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181B1 -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181B1
KR101384181B1 KR1020120085038A KR20120085038A KR101384181B1 KR 101384181 B1 KR101384181 B1 KR 101384181B1 KR 1020120085038 A KR1020120085038 A KR 1020120085038A KR 20120085038 A KR20120085038 A KR 20120085038A KR 101384181 B1 KR101384181 B1 KR 10138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drying
boiler
fec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966A (ko
Inventor
신철항
Original Assignee
신철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항 filed Critical 신철항
Priority to KR102012008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1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 인, 축분을 포함한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배설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키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열을 내부의 물에 저장하여 난방 및 온수로 사용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은,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 또는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원을 통해 배설물의 후행 건조 시 필요한 열원으로 사용하거나, 배설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축열한 후 난방 및 배설물의 후행 건조 과정에서 요구하는 열원으로 사용 가능하여 건조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난방시스템에 건조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치 구조가 단순하며, 사람이나 가축 등의 배설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이면서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과정 전에 배설물의 탈수가 가능하여 건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HEATING SYSTEM USING EXCREMENT AS FUEL}
본 발명은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 축분을 포함한 배설물을 건조한 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난방 및 온수 등으로 활용하는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를 기준으로 사람의 인분을 처리한 슬러지가 연간 130만 톤 발생하고, 농가에서 가축의 배설물은 연간 120만 톤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사람 및 가축을 통한 배설물들은 폐기물 투기 해역에 투기하여 처리해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설물 등과 같은 혐오물질은 해양에 버려지는 과정에서 해양 환경 오염을 문제로 2012년부터 더 이상 해양에 투기를 못하도록 법으로 지정함에 따라 상황이 곤란한 수거위탁업체에서 수거 자체를 거부하거나, 중간 집하장에 쌓아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로, 배설물의 처리가 시급한 상황이며, 상기 배설물의 처리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 제10-0961275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161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61275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161호에 개시된 보일러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096127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의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에서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는, 일측 하부에는 버너(40)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 중앙에는 배기구가 연결되고, 내부에는 배설물을 투입하여 소각시키는 연소실(20); 상기 연소실의 외부에 구비되며, 온수 입구와 출구(11)(12) 및 방출관(13)이 각각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는 하부몸체(50) 또는 제2하부몸체(100)가 구비되되, 이 하부몸체 또는 제2하부몸체의 내부에는 소각재를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각재배출수단(60) 또는 제2소각재배출수단(110);이 구비된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소각재배출수단(60)은, 감속모터(6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단의 한 쌍의 축봉(64)(64a); 상기 상단 축봉에 축설되며, 배설물을 받쳐줌과 아울러 배설물을 쉽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한 원통형의 재떨이부재(62); 상기 하단 축봉에 축설되며, 하부로 떨어진 소각재를 소각재받이통으로 이송시키는 재처리스크류(65); 및 상기 재떨이부재와 재처리스크류의 외부에 구비되어 하부로 떨어지는 소각재의 열이 외부로 발산됨을 방지하는 커버(6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는, 배설물의 건조시 톱밥을 배합하여 실시하므로 별도의 톱밥이 필요하며, 배설물의 자연 건조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161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의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종래기술 2의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는,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이하 '보일러(100)'라 함)는 축산배설물과 톱밥을 혼합한 연료(1)를 연소시켜 온수를 생산하는 보일러로서, 축산배설물과 톱밥을 혼합한 연료(1)는 별도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상태로 연료 주머니(3)에 담겨 공급된다. 보일러(100)는 크게 연료(1)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연소실(110)과, 연료(1)를 저장해 두는 저장부(130)와, 연료 주머니(3)를 저장부(130)로 이송하여 연료(1)를 저장부(130)로 투입하는 호이스트(140)와, 저장부(130)에 저장된 연료를 연소실(110)로 이송하는 이송부(150)를 포함하며, 연소실(110)에서 연료(1)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사이클론(170)을 더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는 축사 내부에서 배설물을 건조시키므로 축사에서부터 보일러까지 건조된 배설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배관 등의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다른 설치 비용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61275 B1 KR 20-2011-0002161 U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원을 통해 배설물의 후행 건조 시 필요한 열원으로 사용하거나, 배설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축열한 후 난방 및 배설물의 후행 건조 과정에서 요구하는 열원으로 사용 가능하여 건조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난방시스템에 건조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치 구조가 단순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 과정 전에 배설물의 탈수가 가능하여 건조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 축분을 포함한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배설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키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열을 내부의 물에 저장하여 난방 및 온수로 사용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은,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 또는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을 통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연소된 상기 배설물의 재(滓)가 수거되는 재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와 상기 건조부는 이중관 형태의 배설물 유입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외측관은 상기 배설물이 이송되고,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내측관은 상기 건조부의 열이 유동하도록 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 내부에 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입구측 내, 외측관에는 물 공급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원을 통해 배설물의 후행 건조 시 필요한 열원으로 사용하거나, 배설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축열한 후 난방 및 배설물의 후행 건조 과정에서 요구하는 열원으로 사용 가능하여 건조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난방시스템에 건조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치 구조가 단순하며, 사람이나 가축 등의 배설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이면서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과정 전에 배설물의 탈수가 가능하여 건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의 실시예 별 배설물 유입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중 탈수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은 배설물 저장조(120), 이송부(140), 배설물 유입관(160), 건조부(180), 보일러(200), 재수거부(220) 및 온수탱크(240)를 포함한다.
배설물 저장조(120)는 인분 및/또는 축분[우분(牛糞), 돈분(豚糞) 등]을 포함한 건조 전의 배설물이 임시 저장되는 장소이다.
이송부(140)는 배설물 저장조(120)에 저장된 배설물을 배설물 유입관(160)의 입구 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 형성된 개폐구(162a)로 유입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기능을 하며, 일 예로 컨베이어(conveyor) 등이 이에 적용된다.
배설물 유입관(160)은 이송부(140)의 상단에서부터 건조부(180)의 상단까지 연결하여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유입된 배설물이 상기 건조부(180)로 유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배설물이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선 및 사선 형태로 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설물 유입관(16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직선형, 지그재그형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배설물 유입관(160)은 이중(二重)관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배설물 유입관(160) 중 외측에 구비된 외측관(162)은 배설물이 이송되는 관이고, 상기 외측관(162)의 내측에 구비된 내측관(164)은 상기 건조부(180)의 열이 상기 외측관(162)으로 유동되어 배설물을 가건조시키도록 타공이 형성되는 관이다. 한편, 상기 배설물 유입관(160)의 입구측 끝단에는 후술할 보일러(200)의 미가동시 건조부(18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부(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설물 유입관(160)에는 물탱크(170)가 연결된다. 즉, 상기 배설물 유입관(160)의 외측관(162)과 내측관(164)에는 물탱크(170)에서 펌프(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관(172)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내측관(164)에 연결된 물 공급관(172)은 상기 내측관(164)에 물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배설물에 포함된 냄새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급되는 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게 하고, 외측관(162)에 연결된 물 공급관(172)은 배설물의 공급시 물을 상기 외측관(162)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배설물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배설물 유입관(160)에는 진동 발생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발생부의 구동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외측관(162)을 따라 유입되는 배설물의 이동을 원활케 할 수 있다.
한편, 배설물 유입관(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162)의 내주면에 상기 외측관(162)과 개별 형태(도 4a 참조) 또는 일체 형태(도 4b 참조)의 배설물 뭉침 방지부재(166a, 166b)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배설물 뭉침 방지부재(166a, 166b)는 각각이 독립 공간을 형성되므로 개폐구(162a)를 통해 유입된 배설물이 분산되어 배설물 유입관(160)의 외측관(16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설물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배설물 뭉침 방지부재(166a, 166b)는 배설물 이동 라인으로 2개 또는 3개 등의 독립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독립 공간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건조부(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물 유입관(160)을 통해 유입된 배설물을 건조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이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온수 또는 보일러(200)에서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된다.
이렇게, 건조부(180)에서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이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온수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180)와 상기 온수탱크(240)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인 상기 건조부(180)에서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이 보일러(200)에서 건조된 배설물을 버너를 통해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180)와 상기 보일러(200)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부(180)에서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이 온수탱크(240)에 저장된 온수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더욱이, 건조부(180)의 외벽면에는 상기 건조부(180)의 몸체 내외에 대한 온도 편차에 의해 형성된 응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벽이 한층 더 형성되고 상기 벽 하단에 배출관이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건조부(180)의 외벽면에 파이프가 나선 형태로 감기게 하여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배출관이 연결되게 한다. 이렇게, 건조부(180)의 외벽면에 나선 형태로 파이프가 감기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따라 고온의 건조수가 이동하므로 배설물의 건조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건조부(180)는 하단과 그 하측에 구비된 보일러(200)를 연결관(190)을 통해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190)에는 건조가 완료된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더욱이, 건조부(180)의 벽면에는 외부 단열재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건조부(180)의 외벽면에는 컨트롤 박스(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되어 이송부(140)의 이송속도, 건조부(180)의 건조 시간 및 건조 속도 등의 건조 조건, 보일러의 가동 온도 등의 가동 조건 및 온수탱크(240)의 온도 등을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결관(190)에는 건조된 배설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컨트롤 박스의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일러(200)는 건조부(180)에서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키며, 재수거부(220)는 상기 보일러(200)에서 연소된 배설물의 재(滓)를 수거하는 공간으로 로스틀(Grate)의 탈착이 가능하여 재의 배출이 용이하다.
온수탱크(240)는 보일러(200)에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을 내부의 물에 저장한 후 난방 및 온수로 사용하도록 상기 보일러(200)와 유입관 및 배출관을 통해 연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난방시스템을 가동시키기 위해 컨트롤박스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작업 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 조건에 따라 배설물 저장조(120)에 저장된 배설물은 이송부(140)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송되게 하며, 상기 이송부(140)를 따라 이송되는 배설물은 배설물 유입관(160)의 개폐구(162a)를 통해 상기 배설물 유입관(160)의 외측관(162)으로 유입된다.
이때, 내측관(164)에 연결된 물 공급관(172)은 물을 상기 내측관(164)으로 분사하여 공급되는 배설물에 포함된 냄새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게 하고, 외측관(162)에 연결된 물 공급관(172)은 물을 상기 외측관(162)으로 분사하여 유입되는 배설물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다음으로, 외측관(162)으로 유입된 배설물은 상기 외측관(162)의 경사를 따라 유입되면서, 하측에 배치된 건조부(18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설물이 외측관(162)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내측관(164)에서는 건조부(180)의 열이 상기 내측관(164)의 타공을 통해 상기 외측관(162)으로 유동되어 배설물을 가건조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건조부(180)는 배설물 유입관(160)을 통해 유입된 배설물을 건조시키되, 가장 하측에 구비된 배설물이 가장 많이 건조된 상태로 상부로 갈수록 건조 정도가 덜하게 된다. 이렇게 건조가 많이 된 하측의 배설물은 연결관(190)의 도중에 설치된 개폐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보일러(200)로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즉, 개폐밸브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190)이 개방되면 건조된 배설물이 보일러(2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온수탱크(240)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보일러(200)가 가동되면서 발생하는 열이 온수탱크(240)에 축열되면서 형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에 활용하거나, 건조부(180)에 제공하여 상기 건조부(180)의 내부에 유입된 배설물을 온수를 순환시켜 건조시킬 수 있다.
그 후, 보일러(200)에서 연소된 배설물 재(滓)는 재수거부(220)로 낙하하면서 설정량이 쌓이게 되면 로스틀을 분리하여 재를 제거한 다음 재장착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중 탈수부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은 배설물 저장조(120), 이송부(140), 배설물 유입관(160), 건조부(180), 보일러(200), 재수거부(220), 온수탱크(240) 및 탈수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260) 이외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수부(260)는 건조부(18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부(180) 내부로 유입되는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탈수부(260)는 배설물의 탈수가 개별적 또는 일률적으로 구동 가능하다.
이때, 탈수부(260)는 회전조(264) 및 동력전달부(26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관(192)은 건조부(180)의 회전조(264)와 보일러(200)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회전 가능하여야 하므로 상기 건조부(180)의 하단과 상기 보일러(200)의 상단에 베어링으로 각각 지지된다.
회전조(264)는 동력전달부(266)의 구동을 통해 회전관(192)이 회전되면서 내부에 위치된 배설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며, 배설물에서 제거된 물의 배출을 위해 관통공이 표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동력전달부(266)는 회전조(264)가 연결된 회전관(19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모터(M), 구동풀리(266a), 종동풀리(266b) 및 벨트(266c)를 포함한다.
모터(M)는 인가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풀리(266a)는 상기 모터(M)의 구동축에 설치되며, 종동풀리(266b)는 상기 구동풀리(266a)와 동일선상인 회전관(192)의 도중에 설치되고, 벨트(266c)는 상기 구동풀리(266a)와 상기 종동풀리(266b)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동풀리(266a)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풀리(266b)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266)가 풀리와 벨트 방식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방식이나, 스프로켓(sprocket)과 체인(chain) 방식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에서 배설물의 수분 제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설물 저장조(120)에 저장된 배설물이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후 배설물 유입관(160)을 통해 건조부(180) 내부에 유입되면 탈수부(260)가 구동되면서 배설물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즉, 동력전달부(266)의 모터(M)가 구동되면,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풀리(266a)가 벨트(266c)를 통해 종동풀리(266b)를 연동시키며 상기 종동풀리(266b)가 연결된 회전관(192)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관(192)의 도중에 설치된 회전조(282)가 회전되면서 내부에 저장된 배설물의 수분이 탈수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20: 배설물 저장조 140: 이송부
160: 배설물 유입관 162: 외측관
164: 내측관 170: 물탱크
172: 물 공급관 180: 건조부
200: 보일러 220: 재수거부
240: 온수탱크 260: 탈수부
264: 회전조
266: 동력전달부

Claims (5)

  1. 인, 축분을 포함한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배설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키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열을 내부의 물에 저장하여 난방 및 온수로 사용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와 상기 건조부는 이중관 형태의 배설물 유입관으로 연결되되,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외측관은 상기 배설물이 이송되고,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내측관은 상기 건조부의 발생 열이 상기 외측관으로 유동하여 배설물을 가건조시킬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타공되고,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외측관 내주면을 따라 배설물 뭉침 방지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은,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 또는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건조된 배설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연소된 상기 배설물의 재(滓)가 수거되는 재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내부에 탈수부가 구비되는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유입관의 상단 내, 외측관에는 물 공급관이 각각 연결되는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KR1020120085038A 2012-08-03 2012-08-03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KR101384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38A KR101384181B1 (ko) 2012-08-03 2012-08-03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38A KR101384181B1 (ko) 2012-08-03 2012-08-03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66A KR20140017966A (ko) 2014-02-12
KR101384181B1 true KR101384181B1 (ko) 2014-04-10

Family

ID=5026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38A KR101384181B1 (ko) 2012-08-03 2012-08-03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2140B (zh) * 2016-11-08 2019-05-10 湖南瑞新机械制造有限公司 车载垃圾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636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KR20110002161U (ko) * 2010-03-15 2011-03-04 이철구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636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KR20110002161U (ko) * 2010-03-15 2011-03-04 이철구 축산배설물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66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14456Y (zh) 工业污泥干化与焚烧系统
CA2502638C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waste into energy
JP2003287371A (ja) 螺旋軸流式熱風乾燥機
JP5945156B2 (ja) 下水汚泥の処理装置
CN109231756A (zh) 一种用于污泥干化处理装置
CN108218177B (zh) 一种污泥干化装置与干化方法
CN103438462A (zh) 一种利用烟气循环干燥餐厨垃圾的沸腾炉装置
CN105937763A (zh) 城市厨余垃圾无害化处理系统
KR101214101B1 (ko) 축산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CN102531317B (zh) 一种污泥干化系统
CN208042154U (zh) 一种处理生活垃圾焚烧烟气的装置
KR101384181B1 (ko)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CN102557378B (zh) 一种污泥干化工艺
JP5569547B2 (ja) 汚泥処理設備
CN206073082U (zh) 城市厨余垃圾无害化处理装置
CN202214277U (zh) 一种污泥干化系统
CN105366913B (zh) 高效污泥脱水干燥处理系统
KR20060094116A (ko) 에너지 절약형 슬러지 처리시스템
CN105753274B (zh) 一种污泥处置系统及处置工艺
CN108626729A (zh) 一种高效方便的工业废物焚烧处理装置
CN108730989B (zh) 一种禽畜粪燃烧处理方法及处理系统
CN108036327B (zh) 一种小型节能高效生活垃圾焚烧处理系统
CN208648918U (zh) 一种钻井液无害化焚烧处理设备
KR100961275B1 (ko)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
KR2003241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