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756B1 -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756B1
KR101382756B1 KR1020120049667A KR20120049667A KR101382756B1 KR 101382756 B1 KR101382756 B1 KR 101382756B1 KR 1020120049667 A KR1020120049667 A KR 1020120049667A KR 20120049667 A KR20120049667 A KR 20120049667A KR 101382756 B1 KR101382756 B1 KR 10138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aterial
welding
body portion
heat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979A (ko
Inventor
김호수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4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5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8Cleaning of weld torches, i.e. removing weld-spatter; Preventing weld-spatter, e.g. applying anti-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은 용접재료가 관통하여 통과하는 바디부 및 상기 용접재료의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상기 바디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재료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재료를 제공하는 귄취드럼, 상기 용접재료를 용접부위에 용접시키는 토치 및 상기 용접재료를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토치에 제공하며,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토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Treatment unit for welding material and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재료에 묻어 있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열을 가하여 제거하여 품질이 좋은 용접재료를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의 용접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접법으로서는 아크용접, 가스용접 및 특수용접 등이 있다. 이러한 용접법에 의한 용접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소재를 접합하기 위한 용접재료를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용접공정을 실시하는 용접부에 용접시에 부족한 금속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용접재료가 용접되는 소재 사이를 메우며 용접이 실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접을 위한 용접재료는 용접되는 피용접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례로써, 모재와 거의 같은 성분을 사용하는 철강용과 비철금속용(구리, 구리합금, 니켈합금 등) 용접소재가 있다.
한편, 용접소재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경우에는 수동용접과 자동용접이 있다. 수동용접은 길이 45 cm 이하의 가는 봉 모양의 용접봉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자동용접은 긴 나선 모양으로 된 용접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기 용접와이어의 일례로써 잠호용접용 와이어, 이산화탄소아크 반자동 용접용 와이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용접봉 또는 용접와이어와 같은 용접소재는 용접소재에 피복을 입혀 사용하거나, 피복을 입히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외기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용접소재의 표면에 수분 또는 이물질이 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오염된 용접소재를 사용하여 용접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수분 또는 이물질로 인하여 예상 밖의 스파크 발생 또는 용접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용접시에 사용되는 용접소재에서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품질이 우수한 용접소재를 제공하는 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재료에 묻어 있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품질이 우수한 용접재료를 공급하는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은 용접재료가 관통하여 통과하는 바디부 및 상기 용접재료의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상기 바디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재료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의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범위는 200 ~ 12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의 상기 가열부는 상기 용접재료에 가해지는 열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가열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부 및 상기 용접재료가 직접 상기 가열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가열부 보다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의 상기 용접재료의 진입 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바디부와 연계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를 외부지지체에 연결시켜주는 연결캡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연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 상에 나사결합하는 각도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바디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레버가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연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 상에 나사결합하는 각도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하는 바디부 고정나사 및 상기 바디부 고정나사를 지지하며 관통시키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재 상의 상기 지지부재를 나사압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재료를 제공하는 귄취드럼, 상기 용접재료를 용접부위에 용접시키는 토치 및 상기 용접재료를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토치에 제공하며,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토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는 용접재료에 함유된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접작업 과정 중에 상기 용접재료에 함유된 수분 또는 이물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용접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재료 처리유닛은 용접소재의 진입 각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용접공정의 환경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토치로의 인입 전에 상기 용접재료에 열을 가함으로써, 예열의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치에서 용접을 위한 예열이 불필요하여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예열로 인하여 상기 용접재료 내의 확산성 수소량을 저감시켜 상기 용접재료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각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은 용접재료(4)가 관통하여 통과하는 바디부(10) 및 상기 용접재료(4)의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상기 바디부(10)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재료(4)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가열부(20)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범위는 200 ~ 12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용접재료(4)에 가해지는 열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은 상기 바디부(10) 및 상기 가열부(2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부(30) 및 상기 용접재료(4)가 직접 상기 가열부(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가열부(20) 보다 상기 바디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용접재료(4)의 진입 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바디부(10)와 연계된 각도조절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바디부(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10)를 외부 지지체(3)에 연결시켜주는 연결캡(11)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바디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1), 상기 지지부재(51)와 연계되어 상기 지지부재(51)를 가이드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52) 및 상기 가이드부재(52) 상에 나사결합하는 각도조절나사(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가이드부재(52) 상의 상기 지지부재(51)를 나사압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나사(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재료 처리유닛(1)은 용접봉 또는 용접와이어 등의 용접재료(4)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작업시에 상기 용접재료(4)에 묻어 있는 수분 또는 그밖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최적 상태로 상기 용접재료(4)를 용접작업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용접재료 처리유닛(1)은 상기 용접재료(4)에 열을 가하여 상기 용접재료(4)에 묻어 있는 수분은 증발시키기고, 그밖의 이물질은 연소시켜 제거하여 줌으로써, 용접작업시에 장애가 발생하기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1)은 가열부(20), 바디부(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가열부(20)가 내부에 위치하는 몸통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20)가 내부에 위치한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용접재료(4)가 열을 받으며 통과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부(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접재료(4)가 통과하면서 상기 가열부(20)에 의해 열을 받을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바디부(1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0)는 양 단에 연결캡(1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캡(11)은 외부의 지지체(3)에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1)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로 상기 용접재료(4)를 인입시키기 위해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캡(11)은 상기 바디부(10)를 포함한 본발명의 용접재료 처리유닛(1)이 후술할 각도조절부(50) 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용접재료(4)에 열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열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열부(20)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범위를 200 ~ 1250℃로 설정할 수 있다.
즉, 2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수분은 증발되고, 이물질은 연소되어 제거될 수 있는 온도로써 의미가 있다. 또한, 1250℃ 이하의 온도범위는 상기 용접재료(4)가 용융되지 않고 이송되기 위한 온도로써 의미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용접재료(4)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발명의 가열부(20)일 수 있으나, 가열 온도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열선을 이용한 가열수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선은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열선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용접재료(4)에 가해지는 열의 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바디부(10) 방향에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열부(20)에서 방출된 열이 상기 용접재료(4)에 집중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0) 방향으로 방출되는 열을 상기 반사판에 의해 상기 용접재료(4) 방향으로 진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용접재료(4)에 가하는 열의 양을 증가시켜주기 위해, 스프링 형상으로 열선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상기 용접재료(4)에 열을 가하는 열선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더 많은 열을 더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용접재료(4)에 함유된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용접작업 과정 중에 상기 용접재료(4)에 함유된 수분 또는 이물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용접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단열부(30)는 상기 가열부(2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바디부(10)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열부(20)에서 방출될 열을 상기 용접재료(4)에 집중적으로 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상기 용접재료(4)에 묻은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부(30)는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바디부(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20)의 외측 및 상기 바디부(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열부(30)는 상기 가열부(20)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내부에 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열부(20)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단열부(30)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단열부(30)의 소재는 유기질의 코르크, 면, 펠트, 탄화코르크, 거품고무 및 무기질의 석면,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분말, 마그네시아 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30)는 소재 자체의 열전도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열부(2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바디부(10)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단열부(30)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30)는 열전도율을 작게 하기 위해서 다공질이 되도록 만들어 기공 속의 공기의 단열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열부(40)는 상기 용접재료(4)가 상기 가열부(2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가열부(20)가 제공하는 상기 열선이 고온의 상태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한 변형 또는 절단이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열부(40)는 상기 가열부(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접재료(4)는 상기 전열부(40)에 의해 상기 가열부(20)와는 직접접촉을 하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 가열부(2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용접재료(4)에 가해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전열부(40)는 상기 가열부(20)에서 발생된 열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열부(40)는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열부(40)는 상기 가열부(20)에서 방출하는 열에 직접 영향을 받기 때문에서,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화물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규석질, 점토질(샤모트질), 납석질, 고알루미나질, 마그네시아질, 드로마이트질, 지르콘질, 탄화규소질 등의 소재 또는 이를 혼합한 소재가 있다.
또한,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전열부(40)에는 다수의 미세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을 통하여, 상기 가열부(20)에서 방출된 열을 상기 용접재료(4)에 효율적으로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용접재료(4)의 진입 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바디부(10)를 상기 용접재료(4)의 진입 각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50)에 포함되나, 후술할 두가지 실시예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부(50)의 제1실시예로써,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바디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1), 상기 지지부재(5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2) 및 상기 가이드부재(52) 상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나사(53)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각도조절부(50)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10)가 연결캡(11)에 의해 외부의 지지체(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바디부(10)와 접촉하여 상기 바디부(1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킬 때 중심축 역할을 하는 링 형상의 바디부접촉링(51a)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2)는 상기 지지부재(51)를 일정거리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52)는 바(bar)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가이드부재(5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52)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계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51b)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지지부재(51)에 상기 가이드부재(5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가이드부재(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나사(53)는 상기 가이드부재(52) 상에 형성된 제1나사홀(54)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바디부(10)를 위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나사(53)를 상기 제1나사홀(54)에 삽입하여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켜 상기 바디부(10)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각도조절나사(53)의 일단이 접촉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상기 각도조절나사(53)를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조절나사(53)와 접촉한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이 상승력을 받아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게 된다.
다만, 상기 각도조절나사(53)는 상기 바디부(10)가 안정적으로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51)의 양측에 복수 개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의 각도조절나사(53)가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을 밀어올리면, 타측의 각도조절나사(53)는 하강된 상기 바디부(10)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0) 일측을 밀어올린 상기 가이드부재(52) 일측의 각도조절나사(53)와 하강된 상기 바디부(10) 타측을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부재(52) 타측의 각도조절나사(53)의 삽입 높이는 다르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바디부(10)가 일측은 상승하고 타측은 하강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회전할 때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각도조절부(50)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바디부(10)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55), 상기 바디부(10)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레버(55)가 결합되는 지지부재(51), 상기 지지부재(51)와 연계되어 상기 지지부재(51)를 가이드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52) 및 상기 가이드부재(52) 상에 나사결합하는 각도조절나사(5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버(55)는 상기 바디부(10)와 나사결합하는 바디부 고정나사(57) 및 상기 바디부 고정나사(57)를 지지하며 관통시키는 회전판(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재료 처리유닛(1)의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상기 가이드부재(52) 상의 상기 지지부재(51)를 나사압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나사(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바디부(10)와 접촉하여 상기 바디부(1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킬 때 중심축 역할을 하는 바디부접촉링(51a) 및 상기 가이드부재(5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52)와 연계되어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51b)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각도조절부(50)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나사(53)가 상기 가이드부재(5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바디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도 상기 각도조절부(50)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고정레버(55)는 상기 바디부(10)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레버(55)는 상기 지지부재(51)와 핀연결되어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레버(55)는 상기 지지부재(51)와 핀연결되는 회전판(56) 및 상기 바디부(10)와 나사결합하는 바디부 고정나사(57)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6)은 상기 지지부재(51)와 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나사관통홀(56a)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 고정나사(57)가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10)의 나사결합탭(12)에 나사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56)은 상기 지지부재(51)와 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시에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구조을 갖도록 상기 슬라이더(51b) 및 상기 회전판(56)과 핀결합된 회전보조판(59)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보조판(59)은 상기 바디부 고정나사(57)가 관통하는 상기 회전판(56)의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판(56)은 상기 회전보조판(59)과 연계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보조판(59)이 결합되는 홀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 고정나사(57)는 상기 바디부(10)의 나사결합탭(12)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바디부(10)를 상기 각도조절부(50)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0)를 외부 지지체(3)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캡(11)이 불필요하며, 외부 지지체(3)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바디부(10)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부재 고정나사(58)는 상기 슬라이더(51b)에 결합하여 나사압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52)에 상기 지지부재(51)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1)와 결합된 상기 고정레버(55) 및 상기 고정레버(55)와 결합된 상기 바디부(10)도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바디부(10)를 의도된 위치에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재료(4)를 제공하는 귄취드럼(6), 상기 용접재료(4)를 용접부위에 용접시키는 토치(2) 및 상기 용접재료(4)를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토치(2)에 제공하며, 상기 권취드럼(6)과 상기 토치(2)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장치는 용접이 필요한 작업에서 용접재료(4)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용접장치는 전술한 용접재료 처리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용접장치는 상기 용접재료(4)에 묻어 있는 수분 또는 이물질로 인한 용접 결합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치(2)로의 인입 전에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1)에서 상기 용접재료(4)에 열을 가함으로써, 예열의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치(2)에서 용접을 위한 예열이 불필요하여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신속히 용접을 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용접재료(4)를 예열함으로써, 상기 용접재료(4) 내의 확산성 수소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예상할 수 있어, 상기 확산성 수소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용접재료(4)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장치는 용접을 위한 토치(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토치(2)는 상기 용접재료(4)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용접부위에 용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치(2)에는 연료분사관 및 산소분사관 등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토치(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접재료 처리유닛(1)에서 공급된 상기 용접재료(4)를 이용하여 용접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토치(2)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장치는 상기 용접재료(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5) 및 상기 용접재료(4)가 권취된 권취드럼(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5)은 상기 권취드럼(6)에 권치된 상기 용접재료(4)를 상기 용접재료(4) 처리장치나 상기 토치(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5)은 상기 용접재료(4) 처리장치의 전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권취드럼(6)은 상기 용접재료(4) 처리장치를 거쳐 상기 토치(2)로 상기 용접재료(4)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1 : 용접재료 처리유닛 2 : 토치
3 : 지지체 4 : 용접재료
5 : 가이드롤 6 : 권취드럼
10: 바디부 11: 연결캡
12: 나사결합탭 13: 지지체 연결탭
20: 가열부 21: 열선
30: 단열부 40: 전열부
50: 각도조절부 51: 지지부재
51a: 바디부접촉링 51b: 슬라이더
52: 가이드부재 53: 각도조절나사
54: 제1나사홀 55: 고정레버
56: 회전판 56a: 나사관통홀
57: 바디부 고정나사 58: 지지부재 고정나사
59: 회전보조판

Claims (9)

  1. 용접재료가 관통하여 통과하는 바디부;
    상기 용접재료의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상기 바디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재료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 및
    상기 용접재료의 진입 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바디부와 연계된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체에 연결시켜주는 연결캡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연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 상에 나사결합하는 각도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용접재료 처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범위는 200 ~ 1250℃인 용접재료 처리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용접재료에 가해지는 열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스프링 형상을 갖는 용접재료 처리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가열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부; 및
    상기 용접재료가 직접 상기 가열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가열부 보다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열부를 더 포함하는 용접재료 처리유닛.
  5. 삭제
  6. 삭제
  7. 용접재료가 관통하여 통과하는 바디부;
    상기 용접재료의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상기 바디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재료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 및
    상기 용접재료의 진입 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바디부와 연계된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바디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레버가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연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 상에 나사결합하는 각도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바디부와 나사결합하는 바디부 고정나사 및 상기 바디부 고정나사를 지지하며 관통시키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용접재료 처리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재 상의 상기 지지부재를 나사압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용접재료 처리유닛.
  9. 용접재료를 제공하는 귄취드럼;
    상기 용접재료를 용접부위에 용접시키는 토치; 및
    상기 용접재료를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토치에 제공하며,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토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용접재료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용접장치.
KR1020120049667A 2012-05-10 2012-05-10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KR10138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667A KR101382756B1 (ko) 2012-05-10 2012-05-10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667A KR101382756B1 (ko) 2012-05-10 2012-05-10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79A KR20130125979A (ko) 2013-11-20
KR101382756B1 true KR101382756B1 (ko) 2014-04-08

Family

ID=4985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667A KR101382756B1 (ko) 2012-05-10 2012-05-10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64B1 (ko) * 2016-12-13 2018-08-27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 강판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111515588B (zh) * 2020-05-18 2022-02-11 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支架焊接用在线除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016Y1 (ko) * 1995-08-16 1999-01-15 김종진 이동용 절단장치
KR200188741Y1 (ko) * 1996-10-30 2000-08-01 이구택 용접용 와이어의 불순물 제거장치
JP2009212107A (ja) * 2008-02-29 2009-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ックス残渣除去方法およびフラックス残渣除去装置
KR20120025801A (ko) * 2010-09-08 2012-03-16 스웰 주식회사 복합기능을 가지는 용접 와이어 송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016Y1 (ko) * 1995-08-16 1999-01-15 김종진 이동용 절단장치
KR200188741Y1 (ko) * 1996-10-30 2000-08-01 이구택 용접용 와이어의 불순물 제거장치
JP2009212107A (ja) * 2008-02-29 2009-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ックス残渣除去方法およびフラックス残渣除去装置
KR20120025801A (ko) * 2010-09-08 2012-03-16 스웰 주식회사 복합기능을 가지는 용접 와이어 송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79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0839B2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予熱方法及び予熱装置
CN101761002B (zh) 钢轨焊接接头的热处理装置及其加热器
KR101382756B1 (ko) 용접재료 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용접장치
GB22629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superalloys
CA1253851A (fr) Appareil pour la production d'un jet de gas a haute temperature
JP2009084070A (ja) ガラス丸棒材の製造装置、ガラス丸棒材の製造方法
US2133329A (en) Method for heat treating furnace linings
CN105834615B (zh) 一种手动式防止焊接缩颈的装置
EP11654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an object such as an optical fiber preform
CN106304424A (zh) 一种可控温的加热装置
KR20120099400A (ko) 시트 금속 스트립 열처리용 장치
CN105400934A (zh) 一种立式淬火炉
KR20120003744U (ko) 전기방식용 전극봉의 앤드캡 접속장치
KR101280976B1 (ko) 용접봉 재활용 장치
WO2015019508A1 (ja) トリベ予熱装置
US2160082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welding pipe
RU2312272C1 (ru) Электродуговая горелка
CN111893266B (zh) 一种耦合激光处理的金属电阻加热装置
CN213120152U (zh) 一种电热炉炉壳测温装置
CN202254796U (zh) 油浴炉
KR101294861B1 (ko) 출강가이드 건조장치
KR100800262B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도체 용접장치
CN105986104A (zh) 一种管道焊接热处理工艺
SU1113222A1 (ru) Горелка дл дуговой сварки
JP2613346B2 (ja) Pc外ケーブルの張力解放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