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004B1 -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004B1
KR101384004B1 KR1020110110220A KR20110110220A KR101384004B1 KR 101384004 B1 KR101384004 B1 KR 101384004B1 KR 1020110110220 A KR1020110110220 A KR 1020110110220A KR 20110110220 A KR20110110220 A KR 20110110220A KR 101384004 B1 KR101384004 B1 KR 10138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evice
steering wheel
vehicle
present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961A (ko
Inventor
김병혁
박춘호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11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100)은, 차량(200)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알람장치장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110); 및 상기 알람장치장착홈(111)에 설치되는 알람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행중에 발생되는 차선 이탈, 앞차와의 근접접근 등과 같은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발생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이러한 위험상황을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having alarm uni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운행중에 발생되는 차선 이탈, 앞차와의 근접접근 등과 같은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발생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이러한 위험상황을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의 전방 일측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으로 바꾸어 가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향핸들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티어링컬럼(1); 상기 스티어링컬럼(1)으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스포크(2); 및 상기 스포크(2)의 일측을 동일체로 고정하는 원형상의 림(3);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들어, 차량에 각종 제어장치들이 장착되고, 특히 오디오시스템의 고급화 및 각종 제어장치의 전자화에 따라, 운전중에도 운전자가 쉽게 이들 장치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컬럼(1) 또는 스포크(2)의 일측에 각종 작동스위치(4)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차량이 급격히 증가되며, 승용차 등의 성능이 날로 향상됨에 따라 오히려 차량에 의한 사고는 증가되는 추세에 있는바, 차량 운행중에 발생되는 차선 이탈, 앞차와의 근접접근 등과 같은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발생시 이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차량사고를 당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요인을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신속하고도 적극적으로 알림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100)은, 차량(200)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알람장치장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110); 및 상기 알람장치장착홈(111)에 설치되는 알람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장치(120)는, 상기 차량(200)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ECU, 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니트(121); 및 상기 수신유니트(121)에서 출력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장치(120)는, 상기 차량(200) 일측에 설치되며, 차량의 차선이탈 또는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위치센서(123); 및 상기 차량위치센서(123)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신호는 저주파신호일 수 있다.
상기 알람장치(120)는, 상기 차량(200)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모터(124); 및 상기 진동모터(124)에 연결되며, 조향핸들(110) 외부로 돌출ㆍ배치되는 진동자(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발생시 이를 감지한 다음, 감지결과를 저주파신호로써 출력하는 출력단자가 구비된 알람장치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상황을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하고도 적극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100)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100)은, 차량(200)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알람장치장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110); 및 상기 알람장치장착홈(111)에 설치되는 알람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장치(120)는 상기 차량(200)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ECU, 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니트(121) 및 상기 수신유니트(121)에서 출력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22)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출력되는 상기 전기신호는 저주파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100)에 따르면,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100)을 양손으로 거머쥔 상태에서, 차량 운행중에 발생되는 차선 이탈, 또는 앞차와의 근접접근 등과 같은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이 감지되면, 이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알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알람신호가 스티어링 휠(110)에 구비되는 알람장치장착홈(111)에 설치된 알람장치(120)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자(122)를 통하여 저주파가 출력되어, 출력단자(122)를 거머쥐고 있는 운전자의 손바닥을 자극시켜, 이러한 위험상황을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운전자로 하여금 조기에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는, 예전에는 엔진에서 비롯되었다 하여 엔진콘트롤유닛(Engine Control Unit)이라 칭하였으나, 현재는 엔진뿐만 아니라 변속기, 자동변속제어장치(Transmission Control Unit/TCU), 전자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EPS), 브레이크잠김방지장치(Anti lock Brake System/ABS) 등 편의장치에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까지 그 제어범위가 확대되고 있어, Electronic Control Unit를 지칭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즉, Electronic Control Unit를 의미하는 전자제어장치는 엔진의 상태, 속도, 각종 센서에서 넘겨주는 값들을 체크하여 투입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기도 하고, 점화 타이밍과 아이들 스피드(idle speed, 차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의 엔진 회전 속도), 가변 밸트 타이밍을 조절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어떻게 프로그래밍되는 지에 따라, 자동차의 파워, 토크 그리고 연비 등이 달라지게 되는데, 보통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차의 성능, 판매 목표, 디자인 등에 맞는 최적의 전자제어장치를 세팅하여 차를 출고한다.
여기서, 차량 운행중에 발생되는 차선 이탈, 또는 앞차와의 근접접근 등과 같은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서 곧 바로 저주파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출력단자(122)를 통하여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주파 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저주파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저주파가 상기 출력단자(122)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량(200) 일측에 설치되며, 차량의 차선이탈 또는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위치센서(123)를 구비하고, 주행중 차선이탈 또는 앞차와의 거리가 너무 근접한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저주파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저주파가 상기 출력단자(122)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살펴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은, 차량(200)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모터(124); 및 상기 진동모터(124)에 연결되며, 조향핸들(110) 외부로 돌출ㆍ배치되는 진동자(125);로 이루어지는 알람장치(120)를 구비함으로써, 주행중 차선이탈 또는 앞차와의 거리가 너무 근접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진동모터(124)가 작동됨에 따라, 스티어링 휠(110)의 일측에 돌출ㆍ구비되는 진동자(125)가 극심하게 진동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110 : 스티어링 휠 111 : 알람장치장착홈
120 : 알람장치 121 : 수신유니트
122 : 출력단자 123 : 차량위치센서
124 : 진동모터 125 : 진동자
200 : 차량 210 : 전자제어장치

Claims (5)

  1. 차량(200)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알람장치장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110); 및
    상기 알람장치장착홈(111)에 설치되는 알람장치(120); 를 포함하되,
    상기 알람장치장착홈(111)은 단면상 상기 스티어링 휠(110)의 전방으로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알람장치(120)는,
    상기 차량(200) 일측에 설치되며, 차량의 차선이탈 또는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위치센서(123); 및
    상기 차량위치센서(123)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22);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신호는 저주파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10220A 2011-10-27 2011-10-27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KR10138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20A KR101384004B1 (ko) 2011-10-27 2011-10-27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20A KR101384004B1 (ko) 2011-10-27 2011-10-27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61A KR20130045961A (ko) 2013-05-07
KR101384004B1 true KR101384004B1 (ko) 2014-04-14

Family

ID=4865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220A KR101384004B1 (ko) 2011-10-27 2011-10-27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456A (zh) * 2020-10-30 2022-05-06 奥托立夫开发公司 方向盘组件
CN213920847U (zh) * 2020-11-23 2021-08-1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方向盘、方向盘振动提示系统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60Y1 (ko) 2006-03-20 2006-06-09 장동현 졸음운전 방지장치
KR20100000388A (ko) * 2008-06-24 201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JP2010173514A (ja) 2009-01-30 2010-08-12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情報伝達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60Y1 (ko) 2006-03-20 2006-06-09 장동현 졸음운전 방지장치
KR20100000388A (ko) * 2008-06-24 201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JP2010173514A (ja) 2009-01-30 2010-08-12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情報伝達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61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36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7564343B2 (en) Obstacle detec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CN101171159B (zh) 座椅安全带预紧器装置
US977658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6104364A1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2015140088A (ja) 車両制御装置
WO2003001471A3 (de) Kollisionsschutz für fahrzeuge
JPWO2013140513A1 (ja) 衝突回避支援装置
CN104828004A (zh)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2015101225A (ja) 車両制御装置
JP6216290B2 (ja) 車両制御装置
CN104709280A (zh) 车辆防撞系统及方法
CN203201309U (zh) 汽车门锁控制装置及汽车
KR101384004B1 (ko) 알람장치가 구비된 스티어링 휠
CN106740833B (zh) 机动车辆的后部碰撞预防
EP2881921A1 (en)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apparatus
KR101935055B1 (ko) 스마트 전기자동차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20052479A (ko) 차량의 충돌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310481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202686109U (zh) 一种在碰撞后启动闪光器的系统
JP7180867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6287697B2 (ja) 接触回避システム
JP2019111857A (ja) 車両
JPH0332962A (ja) 車輌用盗難防止装置
CN107953826A (zh) 具有转向预警功能的导航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