경사면(21a)도 돌기부(21b)와 연동하여 작은 주화(C′)의 낙하와 잼 방지에 조력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주화통로
12: 비주화통로 21: 디스크
22: 밀편 25: 활주대
27: 호퍼 30: 잼방지판
31: 걸림면 33: 스프링
35: 볼트 40: 이동안내수단
42: 안내판 44: 커버판
46: 안내면 46a: 곡면부
46b: 경사부 46c: 평탄부
48: 완충재

Claims (6)

  1. 투입된 주화(C)를 선별하고 금액을 계산하는 주화계수기에 있어서:
    주화통로(11)와 비주화통로(12)를 구비하고, 디스크(21)로 주화(C)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본체(10);
    상기 디스크(21)의 일측에 탄성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되는 주화(C)를 낱개로 통과시키는 잼방지판(30); 및
    상기 잼방지판(30)에 인접하여 주화(C)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안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잼방지판(30)은 디스크(21)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한 2개소에 스프링(33)과 볼트(35)를 개재하여 상하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잼방지판(30)은 디스크(21)의 중심에 대향하는 부분에 곡면 형태의 걸림면(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수단(40)은 "ㄱ"자형의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42)과, 안내판(42)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판(44), 안내판(42)의 저면을 형성하는 안내면(46), 안내판(42)의 일측에 설치되는 완충재(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수단(40)의 안내면(46)은 주화의 감속을 위해 곡면을 지닌 곡면부(46a), 주화의 자세 변동을 위해 경사진 경사부(46b), 주화의 설정된 자세 유지를 위해 평탄한 평탄부(46c)가 연속되면서 전체적으로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디스크(21)는 크기가 다른 주화의 겹침에 의한 잼을 방지하도록 돌기부(21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KR1020130018679A 2012-08-31 2013-02-21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KR101386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25 2012-08-31
KR20120096325 2012-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14A KR20140029114A (ko) 2014-03-10
KR101386894B1 true KR101386894B1 (ko) 2014-04-18

Family

ID=5064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679A KR101386894B1 (ko) 2012-08-31 2013-02-21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36B1 (ko) 2016-07-25 2018-02-07 (주)에이텍티앤 환류용 동전 이송선별 장치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8-05-10 (주)에이텍티앤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KR102086334B1 (ko) 2018-09-10 2020-03-09 삼원에프에이(주) 계수기의 동전 걸림 방지 장치
KR20220000737A (ko) 2020-06-26 2022-01-04 (주)에이텍티앤 동전 입금처리용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3451A (zh) * 2019-03-08 2019-06-18 苏州少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硬币清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719B1 (ko) * 1978-05-08 1983-04-06 밸리 메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주화계산기의 주화 요동장치
KR20020054279A (ko) * 2002-05-20 2002-07-06 황대은 호퍼기
JP2008293447A (ja) 2007-05-28 2008-12-04 Asahi Seiko Kk コインホッパ
JP2012059007A (ja) 2010-09-08 2012-03-22 Asahi Seiko Co Ltd コイン選別装置およ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719B1 (ko) * 1978-05-08 1983-04-06 밸리 메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주화계산기의 주화 요동장치
KR20020054279A (ko) * 2002-05-20 2002-07-06 황대은 호퍼기
JP2008293447A (ja) 2007-05-28 2008-12-04 Asahi Seiko Kk コインホッパ
JP2012059007A (ja) 2010-09-08 2012-03-22 Asahi Seiko Co Ltd コイン選別装置およ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36B1 (ko) 2016-07-25 2018-02-07 (주)에이텍티앤 환류용 동전 이송선별 장치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8-05-10 (주)에이텍티앤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KR102086334B1 (ko) 2018-09-10 2020-03-09 삼원에프에이(주) 계수기의 동전 걸림 방지 장치
KR20220000737A (ko) 2020-06-26 2022-01-04 (주)에이텍티앤 동전 입금처리용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14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894B1 (ko)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EP2680236B1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US7658668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US10467838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US8092284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WO2015109839A1 (zh) 一种硬币清分设备
JP5350701B2 (ja) メダル分別装置
JP2019200602A (ja) 硬貨入金装置
US8986083B2 (en) Coin feeding device and coin handling machine
US8986084B2 (en) Device for receiving coins
EP3023367A1 (en) Coin carrying and guiding device of coin payment apparatus
JP2014191804A (ja) 硬貨繰出装置及び硬貨処理装置
JP4100504B2 (ja) コインの受入払出装置
KR101376056B1 (ko)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호퍼개방 기구
JP5877010B2 (ja) 硬貨繰出装置及び硬貨処理装置
WO2018101173A1 (ja) 硬貨繰出装置
JP6303843B2 (ja) 硬貨処理装置
JP6413307B2 (ja) 硬貨処理装置
JP2018092257A (ja) 硬貨繰出装置
JP6056586B2 (ja) 硬貨処理装置
JP2017091183A (ja) 硬貨処理装置
EP2915147B1 (en) Coin feeder
KR20230148916A (ko) 동전입금모듈의 동전인출 유도장치
JP2017117313A (ja) 硬貨処理装置
JP5562535B2 (ja) メダル分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