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205B1 -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205B1
KR101386205B1 KR1020130069240A KR20130069240A KR101386205B1 KR 101386205 B1 KR101386205 B1 KR 101386205B1 KR 1020130069240 A KR1020130069240 A KR 1020130069240A KR 20130069240 A KR20130069240 A KR 20130069240A KR 101386205 B1 KR101386205 B1 KR 10138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ed
terminal
electric vehi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수
박노홍
허영범
권오상
이승진
김민수
박미현
이세호
Original Assignee
현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준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수직 형강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 형강, 상기 수평 형강에 고정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팔레트가 마련된 주차 타워에 주차된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로서, 상기 수평 형강에 마련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홈부를 갖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자,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에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팔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각각의 단자들의 결합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CONNECT FOR ELECTRIC VEHICLE DISCHARGING}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타워에 주차되어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파괴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고유가 등의 문제로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동차 연료인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동력원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석유의 대체 연료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가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 세계적인 메이저 자동차 회사를 선두로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석유와 전기 두 가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가 시판되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외부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충전 받는 메인 배터리가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구조와 이와 함께 부 에너지원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석유를 연료로 사용되는 구조가 차량 내부에 공존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평소에 공해가 전혀 없는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고 전기가 다 사용한 경우 또는 특정 조건하에서 운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석유를 연료로 차량이 운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전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전기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연료로 사용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기술이며, 이에 따라 전기를 충전하는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안전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안전 플러그는 콘센트와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구로서, 상기 플러그 내부에 놓여지는 단자와 전선의 접점이 상호 분리되고, 상기 단자는 플러그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접점과 접촉/단속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단자와 접점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전기 자동차용 교류 전원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의 교류 전원 커넥터는 두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두 개의 관통구 사이의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체와 상기 두 개의 관통구에 각각 삽입되는 터미널 및 배터리와 연결되는 AC 인출선과 상기 터미널의 일측단을 결합시키는 탭으로 이루어진 수커넥터 및 일측면에 두 개의 터미널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두 개의 터미널 인입구 사이의 중앙부에 돌출부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 인입구와 돌출부 인입구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하는 반대쪽 측면에 AC 인입선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AC 인입선 인입구에 삽입되는 상용 AC 인입선에 연결되는 두 개의 탄성 터미널 및 상기 두 개의 탄성 터미널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상기 수커넥터의 돌출부가 상기 돌출부 인입구로 삽입되면 상기 AC 인입선 인입구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두 개의 탄성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 인입구 쪽으로 밀어내어 상기 탄성 터미널과 상기 수커넥터의 터미널을 접속시키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진 암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9-0002967호(1999년 1월 25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0-0000700호(2000년 1월 15일)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안전 플러그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단자를 유동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단자의 직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어 기계적으로 플러그를 접속하는 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교류 전원 커넥터는 단자의 직경이 동일하여 기계적으로 터미널을 접속하는 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는 사용자가 직접 커넥터를 연결해야 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 자체의 이동으로 결합(접속)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결합(접속)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인 결합(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다수의 수직 형강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 형강, 상기 수평 형강에 고정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팔레트가 마련된 주차 타워에 주차된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로서, 상기 수평 형강에 마련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홈부를 갖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자,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에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팔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하우징의 돌출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각각의 고정홈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에는 직경이 큰 제1 구멍, 상기 제1 구멍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멍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멍에는 상기 고정단자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탄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구멍에는 상기 탄성체를 받쳐주는 와셔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용 고정단자 및 제어와 검침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되는 다수의 통신용 고정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전원용 고정단자와 대응되게 접속되는 전원용 연결단자 및 상기 통신용 고정단자와 대응되게 접속되는 통신용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의하면, 제2 하우징의 이동으로 제1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각각의 단자들의 결합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의하면, 관리자 등에 의하지 않고도 커넥터를 팔레트의 이동만으로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제1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제2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제1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제2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과 연결되는 제1 하우징(10)과 전기자동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은 주차 타워(미도시)의 수평 형강에 고정되고, 제2 하우징(20)은 주차 타워에서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받쳐주는 팔레트(미도시)에 고정된다.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30)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다.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30)은 다수의 단자가 고정됨은 물론 각각의 단자에 전원선 또는 통신선이 연결 고정된다.
제1 하우징(10)은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 돌출부(11) 내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12), 단자가 고정되는 제1 구멍(13) 및 제2 구멍(14), 전기 공급선과 연결되는 전원용 고정단자(15), 제어 또는 검침을 하기 위한 통신용 고정단자(16), 전원용 고정단자(15)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18), 와셔(19)를 포함한다.
또 제2 하우징(30)은 제1 하우징(10)의 돌출부(11)에 대응되는 홈부(31), 제1 하우징(10)의 고정홈부(12)에 대응되는 고정돌기부(32), 단자가 고정되는 제1 구멍(33) 및 제2 구멍(34),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용 연결단자(35), 제1 하우징(10)의 통신용 고정단자(16)에 대응되는 통신용 연결단자(36)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0)에는 일측으로 돌출부(11)가 형성된다. 돌출부(11)에는 고정홈부(12)가 내측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고정홈부(12)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들 고정홈부(12)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도 있다.
고정홈부(12)는 제2 하우징(30)과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하우징(1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구멍은 제1 구멍(13)과 제2 구멍(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13)과 제2 구멍(14)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 구멍(13)은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구멍(14)은 제1 구멍(13)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전원용 고정단자(15)가 고정되는 구멍과 통신용 고정단자(16)가 고정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구멍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원용 고정단자(15)가 고정되는 구멍은 통신용 고정단자(16)가 고정되는 구멍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전원용 고정단자(15)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0)의 상측과 하측에 고정된다. 전원용 고정단자(15)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통신용 고정단자(16)는 전원용 고정단자(15)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통신용 고정단자(16)에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 또는 검침 등을 하기 위한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된다. 통신용 고정단자(16)가 고정되는 구멍은 2x4 배열로 형성된다. 이들 통신용 고정단자(16)는 2x4 배열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16핀, 24핀 등이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전원용 고정단자(15)와 통신용 고정단자(16)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그 일단에 각각 홈부(17)가 형성된다. 이들 홈부(17)는 내측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제2 하우징(30)의 단자와 기계적인 결합(접속)이 양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접촉면적을 늘려 보다 확실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홈부(17)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 하우징(30)의 이동에 따라 고정단자(15, 16)와 제2 하우징(30)의 연결단자(35, 36)의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전원용 고정단자(15)와 통신용 고정단자(16)는 각각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즉, 고정단자(15, 16)에는 일측에 탄성체(18)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고정단자(15, 16)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탄성체(18)로는 스프링 또는 탄력을 갖는 연질의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용 고정단자(15)에는 와셔(19)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탄성체(18)는 와셔(19)와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와셔(19)는 탄성체(18)의 탄력에 의해 이동된다. 제1 하우징(10)의 일면에는 플레이트(20)가 고정된다. 플레이트(20)에는 각 단자(15, 16)와 연결되는 전원선 또는 통신선 등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30)에는 일면에 제1 하우징(10)의 돌출부(11)와 대응되는 홈부(31)가 형성된다. 홈부(31)에는 제1 하우징(10)의 고정홈부(12)와 대응되는 고정돌기부(32)가 형성된다.
고정돌기부(32)는 고정홈부(12)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30)에는 연결단자(35, 36)가 끼워져 고정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구멍은 직경이 큰 제1 구멍(33)과 제1 구멍(33) 보다 작은 직경의 제2 구멍(34)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구멍(33, 34)에는 제1 하우징(10)의 전원용 고정단자(15)와 대응되는 전원용 연결단자(35)가 고정되고, 제1 하우징(10)의 통신용 고정단자(16)와 대응되는 통신용 연결단자(36)가 고정된다.
전원용 고정단자(15)에는 일측이 경사지게 끼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용 연결단자(35)의 끼움부(37)는 전원용 고정단자(15)의 홈부(17)에 끼워져 접속되고, 통신용 연결단자(36)의 끼움부(37)는 통신용 고정단자(16)의 홈부(17)에 끼워져 접속된다.
즉, 끼움부(37)는 제2 하우징(30)의 이동에 의해 홈부(17)에 정확하게 끼워져 기계적인 접속이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고정단자(15, 16) 및 연결단자(35, 36)는 볼트(미도시) 등의 고정수단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볼트 등의 고정수단은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3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각각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는 고정단자(15)와 연결단자(35)의 개수가 다를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5개의 고정단자(15) 중 2개의 고정단자(15)는 전원(+, -)이 연결되고, 1개의 고정단자(15)는 접지(ground)로 사용되며, 2개의 고정단자(15)는 고장 등에 의해 전원이 단락 되었을 때 전원을 곧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비 단자로 사용된다.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단자(15, 16)의 홈부(17)는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연결단자(35, 36)의 끼움부(37)는 홈부(17)와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연결단자(35, 36)의 끼움부(37)는 고정단자(15, 16)의 홈부(17)에 보다 깊게 끼워져 접속되어, 기계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30)은 금형장치 등에 의해 성형된다. 즉, 하우징(10, 30)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금형장치에서 성형으로 제작된다. 제1 하우징(10)의 돌기부(11)에는 고정홈부(12)를 형성함은 물론 제2 하우징(30)의 홈부(31)에는 고정돌기부(32)를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전원용 고정단자(15)가 끼워지는 구멍(13, 14)을 성형하고, 통신용 고정단자(16)가 끼워지는 구멍(13, 14)을 성형한다.
아울러 제2 하우징(30)에는 제1 하우징(30)의 고정홈부(12)에 대응되는 고정돌기부(32) 및 구멍(33, 34)이 성형됨은 물론이다.
한편 고정단자(15, 16) 및 연결단자(35, 36)는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고정단자(15, 16) 및 연결단자(35, 36)는 일측에 전원선 등이 연결되도록 체결구멍을 형성한다. 또 고정단자(15, 16) 및 연결단자(35, 36)에는 홈부(17) 및 끼움부(37)를 형성한다.
고정홈부(12)와 고정돌기부(32)는 제2 하우징(30)이 이동되면서 제1 하우징(10)에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홈부(17)와 끼움부(37) 또한 고정단자(15, 16) 및 연결단자(35, 36)의 용이한 결합 및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1 하우징(10)의 구멍(13, 14)에는 각각 전원용 고정단자(15) 및 통신용 고정단자(16)를 끼워 고정한다. 전원용 고정단자(15) 및 통신용 고정단자(16)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0)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제1 볼트(21)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원용 고정단자(15)에 연결되는 전원선은 고정단자(15)에 끼운 상태에서 제2 볼트(22)를 체결한다. 이는 전원선의 굵기가 크므로, 전원선의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2 볼트(22)는 전원선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데, 전원선의 외측에 체결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0)의 상하에서 체결되는 제1 볼트(21)는 고정단자(15, 16)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제1 하우징(10)의 수평으로 체결되는 제2 볼트(22)는 전원선 및 통신선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통신용 고정단자(16)에 연결되는 통신선은 전원선과 동일하게 제2 볼트(22)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미설명 부호 23은 제1 하우징(10)을 수평 형강에 고정하는 볼트이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2 하우징(30)의 구멍(33, 34)에는 각각 전원용 연결단자(35) 및 통신용 연결단자(36)를 끼워 고정한다. 이러한 전원용 연결단자(35) 및 통신용 연결단자(36)는 도 3에서와 같이, 제2 하우징(30)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제1 볼트(38)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원용 연결단자(35)에 연결되는 전원선에는 연결단자(35)에 끼운 상태에서 제2 볼트(39)를 체결한다. 이는 전원선의 굵기가 크므로, 전원선의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2 볼트(39)는 전원선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데, 전원선의 외측에 체결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제2 하우징(30)의 상하에서 체결되는 제1 볼트(38)는 연결단자(35, 36)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제2 하우징(30)의 수평으로 체결되는 제2 볼트(39)는 전원선 및 통신선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통신용 연결단자(36)에 연결되는 통신선은 전원선과 동일하게 제2 볼트(39)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미설명 부호 40은 제2 하우징(30)을 팔레트에 고정하는 볼트이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결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주차 타워(미도시)에서 차량을 받쳐주는 팔레트(50)의 측면에 고정된다. 팔레트(50)에는 이동되도록 바퀴(5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바퀴(51) 저면에는 안내레일(52)이 고정된다. 이러한 안내레일(52)은 주차타워의 수평 형강(53)에 용접 등의 고정방법으로 고정된다.
제1 하우징(10)은 수평 형강(53)의 상측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수평 형강(53)은 수직 형강(54)에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제1 하우징(10)과 수평 형강(53) 사이에는 고정부재(55)가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부재(55)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부재(5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하우징(10)의 전원용 고정단자(15)는 주차타워의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통신용 고정단자(16)는 팔레트(51)의 이동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팔레트(50)는 도 6에서와 같이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30)은 팔레트(50)의 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30)은 팔레트(50)의 이동에 따라 수평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2 하우징(30)이 제1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팔레트(5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2 하우징(30)은 도 1에서와 같이, 팔레트(50)의 이동에 의해 제1 하우징(10) 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에 제2 하우징(30)의 홈부(31)가 제1 하우징(10)의 돌출부(11)로 진입하게 된다. 제2 하우징(30)의 홈부(31) 모서리에는 일정 각도로 모따기(chamfer)가 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10)의 돌출부(11) 모서리에도 모따기가 되어 있어 제2 하우징(30)이 제1 하우징(10)의 돌출부(11)로 자연스럽게 끼워지게 된다.
이어서 제2 하우징(30)이 도 5의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원용 연결단자(35)가 전원용 고정단자(15)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홈부(17) 및 끼움부(37)는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부(37)는 홈부(17)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홈부(17)에 접촉된다. 또 고정단자(15, 16)에는 탄성체(18)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끼움부(37)가 홈부(17)와 일직선으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끼움부(37)는 전원용 고정단자(15, 16)를 도면상 좌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고정단자(15, 16)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상 왼쪽으로 밀리게 되고, 고정단자(15, 16)는 플레이트(20) 및 탄성체(18)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된다. 연결단자(35, 36)는 고정단자(15, 16)에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결합된다.
이와 함께 제2 하우징(30)의 고정돌기부(32)는 제1 하우징(10)의 고정홈부(12)에 끼워지게 된다. 이들 고정홈부(12) 및 고정돌기부(32)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홈부(17) 및 끼움부(37)와 동일하게 끼워져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팔레트의 이동에 의해 제1 하위징(10)과 제2 하우징(30)이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주차 타워의 관리자 등에 의해 커넥터를 끼워 결합하지 않고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제1 하우징 11: 돌출부
12: 고정홈부 13: 제1 구멍
14: 제2 구멍 15: 전원용 고정단자
16: 통신용 고정단자 17: 홈부
18: 탄성체 19: 와셔
20: 플레이트 30: 제2 하우징
31: 홈부 32: 고정돌기부
33: 제1 구멍 34: 제2 구멍
35: 전원용 연결단자 36: 통신용 연결단자
37: 끼움부

Claims (6)

  1. 다수의 수직 형강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 형강, 상기 수평 형강에 고정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팔레트가 마련된 주차 타워에 주차된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로서,
    상기 수평 형강에 마련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홈부를 갖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자,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에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팔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돌출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각각의 고정홈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에는 직경이 큰 제1 구멍,
    상기 제1 구멍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멍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멍에는 상기 고정단자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탄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에는 상기 탄성체를 받쳐주는 와셔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용 고정단자 및 제어와 검침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되는 다수의 통신용 고정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전원용 고정단자와 대응되게 접속되는 전원용 연결단자 및 상기 통신용 고정단자와 대응되게 접속되는 통신용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 및 연결단자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1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단자 및 연결단자는 전원선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20130069240A 2013-06-17 2013-06-17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138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40A KR101386205B1 (ko) 2013-06-17 2013-06-17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40A KR101386205B1 (ko) 2013-06-17 2013-06-17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205B1 true KR101386205B1 (ko) 2014-04-21

Family

ID=5065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240A KR101386205B1 (ko) 2013-06-17 2013-06-17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99A (ko) 2018-07-13 202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원 안전 커넥터
KR20200046400A (ko) 2018-10-24 2020-05-07 주식회사 마루온 전기자동차 충전용 컨넥터의 결합구조
KR102145305B1 (ko) * 2020-02-07 2020-08-18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67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음성 출력기기의 음량 자동 제어 시스템
KR20000000700U (ko) * 1998-06-15 2000-01-15 김영환 전기 자동차용 교류 전원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67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음성 출력기기의 음량 자동 제어 시스템
KR20000000700U (ko) * 1998-06-15 2000-01-15 김영환 전기 자동차용 교류 전원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99A (ko) 2018-07-13 202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원 안전 커넥터
KR20200046400A (ko) 2018-10-24 2020-05-07 주식회사 마루온 전기자동차 충전용 컨넥터의 결합구조
KR102145305B1 (ko) * 2020-02-07 2020-08-18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31261U (zh) 电动汽车动力电池箱的浮动连接装置
CN201503894U (zh) 交直流双输入充电器
KR101386205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CN104736381A (zh) 用于在充电站为电动车辆充电的充电设备
CN202259861U (zh) 一种电动汽车充电连接器
CN102761011A (zh) 充电器插座
CN205039365U (zh)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CN117559183A (zh) 移动式轨道插座
CN204835069U (zh) 一种电动汽车快速更换动力电池的连接器
KR102604797B1 (ko)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
CN104319207B (zh) 一种百搭型保险盒及汽车
CN205039367U (zh)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KR102029370B1 (ko)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CN202034544U (zh) 一种具有锁车功能的电动汽车充电插座
CN209592343U (zh) 一种接线端子
CN205039368U (zh)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KR10144765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접속장치
CN212022355U (zh) 充电桩、自动导引车以及充电系统
CN209571570U (zh) 一种双向接线柱装置
CN102938518A (zh) 一种电动汽车充电连接器
CN105140735A (zh)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US20190255959A1 (en) Battery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and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CN105140736A (zh)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CN105336894A (zh) 动力电池组件和动力电池
CN107571766B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辅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