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371B1 -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3371B1 KR101383371B1 KR1020110010443A KR20110010443A KR101383371B1 KR 101383371 B1 KR101383371 B1 KR 101383371B1 KR 1020110010443 A KR1020110010443 A KR 1020110010443A KR 20110010443 A KR20110010443 A KR 20110010443A KR 101383371 B1 KR101383371 B1 KR 101383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body member
- discharge port
- stoppe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spectacles frame or len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마련되며, 오염물이 투하되는 오염물투하구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관통된 구멍인 바깥관통공을 가지는 바깥몸통부재와, 상기 바깥몸통부재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바깥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구멍인 내부관통공을 가지는 내부몸통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바깥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바깥관통공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바깥몸통부재의 상면을 개폐시키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오염물투하구가 관통되며, 상기 오염물투하구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마개관통공이 형성된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슬러지가 포함된 오염물로부터 청정수가 분리되며, 분리된 청정수를 별도의 파이프가 필요 없이 외부로 유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한 진동이나 떨림 현상이 저감되며, 교반 작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여 강한 와류를 형성시킴으로 해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의 효과를 확실히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오염물로부터 슬러지나 이물질을 확실히 분리할 수 있으며, 회전으로 인한 떨림 현상이 저감되며, 슬러지나 이물질이 분리된 청정수를 별도의 파이프가 필요 없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나 안경다리, 안경테 등에는 주로 사용자의 얼굴 피부에서 발생된 기름성분이 달라붙어서 쉽게 오염되므로 주기적으로 세척을 하게 된다.
또한, 안경렌즈의 유리도 세척과 더불어 연마를 하게 되는데, 연마과정 동안에 유리가루 등의 이물질이 함께 세척수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각종 공작 기계에서 사용되는 가공액이나, 호닝머신, 건드릴 머신, 방전 가공기, 정밀 연마기, 전해 연마기, 기어 연마기, 세척기, 절단기, 센타레스 연마기, 반도체 관련 가공장비나 기타 유압작동유, 냉동기 오일 내에도 금속 가루나 녹이나, 모래, 슬러지, 시일파편이 혼합된 오염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로부터 슬러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염물로부터 청정수를 따로 분리하여 이를 재활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오염물을 수용한 용기를 회전시켜 와류를 형성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원심분리식 세정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오염물에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청정수를 별도의 파이프 등을 통해서 분리시키므로 그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 상의 불편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모터의 회전으로 인한 떨림 현상이 발생하여 소음이 심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회전을 멈춘 후에 오염물을 수용한 용기에 남아 있는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분리하여 따로 제거해야 했으므로 그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슬러지가 포함된 오염물로부터 청정수가 분리되며, 분리된 청정수를 별도의 파이프가 필요 없이 외부로 유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한 진동이나 떨림 현상이 저감되며, 교반 작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여 강한 와류를 형성시킴으로 해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회전이 멈춘 후에 오염물이 수용된 용기로부터 유체를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식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마련되며, 오염물이 투하되는 오염물투하구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관통된 구멍인 바깥관통공을 가지는 바깥몸통부재와, 상기 바깥몸통부재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바깥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구멍인 내부관통공을 가지는 내부몸통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바깥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바깥관통공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바깥몸통부재의 상면을 개폐시키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오염물투하구가 관통되며, 상기 오염물투하구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마개관통공이 형성된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는 상기 마개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마개관통공과 오염물투하구 사이로 유출되는 청정액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청정액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는 상기 마개부재(6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벽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내부몸통부재(50) 내에 수용되는 오염물을 교반시키는 임펠러부재(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의 상기 임펠러부재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내부몸통부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풀리와, 상기 바깥몸통부재의 중앙부 하방에 위치되며 봉 형상을 가지며, 그 끝단에는 제2풀리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상기 내부관통공과 연통되는 연결관통공을 가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에 결합된 밸트부재를 가져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제1풀리와 밸트부재와 제2풀리를 통해서 상기 바깥몸통부재로 전달되며, 상기 연결관통공이 상기 저장조와 연통되어, 상기 바깥관통공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임펠러부재와, 그 임펠러부재와 마주보는 인접된 임펠러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오염물투하구로부터 투하되는 오염물과 충돌되어 그 오염물의 흐름의 방향을 바꾸는 막음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슬러지가 포함된 오염물로부터 청정수가 분리되며, 분리된 청정수를 별도의 파이프가 필요 없이 외부로 유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한 진동이나 떨림 현상이 저감되며, 교반 작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여 강한 와류를 형성시킴으로 해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회전이 멈춘 후에 오염물이 수용된 용기로부터 유체를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식 세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200)는 하우징(10)과, 오염물투하구(20)와, 모터(30)와, 바깥몸통부재(40)와, 내부몸통부재(50)와, 저장조(60)와, 마개부재(70)와, 청정액유출구(80)와, 임펠러부재(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오염물투하구(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방에 마련되며, 오염물이 투하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3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바깥몸통부재(40)는 상기 모터(30)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관통된 구멍인 바깥관통공(42)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내부몸통부재(50)는 상기 바깥몸통부재(4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바깥관통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구멍인 내부관통공(52)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저장조(6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상기 바깥관통공(42)과 연통되며, 상기 바깥관통공(42)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마개부재(70)는 상기 바깥몸통부재(40)의 상면을 개폐시키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오염물투하구(20)가 관통되며, 상기 오염물투하구(20)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마개관통공(7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청정액유출구(80)는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연통되며,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로 유출되는 청정액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임펠러부재(90)는 상기 마개부재(7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벽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내부몸통부재(50) 내에 수용되는 오염물을 교반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펠러부재(9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몸통부(92)와, 상기 몸통부(92)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터(30)의 회전축(39)에는 제1풀리(32)가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재(100)는 상기 바깥몸통부재(40)의 중앙부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며 봉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00)의 그 끝단에는 제2풀리(10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상기 내부관통공(52)과 연통되는 연결관통공(104)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00)의 외주에는 베어링(106)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풀리(32)와 제2풀리(102)에 각각 결합된 밸트부재(108)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0)의 구동력이 상기 제1풀리(32)와 밸트부재(108)와 제2풀리(102)를 통해서 상기 바깥몸통부재(40)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통공(104)이 상기 저장조(60)와 연통되어, 상기 바깥관통공(42)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저장조(60)에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막음판(1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막음판(110)은 상기 어느 하나의 임펠러부재(90)와, 그 임펠러부재(90)와 마주보는 인접된 임펠러부재(90) 사이에 위치되며,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오염물투하구(20)로부터 투하되는 오염물과 충돌되어 그 오염물의 흐름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청정액통과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청정액통과공간부(120)는 상기 마개부재(70)와 하우징(1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청정액이 통과되며, 상기 청정액유출구(80)와 연통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청정액통과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청정액통과공간부(120)는 상기 마개부재(70)와 하우징(1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청정액이 통과되며, 상기 청정액유출구(80)와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식 세정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모터(30)의 회전축(39)과 결합된 제1풀리(3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트부재(108)에 의해 제2풀리가 회전되어 결국 상기 연결부재(10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바깥몸통부재(40)와 내부몸통부재(50)가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은 상기 베어링(106)의 지지를 받으면서 일어나기 때문에 회전에 의한 떨림 현상이나 진동이 저감되어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러지나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물이 상기 하우징(10)의 오염물투하구(20)를 통해서 상기 내부몸통부재(50)에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오염물은 일차적으로 상기 막음판(110)과 충돌되면서 그 흐름의 방향을 바꾸게 되고, 상기 회전되는 임펠러부재(90)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내부몸통부재(50)에 수용된 오염물은 와류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몸통부재(50) 내부에서 돌게 되며,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슬러지나 이물질 등은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벽에 고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부재(90)의 돌출부(94)에 의해서 와류의 생성이 더욱 강하게 일어나서 상기 오염물로부터 슬러지나 이물질의 제거가 더욱 확실히 되는 것이다.
이렇게 오염물에서 슬러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청정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상기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며, 이 청정액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바로 아래 부분인 청정액통과공간부(120)를 통과하여 상기 청정액유출구(80)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상기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을 청정액통과공간부(120)라고 명명하였으며, 상기 청정액통과공간부(120)가 존재하는 만큼 청정액이 지나가는 공간이 더 많아지고 또한 청정액이 머무르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더 많은 청정액을 계속해서 공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유출되는 청정액은 별도의 파이프를 통해서 수거될 수도 있다.
이렇게 유출되는 청정액은 별도의 파이프를 통해서 수거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와류에 의해서 회전되는 오염물은 빠른 속도로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밑면 위를 지나가기 때문에 그 오염물이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부관통공(54)으로 유출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오염물로부터 슬러지나 이물질이 제거되고 난 뒤에 상기 모터(30)의 작동을 멈추게 되면, 상기 내부몸통부재(50) 내에 수용된 유체는 상기 내부관통공(54)과 바깥관통공(42)을 통해서 유출되며, 결국은 상기 연결부재(100)의 연결관통공(104)을 통해서 상기 저장조(60)에 저장된다.
이렇게 상기 저장조(60)에 저장되는 유체가 많아지면 상기 저장조(6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상기 저장조(60)에 수용된 유체를 버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이 멈추고 난 뒤에 상기 내부몸통부재(50) 내에 수용된 유체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 하우징 20. 오염물투하구
30. 모터 40. 바깥몸통부재
42. 바깥관통공 50. 내부몸통부재
52. 내부관통공 60. 저장조
70. 마개부재 72. 마개관통공
80. 청정액유출구 90. 임펠러부재
92. 몸통부 94. 돌출부
100. 연결부재 32. 제1풀리
102. 제2풀리 104. 연결관통공
106. 베어링 108. 밸트부재
110. 막음판 120. 청정액통과공간부
30. 모터 40. 바깥몸통부재
42. 바깥관통공 50. 내부몸통부재
52. 내부관통공 60. 저장조
70. 마개부재 72. 마개관통공
80. 청정액유출구 90. 임펠러부재
92. 몸통부 94. 돌출부
100. 연결부재 32. 제1풀리
102. 제2풀리 104. 연결관통공
106. 베어링 108. 밸트부재
110. 막음판 120. 청정액통과공간부
Claims (6)
-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방에 마련되며, 오염물이 투하되는 오염물투하구(20);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0);
상기 모터(30)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관통된 구멍인 바깥관통공(42)을 가지는 바깥몸통부재(40);
상기 바깥몸통부재(4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바깥관통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구멍인 내부관통공(52)을 가지는 내부몸통부재(50);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상기 바깥관통공(42)과 연통되며, 상기 바깥관통공(42)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조(60); 및
상기 바깥몸통부재(40)의 상면을 개폐시키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오염물투하구(20)가 관통되며, 상기 오염물투하구(20)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마개관통공(72)이 형성된 마개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연통되며,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로 유출되는 청정액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청정액유출구(80);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재(7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내벽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내부몸통부재(50) 내에 수용되는 오염물을 교반시키는 임펠러부재(90)가 더 포함되며,
상기 마개부재(70)와 하우징(1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마개관통공(72)과 오염물투하구(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청정액이 통과되며, 상기 청정액유출구(80)과 연통되는 청정액통과공간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30)의 회전축(39)과 결합되는 제1풀리(32)와,
상기 바깥몸통부재(40)의 중앙부 하방에 위치되며 봉 형상을 가지며, 그 끝단에는 제2풀리(10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상기 내부관통공(52)과 연통되는 연결관통공(104)을 가지는 연결부재(100)와,
상기 연결부재(100)의 외주에 결합되는 베어링(106)과,
상기 제1풀리(32)와 제2풀리(102)에 결합된 밸트부재(108)를 가져서,
상기 모터(30)의 구동력이 상기 제1풀리(32)와 밸트부재(108)와 제2풀리(102)를 통해서 상기 바깥몸통부재(40)로 전달되며,
상기 연결관통공(104)이 상기 저장조(60)와 연통되어, 상기 바깥관통공(42)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저장조(6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임펠러부재(90)와, 그 임펠러부재(90)와 마주보는 인접된 임펠러부재(90) 사이에 위치되며,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오염물투하구(20)로부터 투하되는 오염물과 충돌되어 그 오염물의 흐름의 방향을 바꾸는 막음판(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임펠러부재(9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몸통부(92)와,
상기 몸통부(92)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내부몸통부재(5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443A KR101383371B1 (ko) | 2011-02-07 | 2011-02-07 |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443A KR101383371B1 (ko) | 2011-02-07 | 2011-02-07 |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175A KR20120090175A (ko) | 2012-08-17 |
KR101383371B1 true KR101383371B1 (ko) | 2014-04-10 |
Family
ID=4688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443A KR101383371B1 (ko) | 2011-02-07 | 2011-02-07 |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33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8745A (ko) | 2016-01-25 | 2017-08-02 | 문병진 | Sip 네트워크에서 구간별 통화 품질 예측 방법 |
CN114472309A (zh) * | 2022-01-04 | 2022-05-13 | 巴州米山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油烟净化器电场片自动清洗装置 |
KR102551108B1 (ko) | 2022-11-16 | 2023-07-04 | 신흥정공(주) | 연마성 슬러지 분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4017A (ja) * | 2002-07-05 | 2004-02-05 | Cnk:Kk | 液体分離機能を備えた遠心分離機 |
KR20090131132A (ko) * | 2008-06-17 | 2009-12-28 | 김주영 | 원심분리식 여과장치 |
-
2011
- 2011-02-07 KR KR1020110010443A patent/KR1013833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4017A (ja) * | 2002-07-05 | 2004-02-05 | Cnk:Kk | 液体分離機能を備えた遠心分離機 |
KR20090131132A (ko) * | 2008-06-17 | 2009-12-28 | 김주영 | 원심분리식 여과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175A (ko) | 201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62348B2 (ja) | 磁気フィルタ装置 | |
KR101925858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101498258B1 (ko) | 철분 분리 장치 | |
KR101383371B1 (ko) |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 |
US20240209560A1 (en) | A filter unit for filtering microparticles and a filter cage for use in a filter unit | |
JP2014028409A (ja) | マグネットセパレータおよび加工液浄化装置 | |
JP2012236184A (ja) | 遠心分離装置 | |
JP3677371B2 (ja) | 液体浄化方法及び装置 | |
KR200404946Y1 (ko) |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 |
KR100547083B1 (ko) | 슬러지 원심분리기 | |
KR100717249B1 (ko) |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스크랩 세척장치 | |
KR101019196B1 (ko) | 원심분리식 여과장치 | |
KR101056391B1 (ko) | 원심분리식 여과장치 | |
KR101622487B1 (ko) | 공작기계의 세척수 클리닝 장치 | |
KR200149338Y1 (ko) | 절삭유 탱크의 유수분리장치 | |
KR100634864B1 (ko) |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 |
KR100713624B1 (ko) |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 |
KR101289678B1 (ko) | 수직형 스크류방식 원심분리장치 | |
KR101760901B1 (ko) |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 |
KR102115302B1 (ko) | 고속원심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
KR101434504B1 (ko) | 구동축 보호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 |
KR101074434B1 (ko) | 수직형 스크류방식 원심분리장치 | |
CN210874361U (zh) | 一种双喷式中心转子淬火油过滤机 | |
JPS5859762A (ja) | メデイアかす除去装置付流動バレル装置 | |
CN112875911A (zh) | 一种化工生产用冷却水回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16 Effective date: 20130628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