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604B1 - 영상 매트릭스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매트릭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604B1
KR101385604B1 KR1020120077314A KR20120077314A KR101385604B1 KR 101385604 B1 KR101385604 B1 KR 101385604B1 KR 1020120077314 A KR1020120077314 A KR 1020120077314A KR 20120077314 A KR20120077314 A KR 20120077314A KR 101385604 B1 KR101385604 B1 KR 10138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rgb
green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705A (ko
Inventor
이각인
고재철
송근한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신호 스위칭 연결부, 및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을 구비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가 개시된다.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한다.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들이 각각 축소되고, 축소된 영상들이 배치되어 한 조합 영상이 이루어지며, 이루어진 한 조합 영상이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포트로 출력된다.

Description

영상 매트릭스 장치{Image matrix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신호 스위칭 연결부, 및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을 구비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신호 스위칭 연결부, 및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한 영상신호 입력 포트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한 영상신호 출력 포트에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있어서,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추가적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영상 매트릭스 장치가 다양한 입력 영상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면,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상 매트릭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신호 스위칭 연결부, 및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을 구비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들이 각각 축소되고, 축소된 영상들이 배치되어 한 조합 영상이 이루어지며, 이루어진 한 조합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포트로 출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영상의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각각 확대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확대 영상 및 상기 제2 부분의 확대 영상이 이루어지고, 이루어진 상기 제1 부분의 확대 영상 및 상기 제2 부분의 확대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출력 포트들로 각각 출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 및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식의 입력 영상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로 변환한다.
상기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서로 다른 형식의 영상 신호들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한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상기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 및 교차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은, 상기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들로 변환한다.
상기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은, 상기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로 복원하고, 복원된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 각각에 제공한다.
상기 교차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한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를 상기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차 스위치는 상기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 및 상기 디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상기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들이 한 조합 영상을 이루고, 이루어진 한 조합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포트로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영상의 부분들이 각각 확대되어, 각 부분의 확대 영상들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출력 포트들로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더욱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의 포트 구성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스위칭 연결부 내의 교차 스위치에서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영상 축소부의 출력 신호(S5)의 영상(4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영상 축소부의 출력 신호(S6)의 영상(5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3 영상 축소부의 출력 신호(S7)의 영상(6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제4 영상 축소부의 출력 신호(S8)의 영상(7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제1 영상 배치부의 출력 신호(S9)의 영상(41 및 5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제2 영상 배치부의 출력 신호(S10)의 영상(61 및 7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제3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제4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신호 스위칭 연결부 내의 교차 스위치에서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부분 확대부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2)의 영상(15LU)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2 부분 확대부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3)의 영상(15RU)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3 부분 확대부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4)의 영상(15LL)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의 제4 부분 확대부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5)의 영상(15RL)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의 포트 구성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과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한 영상신호 출력 포트에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과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은 서로 동일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은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101b),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2a, 102b),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3a 내지 103d), 디브이아이(DV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4a 내지 104d), 및 광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5a 내지 105d)을 포함한다.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101b)에는 잘 알려져 있는 에스디아이(SDI : Serial Digital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입력된다.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2a, 102b)에는 잘 알려져 있는 브지에이(VGA : Video Graphic Array)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입력된다.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3a 내지 103d)에는 잘 알려져 있는 에이치디엠아이(HDMI : High-Deg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입력된다.
디브이아이(DV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4a 내지 104d)에는 잘 알려져 있는 디브이아이(DVI : Digital Visual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입력된다.
그리고 광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5a 내지 105d)에는 잘 알려져 있는 광(光) 영상신호들이 입력된다.
한편,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은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1a, 111b),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112b),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3a 내지 113d), 광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5a 내지 115d), 및 디피(DP)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6a 내지 116d)을 포함한다.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1a, 111b)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에스디아이(SDI : Serial Digital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출력된다.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112b)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브지에이(VGA : Video Graphic Array)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출력된다.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3a 내지 113d)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에이치디엠아이(HDMI : High-Deg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출력된다.
광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5a 내지 115d)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광(光) 영상신호들이 출력된다.
그리고 디피(DP)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6a 내지 116d)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디피(DP : Display Port)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과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에 있어서, 또 다른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잘 알려져 있는 컴포넌트(Component) 형식, 에스-비디오(S-Video) 형식, 및 복합(Composite) 형식의 영상 신호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 신호 스위칭 연결부(24), 및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을 구비한다.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과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은 서로 동일하지 않다.
신호 스위칭 연결부(24)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한다.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들이 각각 축소되고, 축소된 영상들이 배치되어 한 조합 영상이 이루어지며, 이루어진 한 조합 영상이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포트로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멀티플렉싱 모드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더 나아가, 신호 스위칭 연결부(24)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한다.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영상의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각각 확대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확대 영상 및 상기 제2 부분의 확대 영상이 이루어지고, 이루어진 상기 제1 부분의 확대 영상 및 상기 제2 부분의 확대 영상이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 중에서 선택된 출력 포트들로 각각 출력된다.
즉,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영상의 부분들이 각각 확대되어, 각 부분의 확대 영상들이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 중에서 선택된 출력 포트들로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더욱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드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28), 디스플레이 구동부(27),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28)은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7)는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28)을 구동한다.
제어부(26)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7)에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28)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들에 따라 신호 스위칭 연결부(24)의 동작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는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201a 내지 205d) 및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252a 내지 256d)을 포함한다.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201a 내지 205d)은,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1a 내지 105d)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식의 입력 영상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입력 포트(101a)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에스디아이(SDI)-알지비(RGB) 발생부(201a)는 에스디아이(SDI : Serial Digital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입력 포트(102a)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브지에이(VGA)-알지비(RGB) 발생부(202a)는 브지에이(VGA : Video Graphic Array) 형식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3a 내지 103d) 각각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에이치디엠아이(HDMI)-알지비(RGB) 발생부들(203a 내지 203d) 각각은 에이치디엠아이(HDMI : High-Deg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디브이아이(DV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4a 내지 104d) 각각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디브이아이(DVI)-알지비(RGB) 발생부들(204a 내지 204d) 각각은 디브이아이(DVI : Digital Visual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광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105c, 105d) 각각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광-알지비(RGB) 발생부들(205c, 205d) 각각은 광(光) 영상신호들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로 변환시킨다.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252a 내지 256d)은,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2a 내지 116d)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서로 다른 형식의 영상 신호들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출력 포트(111b)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알지비(RGB)-에스디아이(SDI) 발생부(251b)는 디지털 알지비(RGB) 병렬 신호를 에스디아이(SDI : Serial Digital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출력 포트(112a)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알지비(RGB)-브지에이(VGA) 발생부(252a)는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브지에이(VGA : Video Graphic Array) 형식의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3c, 113d) 각각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알지비(RGB)-에이치디엠아이(HDMI) 발생부들(253c, 253d) 각각은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에이치디엠아이(HDMI : High-Deg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형식의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광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5a 내지 115d) 각각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알지비(RGB)-광 발생부들(255a 내지 255d) 각각은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광(光) 영상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디피(DP)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116a 내지 116d) 각각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알지비(RGB)-디피(DP) 발생부들(256a 내지 256d) 각각은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디피(DP : Display Port) 형식의 영상 신호들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24)는,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201a 내지 205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한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252a 내지 25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24)는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232a 내지 236d), 및 교차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은,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201a 내지 205d)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들로 변환한다.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232a 내지 236d)은,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로 복원하고, 복원된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252a 내지 256d) 각각에 제공한다.
교차 스위치(220)는,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중에서 상기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한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를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232a 내지 23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교차 스위치(220)는 상기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 및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드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스위칭 연결부(24) 내의 교차 스위치(220)에서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멀티플렉싱 부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제1 영상 축소부(301)의 출력 신호(S5)의 영상(4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의 제2 영상 축소부(302)의 출력 신호(S6)의 영상(5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3의 제3 영상 축소부(303)의 출력 신호(S7)의 영상(6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3의 제4 영상 축소부(304)의 출력 신호(S8)의 영상(7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3의 제1 영상 배치부(305)의 출력 신호(S9)의 영상(41 및 5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3의 제2 영상 배치부(306)의 출력 신호(S10)의 영상(61 및 7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307)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10을 참조하여 도 3의 멀티플렉싱 부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교차 스위치(220)에서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 멀티플렉싱 부는, 제1 내지 제4 영상 축소부들(301 내지 304) 및 제1 내지 제3 영상 배치부들(305 내지 30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내지 제4 영상 축소부들(301 내지 304) 및 제1 내지 제3 영상 배치부들(305 내지 307)은 통상적으로 스케일러(scaler)라고 불리우는 소자들에 의하여 구현된다.
제1 영상 축소부(301)는,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1)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1)의 영상을 설정 비율로 축소하고, 축소된 영상(도 4의 41)의 신호(S5)를 제1 영상 배치부(305)에 출력한다.
제2 영상 축소부(302)는,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2)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2)의 영상을 설정 비율로 축소하고, 축소된 영상(도 5의 51)의 신호(S6)를 제1 영상 배치부(305)에 출력한다.
제3 영상 축소부(303)는,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3)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3)의 영상을 설정 비율로 축소하고, 축소된 영상(도 6의 61)의 신호(S7)를 제2 영상 배치부(306)에 출력한다.
제4 영상 축소부(304)는,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4)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4)의 영상을 설정 비율로 축소하고, 축소된 영상(도 7의 71)의 신호(S8)를 제2 영상 배치부(305)에 출력한다.
제1 영상 배치부(305)는, 제1 영상 축소부(301)로부터의 신호(S5)의 영상(41)과 제2 영상 축소부(302)로부터의 신호(S6)의 영상(51)을 설정 위치에 배치한다(도 8 참조).
제2 영상 배치부(306)는, 제3 영상 축소부(303)로부터의 신호(S7)의 영상(61)과 제4 영상 축소부(304)로부터의 신호(S8)의 영상(71)을 설정 위치에 배치한다(도 9 참조).
제3 영상 배치부(307)는, 제1 영상 배치부(305)로부터의 신호(S9)의 영상(41 및 51)과 제2 영상 배치부(306)로부터의 신호(S10)의 영상(61 및 71)을 설정 위치에 배치하고, 그 결과 영상(도 10)의 신호(S11)를 출력한다. 출력된 최종 조합 신호(S11)는 직렬-병렬 변환부들(도 2의 232a 내지 23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에 입력된다.
도 11은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307)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4 개의 축소 영상들(41 내지 71)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각각 좌상 영역, 우상 영역, 우하 영역, 및 좌하 영역에 배치된다.
도 12는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307)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제3 예를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영상(41)이 왼쪽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 세 영상들(51, 61, 71)이 오른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3은 도 3의 제3 영상 배치부(307)의 출력 신호(S11)의 영상(41 내지 71)의 제4 예를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영상(41)이 위쪽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 세 영상들(51, 61, 71)이 아래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4는 도 2의 신호 스위칭 연결부(24) 내의 교차 스위치(220)에서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부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5는 도 14의 제1 부분 확대부(142)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2)의 영상(15LU)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6은 도 14의 제2 부분 확대부(143)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3)의 영상(15RU)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7은 도 14의 제3 부분 확대부(144)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4)의 영상(15LL)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8은 도 14의 제4 부분 확대부(145)의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과 출력 신호(S145)의 영상(15RL)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 도 14 내지 18을 참조하여 도 14의 디멀티플렉싱 부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교차 스위치(220)에서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멀티플렉싱 부는, 제1 내지 제4 부분 확대부들(142 내지 14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내지 제4 부분 확대부들(142 내지 145)은 통상적으로 스케일러(scaler)라고 불리우는 소자들에 의하여 구현된다.
제1 부분 확대부(142)는, 병렬-직렬 변환부들(211a 내지 215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141)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에서 좌상부(15LU)를 설정 비율로 확대하고(도 15 참조), 확대된 영상(15LU)의 신호(S142)를 출력한다. 출력된 확대 영상 신호(S142)는 직렬-병렬 변환부들(도 2의 232a 내지 23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에 입력된다.
제2 부분 확대부(143)는, 상기 지정된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141)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에서 우상부(15RU)를 설정 비율로 확대하고(도 16 참조), 확대된 영상(15RU)의 신호(S143)를 출력한다. 출력된 확대 영상 신호(S143)는 직렬-병렬 변환부들(도 2의 232a 내지 23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에 입력된다.
제3 부분 확대부(144)는, 상기 지정된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141)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에서 좌하부(15LL)를 설정 비율로 확대하고(도 17 참조), 확대된 영상(15LL)의 신호(S144)를 출력한다. 출력된 확대 영상 신호(S144)는 직렬-병렬 변환부들(도 2의 232a 내지 23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에 입력된다.
제4 부분 확대부(145)는, 상기 지정된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S141)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S141)의 영상(15)에서 우하부(15RL)를 설정 비율로 확대하고(도 18 참조), 확대된 영상(15RL)의 신호(S145)를 출력한다. 출력된 확대 영상 신호(S145)는 직렬-병렬 변환부들(도 2의 232a 내지 236d) 중에서 제어부(26)에 의하여 지정된 어느 하나에 입력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들이 한 조합 영상을 이루고, 이루어진 한 조합 영상이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포트로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영상의 부분들이 각각 확대되어, 각 부분의 확대 영상들이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출력 포트들로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의하면, 고유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또는 분석 시스템에 더욱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영상 신호 외의 신호들의 매트릭스 장치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1a 내지 105d :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112a 내지 116d :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201a 내지 205d : 알지비(RGB) 신호 발생부들,
24 : 신호 스위칭 연결부,
252a 내지 256d :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
26 : 제어부,
27 : 디스플레이 구동부,
28 :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211a 내지 215d : 병렬-직렬 변환부들,
220 : 교차 스위치,
232a 내지 236d : 직렬-병렬 변환부들,
101a, 101b :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102a, 102b :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103a 내지 103d :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104a 내지 104d : 디브이아이(DVI)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105a 내지 105d : 광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111a, 111b : 에스디아이(SD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112a, 112b : 브지에이(VGA)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113a 내지 113d : 에이치디엠아이(HDMI)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115a 내지 115d : 광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116a 내지 116d : 디피(DP)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201a : 에스디아이(SDI)-알지비(RGB) 발생부,
202a : 브지에이(VGA)-알지비(RGB) 발생부,
203a 내지 203d : 에이치디엠아이(HDMI)-알지비(RGB) 발생부들,
204a 내지 204d : 디브이아이(DVI)-알지비(RGB) 발생부들,
205c, 205d : 광-알지비(RGB) 발생부들,
251b : 알지비(RGB)-에스디아이(SDI) 발생부,
252a : 알지비(RGB)-브지에이(VGA) 발생부,
253c, 253d : 알지비(RGB)-에이치디엠아이(HDMI) 발생부들,
255a 내지 255d : 알지비(RGB)-광 발생부들,
256a 내지 256d : 알지비(RGB)-디피(DP) 발생부들,
301 내지 304 : 영상 축소부들,
305 내지 307 : 영상 배치부들,
142 내지 145 : 부분 확대부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신호 스위칭 연결부, 및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을 구비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식의 입력 영상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로 변환하는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 및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서로 다른 형식의 영상 신호들로 변환하는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들이 각각 축소되고, 축소된 영상들이 배치되어 한 조합 영상이 이루어지며, 이루어진 한 조합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포트로 출력되고,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입력 포트들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영상의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각각 확대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확대 영상 및 상기 제2 부분의 확대 영상이 이루어지고, 이루어진 상기 제1 부분의 확대 영상 및 상기 제2 부분의 확대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출력 포트들로 각각 출력되며,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한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를 상기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며,
    상기 신호 스위칭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적-녹-청(RGB) 신호 발생부들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들로 변환하는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
    상기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로 복원하고, 복원된 디지털 적-녹-청(RGB) 병렬 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출력 영상신호 발생부들 각각에 제공하는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 및
    상기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한 디지털 적-녹-청(RGB) 직렬 신호를 상기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부들 중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교차 스위치를 포함한, 영상 매트릭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스위치는,
    상기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 및 상기 디멀티플렉싱(multiplexing) 모드를 수행하는 영상 매트릭스 장치.
KR1020120077314A 2012-07-16 2012-07-16 영상 매트릭스 장치 KR10138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14A KR101385604B1 (ko) 2012-07-16 2012-07-16 영상 매트릭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14A KR101385604B1 (ko) 2012-07-16 2012-07-16 영상 매트릭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05A KR20140010705A (ko) 2014-01-27
KR101385604B1 true KR101385604B1 (ko) 2014-04-21

Family

ID=5014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314A KR101385604B1 (ko) 2012-07-16 2012-07-16 영상 매트릭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251A (ko) * 2002-12-30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트윈 픽쳐 처리장치
KR20090001699A (ko) * 2007-05-11 2009-01-09 (주)엔토스정보통신 다기능 멀티 종합상황실 운용시스템
KR20110080351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20035455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네오콤 사각지역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251A (ko) * 2002-12-30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트윈 픽쳐 처리장치
KR20090001699A (ko) * 2007-05-11 2009-01-09 (주)엔토스정보통신 다기능 멀티 종합상황실 운용시스템
KR20110080351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20035455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네오콤 사각지역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05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906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6046192B2 (ja) 3D映像の提供方法、3D映像の変換方法、GUI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3Dディスプレイ装置、そして3D映像の提供システム{Methodforproviding3Dimage、methodforconverting3Dimage、GUIprovidingmethodrelatedto3Dimageand3Ddisplayapparatusandsystemforproviding3Dimage}
TW200948046A (en) A video signal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JP574088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3545374A (ja) 異なる次元のビデオデータストリームを同時表示用に組み合わせること
KR20100111082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N102737614A (zh) 在拼接屏上实现多层图像显示的方法及其拼接屏
JP200733407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3027380A1 (en) Head mount 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385604B1 (ko) 영상 매트릭스 장치
US9565423B2 (en)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CN201657134U (zh) 一种高清视频无缝切换的装置
KR20140067342A (ko) 디스플레이 모듈 접속용 lvds 인터페이스 장치
TW201114245A (en)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 images and related display module
JP2013187732A (ja) 画像合成装置
JP2008083621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101385605B1 (ko) 영상 매트릭스 장치
KR100709141B1 (ko) 입체 엘씨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6873B1 (ko) 영상 매트릭스 장치
WO2013077203A1 (ja) 映像出力装置、表示装置
KR101259492B1 (ko) 영상 매트릭스 장치
US20040213456A1 (en) Cable extension unit
JP2013183438A (ja) 表示装置
CN111464766B (zh) 视频处理器和显示系统
KR101632340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