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433B1 -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433B1
KR101384433B1 KR1020120076093A KR20120076093A KR101384433B1 KR 101384433 B1 KR101384433 B1 KR 101384433B1 KR 1020120076093 A KR1020120076093 A KR 1020120076093A KR 20120076093 A KR20120076093 A KR 20120076093A KR 101384433 B1 KR101384433 B1 KR 10138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gun
thinner
washing
wa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828A (ko
Inventor
오천식
Original Assignee
오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천식 filed Critical 오천식
Priority to KR102012007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4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using fluids, e.g. gas stre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을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건을 차폐공간이 형성된 세척장치 내에서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함에 따라 스프레이건의 내외부에 잔류한 도료를 제거하면서 세척액의 외부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에 분사도장하는 스프레이건이 본체에 의해 차폐공간이 형성된 세척장치의 내부에서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시킴에 따라 대기중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최소화되어 환경오염이 방지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로 세척액을 재사용하도록 하는 세척액재활용수단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스프레이건을 세천시킨 후에 폐기되는 세척액의 양을 최소화하여 자원낭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 Wash stand of spray gun for painting }
본 발명은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을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건을 차폐공간이 형성된 세척장치 내에서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함에 따라 스프레이건의 내외부에 잔류한 도료를 제거하면서 세척액의 외부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건(spray gun)은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의 넓은 면적에 건조가 빠른 래커나 합성수지도료를 이용해 분사도장(噴射塗裝)을 하기 위한 도장용구의 일종으로, 스프레이건의 일측에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s)를 연결하여 분무형태로 도료를 분사시키면 브러쉬와 같은 도장용구에 비해 도장하는 면에 도료가 균일하게 착색됨에 따라 도장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스프레이건은 도장하고자 하는 면에 다양한 색의 도료를 스프레이건의 몸통에 넣어 분사시킴에 따라 도장하는 색을 바꾸기 위해서는 스프레이건에 잔류된 유성도료를 신너와 같은 휘발성 액체를 넣어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세척시켜야 하기 때문에 분사과정에서 공기나 토양 등에 신너가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공기 중에 유출된 신너를 흡입하게 되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신너가 대기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스프레이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제20-2004-0014264호(2004.05.21)"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스프레이건으로부터 신너가 분사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에 내장되어 분사되는 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재와, 상기 함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신너를 저장하는 회수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프레이건의 세척시 신너가 대기 중으로 증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 건 세척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방이 개방된 공간에서 단순하게 세척대의 개구된 부분에 신너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스프레이건을 세척시키게 되면 외부에서 바람이 불거나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분사방향이 틀어지기 때문에 분사되는 신너가 세척대의 내부로 원활하게 회수되지 못함에 따라 신너의 회수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일반적으로 신너는 휘발성 액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신너를 분사시키게 되면 신너가 대기중으로 증발되어 환경오염의 유발과 함께 작업자가 흡입하게 되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프레이건을 세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별도로 신너를 구비하거나 세척대를 통해 회수된 신너를 수동적으로 스프레이건의 내부에 넣어 스프레이건을 세척시키기 때문에 스프레이건에 신너를 넣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신너를 스프레이건에 넣는 작업 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신너가 토양이나 대기로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세척대의 구조가 하나의 세척액 만을 회수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유성도료나 수성도료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도료에 대응하여 신너, 물과 같은 다양한 세척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척액에 따라 세척대를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에 분사도장하는 스프레이건을 본체에 의해 차폐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장치의 내부에서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함에 따라 대기 중에 분사되는 세척액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로 세척액을 재사용하도록 하는 세척액재활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스프레이건을 세척시킨 후에 폐기되는 세척액의 양을 최소화하여 자원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압축공기를 공급시키는 컴프레서를 연결함과 동시에 세척장치의 일측으로 압축공기를 통해 세척액을 배출하는 분사밸브를 구비함에 따라 이를 통해 스프레이건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액을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상기 분사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을 이용해 스프레이건의 외부를 세척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성도료 및 수성도료에 대응하여 세척장치에 격벽을 통해 유성세척대와 수성세척대를 구획시켜 형성함에 따라 이를 통해 다양한 세척액을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및 기타물품 등을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건을 신너 및 물과 같은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시키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있어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에 차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을 차폐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제1작업창이 관통되며, 상기 제1작업창의 하부로 상기 스프레이건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응집하는 제1회수판이 결합된 유성세척대와; 상기 유성세척대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제1회수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수판을 통해 스프레이건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회수 및 여과하여 저장통에 저장함에 따라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신너를 재생분사밸브를 통해 상기 제1작업창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액재활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에 분사도장하는 스프레이건이 본체에 의해 차폐공간이 형성된 세척장치의 내부에서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시킴에 따라 대기중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최소화되어 환경오염이 방지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로 세척액을 재사용하도록 하는 세척액재활용수단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스프레이건을 세천시킨 후에 폐기되는 세척액의 양을 최소화하여 자원낭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장치에 압축공기를 공급시키는 컴프레서가 연결됨과 동시에 세척장치의 일측으로 압축공기를 통해 세척액을 배출하는 분사밸브가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스프레이건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액을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상기 분사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을 이용해 스프레이건의 외부를 세척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성도료 및 수성도료에 대응하여 세척장치에 격벽을 통해 유성세척대와 수성세척대가 각각 구획되어 형성됨에 따라 이를 통해 다양한 세척액을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의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의 관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및 기타물품 등을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건(S)을 신너 및 물과 같은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시키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있어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에 차폐공간(112)이 형성되는 중앙으로 결합되는 격벽(111)을 통해 상기 차폐공간(112)이 양측으로 각각 구획되는 본체(110)와; 상기 격벽(111)을 통해 구획되되,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S)을 차폐공간(112)에 수용하기 위한 제1작업창(121)이 관통되며, 상기 제1작업창(121)의 하부로 상기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응집하는 제1회수판(122)이 결합된 유성세척대(120)와; 상기 유성세척대(120)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제1회수판(122)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수판(122)을 통해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회수 및 여과하여 저장통(135)에 저장함에 따라 상기 저장통(135)에 저장된 신너를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액재활용수단(130)과; 상기 격벽(111)을 통해 구획되되,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S)을 차폐공간(112)에 수용하기 위한 제2작업창(181)이 관통되며, 상기 제2작업창(181)의 하부로 상기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응집하는 제2회수판(182)이 결합된 수성세척대(180)와; 상기 수성세척대(180)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제2회수판(182)과 연결되며, 상기 제2회수판(182)을 통해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회수 및 여과하여 세척수통(145)에 저장함에 따라 상기 세척수통(145)에 저장된 세척수를 수성분사밸브(147)를 통해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분사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110)는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을 도장시키는 스프레이건(S)을 물 또는 신너와 같은 세척액을 이용해 분사방식으로 세척하면 세척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판을 이용해 사각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며, 상부에는 스프레이건(S)의 세척을 위해 내부에 차폐공간(1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세척액재활용수단(130) 및 세척수분사수단(140)과 같은 세척액의 공급장치들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공간(113)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3)의 전면에는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는 개폐문(114)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개폐문(114)을 통해 세척장치(1)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척장치(1)는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유성세척대(120) 및 수성세척대(140) 중 어느 하나 만을 세척장치(1)의 본체(110) 상에 형성시켜 사용하거나,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중앙으로 결합되되, 상기 본체(110)의 차폐공간(112)을 양측으로 각각 구획시키기 위한 격벽(111)을 통해 상기 유성세척대(120)와 수성세척대(140)를 세척장치(1)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격벽(111)은 상기 본체(110)의 측단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격벽(111)이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면 상기 격벽(111)의 상단은 본체(110)의 상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본체(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공기정화수단(170)을 통해 세척장치(1) 내에서 기화되거나 분무형태로 비산되는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성세척대(120)는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을 도장시키는 스프레이건(S) 중 유성도료를 사용하는 스프레이건(S)을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차폐공간(112) 내에서 신너와 같은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할 수 있도록 본체(110) 상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성세척대(120)는 본체(110)의 중앙으로 결합되는 격벽(111)을 통해 본체(110)의 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구획되며,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S)이 상기 차폐공간(112)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제1작업창(121)이 사각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거나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을 통해 배출되는 신너를 응집하기 위한 제1회수판(122)이 사각 판 형태로 하향 경사지도록 제작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회수판(122)의 상단에는 스프레이건(S)을 통해 분사되는 신너를 1차로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망(12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은 상기 유성세척대(120)의 내부 하측으로 결합된 제1회수판(122)을 통해 응집되는 신너를 회수 및 여과시킨 후에 상기 유성세척대(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세척액을 배출함에 따라 스프레이건(S)을 세척시키기 위한 신너를 재활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은 상기 제1회수판(122)의 하단에 관 연결을 통해 제1여과필터(138)가 결합되며, 상기 제1여과필터(138)는 내부에 여과통(138a)이 구비된 각각의 필터본체(138b)가 일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수판(122)을 통해 회수되는 신너를 1차, 2차에 걸친 다중으로 여과시킴에 따라 신너에 유입된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여과필터(138)의 하측에는 상기 제1여과필터(138)를 통해 여과된 신너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통(131)이 상기 제1여과필터(138)와 관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수통(131)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제작되어 신너를 수용함과 동시에 회수통(131)의 하단에는 신너에 유입된 불순물이 회수통(131)의 바닥면에 침전되면 상기 회수통(131)의 하부 외측에 결합된 제1배출밸브(134)를 통해 침전된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경사부(139)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139)의 상부 일측에는 불순물이 분리된 신너를 회수통(13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분배관(132)이 상향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여과필터(138)에서 여과된 신너를 최종적으로 여과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수통(131)의 제1분배관(132)을 통해 배출되는 신너는 상기 회수통(131)의 하부에 제1공급밸브(133)를 통해 연결된 저장통(135)에 유입되어 저장되게 되며, 상기 저장통(135)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제작되어 신너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저장통(135)의 상단으로 제1공급밸브(133)가 상시 회수통(131)과 관 연결방식을 통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공급밸브(133)는 상기 회수통(131)에서 배출되는 신너를 차단 및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회수통(131)과 저장통(135)에 수용되는 신너의 용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1공급밸브(133)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체를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장치 및 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저장통(135)의 하부 일측에는 관 형태로 상기 저장통(135)에 연통되는 제1배출관(136)이 연결결합되며, 상기 제1배출관(136)은 본체(1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 상측으로 상기 제1배출관(136)과 연결되는 재생분사밸브(137)가 결합되어 상기 저장통(135)에서 배출되는 신너를 상기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제1작업창(121)의 내부에서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제1배출관(136)을 통해 신너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통(135)에 별도로 구비되는 컴프레서(A)를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저장통(135)에 공급시킴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A)의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을 통해 신너를 상기 제1배출관(136)으로 배출시켜 상기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성세척대(120)의 하부에는 신너를 보충하기 위한 신너보충수단(1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신너보충수단(150)은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저장통(135) 전면으로 함체 형태로 제작되는 신너보충통(151)이 결합되고, 상기 신너보충통(151)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신너를 저장시키되, 별도로 구비되는 컴프레서(A)를 연결하기 위해 신너보충통(151)의 상부 일측으로 공기공급관(165)이 연결된 압력조절수단(160)이 상기 신너보충통(151)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A)의 압축공기를 통해 신너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160)의 양측에는 컴프레서(A)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압력조절수단(160)의 압력밸브(164)를 거쳐 압력이 조절되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ON/OFF 작동하여 차단 및 개폐하기 위한 에어밸브(161)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165)의 일측에는 세척장치(1)의 외부에서 컴프레서(A)의 압축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한 에어건(210)이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에어건(210)은 일반적으로 컴프레서(A)에 연결하여 카센타 내지 세차장과 같은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때, 상기 신너보충통(151)의 하측에는 압축공기를 통해 신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배출관(152)이 연결되며,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제2배출관(152)과 연결되는 보충분사밸브(153)가 결합되고, 상기 보충분사밸브(153)는 상기 신너보충통(151)에서 배출되는 신너를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에서 분사하여 스프레이건(S)을 세척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성세척대(180)의 하부에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보충수단(19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물보충수단(190)은 상기 세척수분사수단(140)의 세척수통(145) 전면으로 함체 형태로 제작되는 물보충통(191)이 결합되고, 상기 물보충통(191)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시키되, 별도로 구비되는 컴프레서(A)를 연결하기 위해 물보충통(191)의 상부 일측으로 공기공급관(165)이 연결된 압력조절수단(160)이 상기 물보충통(191)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A)의 압축공기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보충통(191)의 하측에는 압축공기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공급관(192)이 연결되며,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물공급관(192)과 연결되는 물분사밸브(193)가 결합되고, 상기 물분사밸브(193)는 상기 물보충통(191)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에서 분사하여 스프레이건(S)을 세척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성세척대(180)는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을 도장시키는 스프레이건(S) 중 수성도료를 사용하는 스프레이건(S)을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차폐공간(112) 내에서 물과 같은 세척수를 이용해 세척할 수 있도록 본체(110) 상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성세척대(180)는 본체(110)의 중앙으로 결합되는 격벽(111)을 통해 본체(110)의 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구획되며,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S)이 상기 차폐공간(112)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제2작업창(181)이 사각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거나 세척수분사수단(14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응집하기 위한 제2회수판(182)이 사각 판 형태로 하향 경사지도록 제작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회수판(182)의 상단에는 스프레이건(S)을 통해 분사되는 신너를 1차로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망(18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분사수단(140)은 상기 수성세척대(180)의 내부 하측으로 결합된 제2회수판(182)을 통해 응집되는 세척수를 회수 및 여과시킨 후에 상기 수성세척대(18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성분사밸브(147)를 통해 세척수를 배출시킴에 따라 스프레이건(S)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수분사수단(140)은 상기 제2회수판(182)의 하단에 관 연결을 통해 제2여과필터(148)가 결합되며, 상기 제2여과필터(148)는 내부에 여과통(148a)이 구비된 각각의 필터본체(148b)가 일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수판(182)을 통해 회수되는 세척수를 1차, 2차에 걸친 다중으로 여과시킴에 따라 세척수에 유입된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여과필터(148)의 하측에는 상기 제2여과필터(148)를 통해 여과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세척수회수통(141)이 상기 제2여과필터(148)와 관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회수통(141)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제작되어 세척수를 수용함과 동시에 세척수회수통(141)의 하단에는 세척수에 유입된 불순물이 분리된 세척수를 세척수회수통(14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분배관(132)이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여과필터(148)에서 여과된 세척수를 최종적으로 여과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척수회수통(141)의 제2분배관(132)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회수통(141)의 하부에 제2공급밸브(143)를 통해 연결된 세척수통(145)에 유입되어 저장되게 되며, 상기 세척수통(145)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제작되어 세척수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통(145)의 상단으로 제2공급밸브(143)가 상기 세척수회수통(141)과 관 연결방식을 통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공급밸브(143)는 상기 세척수회수통(14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차단 및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세척수회수통(141)과 세척수통(145)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용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2공급밸브(143)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체를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장치 및 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세척수통(145)의 하부 일측에는 관 형태로 상기 세척수통(145)에 연통되는 세척수배출관(146)이 연결결합되며, 상기 세척수배출관(146)은 본체(1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 상측으로 상기 세척수배출관(146)과 연결되는 수성분사밸브(147)를 통해 제2작업창(181)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세척수배출관(146)을 통해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척수통(145)에 별도로 구비되는 컴프레서(A)를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세척수통(145)에 공급시킴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A)의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을 통해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배출관(146)으로 배출시켜 상기 수성분사밸브(147)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저장통(135)과 세척수분사수단(140)의 세척수통(145)의 상부 일측에는 컴프레서(A)와 연결된 압력조절수단(160)가 공기공급관(165)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135)과 세척수통(145)에 컴프레서(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시키게 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160)는 압력게이지(163)와 압력밸브(164)로 이루어져 상기 압력게이지(163)를 이용해 컴프레서(A)의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하면 상기 압력밸브(164)로 컴프레서(A)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재생분사밸브(137)와 세척수분사수단(140)의 수성분사밸브(147)에서 세척액이 분사되는 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너보충수단(150)의 신너보충통(151)으로 상기 압력조절수단(160)가 공기공급관(165)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160)를 통해 압력이 조절된 압축공기가 상기 신너보충통(151)의 내부로 공급되어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통해 신너를 제2배출관(152)으로 배출하여 상기 보충분사밸브(153)를 통해 외부로 신너를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는 스프레이건(S)의 세척에 사용되는 신너가 기화되면 대기와 기화된 신너를 분리시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수단(170)이 결합되며, 스프레이건(S)의 세척액으로 사용되는 신너는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정화수단(170)을 통해 기화되는 신너를 정화시켜 공기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수단(170)은 상기 본체(110)의 상단으로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는 배기관(171)이 결합되며, 상기 배기관(171)의 하부 내측에는 기화된 신너를 필터링하기 위한 배기필터(174)가 삽입결합되고, 상기 배기필터(174)는 습식 및 건식 스폰지 형태로 제작되어 기화된 신너를 필터링 하는 것이며, 상기 배기관(171)의 상단으로 본체(11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172)이 결합됨에 따라 본체(110) 내에서 기화되는 신너를 상기 송풍팬(172)을 통해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송풍팬(172)을 통해 흡입된 신너를 상기 배기필터(174)를 통해 필터링 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풍덕트(17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효율적으로 기화되는 신너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전면에는 사각 판 형태로 제작되는 밀폐문(115)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밀폐문(115)은 상기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크기에 대응제작되어 상기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상단에서 힌지결합을 통해 회동개폐됨에 따라 본체(110) 내에서 신너가 기화되면 휘발성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밀폐문(115)의 내측에는 분사되는 세척액이 본체(1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문(116)이 결합되며, 상기 차단문(116)은 투명한 유리 및 아크릴로 상기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크기에 따라 대응제작되어 힌지결합됨으로서 회동개폐되는 것이고, 상기 차단문(116)의 하단은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하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차단문(116)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차단문(116)의 이격된 틈으로 스프레이건(S)을 본체(110) 내부에 수용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면 상기 차단문(116)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이 본체(1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내측 하부에는 세척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공기분사노즐(200)이 결합되며, 상기 공기분사노즐(200)은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일면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다수의 통기공이 관통형성된 상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컴프레서(A)에 상기 공기분사노즐(200)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A)의 압충공기를 상기 제1작업창(121)과 제2작업창(181)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분사시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분사된 압축공기를 통해 본체(110)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의 외부 누출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도 5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세척장치(1)를 이용해 스프레이건(S)의 내외부에 잔류한 도료를 세척액을 통해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에 분사도장하는 스프레이건(S)은 일반적으로 단색상의 도료를 스프레이건(S)의 내부에 넣어 도장하기 때문에 다른 색의 도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프레이건(S)에 넣어진 도료를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한 상태에서 다른 색의 도료를 다시 스프레이건(S)의 내부에 넣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료의 세척이 필요한 스프레이건(S)은 본체(110)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구획된 유성세척대(120)와 수성세척대(180) 중 도료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세척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도료는 유성도료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은 상기 유성세척대(12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상기 유성세척대(120)와 수성세척대(180)는 기본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수성세척대(180)에 대한 작동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때, 내부로 도료가 채워진 스프레이건(S)은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개구되는 유성세척대(120)의 제1작업창(121) 내부로 수용되게 되며, 작업자가 본체(110)의 차폐공간(112) 내부로 수용된 스프레이건(S)을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신너와 같은 세척액을 분사시킴에 따라 상기 스프레이건(S)에 잔류한 도료가 제거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스프레이건(S)을 세척시키면 본체(110)의 차폐공간(112)을 통해 분사된 세척액이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스프레이건(S)을 세척시킨 세척액은 본체(110) 내부에 결합된 제1회수판(122)으로 응집됨에 따라 상기 제1회수판(122)의 하부에 구비된 세척액재활용수단(130)으로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회수판(122)을 통해 응집된 세척액은 상기 제1회수판(122)의 하부에 관 연결된 제1여과필터(138)로 유입되어 다단으로 여과됨에 따라 세척액에 포함된 도료와 같은 불순물이 제거되는 것이며, 상기 제1여과필터(138)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세척액은 상기 제1여과필터(138)의 하측에 구비된 회수통(131)으로 공급되어 수용되게 되고, 상기 회수통(131)으로 세척액이 수용되면 회수통(131)의 하단에 형성된 제1경사부(139)를 통해 세척액에 포함된 불순물이 회수통(131)의 바닥으로 침전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세척액을 여과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불순물이 회수통(131)의 바닥으로 침전되면 불순물이 제거된 세척액은 제1분배관(132)을 통해 회수통(131)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불순물은 제1배출밸브(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분배관(132)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은 제1공급밸브(133)를 통해 저장통(135)에 공급되어 저장되게 되며, 상기 저장통(135)에 저장된 세척액은 별도로 구비되는 컴프레서(A)의 압축공기가 상기 저장통(135)의 상측으로 연결결합되는 공기공급관(165)을 통해 저장통(135)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세척액을 저장통(135)의 하측에 결합된 제1배출관(136)에 유입시켜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킴에 따라 스프레이건(S)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을 간편하게 공급시켜 스프레이건(S)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 세척액은 휘발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본체(110)의 상부로 결합된 공기정화수단(170)을 통해 기화된 세척액을 강제흡입하게 되며, 상기 공기정화수단(170)의 송풍팬(172)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공기를 강제흡입시키면 기화된 세척액은 공기정화수단(170)의 배기필터(174)를 통해 필터링 됨과 동시에 공기는 환풍덕트(1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이나 기타물품 등에 분사도장하는 스프레이건(S)을 차폐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신너 및 물과 같은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시킴에 따라 대기 중에 분사되는 세척액을 최소화시켜 세척액에 의한 환경오염이 방지됨과 동시에 본체(110)의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에 따라 스프레이건(S)을 세척시킨 후 폐기되는 세척액을 최소화하여 스프레이건(S)의 세척액에 소요되는 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특징적인 효과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1)에 압축공기를 공급시키는 컴프레서(A)를 연결함과 동시에 세척장치(1)의 일측으로 압축공기를 통해 세척액을 분사시키는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을 구비함에 따라 이를 통해 스프레이건(S)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액을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성도료 및 수성도료에 대응하여 세척장치(1)에 격벽을 통해 유성세척대(120)와 수성세척대(180)가 각각 구획되어 형성됨에 따라 이를 통해 다양한 세척액을 하나의 세척장치(1)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세척장치 110.본체
120.유성세척대 130.세척액재활용수단
140.세척수분사수단 150.신너보충수단
160.압력조절수단 170.공기정화수단
180.수성세척대 200.공기분사노즐

Claims (12)

  1. 차량 및 기타물품 등을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건(S)을 신너 및 물과 같은 세척액을 이용해 세척시키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에 있어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에 차폐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S)을 차폐공간(112)에 수용하기 위한 제1작업창(121)이 관통되며, 상기 제1작업창(121)의 하부로 상기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응집하는 제1회수판(122)이 결합된 유성세척대(120)와; 상기 유성세척대(120)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제1회수판(122)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수판(122)을 통해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회수 및 여과하여 저장통(135)에 저장함에 따라 상기 저장통(135)에 저장된 신너를 재생분사밸브(137)를 통해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은, 상기 제1회수판(122)의 하단에 관 연결되어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신너를 다중으로 여과시키는 제1여과필터(138)와; 상기 제1여과필터(138)의 하측으로 관 연결되어 상기 제1여과필터(138)를 통해 여과된 신너를 회수하되, 신너에 유입된 불순물을 침전방식을 통해 분리하는 회수통(131)과; 상기 회수통(131)의 하측으로 제1공급밸브(133)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공급밸브(133)를 통해 공급되는 신너를 저장시키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해 신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저장통(135)과; 상기 저장통(135)의 하측으로 제1배출관(136)이 연결되며,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제1배출관(136)과 연결결합되어 상기 저장통(135)에서 배출되는 신너를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에서 분사시키는 재생분사밸브(13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상기 유성세척대(120)와 세척액재활용수단(130)과 구획시키기 위한 격벽(111)이 결합되되,
    상기 격벽(111)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스프레이건(S)을 차폐공간(112)에 수용하기 위한 제2작업창(181)이 관통되며, 상기 제2작업창(181)의 하부로 제2회수판(182)이 결합되어 상시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응집하는 수성세척대(180)와;
    상기 수성세척대(180)의 하부로 상기 제2회수판(182)과 연결되며, 상기 제2회수판(182)을 통해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회수 및 여과하여 세척수통(145)에 저장함에 따라 상기 세척수통(145)에 저장된 세척수를 수성분사밸브(147)를 통해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분사수단(1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분사수단(140)은 상기 제2회수판(182)의 하단에 관 연결되어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다중으로 여과시키는 제2여과필터(148)와;
    상기 제2여과필터(148)의 하측으로 관 연결되어 상기 제2여과필터(148)를 통해 여과된 세척수를 회수하되, 세척수에 유입된 불순물을 침전방식을 통해 분리하는 세척수회수통(141)과;
    상기 세척수회수통(141)의 하측으로 제2공급밸브(143)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공급밸브(143)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시키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통(145)과;
    상기 세척수통(145)의 하측으로 세척수배출관(146)이 연결되며,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 상측으로 상기 세척수배출관(146)과 연결결합되어 상기 세척수통(14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2작업창(181)의 내부에서 배출시키는 수성분사밸브(14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135)의 상부 일측에는 컴프레서(A)와 연결된 압력조절수단(160)이 공기공급관(165)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135)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세척대(120)의 하부에는 신너를 보충하기 위한 신너보충수단(150)과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보충수단(19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너보충수단(150)은 상기 세척액재활용수단(130)의 저장통(135) 전면으로 결합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신너를 저장시키되, 압축공기를 통해 신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신너보충통(151)과;
    상기 신너보충통(151)의 하측으로 제2배출관(152)이 연결되며,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제2배출관(152)과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신너보충통(151)에서 배출되는 신너를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부에서 배출시키는 보충분사밸브(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는 신너가 기화되면 대기와 기화된 신너를 분리하기 위한 공기정화수단(1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170)은 상기 본체(110)의 상단으로 연통되는 배기관(171)과;
    상기 배기관(171)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기화된 신너를 필터링 하는 배기필터(174)와;
    상기 배기관(171)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본체(110)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흡입하는 송풍팬(172)과;
    상기 송풍팬(172)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172)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덕트(1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창(121)의 전면에는 본체(110) 내에서 기화된 신너의 휘발성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문(115)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문(115)의 내측에는 분사되는 세척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문(11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창(121)의 내측 하부에는 스프레이건(S)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분사노즐(2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76093A 2012-07-12 2012-07-12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KR101384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93A KR101384433B1 (ko) 2012-07-12 2012-07-12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93A KR101384433B1 (ko) 2012-07-12 2012-07-12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28A KR20140008828A (ko) 2014-01-22
KR101384433B1 true KR101384433B1 (ko) 2014-04-10

Family

ID=5014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093A KR101384433B1 (ko) 2012-07-12 2012-07-12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51B1 (ko) 2014-12-02 2016-11-29 주식회사 지텍 정전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0809A1 (de) * 2018-12-04 2020-06-04 Dürr Systems Ag Auffangvorrichtung für Spülmedien eines Zerstäubers
IT202000014698A1 (it) * 2020-06-19 2021-12-19 Rosauto Srl Attrezzatura per il lavaggio di aerografi a bassa emissione di fumi
KR102405291B1 (ko) * 2020-09-21 2022-06-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액형 코팅제의 수중 코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코팅시스템
CN115415123B (zh) * 2022-09-14 2024-04-19 安庆中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船用柴油机气缸体铸造外模用流涂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226U (ko) * 1996-08-24 1998-05-25 양재신 도장라인의 폐시너 회수관 세척장치
JP2003275640A (ja) * 2002-03-20 2003-09-30 O-Well Corp 塗装ブース
KR200359451Y1 (ko) * 2004-05-21 2004-08-21 정종섭 도장용 스프레이 건 세척대
KR20110027147A (ko) * 2009-09-09 2011-03-16 우종철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226U (ko) * 1996-08-24 1998-05-25 양재신 도장라인의 폐시너 회수관 세척장치
JP2003275640A (ja) * 2002-03-20 2003-09-30 O-Well Corp 塗装ブース
KR200359451Y1 (ko) * 2004-05-21 2004-08-21 정종섭 도장용 스프레이 건 세척대
KR20110027147A (ko) * 2009-09-09 2011-03-16 우종철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51B1 (ko) 2014-12-02 2016-11-29 주식회사 지텍 정전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28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433B1 (ko) 도장용 스프레이건 세척장치
CN105818001A (zh) 一体式打磨抛光除尘器
CN103479306A (zh) 一种带污水循环利用的硬质表面清洁器
CN207204450U (zh) 水帘喷涂机集成
CN203816840U (zh) 全自动零排放表面无尘涂装设备
CN210545877U (zh) 一种可回收利用的板材喷漆设备
CN203678612U (zh) 具有过滤装置的涂装机
CN203576427U (zh) 一种硬质表面清洁器
CN105013653B (zh) 一种雾化涂油室余雾回收系统
CN210906689U (zh) 一种环保型喷漆柜
CN214077424U (zh) 一种油漆回收装置
CN205287929U (zh) 一种用于门业制造的漆粉回收装置
CN106694437A (zh) 循环清洗装置
KR101588345B1 (ko)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CN210936168U (zh) 一种用于塑胶制品的环保清洗装置
CN209452132U (zh) 喷漆用水帘式漆液处理系统
CN209392960U (zh) 一种底漆和面漆吸湿式喷雾状回收装置
KR102141765B1 (ko) 분사된 도료를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도장 부스
CN208146295U (zh) 一种电梯轿厢装饰板用喷漆装置
CN207237596U (zh) 真空喷涂过滤装置
CN105999956A (zh) 用于喷涂工序上的废气回收系统
CN105597453A (zh) 一种用于门业制造的漆粉回收系统
CN110523569A (zh) 一种喷枪清洗平台
CN215971701U (zh) 一种有机肥运输车
KR20150059972A (ko) 수막커튼형 페인트 분진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