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340B1 -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340B1
KR101632340B1 KR1020100002110A KR20100002110A KR101632340B1 KR 101632340 B1 KR101632340 B1 KR 101632340B1 KR 1020100002110 A KR1020100002110 A KR 1020100002110A KR 20100002110 A KR20100002110 A KR 20100002110A KR 101632340 B1 KR101632340 B1 KR 10163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xel
unit
pixel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228A (ko
Inventor
타나하시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40B1/ko
Priority to US12/871,316 priority patent/US20110169916A1/en
Publication of KR2011008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ect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생성된다. 이어서,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제1 단위 화소부와 제1 단위 화소부와 동일한 컬러에 대해 다른 파장을 갖는 제2 단위 화소부에 각각 인가되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입체영상 구현시 특정 파장 대역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안경에 의해 동일한 시점에 보여지는 제1 영상인 좌안 영상 과 제2 영상인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므로 잔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가지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분리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관찰자는 양안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보게 되고, 뇌에서 이 영상들을 융합하여 입체감을 시인하게 된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크게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무안경 방식으로는 시차장벽(Parallax barrier) 방식과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이 있다. 상기 무안경 방식은 안경을 쓰지 않고도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관찰 위치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동시에 다수의 관찰자가 고품질의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안경 방식으로는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러프(anaglyph) 방식과,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액정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셔터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액정셔터 안경 방식을 채용한 영상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에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고, 표시되는 영상에 맞춰 안경에 부착된 액정 셔터를 개폐시킴으로써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그러나, 좌안 영상에서 우안 영상으로 또는 우안 영상에서 좌안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관찰자의 눈에 시인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안시차를 가지고 분리되어야 할 영상이 혼재되는 경우 좌안 및 우안에 잘못된 영상이 보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상이 겹쳐 보이면서 관찰자에게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영상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서,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생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동일한 컬러에 대해 다른 파장을 갖는 제2 단위 화소부에 각각 인가되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경의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에 의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생성될 때, 상기 입력 영상이 입체 영상이면, 상기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좌안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처리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처리데이터가 생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처리데이터가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생성될 때,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와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평면 영상의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로 다운 스케일링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를 갖는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 변환부, 표시 패널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는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단위 화소부 및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동일한 컬러에 대해 다른 파장을 갖는 제2 단위 화소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들을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제공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렌즈부와,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는 안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모드 결정부, 3차원 영상 처리부 및 2차원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입력 영상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입체 영상이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이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대응하는 정면용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는 좌안용이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는 우안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영상 처리부는, 분리부, 영상 처리부 및 제1 색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좌안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처리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보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부는, 다운 스케일러 및 제2 색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 스케일러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평면 영상의 제1 해상도를 제2 해상도로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상기 제2 색보정부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를 갖는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와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색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위 화소부는, 제1 적색화소, 제1 녹색 화소 및 제1 청색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는, 제2 적색화소, 제2 녹색화소 및 제2 청색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적색화소 및 상기 제2 적색화소는 인접한 영역의 파장 대역을 갖고, 상기 제1 녹색화소 및 상기 제2 녹색화소는 인접한 영역의 파장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청색화소 및 상기 제2 청색화소는 인접한 영역의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화소열들과 화소행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과 복수의 제2단위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열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화소열들과 화소행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과 복수의 제2 단위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행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행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화소열들과 화소행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과 복수의 제2 단위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는 각 화소열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각 화소행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입체영상 구현시 동일한 시점에 보여지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므로 잔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변환부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패널이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장치에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되는 파장 분리형 안경 및 표시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변환부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및 영상 변환부(20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평면영상 및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1920 × 1080의 해상도를 갖는 FHD(Full High definition)급 이상의 고해상도의 표시패널(110)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표시 패널(110) 및 상기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130)는 데이터 구동부(132) 및 게이트 구동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2개의 기판과, 상기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부들은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화소부는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부는 복수의 컬러 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화소부들은 제1 단위 화소부(UP1)과 제2 단위 화소부(UP2)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화소부(UP1)가 포함하는 복수의 색 화소들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가 포함하는 복수의 색 화소들은 동일 색에 대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에는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에는 제2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는 외부에 구비된 비디오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신호는 평면영상신호 또는 입체영상신호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는 상기 입체영상신호를 입력영상으로 인가받으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우안용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출력영상(201a)을 출력하고 상기 평면영상신호를 입력영상으로 인가받으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에 대응하는 정면용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정면용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출력영상(201b)을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출력영상(201a), 상기 제2 출력영상(201b) 및 제어신호(CONT)를 인가받는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출력영상(201a), 상기 제2 출력영상(201b) 및 상기 제어신호(CONT)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에 영상 데이터(DATA)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신호(CONT1)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에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상기 제1 제어신호(CONT1)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배선들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수신한 제2 제어신호(CONT2)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110)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광원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장치(300)는 상기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110)로 광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 장치(300)는 광원 모듈(310) 및 광원 구동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블록(B)을 포함한다. 각 발광 블록(B)은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들은 점광원,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들은 선광원, 예를 들면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e, CCFL)일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부(35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광 블록(B)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350)는 상기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 블록(B)을 구동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변환부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변환부(200)는 모드결정부(210), 3차원 영상처리부(220) 및 2차원 영상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결정부(210)는 입력영상의 모드를 판단한다. 상기 평면영상신호 또는 상기 입체영상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입력영상이 상기 입체영상신호일 경우, 상기 입체영상신호를 상기 3차원 영상처리부(220)에 제공하고, 인가받은 영상이 상기 평면영상신호일 경우, 상기 평면영상신호를 상기 2차원 영상처리부(230)에 제공한다.
상기 3차원 영상처리부(220)는 분리부(221), 영상처리부(223) 및 제1 색보정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영상신호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리부(221)는 상기 모드결정부(210)로부터 수신한 입체영상신호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23)는 분리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재조합하여 제1 영상 처리데이터 및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1 색보정부(225)는 기준컬러 룩업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색보정부(225)는 상기 기준컬러 룩업테이블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의 색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처리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좌안용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상기 우안용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출력영상(201a)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화소부(UP1)가 포함하는 복수의 색 화소들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가 포함하는 복수의 색 화소들은 동일 색에 대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므로 상기 단위 화소부(UP1)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의 동일색이 서로 다르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색보정부(225)는 특정 색이 강하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입체영상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보정된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상인 좌안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인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2차원 영상처리부(230)는 다운 스케일러(231) 및 제2 색보정부(233)를포함한다.
상기 모드결정부(210)로부터 수신한 평면영상신호는 제1 해상도를 갖는다.
상기 다운 스케일러(231)는 상기 제1 해상도를 제2 해상도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두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색보정부(233)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러(231)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에 대응하는 상기 정면용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출력신호(201b)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입력영상의 해상도의 절반이 되나, 동일색에 대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화소들(UP1, UP2)내의 모든 컬러들을 사용할 수 있어 색역확대가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n,..., Gn+4),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m,..., DLm+12)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배선들(Gn,..., Gn+4)과 상기 데이터 배선들(DLm,..., DLm+12)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부들은 복수의 화소행들(Hp,..., Hp+3)과 복수의 화소열들(Vq,..., Vq+4)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열들(Vq,..., Vq+4)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화소열들(Vq,..., Vq+4)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화소행들(Hp,..., Hp+3)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화소행들(Hp,..., Hp+3)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p번째 수평열(Hp)은 n+1번째 게이트 배선(Gn+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p+1번째 수평열은 n+2번째 게이트 배선(Gn+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n, p 및 q는 자연수이다.
상기 복수의 화소부들은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각 제1 단위 화소부(UP1)는 제1 적색 화소(R1), 제1 녹색 화소(G1) 및 제1 청색 화소(B1)를 포함한다. 각 제2 단위 화소부(UP2)는 제2 적색 화소(R2), 제2 녹색 화소(G2) 및 제2 청색 화소(B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적색 화소(R1)와 상기 제2 적색 화소(R2)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가진다. 상기 제1 녹색 화소(G1)와 상기 제2 녹색 화소(G2)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가진다. 상기 제1 청색 화소(B1)와 상기 제2 청색 화소(B2)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가진다.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UP1)은 제1 화소열(Vq), 제3 화소열(Vq+2), 제5 화소열(Vq+4)에 나열된다. 복수의 제2 단위 화소부들(UP2)은 제2 화소열(Vq+1), 제4 화소열(Vq+3)에 나열된다. 즉,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를 포함하는 화소열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를 포함하는 화소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1의 표시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출력영상(201a), 상기 제2 출력영상(201b) 및 상기 제어신호(CONT)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에 영상 데이터(DATA)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신호(CONT1)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에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상기 제1 제어신호(CONT1)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라인(Dm)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를 인가하고 제2 데이터 라인(Dm+3)에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를 인가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는 상기 제2 제어신호(CONT2)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200)의 게이트 배선들(Gn+1,..., Gn+4)에 게이트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배선(Gn+1)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1 화소행(Hp)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1 화소행(Hp)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제2 게이트 배선(Gn+2)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2 화소행(Hp+1)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2 화소행(Hp+1)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제3 게이트 배선(Gn+3)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3 화소행(Hp+2)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3 화소행(Hp+2)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제4 게이트 배선(Gn+4)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4 화소행(Hp+3)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4 화소행(Hp+3)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에 입체영상신호가 입력영상으로 인가되면, 상기 좌안 영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상기 제1 화소열(Vq)에 인가되고, 상기 우안 영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상기 제2 화소열(Vq+1)에 인가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에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가 입력영상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의 하나의 단위 화소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상기 제1 화소열(Vq) 중 하나와 상기 제2 화소열(Vq+1) 중 하나에 인가된다. 이때, 동일한 화소행에 교대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에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의 하나의 단위 화소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색에 대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화소들(UP1, UP2)내의 모든 컬러들을 사용되므로 색역확대가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표시패널이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적색 화소(R1)와 상기 제2 적색 화소(R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인접한 파장 대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적색 화소(R1)의 파장 대역은 약 600nm 내지 약 650nm이고, 상기 제2 적색 화소(R2)의 파장 대역은 약 650nm 내지 약 700n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적색 화소(R1) 및 상기 제2 적색 화소(R2)의 파장 대역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 녹색 화소(G1)와 상기 제2 녹색 화소(G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인접한 파장 대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녹색 화소(G1)의 파장 대역은 약 500nm 내지 약 550nm이고, 상기 제2 녹색 화소(G2)의 파장 대역은 약 550nm 내지 약 600n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녹색 화소(G1) 및 상기 제2 녹색 화소(G2)의 파장 대역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 청색 화소(B1)와 상기 제2 청색 화소(B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인접한 파장 대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청색 화소(B1)의 파장 대역은 약 400nm 내지 약 450nm이고, 상기 제2 청색 화소(B2)의 파장 대역은 약 450nm 내지 약 500n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청색 화소(B1) 및 상기 제2 청색 화소(B2)의 파장 대역은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표시장치에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되는 파장 분리형 안경 및 표시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파장 분리형 안경(600)은 제1 렌즈부(610) 및 제2 렌즈부(62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부(610)는 좌측렌즈를 나타내고, 상기 제2 렌즈부(620)는 우측 렌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렌즈부(610) 및 상기 제2 렌즈부(620)는 각각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부(610)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가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은 투과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가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은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부(620)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가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은 투과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가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은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은 상기 제1 렌즈부(610)만을 통과해 관찰자의 좌안에만 시인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은 상기 제2 렌즈부(620)만을 통과해 관찰자의 우안에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는 입체감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장치는 입체영상 및 평면영상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 표시 시, 안경과 표시장치가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어 응답 속도의 문제로 인한 좌우 변환 타이밍에 있어서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 분할형 안경에 의해 동일한 시점에 보여지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므로 좌안 영상에서 우안 영상으로 또는 우안 영상에서 좌안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관찰자의 눈에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영상 변환부는 실시예 1의 표시 패널(110) 대신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의 배열구조가 상기 표시 패널(110)과 다른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표시장치 및 영상 변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및 영상 변환부의 블록도는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화소부들은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제2 단위 화소부(UP2)로 나누어진다.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UP1)은 제1 화소행(Hp), 제3 화소행(Hp+2)에 나열된다. 복수의 제2 단위 화소부들(UP2)은 제2 화소열(Hp+1), 제4 화소열(Hp+3)에 나열된다. 즉,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를 포함하는 화소행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를 포함하는 화소행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상기 제1 제어신호(CONT1)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라인(Dm)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를 번갈아가며 인가하고, 제2 데이터 라인(Dm+3)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를 번갈아가며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배선(Gn+1)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1 화소행(Hp)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1 화소행(Hp)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모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된다.
제2 게이트 배선(Gn+2)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2 화소행(Hp+1)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2 화소행(Hp+1)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모두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인가되므로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제3 게이트 배선(Gn+3)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3 화소행(Hp+2)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3 화소행(Hp+2)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모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된다.
제4 게이트 배선(Gn+4)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4 화소행(Hp+3)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4 화소행(Hp+3)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모두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인가되므로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에 입체영상신호가 입력신호로 인가되면, 상기 좌안 영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상기 제1 화소열(Vq)에 인가되고, 상기 우안 영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상기 제2 화소열(Vq+1)에 인가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에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가 입력영상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의 하나의 단위 화소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상기 제1 화소열(Vq) 중 하나와 상기 제2 화소열(Vq+1) 중 하나에 인가된다. 이때, 동일한 화소행에 교대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에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의 하나의 단위 화소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인가될 수 있다.
도 7의 표시패널이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은 도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7의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되는 파장 분리형 안경은 도 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50)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패널(110)의 화소 구조와 다른 화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영상 변환부는 실시예 1의 표시 패널(110) 대신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의 배열구조가 상기 표시 패널(110)과 다른 표시 패널(170)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표시장치 및 영상 변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및 영상 변환부의 블록도는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화소부들은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제2 단위 화소부(UP2)로 나누어진다.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UP1)은 각 화소행 내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각화소열 내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도 10은 도 9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상기 제1 제어신호(CONT1)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라인(Dm)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를 번갈아가며 인가하고, 제2 데이터 라인(Dm+3)에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 및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를 번갈아가며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배선(Gn+1)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1 화소행(Hp)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1 화소행(Hp)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제2 게이트 배선(Gn+2)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2 화소행(Hp+1)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2 화소행(Hp+1)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 및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2 영상 및 제1 영상이 표시된다.
제3 게이트 배선(Gn+3)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3 화소행(Hp+2)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3 화소행(Hp+2)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제4 게이트 배선(Gn+4)에 하이레벨의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면, 제4 화소행(Hp+3) 및 제1 화소열(Vq)로 정의되는 화소부와, 제4 화소행(Hp+3) 및 제2 화소열(Vq+1)로 정의되는 화소부에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 및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각각 인가되므로 상기 제2 영상 및 제1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에 입체영상신호가 입력영상으로 인가되면, 상기 좌안 영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가 상기 제1 화소열(Vq)에 인가되고, 상기 우안 영상에 기초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상기 제2 화소열(Vq+1)에 인가된다.
상기 영상 변환부(200)에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가 입력영상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의 하나의 단위 화소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상기 제1 화소열(Vq) 중 하나와 상기 제2 화소열(Vq+1) 중 하나에 인가된다. 이때, 동일한 화소행에 교대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에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의 하나의 단위 화소에 기초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UPD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UPD2)가 인가될 수 있다.
도 9의 표시패널이 포함하는 색 화소들의 파장 대역은 도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9의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되는 파장 분리형 안경은 도 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단위 화소부(UP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UP2)는 상기 화소열들(Vq,..., Vq+4) 각각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화소행들(Hp,..., Hp+3) 각각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되므로 특정 색이 하나의 줄로서 강하게 보이는 현상이 감소되므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변환부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실시예 4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 변환부(700)가 실시예 1의 영상 변환부(200) 대신에 이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는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부(700)가 실시예 1의 2차원 영상처리부(230) 대신 제3 색보정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영상 변환부(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색보정부(730)(이하 2차원 영상처리부로 명칭함)는 상기 모드결정부(210)로부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3 색보정부(730)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모드결정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UP1, UP2)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제3 출력신호(201c)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실시예 1의 표시패널(110) 대신 실시예 2에 따른 표시패널(150) 및 실시예 3에 따른 표시패널(1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3 출력신호(201c)가 실시예 1의 상기 제2 출력신호(201b) 대신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로 인가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2에 따른 표시패널(150) 및 실시예 3에 따른 표시패널(170)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들이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은 도 8 및 도 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사영상인 제1 해상도를 갖는 평면영상신호가 상기 제3 색보정부(730)만을 거쳐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제3 출력신호(201c)로 처리되어 생성되므로 해상도의 변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체영상 구현시 파장 분할형 안경에 의해 동일한 시점에 보여지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므로 좌안 영상에서 우안 영상으로 또는 우안 영상에서 좌안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인 잔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영상 변환부 210 : 모드결정부
220 : 3차원 영상처리부 221 : 분리부
223 : 영상처리부 225 : 제1 색보정부
230 : 2차원 영상처리부 231 : 다운스케일러
233 : 제2 색보정부

Claims (16)

  1.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동일한 컬러에 대해 다른 파장을 갖는 제2 단위 화소부에 각각 인가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에 의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이 입체 영상이면, 상기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처리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와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평면 영상의 제1 해상도를 제2 해상도로 다운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를 갖는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6.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단위 화소데이터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변환부;
    제1 단위 화소부 및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동일한 컬러에 대해 다른 파장을 갖는 제2 단위 화소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들을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제공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 및
    제1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렌즈부와,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는 안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입력 영상의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상기 입력 영상이 입체 영상이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이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대응하는 정면용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2차원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는 좌안용이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는 우안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좌안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처리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처리데이터를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로 생성하는 제1 색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평면 영상의 제1 해상도를 제2 해상도로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 및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를 갖는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화소데이터로 생성하는 제2 색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평면 영상 이면,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와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의 색편차를 기초하여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1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위 화소데이터와 상기 평면 영상 중 상기 제2 단위 화소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위 화소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색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화소부는,
    제1 적색화소, 제1 녹색 화소 및 제1 청색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는,
    제2 적색화소, 제2 녹색화소 및 제2 청색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화소 및 상기 제2 적색화소는 인접한 영역의 파장 대역을 갖고, 상기 제1 녹색화소 및 상기 제2 녹색화소는 인접한 영역의 파장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청색화소 및 상기 제2 청색화소는 인접한 영역의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화소열들과 화소행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과 복수의 제2단위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열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화소열들과 화소행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과 복수의 제2 단위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행과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들이 나열된 화소행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화소열들과 화소행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화소부들과 복수의 제2 단위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화소부 및 상기 제2 단위 화소부는 각 화소열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각 화소행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00002110A 2010-01-11 2010-01-11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63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110A KR101632340B1 (ko) 2010-01-11 2010-01-11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12/871,316 US20110169916A1 (en) 2010-01-11 2010-08-30 Method of displaying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110A KR101632340B1 (ko) 2010-01-11 2010-01-11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228A KR20110082228A (ko) 2011-07-19
KR101632340B1 true KR101632340B1 (ko) 2016-06-22

Family

ID=4425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110A KR101632340B1 (ko) 2010-01-11 2010-01-11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69916A1 (ko)
KR (1) KR101632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2050B1 (en) * 2013-02-05 2015-03-31 Rawles Llc Directional projection display
CN103472588B (zh) * 2013-09-24 2015-12-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3d显示装置及3d显示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7546A1 (en) * 2002-07-26 2004-01-29 Eastman Kodak Company Monocentric autostereoscopic optical display having an expanded color gamut
US6943792B2 (en) * 2000-12-25 2005-09-13 Minolta Co., Ltd. Three-dimensional data generating device
US20070127121A1 (en) * 2003-10-21 2007-06-07 Bart Maximus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based on color selective filters
US20080304151A1 (en) * 2007-06-08 2008-12-11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20090122255A (ko) * 2007-05-09 2009-11-26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3d 이미지 프로젝션들 및 뷰잉을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7177A (en) * 1979-01-15 1981-01-27 Marks Alvin M 3D Multichrome filters for spectacle frames
DE10145133C1 (de) * 2001-09-06 2003-04-30 4D Vision Gmbh Verfahren zur räumlichen Darstellung
KR101294234B1 (ko) * 2007-12-04 2013-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장치
US8233035B2 (en) * 2009-01-09 2012-07-31 Eastman Kodak Company Dual-view stereoscopic display using linear modulator array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3792B2 (en) * 2000-12-25 2005-09-13 Minolta Co., Ltd. Three-dimensional data generating device
US20040017546A1 (en) * 2002-07-26 2004-01-29 Eastman Kodak Company Monocentric autostereoscopic optical display having an expanded color gamut
US20070127121A1 (en) * 2003-10-21 2007-06-07 Bart Maximus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based on color selective filters
KR20090122255A (ko) * 2007-05-09 2009-11-26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3d 이미지 프로젝션들 및 뷰잉을 위한 시스템
US20080304151A1 (en) * 2007-06-08 2008-12-11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69916A1 (en) 2011-07-14
KR20110082228A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277B2 (en) 3-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40839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2284841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US9116357B2 (en) Hybrid multiplexed 3D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02376242A (zh) 立体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US20180149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2218777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2340683A (zh) 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102120172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09336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US9019324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1763942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US942026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599248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32340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WO2005006775A1 (en) Colour pixel configuration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US962693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681193B2 (en) Stereoscopic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46494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KR20120074914A (ko) 전환방식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21650A (ko)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013382B1 (ko)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81581B1 (ko) 편광안경 방식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2029998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10184358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