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408B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408B1
KR101386408B1 KR1020120153875A KR20120153875A KR101386408B1 KR 101386408 B1 KR101386408 B1 KR 101386408B1 KR 1020120153875 A KR1020120153875 A KR 1020120153875A KR 20120153875 A KR20120153875 A KR 20120153875A KR 101386408 B1 KR101386408 B1 KR 10138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rce
wedge
inclined surfac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을 요하는 2 이상의 파이프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파이프 연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1 빗면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부재에 의해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력부재 및 가력부재의 측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가력부재가 회전시, 파이프의 연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된 제1 빗면부에 의해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사전가공이 필요없어, 현장에서의 신속한 연결 및 조립해체가 가능한바 인력소모가 적고, 시공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이나 나사산 등의 기계적 연결을 요하지 않고, 파이프에 가해지는 지압력 및 마찰력을 활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주로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를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긴 거리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밀폐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파이프의 연결에는 주로 용접이음과 나사산 등을 이용한 기계적 연결이 주로 사용된다.
용접이음의 경우, 용접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용접자의 숙련도 및 작업환경에 따라 연결부분의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의 현장 용접시, 날씨나 지형 등 현장 여건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아래쪽 용접은 위보기 자세로서 용접 효율이 낮고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2-0075086호에는 나사산 등을 활용한 기계적 연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있고, 이러한 기계적 연결은 상대적으로 파이프의 연결에 적은 시간이 소요되나, 밀폐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제작이 필요하고,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 가공과정에서 파이프의 선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모재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급속 연결용 이음구조가 개발된 사례가 있으나 파이프에 많은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현장 접합시 작업이 용이하고, 구조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장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및 지압력을 활용하여 모재의 손상의 우려가 없는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파이프의 사전가공이 필요 없어, 현장에서의 신속한 연결 및 조립해체가 가능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파이프 연결구조의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빗면 상으로 이동하면서 작은 힘으로 큰 지압력을 발생시켜 큰 압력이 발생되는 파이프 간의 연결에도 적용가능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 연결을 요하는 2 이상의 파이프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파이프 연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1 빗면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부재에 의해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력부재 및 가력부재의 측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가력부재가 회전시, 파이프의 연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된 제1 빗면부에 의해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쐐기부재의 파이프 중심부 방향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쐐기부재의 이동에 의해 파이프에 밀착되어 파이프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가력부재의 원주면에는 회전부재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력부재는 양 측면에 경사진 제2 빗면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쐐기부재는 양 측면에 제2 빗면부에 접하는 경사진 제3 빗면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 빗면부와 제3 빗면부가 접하는 면에는 가력부재와 쐐기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부재와 쐐기부재의 중 어느 하나에는 가력부재가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시 쐐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실링부재의 탄성계수는 커버부재와 가력부재 및 쐐기부재에 비해 탄성계수가 낮은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링부재는 연결을 요하는 양 파이프의 연결면에 끼워지는 돌출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회전부재에 의해 가력부재가 회전된 후 회전상태의 풀림을 방지하는 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키부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곡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의 사전가공이 필요없어, 현장에서의 신속한 연결 및 조립해체가 가능한바 인력소모가 적고, 시공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계적연결이 아닌 가력부와 쐐기부의 밀폐력에 의해 양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연결을 요하는 파이프 등의 모재의 손상의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구비되어 파이프에 지압력을 전달하는 커버부재, 가력부재, 쐐기부재를 빗면의 형태로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큰 지압력을 발생시켜 큰 압력이 발생되는 파이프 간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빗면부와 제3 빗면부가 접하는 면에는 다수의 공간부가 구비됨으로써, 가력부재와 쐐기부재간의 마찰력을 저감시켜, 회전부재에 의해 가력부재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링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가력부재 및 쐐기부재에 비해 탄성계수가 낮은 것으로 구비되어 연결을 요하는 파이프면으로 원활하게 밀착되어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전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기 전의 커버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가력부재의 회전시 각 부재에 가해지는 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후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정면도.
도 6은 가력부재의 회전에 따른 쐐기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키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력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6(a)는 가력부재(300)가 회전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가력부재(300)에 회전력이 작용시 각 부재에 가해지는 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b)는 가력부재(300)가 회전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P)의 연결장치는 커버부재(200), 가력부재(300) 및 쐐기부재(4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실링부재(500), 회전제한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설치단계를 살펴보면,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커버부재(200)의 양측으로 파이프(P)를 삽입하는 단계와, 회전부재(600)에 의해 가력부재(300)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가력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쐐기부재(400)가 파이프(P)의 연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부재(200)에 의해 쐐기부재(400)의 파이프(P) 축방향의 이동은 제한되고, 제1 빗면부(210)에 의해 파이프(P)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P)를 가압하는 단계를 거쳐서 양측의 파이프(P)는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커버부재(200)는 제1 빗면부(210)와 관통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양측 파이프(P)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부재로서, 커버부재(200)의 양측으로 연결을 요하는 파이프(P)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00)는 내부의 쐐기부재(400) 등으로 부터 높은 지압력에 대응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200)의 내부에는 상기 가력부재(300), 쐐기부재(400), 실링부재(5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빗면부(210)는 커버부재(200)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가력부재(300)에 의해 파이프(P) 연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쐐기부재(400)를 가압하여, 쐐기부재(400)를 파이프(P)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제1 빗면부(210)는 파이프(P) 연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빗면부(210)는 커버부재(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커버부재(200)와 분리하여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20)은 커버부재(2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커버부재(20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다수의 관통공(2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220)은 가력부재(300)가 회전부재(60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부재(600)의 돌출부(720)는 커버부재(200)의 관통공(220)을 관통하여 가력부재(300)의 삽입홈(310)과 체결되어 가력부재(3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가력부재(300)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력부재(300)는 커버부재(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가력부재(300)의 회전시 쐐기부재(400)를 파이프(P) 연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가력부재(300)에는 삽입홈(310)과 제2 빗면이 구비될 수 있다.
가력부재(300)는 회전부재(600)에 의해 파이프(P)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력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가력부재(300)의 측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쐐기부재(400)를 파이프(P)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가력부재(3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력부재(300)의 양 측면에 상광하협의 제2 빗면부(320)이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하기되는 쐐기부재(400)는 양 측면에 상기 제2 빗면부(320)에 접하는 하광상협의 제3 빗면부(410)이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력부재(300)의 제 2 빗면부와 쐐기부재(400)의 제3 빗면부(410)가 접면에는 다수의 공간부(S)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부(S)에 의해 상기 가력부재(300)와 쐐기부재(400)의 접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회전부재(600)에 의한 가력부재(300)를 회전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가력부재(300)와 쐐기부재(400)의 형상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력부재(300)의 원주방향의 회전에 의해 쐐기부재(40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쐐기부재(4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쐐기부재(400)는 가력부재(300)에 의해 파이프(P)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쐐기부재(400)의 가압력에 의해 파이프(P)는 고정될 수 있다.
쐐기부재(400)의 상부면은 커버부재(200)의 제1 빗면부(210)에 접하고, 파이프(P) 연결면측의 측면은 가력부재(300)와 연결되고, 하면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쐐기부재(400)는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파이프(P)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400)의 상부면은 커버부재(200)의 제1 빗면부(210)에 접하고, 파이프(P) 연결면측의 측면은 가력부재(300)와 연결되고, 하면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실링부재(500)에 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쐐기부재(400)는 실링부재(500)를 가압하게 되고, 실링부재(500)가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파이프(P)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400)의 상부면은 파이프(P) 연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쐐기부재(400)는 파이프(P)의 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상기 파이프(P)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실링부재(5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링부재(500)는 파이프(P)에 압착되어 파이프(P)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부재이다. 실링부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은 쐐기부재(400)의 하면에 접하고, 하면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400)의 하면( 파이프 중심부 방향 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쐐기부재(400)의 파이프(P) 중심방향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파이프(P)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의 탄성계수는 상기 커버부재(200)와 가력부재(300) 및 쐐기부재(400)에 비해 탄성계수가 낮은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용이한 작동을 위해 커버부재(200), 가력부재(300), 쐐기부재(400) 간에는 낮은 마찰력을 유지하고 실링부재(500)와 파이프(P) 사이에는 높은 마찰력이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500)는 연결을 요하는 양 파이프(P)의 연결면에 끼워지는 돌출링(5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링(510)에 의해 파이프(P)와 실링부재(500)는 더욱 밀실하게 결합되어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링(510)은 파이프(P) 축방향으로 양측의 파이프(P) 사이에 구비되고, 파이프(P) 직경방향으로는 파이프(P)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부재(600)에 대해서 살펴본다. 회전부재(600)는 본체부(610), 손잡이부(620), 체결돌기(630) 및 관절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600)는 가력부재(300)에 체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여, 가력부재(300)를 파이프(P)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회전부재(600)는 커버부재(2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610)와 상기 본체부(610)에서 연장 형성되어 본체부(610)에 회전력을 가하는 손잡이부(620)와 본체부(6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력부재(300)에 의 삽입홈(310)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기(630) 및 본체부(610)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관절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6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0)의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키부재(700)에 대하여 살펴본다. 키부재(700)는 돌출부(720)와 곡판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키부재(700)는 회전부재(600)에 의해 가력부재(300)가 회전된 후 회전상태의 풀림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가력부재(300)의 회전상태가 풀리는 경우 파이프(P)에 가해지는 지압력이 약해지고, 결과적으로 양측 파이프(P)의 연결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게 된다.
곡판부(7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관통공(220)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돌출부(720)는 곡판부(710)에서 하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력부재(300)의 삽입홈(3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곡판부(710)는 커버부재(200)의 관통공(220)과 같은 곡률로 형성되고, 돌출부(720)는 가력부재(300)의 삽입홈(310)과 같은 곡률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회전제한부재(800)에 대하여 살펴본다.
회전제한부재(800)는 회전부재(600)에 의해 가력부재(300)가 회전시, 가력부재(300)와 함께 쐐기부재(400)가 회전하지 않도록 커버부재(200)와 쐐기부재(400)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회전제한부재(800)는 커버부재(200)와 쐐기부재(400)를 결합시켜 파이프(P)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파이프(P)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함으로써 쐐기부재(400)가 가력부재(300)와 함께 파이프(P)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재(800)는 커버부재(200)에 축방향의 홈을 형성하고 쐐기부재(400)에 축방향의 돌부를 형성하거나, 도 1의 도시와는 반대로 커버부재(200)에 축방향의 돌부을 형성하고 쐐기부재(400)에 축방향의 홈을 형성하여 가력부재(300)의 회전시 쐐기부재(40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파이프 연결장치 200: 커버부재
210: 제1 빗면부 220: 관통공
300: 가력부재 310: 삽입홈
320: 제2 빗면부 400: 쐐기부재
410: 제3 빗면부 500: 실링부재
510: 돌출링 600: 회전부재
610: 본체부 620: 손잡이부
630: 체결돌기 640: 관절부
700: 키부재 710: 곡판부
720: 돌출부 800: 회전제한부재
S: 공간부 P: 파이프

Claims (10)

  1. 연결을 요하는 2 이상의 파이프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파이프 연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1 빗면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력부재; 및
    상기 가력부재의 측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가력부재가 회전시, 상기 파이프의 연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된 제1 빗면부에 의해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의 파이프 중심부 방향면에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이동에 의해 파이프에 밀착되어 파이프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재의 원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재는 양 측면에 경사진 제2 빗면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쐐기부재는 양 측면에 상기 제2 빗면부에 접하는 경사진 제3 빗면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빗면부와 제3 빗면부가 접하는 면에는 상기 가력부재와 쐐기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쐐기부재의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력부재가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시 상기 쐐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커버부재와 가력부재 및 쐐기부재에 비해 탄성계수가 낮은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연결을 요하는 양 파이프의 연결면에 끼워지는 돌출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가력부재가 회전된 후 회전상태의 풀림을 방지하는 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곡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120153875A 2012-12-26 2012-12-26 파이프 연결장치 KR10138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875A KR101386408B1 (ko) 2012-12-26 2012-12-26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875A KR101386408B1 (ko) 2012-12-26 2012-12-26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408B1 true KR101386408B1 (ko) 2014-04-21

Family

ID=5065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875A KR101386408B1 (ko) 2012-12-26 2012-12-26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98Y1 (ko) * 2000-11-14 2001-04-16 골드라인 링조인트주식회사 배관용 조인트
KR100773181B1 (ko) * 2000-07-06 2007-11-02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2개의 관형 부품을 위한 잠금 및 해제 가능한 조립체 시스템
US7604261B2 (en) * 2003-08-13 2009-10-20 Bridgeport Fittings, Inc. Weatherproof compression connecting assembly for securing electrical metal tubing
JP4700878B2 (ja) * 1999-12-02 2011-06-15 ゼ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カーゲー 管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0878B2 (ja) * 1999-12-02 2011-06-15 ゼ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カーゲー 管連結装置
KR100773181B1 (ko) * 2000-07-06 2007-11-02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2개의 관형 부품을 위한 잠금 및 해제 가능한 조립체 시스템
KR200220098Y1 (ko) * 2000-11-14 2001-04-16 골드라인 링조인트주식회사 배관용 조인트
US7604261B2 (en) * 2003-08-13 2009-10-20 Bridgeport Fittings, Inc. Weatherproof compression connecting assembly for securing electrical metal tub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3739B1 (en) Flange joint connection structure
JP5891537B2 (ja) 管継手
US9500308B2 (en) Spiral-type flexible pipe connector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MX2009013358A (es) Junta roscada con sello energizable.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JP2017519941A (ja) 2つのパイプの個々の端部に連結デバイスを接続するための方法及び前記連結デバイスの構造
MX2015002298A (es) Ensamble de union de martillo, sello de union de martillo para el mismo y metodo para construir un sello de union de martillo.
JP6518034B2 (ja) 継手ユニット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EP1834123B1 (en) Flange
KR101386408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20060157982A1 (en) Pipe connection
KR20140085042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60003491A (ko) 고압용기의 하이드로 테스트용 플랜지 커버
KR200407864Y1 (ko) 무용접 플랜지 관연결 조인트
JPS58160687A (ja) 金属管用管結合部
WO2017179384A1 (ja) ボルト締結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ーボ機械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20110110501A (ko) 강관 특수 이음장치
JP5611028B2 (ja) デリバリパイプの製造方法
TW201938975A (zh) 熱交換器熱管封套
JP2013224715A (ja) 軸封装置及びポンプ
CN205479345U (zh) 一种超高压多级密封组件
KR200333861Y1 (ko) 파이프의 단부 밀폐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