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73B1 -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873B1
KR101384873B1 KR1020110094492A KR20110094492A KR101384873B1 KR 101384873 B1 KR101384873 B1 KR 101384873B1 KR 1020110094492 A KR1020110094492 A KR 1020110094492A KR 20110094492 A KR20110094492 A KR 20110094492A KR 101384873 B1 KR101384873 B1 KR 10138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inseng
extract
sk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907A (ko
Inventor
이태후
이정민
신헌섭
박상용
양정은
이돈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8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주름 감소, 피부탄력 증가, 모공크기의 감소, 피부톤의 밝아짐, 색소침착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전하여 피부미용 개선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Panax ginseng and Crataegis fructus for improving skin beauty}
본 발명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Ginseng radix)은 한의학적으로 주로 기허(氣虛)에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보기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많은 한방서에 수록되어 피로회복, 체력증강, 소화기계, 신경계, 대사계, 순환기계 등의 기능 조절을 위해 단독 또는 처방의 구성생약으로 활용되어 왔다(남기열, 최신고려인삼(성분과 효능편), 1996). 인삼의 약효는 사포닌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중추신경계, 각종 스트레스, 항당뇨 작용, 심혈관계 장애 개선 작용 등에 관한 약리 작용이 밝혀졌다(Benishin CG et al.,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Central Cholinergic Metabolism (1991), Elma ZT et al., Effect of ginsenoside Rg 1 on insulin binding in mice liver and brain membrane(1991), Kang SY et al., Dietary ginsenosides improve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the thoracic aorta of hypercholesterolemic rabbit (1995)).
그러나 사포닌이외에도 인삼의 비사포닌계 성분인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성분들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밝혀지면서 사포닌 이외 유효성분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Hwang WI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Cytotoxic Activities of Red Ginseng of Korea and China, 10:27-35, 1996).
이러한 한방효능에 근거하여 그 동안 수행된 많은 실험적 연구와 임상적 효능연구를 통해 인삼의 전래되어 온 다양한 효능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유효성분 연구를 통해 인삼의 주요 약효 성분으로 배당체 성분인 30여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비롯하여 비 사포닌계의 생리활성 물질로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acidic polysaccharide), 펩타이드, 알카로이드(alkaloids), 아미노산 유도체 등이 발견 되었다. 그리고 인삼의 기타 성분으로 휘발성 오일(volatile oil), 당, 전분, 펙틴, 미네랄 등도 함유되어 있다(남기열, 최신고려인삼(성분과 효능편), 1996). 따라서 인삼의 역사성과 과학성에 근거하여 근래에는 동양뿐만 아니라 서구에서도 강장제 또는 건강식품, 그리고 대체의약으로서 인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Smith M et al., Counseling cancer patients about herbal medicine, 1999).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열매를 산사자(Crataegis fructus)로 하며, 산사 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채취, 건조하여 생약에서는 산사자라 하여 건위, 소화, 정장약 등으로 많이 사용 하고 있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서울:향문사, 1979). 산사자의 약리성분에는 우르솔산(ursolic acid), 퀘르세틴(quercetin), 크라테골산(crataego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하이퍼록사이드(hyperoside), 비텍신-4-람노사이드(vitexin-4-rhamnoside), 시트르산(citric acid), 카페인산(caffeic acid), 콜린(choli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0.089%), 탄수화물(22%), 단백질(0.7%), 지질(0.2%), 리파제(lipase) 등이 함유되어 있다(약품식물학연구회, 신.약품식물학, 학창사, 1998).
그 중에서도 생약 중의 페놀 성분들은 항산화 작용을 가진 대표적인 물질로 보고되어 있다. 산사추출물의 항산화성을 탐색한 보고에서 산사의 항산화 효과는 합성 항산화제보다 우수하다고 밝힌 바가 있으며, 산사의 페놀성 성분은 산사의 유리형 페놀산에서 카페인산, 프로토카테쿠산(protocatechuic acid) 및 피로갈롤(pyrogallol), 용성 에스테르형 페놀산에서 카페인산,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불용성 페놀산에서 프로토카테쿠산 및 플로로글루시놀이 밝혀지면서 이들이 산사추출물의 주된 항산화성 물질임이 확인되었다(김정숙 등, 산사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J.Korean Agric. Chem. Soc, 1993). 현재까지 산사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대부분 약리학적, 약효성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있으나 산사에 대한 생리활성 기능 연구 및 화장품산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산업적 응용의 기대효과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현대 사회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웰빙'이라는 현상은 잘 먹고 잘 살자 라는 일차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신체의 건강함이 피부의 아름다움으로 표현 된다'라는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피부미용 분야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피부미용은 이제 단편적인 효능을 벗어나 복합적인 기능과 과학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다(김은영, 대한피부미용학회지, 2005).
피부노화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한 가지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로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두 번째는 광노화(photoaging)로서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 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박금주,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모공은 얼굴 피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나, 특히 코와 볼 부위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모공의 양상은 성별, 유전적, 노화, 여드름, 만성 자외선 노출 등의 내인성과 외인성 요인에 의해 개인차가 있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변성, 감소함에 따라 피부 탄력이 없어지고 쳐지기 때문이다(석지한, 대한피부미용학회, 2010).
이러한 피부 노화의 원인은 콜라겐 및 탄력섬유 등의 기질단백질이 손상되어 피부 내 콜라겐의 양이 부족해지고, 탄력 섬유가 변성되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는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거쳐 콜라겐의 합성이 감소되고, 콜라겐을 비롯한 세포 외 기질단백질의 분해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이 증가된다고 알려졌다. 이와 같이 콜라겐은 피부노화와 관련된 주요 인자로 인식되어져 있어 콜라겐의 합성 증진 및 분해 억제는 피부노화 억제 및 피부미용과 관련하여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김남이, 고려인삼학회, 2007).
멜라닌은 주로 티로시나제의 작용에 의하여 생합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티로시나제는 구리와 결합한 효소로서, 동물, 식물, 미생물 및 사람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고, 모노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dihydroxy-phenylalanine, DOPA) 등의 페놀 화합물에서 호기적 산화를 촉진시키고, 자외선에 심하게 노출된 피부에 멜라닌토스(melanintorth)를 침착시켜 피부의 노화나 손상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한다.
멜라닌의 생합성 기전은 피부암과 관련하여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이로부터 다양한 멜라닌 생성 저해제 등이 개발되어 의약품 산업에서 피부 질환 치료제, 화장품 산업에서 기미, 주근깨 등을 예방 및 개선하는 피부 미백제 또는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 갈변 방지제 등으로 적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멜라닌 생성 저해제의 연구는 주로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집중되어 왔고, 대표적인 티로시나제 저해제로는 티로시나제 활성부위의 구리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형성물질, 퀴논류를 페놀류로 환원시키는 아스코르브산 등의 환원제 그리고 티로시나제 자체를 변성시키는 바이설파이트(bisulfites)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로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 코직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알부틴(arbutin)과 같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성이 매우 강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쉬워 제형의 변색, 변취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코직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정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낮고 갑상선암 발생에 대한 발암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알부틴의 경우는 그 활성이 높지 않으며,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이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품 원료에 배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미백 물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물 중에서 미백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남기열, 최신고려인삼(성분과 효능편), 1996 Benishin CG et al.,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Central Cholinergic Metabolism (1991) Elma ZT et al., Effect of ginsenoside Rg 1 on insulin binding in mice liver and brain membrane(1991) Kang SY et al., Dietary ginsenosides improve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the thoracic aorta of hypercholesterolemic rabbit (1995) Hwang WI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Cytotoxic Activities of Red Ginseng of Korea and China, 10:27-35, 1996 Smith M et al., Counseling cancer patients about herbal medicine, 1999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서울:향문사, 1979 약품식물학연구회, 신.약품식물학, 학창사, 1998 김정숙 등, 산사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J.Korean Agric. Chem. Soc, 1993 김은영, 대한피부미용학회지, 2005 박금주,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석지한, 대한피부미용학회, 2010 김남이, 고려인삼학회,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갖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피부미용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물질들을 검색한 결과,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이 특정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이 피부주름 감소 및 피부탄력 증가, 모공크기의 감소, 피부톤의 밝아짐, 색소침착 개선 등의 피부미용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이 1:10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1:1 내지 1:9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1:3 내지 1:9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1:3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특정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일련의 과정은 인삼 및 산사를 추출용매 등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특정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방법은 인삼과 산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환류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환류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물을 얻는 단계;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특정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여과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을 건조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특정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방법으로 인삼 및 산사를 각각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환류 추출하고, 각각의 환류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물을 얻어, 농축시킨 후 각각의 농축물들을 혼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이 특정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농축물을 건조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하는 단계 전에 농축물을 건조할 수도 있고 혼합하는 단계 후 농축물을 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분획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물에 분산시킨 후, 적절한 2차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추출물 중의 유효성분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은 피부주름 감소, 피부탄력 증가, 모공크기의 감소, 피부톤의 밝아짐 및 색소침착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뛰어난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가져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했을 때 멜라닌의 생성을 유의하게 저해함으로써 미백효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내지 아니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인간의 피부섬유아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에서 타입-1 프로콜라겐(Type-1 Procollagen) 발현량을 높이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발현량은 현저히 낮춤으로써, 뛰어난 피부미용 개선효과와 항노화 효과(피부주름 감소 및 피부탄력 증가)를 나타낸다. 또한,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복용 중 소화장애가 없고, 피부트러블이 없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안전하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이나 산사추출물만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피부주름 감소 및 피부탄력 증가, 모공크기의 감소, 피부톤의 밝아짐, 색소침착 개선 등의 피부미용 개선 효과보다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는 알부틴 및 코직산과 유사하거나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코직산과 달리 안전성이 높아 갑상선암 발생에 대한 발암성의 문제가 없고, 알부틴과 달리 불쾌한 냄새가 없으며 경피흡수의 문제 등 기존에 제기된 코직산과 알부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용해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는 슈가,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유당수화물), 포도당, 디-만니톨, 알기네이트, 알칼리토금속류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무수인산수소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제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디-만니톨, 자당,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코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코포비돈,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는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호화전분 등의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비검(veegum) 등의 클레이;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 등의 알긴류;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나트륨 등의 가교 셀룰로오스류; 구아검, 잔탄검 등의 검류;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 등의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의 비등성 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는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나트륨스테아릴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초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에테르산 나트륨, 사과산, 숙신산, 주석산, 푸마르산, 구연산(시트르산)과 같은 산성화제와 침강 탄산 칼슘, 암모니아수, 메글루민, 탄산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구연산 나트륨, 삼염기칼슘인산염과 같은 염기성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 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용해보조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류, 도큐세이트 나트륨, 폴록사머(poloxa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연방출성 제제를 만들기 위해 장용성 고분자, 수불용성 중합체, 소수성 화합물,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용성 고분자는 pH 5 미만의 산성 조건하에서 불용성이거나 또는 안정한 것으로, pH 5 이상인 특정 pH 조건하에서 용해되거나 또는 분해되는 고분자를 말하며, 예를 들어, 히프로멜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히프로멜로오스프탈레이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말레이트, 셀룰로오스벤조에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프탈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및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과 같은 장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예컨대, 아크릴-이즈), 아크릴산부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산옥틸공중합체과 같은 상기 장용성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 L, 유드라짓 S, 에보닉, 독일), 폴리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컨대, 유드라짓 L100-55)와 같은 장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모노에스테를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비닐부틸에테르-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크릴산메틸ㆍ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부틸-스티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와 같은 장용성 말레인산계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부틸레이트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프탈레이트와 같은 장용성 폴리비닐 유도체가 있다.
상기 수불용성 중합체는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수불용성 중합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예컨대, 콜리코트 SR30D),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 NE30D,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RSPO)등],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상기 소수성 화합물은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비헤네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및 스레아린산과 같은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과 같은 지방산 알코올류; 카르나우바왁스, 밀납, 및 미결정왁스와 같은 왁스류; 탈크, 침강탄산칼슘, 인산일수소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카올린,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비검과 같은 무기질 물질 등이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에 용해되는 고분자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어, 덱스트린, 폴리덱스트린, 덱스트란, 펙틴 및 펙틴 유도체, 알긴산염, 폴리갈락투론산,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아라비노갈락탄,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와 같은 당류;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트라가칸타, 카라기난, 아카시아검, 아라비아검, 젤란검, 및 잔탄검과 같은 검류; 젤라틴, 카제인, 및 제인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과 같은 폴리비닐유도체;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E100, 에보닉, 독일),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드-트리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예컨대, 유드라짓 RL, RS, 에보닉, 독일)과 같은 친수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같은 폴리에틸렌 유도체; 카보머 등이 있다.
이외에도 착색제, 향료 중에서 선택된 다양한 첨가제로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선택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의 범위가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첨가제를 선택에 의하여 통상 범위의 용량을 함유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포유류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투여하여 피부미용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내피 투여, 비내 투여, 폐내투여, 직장내 투여, 강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막내 투여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일일 1회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일 2회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활성, 성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 기간 및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술제,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주름 감소, 피부탄력 증가, 모공크기의 감소, 피부톤의 밝아짐, 색소침착 개선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미용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및 바디 세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에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향료, 계면활성제, 보존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피부 미용 개선용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음료, 차, 파우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숙지황과 토사자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μm), 14호(1410 μm) 및 45호 (350 μ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이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은 피부주름 감소, 피부탄력 증가, 모공크기의 감소, 피부톤의 밝아짐, 색소침착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전하여 피부미용 개선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라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의 주름 감소 효과, 피부탄력 증가 효과 및 모공 크기 감소효과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원형차트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라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의 피부톤의 밝아짐 효과, 색소침착 개선 효과 및 피지감소 효과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원형차트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라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의 복용 중 소화장애 여부 및 복용 시 피부트러블 여부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원형차트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라 실시예 1-1 내지 1-3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의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x축의 인삼, 산사, 배합비 1, 배합비 2, 배합비 3, Arbutin 및 Kojic acid의 농도(㎍/㎖)는 각각 인삼 추출물, 산사 추출물, 실시예 1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실시예 3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비교예 3의 알부틴, 비교예 4의 코직산 농도(㎍/㎖)를 의미하며, y축은 티로시나제 저해율(Inhibition Rate, %)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실시예 1-1 내지 1-2의 조성물과 비교예 1, 2 및 4의 조성물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과 및 세포내 멜라닌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x축의 Control은 무처리 대조군, (+)은 알파-멜라닌 자극 호르몬(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 alpha-MSH) 첨가군, Kojic Acid는 코직산 처리군, 인삼은 인삼 추출물 처리군, 산사는 산사 추출물 처리군, 배합비 1은 실시예 1-1의 조성물 처리군 배합비 2는 실시예 1-2의 조성물 처리군을 의미하며, y축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 of control)로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따라 실시예 1-1의 조성물(배합비 1)과 비교예 1(인삼 추출물), 2(산사 추출물) 및 4(Kojic Acid)의 조성물의 타입-1 프로콜라겐(Type-1 Procollagen) 및 MMP-1의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보여주는 웨스턴 블럿 결과이다. 도 6에서 대개의 세포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발현되는 유전자(house keeping 유전자)인 β-actin이 동량의 단백질에 대해 분석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의 제조
(주)금강제약에서 구입한 국내산 인삼 및 국내산 산사를 20-40 메쉬로 분쇄하여 상기 인삼 분쇄물과 산사 분쇄물을 각각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인삼분쇄물과 산사분쇄물의 혼합물을 얻었다.
인삼분쇄물(g) 산사분쇄물(g)
실시예 1-1 100 300
실시예 1-2 100 900
실시예 1-3 100 100
상기 인삼 분쇄물과 산사 분쇄물의 혼합물들을 각각 10배의 70부피% 에탄올(EtOH)을 첨가한 후 70℃에서 4시간 환류 추출 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filter paper) (4㎛, watman)를 이용하여 여과를 거친 후 감압농축기(제품명: Coolace CCA-1100, 제조사: EYELA)를 이용하여 45℃에서, 6~12 시간 동안 감압 농축을 통해 에탄올(EtOH)을 제거한 후 농축액을 얻어 실시예 1-1 내지 1-3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의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인삼 및 산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인삼 및 산사의 혼합비는 1:3)을 농축하여, 농축액 5㎏, 25Bx(Brix)을 얻었다. 이를 이용하여 분무건조를 진행하였다. 분무건조 시 2ton 분무건조기(코리아메디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분무건조를 진행하였으며 1.25㎏의 말토덱스트린(DE 12, (주) 인투푸드)을 배합하여 투입온도 170℃, 배출온도 90℃로 분무건조를 진행하여 총 1㎏의 분말을 회수하였다. 분무건조된 분말자체로 환제제조를 위한 반죽이 불가능하여 비수용성 부형제로 결정셀룰로오스(신원무역상사)를 선택하고 10%, 20%, 30%까지 농도별(여기서, 상기 농도는 분무건조된 분말에 대한 중량% 농도임)로 반죽실험을 한 결과 30% 첨가군에서 반죽 및 제환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반죽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2.5㎜ 직경의 소환제제로 제조하였다. 제조 후 60℃ 이하의 건조조건에서 12시간이상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이하까지 건조하여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인삼 추출물의 제조
인삼분쇄물과 산사분쇄물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대신 인삼 분쇄물을 이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산사 추출물의 제조
인삼 분쇄물과 산사 분쇄물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대신 산사 분쇄물을 이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알부틴의 준비
시그마사에서 제조한 알부틴(제품명: Arbutin)을 시그마-알드리치코리아에서 구입하여 알부틴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4. 코직산의 준비
시그마사에서 제조한 코직산(제품명: Kojic acid)을 시그마-알드리치코리아에서 구입하여 코직산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피부미용 개선 효과확인-패널테스트
상기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및 피부미용 개선 효과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50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및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환을 1일 3회 2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2주 후 (i) 피부주름 감소 및 피부탄력 증가여부, (ii) 모공크기의 감소여부, (iii) 피부톤의 밝아짐 여부 및 색소침착 개선여부, (iv) 피지감소여부, (v) 복용 중 소화장애 여부 및 (vi) 복용 시 피부트러블 여부 등에 관하여 복용전과 비교하여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환 복용 시 피부주름이 감소하고 피부 탄력이 증가하며, 모공의 크기도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환 복용 시 피부톤이 밝아지고, 색소침착이 개선되었으며, 피지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패널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환 복용 시 복용 중 소화장애가 없고, 피부트러블이 없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환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 확인 -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이시하마 등의 문헌 (Ishihara Y et al. J. Antibiot(Tokyo). 44(1), p25-32, 1991)에 기재된 활성 실험법을 변형하여, 멜라닌 생합성 및 산화작용에 관여하는 버섯 유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3㎎/㎖의 티로신 용액 50㎕ (0.1M 인산 완충액, pH 6.8에 용해시킴)와 50부피% 메탄올 용액 1㎖ 에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준비한 추출물들을 각각 첨가하여, 농도별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농도별 시료는 비교예 1의 인삼 추출물 100㎍/㎖(도 4의 인삼 참조), 산사 추출물 100㎍/㎖(도 4의 산사 참조), 실시예 1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50㎍/㎖ 및 100㎍/㎖(도 4의 배합비 1 참조),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50㎍/㎖ 및 100㎍/㎖(도 4의 배합비 2 참조), 실시예 3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50㎍/㎖ 및 100㎍/㎖(도 4의 배합비 3 참조), 비교예 3의 알부틴 100㎍/㎖(도 4의 Arbutin 참조), 비교예 4의 코직산 100㎍/㎖(도 4의 Kojic acid 참조)이다.
상기 각각의 시료 50㎕씩을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버섯 추출 티로시나제(시그마, Tyrosinase from mushroom, 200 Unit/㎖, 0.1M 인산 완충액, pH 6.8에 용해시킴) 50㎕를 첨가하였다. 그 후, 37℃에서 10분간 배양한 후,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분광광도계(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VersaMax)를 이용하여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도파크롬은 멜라닌 생성의 중간물질로서, 도파크롬 생성이 억제될 경우 미백효과를 가질 수 있다.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은 시료를 가하지 않는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마쯔다 등의 문헌 (Matsuda H et al. Biol. Pharm. Bull. 19(1), p153-156, 1996)에 따라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식 1]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대조군 O.D.475 - 시료 O.D.475) / 대조군 O.D.475} X 100
상기 식 1에서, O.D.475는 475㎚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동일 농도의 인삼 단독추출물이나 산사 단독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인삼 단독추출물이나 산사 단독추출물의 농도의 50%만 처리할 경우에도 인삼 단독추출물이나 산사 단독추출물에 준하는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삼 및 산사 각각의 단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미백효과 확인 - 멜라닌 함량 측정
B16F10 생쥐 유래 멜라노마 세포주 (B16F10 murine melanoma cell line)(ATCC CRL-9475)를 페니실린(penicillin)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이 함유된 100units/㎖ 항균-항진균 용액(antibacterial-antifungal solution) (PAA, 캐나다)과 10% FBS (PAA, 캐나다)를 첨가한 DMEM (PAA, 캐나다)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그 후 주 2~3회 계대배양 후, 24-웰 플레이트에 1 X 104 세포/웰로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24-웰 플레이트의 배지에 흑색종화 (melanogenesis)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파-멜라닌 자극 호르몬(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을 첨가하였다. 웰당 990㎕의 배양액을 매일 갈아주고, 실시예 1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100㎍/㎖(도 5의 배합비 1 참조), 실시예 2의 인삼 및 산사 혼합 추출물 100㎍/㎖(도 5의 배합비 2 참조) 및 비교예 4의 코직산 100㎍/㎖(도 4의 Kojic acid 참조)을 각각 10㎕ 첨가하여, 1일간 더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한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를 회수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cell pellet)을 수득하였다. 10% DMSO(dimethyl sulfoxide)가 포함된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한 후, 60℃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400 내지 405㎚에서 분광광도계(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VersaMax)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동일 농도의 코직산, 인삼 단독추출물이나 산사 단독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켜 미백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세포독성 확인 -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한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10 mM 인산완충액 (PBS, (주)바이오세상, pH 7.4)으로 세척한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용액(Crystal violet(HT90132, 시그마-알드리치 코리아)을 200㎕를 첨가하여 5분간 상온에서 배양한 후,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에탄올 1㎖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진탕한 후, 590㎚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세포독성이 낮아 우수한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항노화효과 및 미백효과의 확인 - Type -1 Procollagen 생성정도 MMP -1 억제 정도 측정
인체섬유아세포(Catalog No : MC1213, MCTT, 서울, 한국)를 60㎜ 세포 배양 접시에 3㎖의 배양액을 넣고 약 1 X 105 세포/배양 접시의 농도로 세포를 접종한 후, 37℃, 5% CO2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자외선 B를 20mJ/㎠로 조사한 후,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준비한 시료를 각각 100㎍/㎖씩 첨가한 배지로 교체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2일 후 세포를 회수(hervest)하여 단백질(Protein)을 분리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여 타입-1 프로콜라겐(Type-1 Procollagen)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인나제-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웨스턴 블롯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배양한 세포들을 ice-cold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후 40㎕의 라이시스 완충액(lysis buffer) (50mM HEPES, pH 7.0, 250mM NaCl, 5mM EDTA, 0.1% Nonidet P-40, 1mM 페닐메틸술로닐 플로라이드(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0.5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5mM NaF, 0.5mM Na 오르쏘바나데이트(Na orthovanadat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을 Bio-Rad DC Protein Assay Kit(500-0111-MSDS, Bio-Rad) 시약을 사용해 단백질 농도를 정량한 후 10% SDS-PAGE (50㎍/lane of protein)를 시행하고, 전개된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사(transfer) 시켰다. 이 막(membrane)을 5% 탈지우유(skim milk)로 1시간 동안 블라킹(blocking)하고 타입-1 프로콜라겐(ab64409, Abcam, 1:1000),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인나제-1(ab38929, Abcam, 1:1000) 항체를 하루 밤 동안 4℃에서 반응한 후 트리스 완충 식염수(Tris buffered saline) (10mM tris-HCl, pH 7.4, 150mM NaCl, 0.1% Tween 20)으로 15분 간격으로 3회 세척하였다. 1:5000의 비율로 희석한 토끼(rabbit) (ab6721, Abcam)과 쥐(rat) (ab97057, Abcam)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시 TBST 완충액으로 15분간 3회 세척 후 ECL (Intron Inc.) western blotting system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및 산사 추출물이 일정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인간의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타입-1 프로콜라겐 발현량을 높이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발현량은 현저히 낮춤으로써, 항노화 효과(피부주름 감소 및 피부탄력 증가)와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이 1:3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술제,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및 바디 세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음료, 차 및 파우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식품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10094492A 2011-09-20 2011-09-20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38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92A KR101384873B1 (ko) 2011-09-20 2011-09-20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92A KR101384873B1 (ko) 2011-09-20 2011-09-20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07A KR20130030907A (ko) 2013-03-28
KR101384873B1 true KR101384873B1 (ko) 2014-04-16

Family

ID=4818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492A KR101384873B1 (ko) 2011-09-20 2011-09-20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5715A (zh) * 2014-07-09 2014-09-24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控油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31B1 (ko) * 2017-02-23 2017-04-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63398A (zh) * 2019-04-24 2019-07-30 河北科技师范学院 一种抗uvb辐射的山楂多酚压片及其制备方法
KR102349702B1 (ko) * 2020-06-30 2022-01-12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산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64A (ko) * 2002-04-01 2003-10-10 이진태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6162A (ko) * 2007-04-27 2008-10-30 주식회사 케이비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64A (ko) * 2002-04-01 2003-10-10 이진태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6162A (ko) * 2007-04-27 2008-10-30 주식회사 케이비 피부 미백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ng-Nam Ko et al.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Mixture of Ginseng Radix and Crataegi Fructus: Experimental Study and Preliminary clinical Results. J. Ginseng Res. 2011.6.29., Vo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5715A (zh) * 2014-07-09 2014-09-24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控油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07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301B1 (ko) 강심 배당체의 추출방법 및 조성물
EP3960154A1 (en) Func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immortalized stem cell-derived exosome-rich culture medium and rosebu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US20120328721A1 (en) Aloe vera sprout concentrate or extract having superior skin cell growth promotion, antioxidant, and anti-allergy effects
KR102328237B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384873B1 (ko)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EP3851095A1 (en) Use of combretum micranthum extract in cosmetics
KR20180040756A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54066B1 (ko) 아스퍼질러스 나이저의 배양액에서 분리한 인삼 사포닌 전환활성을 갖는 효소,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431882B1 (ko) 효소-처리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8259B1 (ko) 콩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JP2014520166A (ja) マデカソシドを含有する肌美白用組成物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68267B1 (ko) 석결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10006090A (ko) 멀구슬 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40402A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8305A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08610A (ko) 카시아 알라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99263A (ko) 피세틴을 포함하는 피부건강용 조성물
KR102385221B1 (ko)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6975A (ko)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99082B1 (ko) 살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19966B1 (ko) 크리프탄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